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029B1 - 높이조절식 변속레버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식 변속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029B1
KR100195029B1 KR1019960016726A KR19960016726A KR100195029B1 KR 100195029 B1 KR100195029 B1 KR 100195029B1 KR 1019960016726 A KR1019960016726 A KR 1019960016726A KR 19960016726 A KR19960016726 A KR 19960016726A KR 100195029 B1 KR100195029 B1 KR 100195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pins
locking bar
shift lever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155A (ko
Inventor
송재학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1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029B1/ko
Publication of KR97007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029B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식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 변속기의 뒷부분에 부착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서 조작하면 리테이너 보울 시이트(12)를 지지점으로 하여 기어를 움직일 수 있도록 된 레버아암(14)에 노브(16)의 가이드파이프(18)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신축가능하게 끼워져 고정수단(14a;20a,20b,22)을 매개로 착탈가능될 수 있게 결합된 구조로 되어,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이나 운전자세에 따라 노브(16)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해서 편리하게 운전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식 변속레버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식 변속레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다른 변속레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보울 시이트 14 : 레버아암
14a: 구멍 14b : 장공
16 : 노브 18 : 가이드파이프
20a,20b: 핀 22 : 록킹바아
24 : 조작노브 26 : 연결편
28 : 인장스프링 30 : 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용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의 체형이나 운전자세에 따라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서 조작하는 노브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운전 조작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높이조절식 변속레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회전은 하지만 회전력이 비교적 작고 또 변화하는 범위도 좁은 자동차용 엔진은, 소형이고 경량이면서도 큰 동력을 내야 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자동차의 주행저항에 알맞게 하려면 엔진과 구동축 사이에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장치를 두어야하고, 또한 내연기관은 자기기동을 하지못하기 때문에 기동할 때에는 일단 무부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할 뿐 아니라. 자동차를 후진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역전 수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차량은 엔진과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그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바퀴에 전달함과 더불어, 자동차를 후진시키기 위한 역전장치도 구비된 변속기를 두고 있고, 또한 이 변속기의 기어물림 상태를 변화시키는 변속기 조작기구가 구비되어 있어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상태(발진, 등판, 평탄로 주행 등)에 알맞도록 변속기의 조작기구를 조정하여 변속기의 기어 물림을 변경시켜 기관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변속기 조작기구에는 변속기에 변속레버를 직접 설치한 직접 조작방식과 변속레버의 변속기를 따로이 두고 그 사이를 링크나 와이어등으로 연결하여 조작하는 원격조작방식이 있는 데, 원격조작방식은 승용차나 리어엔진(rear engine)자동차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변속레버를 조향핸들 밑에 설치하여 컬럼시프트라고도 불리며, 변속 레버와 변속기가 떨어져 있어 그 사이는 링크나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반해 직접 조작방식은 트럭이나 경주용차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변속레버가 차실 바닥위에 설치하는 형식으로 플로어 시프트라고도 불리우는 바, 이러한 종래의 변속레바의 설치구조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102)가 변속기 케이스커버(106)에 설치되면서 부트(110)에 의해 덮씌우져 보호되게 되어있고, 상기 커버(106)의 윗부분에 위치하는 리테이너 보울시이트(112)를 지지점으로 운전자가 노브(116)를 움직이면 기어를 직접 섭동하게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 원격조작방식은 변속레버가 조향컬럼에 부착되어 있어 운전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조작이 편리하도록 되어 있는 데 반해, 상기 직접 조작방식은 변속레버가 차실의 바닥에 설치되어 노브가 차실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 전후로 이동하게 되어있을 뿐 손잡이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없어 운전자의 체형 및 자세에 따라 변속레버를 조작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의 체형 및 운행자세에 따라 변속레버의 노브 높이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운전 조작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높이조절식 변속레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기의 뒷 부분에 부착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서 조작하면 리테이너 보울 시이트를 지지점으로 하여 기어를 움직일 수 있도록 된 레버아암에 노브의 가이드파이프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신축가능하게 끼워져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될 수 있게 결합된 구조로 되어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이 레버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서로 대향되어 2개가 1조를 이루는 다수개의 구멍이 레버아암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한쪽 선단부에는 상기 구멍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스프링에 의해 