KR100196531B1 -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 및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 및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531B1
KR100196531B1 KR1019970005213A KR19970005213A KR100196531B1 KR 100196531 B1 KR100196531 B1 KR 100196531B1 KR 1019970005213 A KR1019970005213 A KR 1019970005213A KR 19970005213 A KR19970005213 A KR 19970005213A KR 100196531 B1 KR100196531 B1 KR 100196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ircuit
high frequency
compressor
canc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729A (ko
Inventor
도시유키 가미무라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70075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의 고주파 리크전류에 대처한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칭 고주파가 높은 경우라도 고주파 리크전류를 확실히 줄일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압축기 능력을 높일 수 있어 충분한 공조 능력이 얻어지는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압축기 모터(12)에서 어스로 흐르는 고주파 리크전류(I3)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고주파 리크전류(I3)와 유사한 파형 전류(I2)를 작성하고, 그 작성한 전류(I2)에 의해서 고주파 리크 전류(I3)를 강제적으로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 및 공기조화기
본 발명은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의 고주파 리크전류에 대처한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모터의 구동용으로 인버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및 이 정류회로에서 정류된 전압을 스위칭에 의해 고주파전압으로 변환하는 스위칭회로를 가진다. 이 스위칭회로의 출력이 구동 전력으로서 압축기 모터에 공급된다.
압축기 모터는 압축기부와 함께 압축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 압축기 케이스는 안전을 위해 어스접속된다.
압축기 모터의 권선과 케이스(즉, 어스)사이에는 정전용량이 존재해 있으며, 인버터장치의 스위칭 구동에 따라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 상기 정전용량을 통해 수 MHz의 고주파 리크전류가 흐른다.
이 고주파 리크전류는 유전적으로 상용교류전원으로 전해져 상기 인버터장치의 구동제어에 악영향을 끼치거나 다른 가전제품과 차단기 등의 오동작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와같은 고주파 리크전류를 줄이기 위하여 인버터장치의 출력단과 압축기 모터의 접속간에 쵸크코일을 설치하거나 또는 인버터장치의 스위칭 고주파를 낮추는 등의 대책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주파 리크전류를 줄이기 위하여 쵸크코일을 설치해도 인버터장치의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지면 충분한 저감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인버터장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낮게 한 것으로는 압축기 능력을 높일 수 없고, 공조능력이 부족해버리게 된다.
또한, 종래 이용되고 있는 오존층의 파괴능력이 높은 냉매 HCFC22(CHCIF2)의 대체 냉매로서 하이드로플루오르카본을 이용한 경우, 특히 HFC32(CH2F2)와 HFC125(CHF2CF3)로는 전기 절연성이 나쁘고, 유전율이 높기 때문에 상기한 리크전류가 증가해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스위칭 주파수가 높은 경우와 HFC32와 HFC125와 같은 HCFC 대체 냉매를 이용한 경우라도 고주파 리크전류를 확실하게 줄일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압축기 능력을 높일 수 있어 충분한 공조능력이 얻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 고주파 리크 전류(I1)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쇄용 전류(I2)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각 실시예의 상쇄 작용에 의해서 어스에 흐르는 전류(I3)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 2 실시예의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제 3 실시예의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제 4 실시예의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각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용 교류 전원 2, 7: 저역 필터
5: 정류회로 8: 코어
9: 코일 10: 평활 콘덴서
11: 스위칭 회로 12: 압축기 모터
13: 권선 14: 압축기 케이스
20: 제어부 23: 구동제어회로
30: 전류상쇄회로 31: 검출용 코일
32: NPN형 트랜지스터 33: PNP형 트랜지스터
제 1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회로와, 이 정류회로에서 정류되는 전압을 스위칭에 의해 고주파전압으로 변환하고 그것을 상기 압축기 모터로의 구동 전력으로서 출력하는 스위칭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의 후단에 설치된 영상(零相)전류검출기와, 상기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 흐르는 상기 영상전류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고주파 리크 전류와 유사한 파형의 전류를 리크전류 상쇄용으로서 작성하는 전류상쇄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상쇄회로의 출력단을 어스 접속하고 있다.
