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339B1 - 태신선기용 다이스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태신선기용 다이스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339B1
KR100195339B1 KR1019960022324A KR19960022324A KR100195339B1 KR 100195339 B1 KR100195339 B1 KR 100195339B1 KR 1019960022324 A KR1019960022324 A KR 1019960022324A KR 19960022324 A KR19960022324 A KR 19960022324A KR 100195339 B1 KR100195339 B1 KR 10019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wire
die holder
wire ro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672A (ko
Inventor
김원배
최린
김봉섭
김윤기
Original Assignee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문구
Priority to KR1019960022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339B1/ko
Publication of KR98000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00Profiling tools for metal drawing; Combinations of dies and mandrels
    • B21C3/02Dies; Selection of material therefor; Cleaning thereof
    • B21C3/12Die holders; Rotating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신선기를 사용하여 다단 연속 신선 작업을 할 경우 선재의 위치 변화에 따른 다이스와 선재의 정렬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신선공정에서 선재에 발생하는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고, 신선 다이스와 선재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우수한 제품을 얻기 위함으로, 다이스(3)와 선재의 정렬을 수행하기 위해 가이드 롤러(4)가 형성되고, 다이스 홀더(2)의 회전을 위해 상기 다이스 홀더(2) 하부에 힌지축(1)이 형성 되어있으며, 선재의 냉각효율과 마찰감소를 위해 가이드 롤러(4)와 신선 다이스(3) 사이에 형성된 신선유 저장조(6)를 다이스(3) 진입 전에 선재가 통과하며, 다이스 홀더(2) 뒷부분은 다이스 지지부와 일체가 되는 샤프트 구조물(8)이 일정길이를 갖고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신선기용 다이스 홀더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힌지축 2 : 다이스 홀더
3 : 다이스 4 : 가이드 롤러
6 : 신선유 저장조 7 : 다이스 홀더 베이스
8 : 샤프트 구조물
본 발명은 태신선기(太伸線機)용 다이스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경이 큰 선재(船材)의 다단(多段) 신선(伸線) 공정 작업시 발생하는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하고 신선 다이스 입구로 투입되는 선재의 위치를 가이드 롤러로 안내함으로서 다이스와 선재의 최적 위치 정렬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태신선기용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부분의 신선기에서 사용되는 다이스 홀더의 구조는 신선기 본체에 다이스 홀더가 완전 고정된 방식일 뿐 아니라, 작업중 선재가 캡스턴(Capstan)에서 일부 풀어지는 경우에는 다이스의 각도와 선재의 유입각도가 서로 다르게 되어 다이스 입구에서 선재의 국부적인 굽힘에 의한 불필요한 하중 발생 등이 있었다.
또한 선재의 냉각방식은 중, 세선(中, 細線)의 경우 신선유(伸線油)를 관을 통하여 신선 다이스 전후에 뿌리는 방식으로 다단 신선 작업시 냉각이 불충분하여 선재의 온도 상승에 따른 생산성 및 품질의 저하 등의 문제가 있으며, 굵은 선의 경우 다이스 및 다이스 홀더 자체를 신선기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신선유에 다이스 부분이 잠기도록 설치함으로서 냉각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어, 상기 태신선기 냉각 방식에서는 작업자가 작업 시작시 신선기에 대한 선재 세팅 및 초기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고, 작업 중에는 신선작업 부위를 육안으로 직접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상기 태신선기에서는 중, 세선 신선기처럼 단순히 신선 다이스 및 다이스 홀더를 상부에 위치시키고 신선유를 관을 통하여 다이스 전후에 공급하는 것만으로는 냉각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며 따라서 다단 신선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선재의 온도 상승에 따른 생산성 및 품질의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태신선기의 경우 선재의 강성이 크기 때문에 선재와 다이스의 위치정렬이 틀어져, 작업중 선재의 부분적인 풀림 등에 기인하는 위치변화, 특히 높이변화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선재의 부분적인 굽힘 등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 저하 및 과도한 신선 하중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태신선기를 사용하여 다단의 연속 신선작업을 할 때 선재의 위치변화에 따른 다이스와 선재의 정렬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신선공정에서 선재에 발생하는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고 신선 다이스와 선재의 마찰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우수한 제품을 얻기 위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이스 홀더 전방에 다이스 홀더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다이스 홀더 베이스의 전방 상부 끝단에 다이스와 선재의 정렬을 수행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다이스 홀더의 회전을 위해 상기 다이스 홀더 하부에 힌지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재의 냉각효율과 마찰감소를 위해 가이드 롤러와 신선 다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일정한 길이와 깊이를 갖는 신선유 저장조를 다이스에 진입하기 전에 선재가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스 홀더 뒷부분에는 다이스 지지부와 일체로 되는 샤프트 구조물로 형성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상기 샤프트 구조물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스 홀더(2) 전방에 다이스 홀더 베이스(7)를 형성하며, 상기 다이스 홀더 베이스(7)의 전방 상부 끝단에 위치하는 다이스(3)와 선재의 정렬을 수행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4)가 형성되고, 다이스 홀더(2)의 회전을 위해 상기 다이스 홀더(2) 하부에 힌지축(1)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재의 냉각효율과 마찰감소를 위해 가이드 롤러(4)와 신선 다이스(3) 사이에 위치하며 형성된 신선유 저장조(6)를 다이스(3) 진입전의 선재가 통과하며, 상기 다이스 홀더(2) 뒷부분에는 다이스(3) 지지부와 일체로 되는 샤프트 구조물(8)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구조물(8)이 일정한 길이를 갖고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는 체결용 볼트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구성의 작용은 다이스 홀더(2) 앞부분이 되는 다이스 홀더베이스(7) 전방 상부 끝단에 위치하고 있는 가이들 롤러(4)가 약간의 선재 높이 변화를 바로 잡아 줌으로서 다이스(3)에 들어가는 선재는 항상 동일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작용하고, 선재의 높이변화가 커서 가이드 롤러(4)만으로는 교정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다이스 홀더(2) 하부에 있는 힌지축(1)을 중심으로 다이스 홀더(2) 전체가 회전운동을 함으로서 어떠한 경우라도 다이스(3)에 들어가는 선재는 항상 동일한 방향과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다이스 홀더(2) 앞부분 중 가이드 롤러(4)와 다이스(3) 사이에는 일정한 길이와 깊이를 갖는 신선유 저장조(6)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신선유가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한편 신선유의 공급은 관과 밸브를 통하여 신선 다이스(3) 전후에 각각 공급되며 자연적인 신선유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량 이상의 신선유는 다이스 홀더(2) 외부로 넘쳐흐르도록 하였다.