안쪽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서로 연결된 2개의 핀이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핀사이로 삽입되어 핀을 양측으로 밀어서 구멍에 끼워지도록 하는 록킹바아가 상기 가이드파이프속에 삽입되어있는 한편, 상기 록킹바아에는 손가락으로 조작해서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노브가 부착된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가 록킹바아에 연결편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면서 이 연결편이 레버아암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을 통해 돌출되어 장공을 따라 상하로 안내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록킹바아가 핀사이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록킹바아를 아랫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밀어주기 위해 상기 노브의 윗쪽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상기 조작노브를 손가락으로 걸어서 당겨주면 노브가 일체로 부착된 가이드파이프가 레버아암으로부터 해방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노브를 적절한 위치까지 조절한 다음에 상기 조작노브를 놓아주면 조작노브에 의해 2개의 핀이 양측으로 밀려져서 구멍에 끼워짐에 따라 노브의 위치가 운전자의 소망위치에 셋팅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식 변속레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인 바, 즉 변속기의 뒷부분에 부착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서 조작하면 리테이너 보올 시이트(12)를 지지점으로 하여 기어를 움직일 수 있도록 된 레버아암(14)의 상부에 노브(16)가 장착되되, 이 노브(16)는 운전자의 체형이나 운전자세에 따라 그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변속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수단을 매개로 레버아암(14)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레버아암(14)이 속이 빈 중공파이프로 이루어지면서 이 중공파이프속에 노브(16)의 하면에 일체로 연장되게 뻗은 가이드파이프(18)가 신축자재하게 끼워져서 결합되고, 이 가이드파이프(18)가 레버아암(14)에 삽입되어 그 결합길이를 적절히 조절해서 고정시킴으로써 노브(16)의 돌출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수단을 갖춘 구조로 되어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레버아암(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서로 대향되어 2개가 1조를 이루는 다수개의 구멍(14a)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18)의 한쪽 선단부에는 상기 구멍(14a)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핀(20a, 20b)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또 상기 핀(20a,20b) 사이로 삽입되어 핀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양측으로 밀어주는 록킹바아(22)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8)속에 삽입되어 있는 데, 이 록킹바아(22)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8)속에 삽입되어 있는 데, 이 록킹바아(22)의 한쪽 선단부는 핀(20a, 20b)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다른쪽 선단부에는 운전자가 손가락으로 조작해서 록킹바아(22)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조작노브(24)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조작노브(24)와 상기 록킹바아(22)를 연결시키는 연결편(26)은 레버아암(14)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14b)를 통해 돌출되면서 장공(14b)를 따라 상하로 안내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록킹바아(22)가 핀(20a,20b)사이로부터 빠져나온 경우에 상기구멍(14a)에 걸려져 있던 핀(20a,20b)이 구멍(14a)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이탈되도록 상기 2개의 핀(20a,20b)은 인장스프링(28)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록킹바아(22)가 핀(20a,20b)사이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록킹바아(22)를 아랫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밀어주기 위해 상기 조작노브(24)의 윗쪽에는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로 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식 변속레바는, 운전자의 체형이나 운전자세에 따라 그 노브(16)가 적절한 위치에 셋팅된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30)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밀려지는 록킹바아(22)가 2개의 핀(20a,20b)사이로 삽입되어 핀(20a,20b)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핀(20a,20b)을 양측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이 핀(20a,20b)이 상기 레버아암(14)의 다수개의 구멍(14a)중에 한쪽 구멍(14)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가이드파이프(18)가 레버아암(14)에 핀(20a,20b)을 매개로 고정되게 되므로, 이 가이드파이프(18)의 선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노브(16)가 운전자의 소망위치에 셋팅되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노브(16)의 위치를 자신의 체형이나 운전자세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작노브(24)를 손가락으로 걸어서 윗쪽으로 당겨주게 되면, 이 조작노브(24)와 일체로 연결된 상기 록킹바아(22)가 핀(20a,20b)사이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는 동시에 구멍(14a)에 걸려져 있던 2개의 핀(20a,20b)도 스프링(2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안쪽방향으로 당겨져서 레버아암(14)의 구멍(14a)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핀(20a,20b)이 운전자의 노브조작으로 구멍(14a)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 가이드파이프(18)가 레버아암(14)에 끼워져서 자유롭게 슬라이딩될 수 있는 상태로 해방되게 되는 데,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노브(16)를 손으로 잡고서 상하로 이동시켜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또 노브(18)를 운전자가 원하는 소망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걸고 있던 조작노브(24)를 놓아주게 되면 스프링(28)의 탄성복원력으로 조작노브(24)가 아랫방향으로 밀려지게 됨과 더불어 이 조작노브(24)와 일체로 연결된 록킹바아(22)도 아랫방향으로 밀려지면서 그의 날카로운 선단부가 