제 2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회로와, 이 정류회로에서 정류되는 전압을 스위칭에 의해 고주파 전압으로 변환하고 그것을 압축기 모터로의 구동전력으로서 출력하는 스위칭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의 후단에 설치된 저역 필터와,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 흐르는 고주파 리크전류를 상기 저역 필터를 통하여 검출하고, 검출한 고주파 리크전류와 유사한 파형의 전류를 리크전류 상쇄용으로 작성하는 전류상쇄회로를 구비하며, 전류상쇄회로의 출력단을 어스 접속하고 있다. 제 3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우선 저역 필터는 한쌍의 경로사이에 있는 정전용량과, 코어에 장착되고, 동시에 양 선로에 삽입되어 접속된 한쌍의 코일의 인덕턴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류상쇄회로는 저역 필터의 코어에 장착된 검출용 코일 및 그 검출용 코일에 생기는 전압을 증폭하는 증폭회로를 가지며,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 흐르는 고주파 리크전류를 검출용 코일에서 검출하고, 검출한 고주파 리크전류와 유사한 파형의 전류를 리크전류 상쇄용으로서 증폭회로에 의해 작성한다. 제 4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우선 저역 필터는 한쌍의 선로사이에 있는 정전용량과, 코어에 장착되고, 동시에 양 선로에 삽입 접속된 한쌍의 코일의 인덕턴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류상쇄회로는 저역 필터의 코어에 장착된 검출용 코일 및 그 검출용 코일에 생기는 전압을 한쌍의 트랜지스터로 A급 푸시풀(push-pull) 증폭하는 증폭회로를 가지며,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 흐르는 고주파 리크전류를 검출용 코일로 검출하고, 검출된 고주파 리크전류와 유사한 파형의 전류를 전류상쇄용으로 증폭회로에 의해 작성한다.
제 5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우선 저역 필터는 한쌍의 선로사이에 있는 정전회로와, 코어에 장착되고, 동시에 양 선로에 삽입하여 접속된 한쌍의 코일의 인덕턴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류상쇄회로는 저역 필터의 코어에 장착된 한쌍의 검출용 코일 및 그 각 검출용 코일에 생기는 전압을 각각 생기는 전압을 각각 대응하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증폭하는 증폭회로를 가지며,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 흐르는 고주파 리크전류를 각 검출용 코일로 검출하고, 검출한 고주파 리크전류와 유사한 파형의 전류를 리크전류상쇄용으로 증폭회로에 의해 작성한다.
제 6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는 제 1 내지 제 5 발명중 어느 것에 있어서, 스위칭회로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회로를 설치하며, 이 구동제어회로를 스위칭회로 및 전류상쇄회로의 증폭회로와 함께 집적회로화하고 있다.
제 7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로서 하이드로플오로카본을 이용하고 있으며, 제 1 발명의 인버터장치에 의해 압축기를 구동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냉동사이클 구성으로서, 압축기, 응축기, 감압장치(팽창밸브, 캐필러리튜브 등), 증발기가 차례로 냉매배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냉동사이클의 냉매로는 전기절연성이 낮은 HFC32와 HFC125의 중량비가 약 50%/50%인 혼합냉매가 봉입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같은 구성의 공기조화기의 압축기를 구동하는 인버터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용교류전원(1)에 저역 필터(라인필터라고도 한다)(2)를 통하여 정류회로(5)가 접속되어 있다.
저역 필터(2)는 쵸크코일(3) 및 콘덴서(4)로 이루어지며, 전원(1)으로의 고주파 노이즈 전반을 저지한다.
정류회로(5)는 복수의 다이오드(6)의 브리지접속에 의한 정류브리지회로, 이 정류브리지 회로의 후단에 접속된 저역 필터(7) 및 이 제 2 저역 필터(7)의 후단에 접속된 평활 콘덴서(10)로 이루어지며, 상용교류전원(1)의 전압을 정류한다.
