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832B1 - 유동현수 라이너 지지구조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및 라이너를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하는 방법_ - Google Patents

유동현수 라이너 지지구조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및 라이너를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하는 방법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832B1
KR100194832B1 KR1019940700497A KR19940700497A KR100194832B1 KR 100194832 B1 KR100194832 B1 KR 100194832B1 KR 1019940700497 A KR1019940700497 A KR 1019940700497A KR 19940700497 A KR19940700497 A KR 19940700497A KR 100194832 B1 KR100194832 B1 KR 100194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container
rope
tie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빅터 티. 포드
빅터 아이. 포드
스티븐 디. 포드
Original Assignee
포드,빅터,티.
포드,빅터,아이.
포드,스티븐,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드,빅터,티., 포드,빅터,아이., 포드,스티븐,디 filed Critical 포드,빅터,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 B65D90/047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comprising rigid bracing, e.g. bulk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 B65D2590/04Linings
    • B65D2590/043Flexible liners
    • B65D2590/046B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모달 벌크 화물 컨테이너(100)용 라이너(10, 160, 202)에 관한것으로, 이것은 인터모달 컨테이너의 상부 내부에 대한 그 상부 패널을 따라 단단하게 고착되어질 수 있고, 라이너의 제한된 이동을 허용한다. 라이너의 제한된 이동을 허용하는 인터모달 컨테이너의 상부 내부에 라이너를 고착시키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격벽의 사출되어 나오는 단부 플랩으로 삽입되고 라이너의 단부 패널의 우측 및 좌측 가장자리의 사출되어 나오는 사이드 플랩과 함께 라이너의 단부 패널에 근접하여 위치된 격벽(162)에 부착될 수 있는 라이너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라이너는 개구 및 슈트(204)를 포함하고, 슈트를 개구로 연결시키는 방법이 포함된다. 개구 및 슈트는 자기 밀봉되도록 구조되고, 상응하는 방법이 슈트가통과되는 개구 및 슈트를 밀봉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동 현수 라이너 지지구조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및 라이너를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하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이용한 안을 댄 벌크 화물 컨테이너의 도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화물 컨테이너의 다수의 묶음 부재 및 라이너의 도시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화물 컨테이너의 다수의 묶음 부재 및 라이너 타이(liner tie)를 통해 지지 로프가 확장하는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제2도의 부분 확대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지지로프의 한 단부의 부분 도시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된 선택적인 묶음부재(lashing member)의 도시도이다.
제6도는 라이너의 바닥부 고정 부재를 상세히 도시한 제2도의 또 다른 부분의 상세 확대도이다.
제7도는 화물 컨테이너용 라이너로 제조되어진 융통성 있는 관상 부재의 도시도이다.
제8도는 제7도의 관상 본체의 섹션이 화물 컨테이너용 라이너의 후부 패널을 형성하도록 상호 접히는 방법의 도시도이다.
제9도는 후부 사이드 플랩의 부분이 잘려진 후의 제8도의 라이너 본체의 도시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라이너 본체 및 그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격벽의 도시도이다.
제11도, 제12도 및 제13도는 라이너 본체의 다양한 플랩이 상응하는 격벽의 플랩사이에 삽입되는 방법의 상세 도시도이다.
제14도 내지 제16도는 개방된 위치는 제14도 및 제16도에 도시되고 폐쇄위치는 제15도에 도시되는 자기-접힘 입구 슈트를 갖는 보다 개선된 컨테이너의 부분 도시도이다.
제17도 내지 제19도는 개방 및 폐쇄 위치가 제17도 및 제18도에 각각 도시되는 선택적인 접힘 슈트를 갖는 컨테이너 라이너의 부분 도시도이다.