2개의 핀(20a,20b)사이로 삽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록킹바아(22)가 2개의 핀(20a,20b)사이로 밀고 들어가서 삽입되면 2개의 핀(20a,20b)이 양측으로 밀려져서 레버아암(14)에 형성된 구멍(14a)에 끼워져 걸려짐에 따라 가이드파이프(18)가 상기 핀(20a,20b)을 매개로 레버아암(14)에 고정되므로, 결국에는 가이드파이프(18)에 일체로 연결된 노브(16)의 위치가 운전자의 소망위치에 셋팅되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식 변속레바에 의하면,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이나 운전자세에 따라 노브를 적절한 위치에 셋팅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운전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노브를 손으로 잡고서 편리하게 운전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변속기의 뒷 부분에 부착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서 조작하면 리테이너 보울 시이트(12)를 지지점으로 하여 기어를 움직일 수 있도록 된 레버아암(14)에 노브(16)의 가이드파이프(18)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신축가능하게 끼워져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될 수 있게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식 변속레바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레버아암(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서로 대향되어 2개가 1조를 이루는 다수개의 구멍(14a)이 레버아암(14)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18)의 한쪽 선단부에는 상기 구멍(14a)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스프링(28)에 의해 안쪽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서로 연결된 2개의 핀(20a,20b)이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핀(20a,20b)사이로 삽입되어 핀을 양측으로 밀어서 구멍(14a)에 끼워지도록 하는 록킹바아(22)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8)속에 삽입되어 있는 한편, 상기 록킹바아(22)에는 손가락으로 조작해서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조작노브(24)가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변속레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아(22)의 한쪽 선단부가 핀(20a,20b)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날카롭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변속레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24)가 록킹바아(22)에 연결편(26)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면서 이 연결편(26)이 레버아암(14)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14b)을 통해 돌출되어 장공(14b)을 따라 상하로 안내이동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식 변속레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아(22)가 핀(20a,20b)사이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록킹바아(22)를 아랫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밀어주기 위해 상기 조작노브(24)의 윗쪽에는 스프링(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식 변속레바.
KR1019960016726A 1996-05-17 1996-05-17 높이조절식 변속레버 KR10019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726A KR100195029B1 (ko) 1996-05-17 1996-05-17 높이조절식 변속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726A KR100195029B1 (ko) 1996-05-17 1996-05-17 높이조절식 변속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155A KR970074155A (ko) 1997-12-10
KR100195029B1 true KR100195029B1 (ko) 1999-06-15

Family

ID=6621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726A KR100195029B1 (ko) 1996-05-17 1996-05-17 높이조절식 변속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034B1 (ko) 2007-03-30 2009-01-22 웰텍 주식회사 강관 연결 시공장비의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8286B (zh) * 2017-03-21 2018-06-08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可调档杆长度的车辆换挡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034B1 (ko) 2007-03-30 2009-01-22 웰텍 주식회사 강관 연결 시공장비의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155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029B1 (ko) 높이조절식 변속레버
RU40728U1 (ru) Спинка с подголовником для детского сидения, используемого в легковых автомобилях
CN206664363U (zh) 用于车辆的扶手组件、车辆中央控制台组件以及车辆
KR015177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
JPH1146921A (ja) 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
KR200147483Y1 (ko) 자동차의 전동식 헤드레스트
US4636604A (en) Emergency ignition shutoff system
KR200214986Y1 (ko) 변속레버높낮이조절장치
KR0135630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변속기레버
KR200141646Y1 (ko) 이동식 보조그립장치
KR20030033172A (ko) 자동차의 변속기용 변속레버
KR100365277B1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
KR200146821Y1 (ko) 위치 이동이 자유로운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00211514B1 (ko) 자동차의 틸팅 구조
KR19980029962U (ko) 높이가 조절되는 자동차의 기어 쉬프트 레버
KR200152688Y1 (ko) 수동변속기의 접이식 레버
JPS6232906Y2 (ko)
KR960004714Y1 (ko) 자동차용 푸트레스트(Foot Rest)
KR19990031970U (ko) 변속레버의 노브 위치가변장치
JPH0210303Y2 (ko)
KR0138194Y1 (ko) 차량용 변속 레버 고정장치
KR200156040Y1 (ko) 차량의 접을 수 있는 시프트 레버
KR790001270Y1 (ko) 차의 운전이 가능한 농업용 운반차량
JP2523198Y2 (ja) 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起動安全装置
KR19980051593U (ko) 변속레버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