저역 필터(7)는 페라이트코어(8)에 구리선을 똑같이 감은 코일이며, 부하측을 노이즈 발생원이라고 생각하면 한쪽의 코일(9a)을 통해서는 노이즈 전류가 흐르고, 반대측인 코일(9b)을 통해서는 되돌아오는 노이즈전류가 발생하여 자계는 서로 상쇄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높은 주파수 성분을 저지하여 낮은 주파수 성분만 통과시키는 작용을 한다.
정류회로(5)의 출력단에 스위칭회로(11)가 접속된다. 스위칭회로(11)는 복수의 스위칭소자 예를들면 파워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며, 정류회로(5)에서 정류된 전압을 스위칭에 의해 고주파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스위칭회로(11)의 출력 단에 압축기 모터(12)가 접속된다. 압축기 모터(12)는 3개의 상권선(13)으로 이루어진 브러쉬 없는 DC모터이며, 압축기부와 함께 압축기 케이스(14)에 수용된다. 압축기 케이스(14)는 안전을 위해 어스 접속된다.
압축기 모터(12)에 있어서, 도시된 C는 각 권선(13)과 압축기 케이스(즉, 어스)(14) 사이에 존재하는 정전용량이다.
한편, 도면부호 “20”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로 공기조화기의 전체를 제어한다. 이 제어부(20)에 실내온도센서(21), 수신부(22) 및 구동제어회로(23)가 접속된다.
실내온도센서(21)는 피공조실내의 온도(Ta)를 검지한다. 수신부(22)는 리모트컨트롤식 조작기(이하, 리모콘이라고 약칭한다)(24)가 송출하는 적외선빛을 수신한다. 리모콘(24)은 운전조건 설정용 데이터를 적외선빛으로 송신한다.
구동제어회로(23)는 제어부(2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스위칭 회로(11)의 각 파워 트랜지스터를 ON·OFF 구동함과 동시에 그 ON·OFF 구동의 주기, 즉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며, 동시에 ON주기(ON·OFF 듀티)를 제어(PWM제어)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인버터장치에 대해, 전류상쇄회로(30)가 설치된다.
전류상쇄회로(30)는 다이오드(6)의 전류 브리지회로의 후단에 설치되는 영상전류검출기(31), 이 영상전류검출기(31)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NPN형 및 PNP형의 한쌍의 트랜지스터(32, 33)에 의해 A급 푸시풀 증폭하는 증폭회로, 트랜지스터(32, 33)의 콜렉터·에미터 사이에 접속된 역 기전력방지용 다이오드(34, 34) 및 직류분 제거용 콘덴서(35)를 가지며, 압축기 모터(14)에서 어스로 흐르는 후술하는 고주파 리크전류(I1)를 영상전류 검출기(31)에서 검출하고, 검출한 고주파 리크전류(I1)와 유사한 파형 전류(I2)을 리크전류 상쇄용으로 상기 증폭회로에 의해 작성하고, 그것을 상기 컨덴서(35)를 통하여 출력한다.
전류상쇄회로(30)의 출력단은 어스 접속된다.
또한, 주의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검출용 코일을 필터(7)의 코일을 감는 쪽과 같게 감는다는 것이다. 만약, 반대로 감아버리면 전원에 흐르는(공동모드) 노이즈 전류와 위상이 어긋나 버리는 상쇄용 전류가 반대로 흘러버리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리모콘(24)으로 원하는 실내온도(Ts)를 설정하고, 동시에 운전개시조작을 실시한다. 실시하면, 스위칭회로(11)가 스위칭 구동되며, 스위칭 회로(11)의 출력에 의해 압축기 모터(12)가 구동된다.
이 경우, 실내온도센서(21)로 검지되는 실내온도(Ta)와 설정실내온도(Ts)와의 차(ΔT)가 구해지며, 그 온도차(ΔT)에 따라서 스위칭회로(11)의 스위칭 주파수가 제어된다.
스위칭회로(11)의 스위칭 주파수가 변화하면 압축기 모터(12)의 회전수가 변화한다. 이 회전수 변화는 압축기 능력이 변하게 되어 나타난다.