제20도 및 제21도는 다양한 위치에서 접힘 슈트를 갖는 확장가능하고 팽창가능한 라이너의 도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물 컨테이너 102 : 컨테이너 본체
102a : 바닥 102b : 지붕
102c : 좌측 측벽 102d : 우측 측벽
102e : 정면부 벽 102f : 후부 벽
104 : 라이너 112 : 라이너 본체
112a : 바닥부 패널 112b : 정상부 패널
112c : 좌측 사이드 패널 112d : 우측 사이드 패널
112e : 정면부 패널 112f : 후부 패널
112i, 112j : 슈트 112g, 112h : 개구
114 : 보강재 패널 116 : 묶음 부재
116a : 링 116b : 중심개구
120 : 라이너 타이 126 : 플라스틱 관
130 : 후크 132 : 연결 부분
134 : 스탬플
본 발명은 화물 컨테이너용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벌크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컨테이너용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표준화된 컨테이너 혹은 박스는 지상 및 해상의 화물 선적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컨테이너의 많은 장점으로 인해 가능한 한 많은 형태의 화물을 싣는데 이를 이용하도록 채택하는 것이 대단히 바람직하였다. 따라서, 성공 여부에 대한 차이는 있지만, 드라이 벌크 케미칼, 분상 및 작은 입자로 된 수지(樹脂), 곡분, 커피콩 및 곡물 등과 같은 벌크 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이러한 표준화된 컨테이너를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었다.
화물 컨테이너가 이러한 벌크 화물을 운반하는 데 사용될 경우, 적재된 화물을 컨테이너로부터 비운 후 컨테이너 자체를 청결히 유지하거나 청결하게 함으로써 컨테이너가 계속해서 다른 화물적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우기, 벌크 화물을 오염 및 자연 요소에 대한 바람직하지 못한 노출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거가능한 대형 플라스틱 라이너가 벌크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화물 컨테이너의 내부 벽 혹은 표면에 안을 대는데 종종 사용되었다. 라이너는 선적동안 화물을 예를 들면, 비 및 부스러기로부터 보호하고, 화물이 이송된 이후에, 라이너가 제거됨으로써 컨테이너는 주요한 세척 없이 다른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다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전술한 방식으로 플라스틱 라이너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문제점에 직면하게 되는데, 특히, 특정 조건하에서 라이너가 찢어지거나 파열되는 것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산업상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실행은 라이너를 화물 컨테이너내부로 비교적 단단하게 고착함으로써 그 내부에서 라이너의 이동을 최소화하도록 시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벌크 화물은 종종 이동되고, 이렇게 화물이 화물 컨테이너내부에서 사실상 이동불가능한 라이너의 내부에서 이동한다면, 이동하는 화물은 라이너상에 높은 집중적인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것은 라이너가 찢어지거나 파열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전술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라이너에 있어서, 격벽(bulkhead)는 라이너의 후부 단부에 종종 고착되어짐으로써 특히, 화물을 라이너로 싣고 라이너로부터 내릴때, 라이너를 화물 컨테이너내부에 유지되고 지지되도록 한다. 통상, 격벽은 접착에 의해, 스탬플에 의해 혹은 양쪽 모두에 의해 라이너의 후부 단부에 고착되고, 운송동안, 격벽은 라이너를 찢고 파열하게 하면서, 라이너로부터 부분적으로 부서져나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 컨테이너내부에서 라이너의 제한된 이동을 허용하면서, 벌크 화물 컨테이너내부에 라이너를 단단하게 고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크 화물 컨테이너내부에 라이너를 지지하도록 유동 현수 라이너 지지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탬플 혹은 못과 같은 라이너 본체내부로 관통하는 어떤 고착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격벽을 라이너 본체로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격벽의 사이드 플랩(side flap)사이로 그 라이너의 사이드 플랩을 삽입함에 의해 화물 컨테이너용 팽창식 라이너에 격벽을 단단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화물 컨테이너 및 화물 컨테이너내부에 라이너를 고착하는 방법으로 달성된다. 화물 컨테이너는 내부 화물 공간을 한정하는 컨테이너 본체 및 컨테이너 본체내부에 고착된 유연성 있고 확장성 있는 라이너를 포함한다. 이러한 라이너는 상부 패널 및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고, 상부 및 좌측 사이드 패널은 상호 연결되어 상부 좌측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상부 및 우측 사이드 패널은 상호 연결되어 상부 우측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화물 컨테이너는 다수의 라이너 타이, 다수의 묶음 부재 및 제1 및 제2로프 혹은 로프 부분을 포함한다. 라이너 타이는 그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라이너에 연결되어 있고 그 라이너를 따라 간격을 가지며, 각각의 이러한 라이너 타이는 채널을 형성하고, 묶음 부재는 라이너의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컨테이너 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그것을 따라 간격을 가진다. 로프 혹은 로프 부분은 컨테이너 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라이너 타이의 채널을 통해서 및 묶음 부재를 통해서 확장됨으로써 그 내부의 라이너의 제한된 슬라이딩 이동에도 불구하고 라이너를 컨테이너 본체 내에서 수직 위치로 지지하도록 한다.