선재의 냉각은 선재가 상기 신선유 저장조(6)를 통과하면서 신선유에 완전히 잠길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선재가 지속적으로 냉각되면서 신선 다이스(3)의 입구까지 진행하게 되며 신선유는 선재의 진행과 함께 다이스(3) 내부에 충분하게 공급이 되어 마찰감소 및 다이스(3)의 냉각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의 다이스 홀더(2) 뒷부분에 형성된 샤프트 구조물(8)은 다이스(3) 지지부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구조물(8)에 단면이 원형관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원형관은 신선된 선재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고 신선유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여 충분한 신선유의 공급 및 배수가 가능할 뿐 아니라 선재가 신선유에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선재를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원형관을 이루는 다이스(3) 후반부는 다이스(3)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회전축의 역할도 함께 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을 할 수 있는 장치를 부착하게 되면 이형선재의 변형이나 비틀림 등을 어느 정도는 보정할 수 있는 장치로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태신선기용 다이스 홀더장치는 태신선기를 사용하여 다단의 연속 신선작업을 할 경우 선재의 위치변화에 따른 다이스와 선재의 정렬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신선공정에서 선재에 발생하는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고 신선 다이스와 선재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이스 홀더(2) 전방에 다이스 홀더 베이스(7)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7) 상부 끝단에 가이드 롤러(4)를 형성하며, 상기 다이스 홀더(2) 하부에 힌지축(1)이 형성되어 상기 다이스 홀더(2)가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4)와 다이스(3) 사이에 일정한 길이와 깊이를 갖는 신선유를 담는 신선유 저장조(6)를 형성하며, 상기 다이스 홀더(2) 뒷부분이 다이스(3) 지지부와 일체로 되는 샤프트 구조물(8)이 형성하고, 상기 샤프트 구조물(8)이 일정한 길이를 갖고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신선기용 다이스 홀더장치.
KR1019960022324A 1996-06-19 1996-06-19 태신선기용 다이스 홀더 장치 KR10019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324A KR100195339B1 (ko) 1996-06-19 1996-06-19 태신선기용 다이스 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324A KR100195339B1 (ko) 1996-06-19 1996-06-19 태신선기용 다이스 홀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672A KR980000672A (ko) 1998-03-30
KR100195339B1 true KR100195339B1 (ko) 1999-06-15

Family

ID=19462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2324A KR100195339B1 (ko) 1996-06-19 1996-06-19 태신선기용 다이스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71B1 (ko) * 2008-02-01 2010-01-06 엠케이전자 주식회사 본딩 와이어의 신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151B1 (ko) * 2001-11-09 2003-11-28 엘지전선 주식회사 습식 선재 신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71B1 (ko) * 2008-02-01 2010-01-06 엠케이전자 주식회사 본딩 와이어의 신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672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841046U (zh) 一种钢材加工用支撑座
KR100195339B1 (ko) 태신선기용 다이스 홀더 장치
JP3323621B2 (ja) ワイヤソーのスラリ供給方法およびスラリ供給ノズル
CN205129379U (zh) 一种可自动打码的钢管加工系统
US4325244A (en) Self-repairing wiper die
US3774436A (en) Device for metal treatment
CN214263268U (zh) 一种新型高速拉丝滑直机
CN207839644U (zh) 一种生产无缝包芯钙线系统
US4875396A (en) Apparatus for feeding bar stock to a machining operation
CN113838663A (zh) 一体式低漏感变压器绕线设备
RU2147262C1 (ru) Способ направления непрерывных заготовок в установке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4767886U (zh) 一种用于拉丝机的水冷装置
CN112226719A (zh) 一种铜线的热镀装置
CN216911559U (zh) 一种出线张紧自调节式拉丝机
CN213730745U (zh) 一种轴承座加工用的冷却装置
CN115198062B (zh) 一种双张紧装置退火机
JP3238637B2 (ja) 垂直圧延機の脱着式多列ロール冷却水ヘッダー
JPS58122162A (ja) 連続鋳造装置
CN219632898U (zh) 一种钢管加工快速降温装置
JP2009529426A (ja) 連続鋳造設備及び連続鋳造設備の動作方法
CN217528737U (zh) 一种拉丝机卷筒
CN214767889U (zh) 用于无缝钢管冷拔机的支撑装置
KR102622528B1 (ko) 금속선재 신선 장치
CN219899674U (zh) 拉丝机用原材料预处理装置
CN113070360B (zh) 一种双孔模具挤压型材冷却校正工装及其校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