온도차(ΔT)가 0이 되면 스위칭회로(11)의 스위칭 구동이 정지되어 압축기 모터(12)가 멈춰져 압축기의 운전 정지가 된다.
따라서, 스위칭회로(11)의 스위칭 구동에 따라 압축기 모터(12)의 각 권선(13)과 압축기 케이스(즉, 어스)(14)와의 사이의 정전용량(C)을 통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형의 수 MHz의 고주파 리크전류(I1)가 흐른다.
이 주파수 리크전류(I1)는 유전적으로 상용교류전원에 전해지는 것이 있어 상기 인버터장치의 구동제어에 악영향을 끼치거나 다른 가전제품과 차단기 등의 오동작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여기서, 고주파 리크전류(I1)는 모터 권선의 영상전류에 비례하고 있기 때문에 영상전류검출기(31)에 의해서 검출할 수 있다.
고주파 리크전류(I1)가 검출되면, 그 검출된 고주파 리크전류(I1)가 트랜지스터(32, 33)에 의해서 A급 푸시풀 증폭된다. 이 증폭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주파 리크전류(I1)와 유사한 파형의 상쇄용 전류(I2)가 작성된다.
상쇄용 전류(I2)는 어스에서 전류상쇄회로(30)로 향하는 극성을 가지며, 이 극성 및 파형에 의거하여 고주파 리크전류(I1)가 전류상쇄회로(30)에 흡수되도록 상쇄된다. 이 상쇄에 의해 어스에 흐르는 전류(I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낮은 레벨의 파형이 된다.
이와같이, 고주파 리크전류(I1)를 검출하여 그 주파수 리크전류(I1)와 유사한 파형의 상쇄용 전류(I2)를 작성하고, 그 상쇄용 전류(I2)에 의해서 고주파 리크전류(I1)를 강제적을 상쇄함으로써 예를들면 스위칭회로(11)의 스위칭 주파수가 높은 경우라도 고주파 리크전류(I1)를 확실하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버터장치의 구동제어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또한 다른 가전제품과 차단기 등의 오동작을 초래할 우려도 없이 스위칭회로(11)의 스위칭 주파수를 충분히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는 압축기 능력을 충분히 높일 수 있어 충분한 공조능력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도 5에 의해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전류상쇄회로(30)의 구성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즉, 전류상쇄회로(30)는 저역 필터(7)의 페라이트코어(8)에 검출용 코일(31A)을 장착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경우라도, 고주파 리크전류(I1)가 검출되어 그 주파수 리크전류(I1)와 유사한 파형의 상쇄용 전류(I2)가 작성되며, 이 상쇄용 전류(I2)에 의해서 고주파 리크전류(I1)가 강제적으로 상쇄된다.
또한, 영상전류를 검출하는데 전용 영상전류검출기를 이용하지 않고 잡음 방지용 저역 필터에 코일을 설치하여 영상전류를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완료되어 저비용으로 인버터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전류상쇄회로(30)의 구성이 제 2 실시예와 조금 다르다.
즉, 전류상쇄회로(30)는 저역 필터(7)의 코어(8)에 장착된 한쌍의 검출용 코일(36A, 36B), 이 검출용 코일(36A, 36B)에 생기는 전압에 각각 대응하는 한쌍의 NPN형 트랜지스터(32, 37)에 의해 증폭하는 증폭회로, 트랜지스터(32, 37)의 콜렉터·에미터 사이에 접속된 역 기전력정지용 다이오드(34, 34) 및 직류분 제거용 콘덴서(35)를 가지며, 압축기 모터(14)에서 어스로 흐르는 고주파 리크전류(I1)에 비교하는 영상전류의 크기를 검출용 코일(36A, 36B)로 양전류와 음전류를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고주파 리크전류(I1)와 유사한 파형의 전류(I2)를 리크전류 상쇄용으로 증폭회로에 의해 작성하고, 그것을 콘덴서(35)를 통하여 출력한다.