라이너를 화물 컨테이너내부에 고착시키기 위해서, 라이너는 컨테이너 내부에 위치되고, 제1 및 제2로프 부분 혹은 로프는 컨테이너 본체, 바람직하게는 라이너의 정면부 패널에 근접하게 고착된다. 이후에, 제1로프 혹은 로프부분은 라이너의 우측 사이드상의 라이너 타이 및 묶음 부재를 통해 끼워지고, 제2로프 혹은 로프부분은 라이너의 좌측 사이드상의 라이너 타이 및 묶음 부재에 끼워짐(thread)으로써 그 내부의 라이너의 제한된 슬라이딩 이동에도 불구하고 화물 컨테이너내부에 라이너를 지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로프 혹은 로프 부분은 이후에 라이너의 후부 패널에 인접한 화물 컨테이너에 고착된다.
조합 라이너 및 격벽이 또한 개시되는데, 격벽은 스탬플과 같은 라이너 내부로 확장하는 어떤 고착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라이너에 고착된다. 이러한 라이너는 후부 패널, 후부 패널의 후부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하는 후부 좌측 플랩 및 라이너의 후부 패널의 후부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하는 후부 우측 플랩을 포함한다. 격벽은 주 섹션, 주 섹션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하며 연결되어 있는 좌측 플랩 및 주 섹션의 우측 가장 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하며 연결되어 있는 우측 플랩을 포함한다. 격벽의 주 섹션은 라이너의 후부 패널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가로질러 측으로 확장하고, 격벽의 우측 플랩은 라이너의 우측 플랩으로 연결되고 위로 확장함으로써 격벽에 연결되고, 격벽의 좌측 플랩은 라이너의 좌측 플랩에 연결되고 위로 확장함으로써 격벽에 또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라이너의 좌측 및 우측 플랩은 격벽의 우측 및 좌측 플랩의 제1및 제2섹션사이에 각각 삽입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라이너 플랩이 부합되는 격벽 플랩의 두 섹션사이로 삽입된 이후에, 그 사이의 부합되는 라이너 플랩을 단단하게 포획하면서, 각각의 격벽 플랩의 섹션은 상호 스탬플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점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고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주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컨테이너 본체(102) 및 확장가능하고 팽창성 있는 라이너(104)로 일반적으로 구성되는 화물 컨테이너(100)를 도시한다. 컨테이너 본체(102)는 내부 화물공간(106)을 정의하고, 바닥(102a), 지붕(102b), 좌측 및 우측 측벽(102c, 102d)및 정면부 및 후부 벽(102e, 102f)을 포함한다. 후부 벽(102e)은 컨테이너의 내부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하여 한 쌍의 힌지(hinged)된 도어(110a, 110b)를 포함한다. 어떤 적절한 화물 컨테이너도 본 발명의 실행에 채용되어질 수 있고, 비록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 본체(102)가 전형적인 크기 및 형태를 가지더라도, 심지어 특히, 컨테이너 본체가 인터모달(intermordal)로서 본 기술에서 언급되는 형태의 것이고, 트럭, 철도 및 배로 운송되어질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라이너(104)는 라이너 본체(112)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라이너는 보강재 패널(114)를 또한 포함한다. 