다른 구성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경우도 고주파 리크전류(I1)가 검출되어 그 고주파 리크전류(I1)와 유사한 파형 상쇄용 전류(I2)가 작성되며, 이 상쇄용 전류(I2)에 의해서 고주파 리크전류(I1)가 강제적으로 상쇄된다.
제 2 실시예와 같이, 고내압, 고증폭률, 고주파수용으로는 종류가 작은 PNP형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상보(相補)적인 푸시풀(트리스테이트)회로를 구성하지 않아도 종류가 풍부한 NPN형 트랜지스터로 동일 특성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소비전력을 제어할 수 있어 제 1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해서 도 7에 의해 설명한다.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스위칭회로(11)를 대신해 집적회로(40)가 설치된다.
집적회로(40)는 스위칭회로(11)에 해당하는 스위칭회로부(41), 제 1 실시에의 구동제어회로(23)에 해당하는 구동제어회로부(42) 및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전류상쇄회로(30)의 증폭회로에 해당하는 증폭회로부(43)를 정리하여 1칩화한 것이다.
이와같은 집적회로(40)를 채용함으로써 인버터장치의 성능을 발휘하여 중요한 열대책 및 절연대책이 용이해지고, 또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인버터장치의 실장 면적의 축소가 도모된다.
또한, 전류상쇄회로(30)에서는 검출용 코일(31)의 출력선에 조정용 저항(38)이 삽입 접속된다. 조정용 저항(38)은 증폭회로부(43)에 의한 A급 푸시풀 증폭의 전류증폭율(hfe)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조정용 저항(38)의 저항값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예를들면 A급 푸시풀 증폭의 전류 증폭율(hfe)의 “흐트러짐”에 맞추거나 고주파 리크전류(I1) 크기에 맞춰 최적인 레벨의 상쇄용 전류(I2)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에 나타낸 인버터장치를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의 구동장치로서 이용함으로써 전기절연성이 낮은 HFC32와 HFC125와 같은 하이드로플오로카본을 냉매로서 냉동사이클에 봉입한 경우라도 압축기로부터의 리크전류를 억제할 수 있고, 오존층 파괴 문제 또는 고주파 문제가 없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요지를 변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 실시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에 의하면,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 흐르는 고주파 리크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고주파 리크전류와 유사한 파형의 전류를 작성하고, 그 작성한 전류에 의해서 고주파 리크전류를 강제적으로 상쇄하는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칭 주파수가 높은 경우라도 고주파 리크전류를 확실하게 줄일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압축기 능력을 높일 수 있어 충분한 공조 능력이 얻어진다.

Claims (7)

  1. 압축기 및 그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 모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용교류전원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회로;
    상기 정류회로에서 정류되는 전압을 스위칭에 의해 고주파 전압으로 변환하고, 그것을 상기 압축기 모터의 구동전력으로 출력하는 스위칭회로;
    상기 정류회로의 후단에 설치된 영상전류 검출기; 및
    상기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 흐르는 상기 영상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고주파 리크전류와 유사한 파형의 전류를 리크전류 상쇄용으로 작성하는 전류상쇄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상쇄회로의 출력단을 어스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
  2. 압축기 및 그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 모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용교류전원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회로;
    이 정류회로에서 정류되는 전압을 스위칭에 의해 고주파 전압으로 변환하고, 그것을 상기 압축기 모터의 구동전력으로 출력하는 스위칭회로;
    상기 정류회로의 후단에 설치된 저역 필터; 및
    상기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 흐르는 고주파 리크전류를 상기 저역 필터를 통하여 검출하고, 검출한 고주파 리크전류와 유사한 파형의 전류를 리크전류 상쇄용으로 작성하는 전류상쇄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상쇄회로의 출력 단을 어스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필터는 한쌍의 선로사이에 있는 정전회로와 코어에 장착되고, 동시에 양 선로에 삽입 접속된 한쌍의 코일의 인덕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류상쇄회로는 상기 저역 필터의 코어에 장착된 검출용 코일 및 그 검출용 코일에 생기는 전압을 증폭하는 증폭회로를 가지며,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 흐르는 고주파 리크전류를 상기 검출용 코일로 검출하고, 검출한 고주파 리크전류와 유사한 파형의 전류를 리크전류상쇄용으로 상기 증폭회로에 의해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필터는 한쌍의 선로 사이에 있는 정전용량과 코어에 장착되고, 동시에 양 선로에 삽입 접속된 한쌍의 코일의 인덕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류상쇄회로는 상기 저역 필터의 코어에 장착된 검출용 코일 및 그 검출용 코일에 생기는 전압을 한쌍의 트랜지스터로 A급 푸시풀 증폭하는 증폭회로를 가지며,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 흐르는 고주파 리크전류를 상기 검출용 코일로 검출하고, 검출한 고주파 리크전류와 유사한 파형의 전류를 리크전류 상쇄용으로 상기 증폭회로에 의해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필터는 한쌍의 선로사이에 있는 정전용량과 코어에 장착되고, 동시에 양 선로에 삽입 접속된 한쌍의 코일의 인덕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류상쇄회로는 상기 저역 필터의 코어에 장착된 한쌍의 검출용 코일 및 그 각 검출용 코일에 생기는 전압을 각각 대응하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증폭하는 증폭회로를 가지며, 압축기 모터에서 어스로 흐르는 고주파 리크전류를 상기 각 검출용 코일로 검출하고, 검출한 고주파 리크전류와 유사한 파형의 전류를 리크전류 상쇄용으로 상기 증폭회로에 의해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회로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설치하며, 이 구동제어회로를 상기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전류상쇄회로의 증폭회로와 함께 집적회로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
  7. 공기조화기의 냉매로서 하이드로플루오르카본을 이용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제 1 항의 인버터장치에 의해 압축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19970005213A 1996-05-21 1997-02-21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 및 공기조화기 KR100196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575296 1996-05-21
JP8-125752 1996-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729A KR970075729A (ko) 1997-12-10
KR100196531B1 true KR100196531B1 (ko) 1999-06-15

Family

ID=14917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213A KR100196531B1 (ko) 1996-05-21 1997-02-21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 및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196531B1 (ko)
CN (1) CN1086795C (ko)
TW (1) TW3328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6454A1 (ja) * 2011-09-30 2013-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装置、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
US9800133B2 (en) * 2016-03-22 2017-10-24 Infineon Technologies Ag Active common mode cancellation
CN114216244B (zh) * 2021-11-29 2022-11-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母线电压调整方法、装置和压缩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32851B (en) 1998-06-01
CN1167239A (zh) 1997-12-10
CN1086795C (zh) 2002-06-26
KR970075729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0116B1 (en) Inverter apparatus for supplying drive power to an electric motor, and filter apparatus for use in the inverter apparatus
US9605858B2 (en) Thermostat circuitry for connection to HVAC systems
US20170047881A1 (en) Conduction noise filtering circuit, inverting device, and compressor
KR102561123B1 (ko) 전도성 노이즈 필터회로, 인버터 장치 및 압축기
US20030079486A1 (en) Controlling device of compressor
JP2002325353A (ja) インバータ保護装置
KR101979452B1 (ko) Emi 노이즈 저감을 위한 액티브 노이즈 필터
JPH1042585A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の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034658B1 (ko) Emi 노이즈 저감을 위한 액티브 노이즈 필터
JP3912096B2 (ja) 電力変換装置のノイズ低減装置
KR100196531B1 (ko)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장치 및 공기조화기
US20200300521A1 (en) Heat pump device
JP2007209166A (ja)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3174777A (ja) ノイズ低減装置及び電力変換装置
JPH11187671A (ja)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H11122910A (ja) フィルタ装置
US7453243B2 (e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multiple output voltages and an intermittent oscillation pulse in standby
JP424096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EP0935104A1 (en) Air conditioner
JP7315862B2 (ja) 電力変換装置及び冷凍装置
KR102260614B1 (ko) 공기조화기
JP2001045767A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13017378A (ja) コンプレッサ・ハウジング用プリント回路基板
CN111664605B (zh) 空调机
CN111869070A (zh) 功率转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