라이너 본체(112)는 차례로 바닥부 및 상부패널(112a, 112b),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패널(112c, 112d)및 라이너 본체를 형성하도록 상호 형성되고 연결되어 있는 정면부 및 후부 패널(112e, 112f)을 포험한다. 라이너(104)는 화물 컨테이너 본체(102)의 내부를 대기위해서 이용되고, 라이너가 컨테이너 본체내부에서 팽창되거나 확장될 때, 라이너의 형태는 그 컨테이너의 내부 표면에 의해 형성된 형태와 부분적으로 혹은 실질적으로 같아진다. 본 발명은 라이너가 사용되어진 화물 컨테이너의 내부의 형태와 부분적으로만 동일한 라이너로 실행되었을 뿐이라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예를 들면, 많은 라이너가 그것들이 사용되는 화물 컨테이너의 높이의 단지 절반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라이너에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비록 라이너 본체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도 있지만,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 본체(112)는 중공이고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형을 갖는다.
라이너(104)가 화물 컨테이너(102)내부에 위치되자마자, 격벽(도시되지 않음)은 라이너를 지지하는 것을 돕도록 라이너의 후부 패널에 대하여 위치되거나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적절한 격벽이 라이너(104)에 이용되어질 수 있고, 이러한 격벽의 하나는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4,799,607 호에 상세히 개시된다. 이러한 격벽을 수용하기 위해서, 후 패널(112f)은 끝이 잘린 좌측 후부 및 하부 우측 코너를 형성하는 좌측 및 우측 삼각형 코너 부분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화물을 라이너(104)안으로 및 밖으로 각각 전달하도록 입구 및 출구 개구(112g, 112h)가 후부 패널(112f)에 제공된다. 제2도에 도시된 슈트(112i, 112j)는 화물을 라이너(104)로 싣고, 라이너(104)로부터 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개구(112g, 112h)에 인접한 후부 패널(112f)에 연결된다. 이러한 슈트는, 필요한 경우, 개구(112g, 112h)를 덮거나 닫도록 폐쇄되어 묶어진다.
전기 열 리본, 와이어, 로프 혹은 파이프 요소와 같은 가열 혹은 냉각 요소(도시되지 않음)는 라이너(104)의 내부 혹은 외부에 위치됨으로서 운송동안 산물을 라이너내부에서 따뜻하게 유지시키거나 혹은 하적동안 산물은 액화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가열 혹은 냉각 요소는 반 유동성 산물은 라이너로 싣고 라이너로부터 내리도록 사용되고, 시럽, 초컬릿 액, 수지, 고온 융해 접착제, 밀랍, 라드 및 다른 것들과 같은 것이 냉각될 때 심지어 비록 이러한 산물이 낮은 점성을 가지지만 일반적으로 쉽게 흐르지않고 혹은 산물은 응고된다. 이러한 가열 혹은 냉각 요소는 전기요소일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인지해야 하고, 예를 들면, 뜨겁거나 찬 유체를 화물 컨테이너 본체(102)내에 배치하거나 라이너(104)내에 위치된 판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라이너의 내용물을 각각 가열하거나 냉각할 수 있다.
라이너 본체(112)는 어떤 적절한 재료로부터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예를 들면 라이너 본체는 7밀리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과 같은 얇은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라이너 본체(112)는 플라스틱 재료의 하나의 큰 시트로부터 형성되고 원하는 형태로 접혀진다. 선택적으로, 패널(112a, 112b, 112c, 112d, 112e)은 재료중 하나의 큰 시트로부터 형성되어 원하는 형태로, 후부 패널(112f)이 다른 라이너 본체 패널에 연속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완전한 라이너 본체를 형성하도록 접혀진다. 또다른 예와 같이. 라이너 본체(112)의 각각의 패널은 분리되어 형성 되고, 패널은 상호 연결됨으로써 바람직한 라이너 본체를 형성하게 된다. 어떤 적절한 기술이 라이너 본체의 패널사이의 어떤 필요한 연결을 이루도록 사용되고, 예를 들면, 라이너 본체 패널은 상호 열-봉인되거나 상호 꿰매지거나 접착된다.
보강재 패널(114)은 라이너 본체(112)의 바닥부 패널에 고착되어짐으로써 후부 패널을 보강하고, 바람직하게는 보강재 패널은 하부로 확장하고 바닥부 패널의 바닥부 표면에 연결된다. 보강재 패널(114)은 라이너의 정면 가장자리로부터 혹은 그 인접한 위치로부터 후부로 확장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보강재 패널은 바닥부 패널(102a)의 전 길이상에 걸쳐 후부로 확장한다.
보강재 패널(114)은 라이너 본체(112)의 정면 패널(112e)의 바닥부에 또한 고착되어짐으로써 정면 패널의 이러한 영역을 보강하고, 바람직하게는 보강재 패널은 패널(112e)의 높이의 약 25퍼센트의 위쪽으로 확장한다. 보강재 패널(114)은 높이가 높거나 혹은 낮도록 확장되고, 필요한 경우에는, 보강재 패널은 정면부 라이너 패널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보강재 패널(114)는 어떤 적절한 재료로부터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또한 제조되고 어떤 적절한 방법으로 라이너 본체(112)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라이너(104)에 있어서 패널(114)은 적어도 라이너의 길이를 따른 늘이기 작업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보강재 패널(114)은 약 7밀리의 두께를 또한 가지는 조립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구조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보강재 패널은 섬유 유리 테이프, 금속 보강재 테이프 혹은 폴리에스테르 보강재 테이프의 약 2인치 스트립과 같은 스트립으로부터 제조되고, 또는 보강재 패널은 상호압출된 크로스-적층 플라스틱 필름 혹은 상호압출된 크로스-적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다.
보강재 패널(114)의 사용은 넓은 의미에서는 본 발명의 실행에 있어서, 필수적이지는 않고, 늘이기 작업에 대한 바람직한 저항성을 제공하는 고-강도 재료로부터 전체 라이너 본체(112)를 형성함에 의해 바람직한 길이방향의 강도를 갖는 라이너(104)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보강재 패널(114)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매우 단순하고, 경제적이고, 바람직한 길이방향의 강도를 갖는 라이너(104)를 제공하기에 효율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화물 컨테이너(100)에는 라이너(104)를 컨테이너 본체(102)내부에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구조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러한 지지구조 시스템은 다수의 묶음부재(116), 다수의 라이너 타이(120) 및 제1및 제2지지로프 혹은 로프 부분(122, 124)을 포함한다. 라이너 타이(120)는 그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라이너(104)를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고, 묶음부재(116)는 라이너(104)의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컨테이너 본체를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제1로프 및 로프 부분(122)은 라이너(104)의 정면부 패널(112e) 또는 그에 인접한 위치에서 컨테이너 본체(102)에 연결되고, 이 로프는 라이너의 사이드를 유지하고 지지하도록 라이너의 우측 사이드 또는 그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라이너 타이 및 묶음 부재를 통해 그로부터 후부로 확장된다. 유사하게, 로프 혹은 로프 부분(124)은 라이너의 정면부 패널(112e)또는 그에 인접한 위치에서 컨테이너 본체(102)에 연결되고, 이 로프는 라이너의 사이드를 유지하고 지지하도록 라이너 본체의 좌측 사이드상의 라이너 타이 및 묶음 부재를 통해 그로부터 후부로 확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로프 혹은 로프 부분(122, 124)의 뒤 혹은 후부 단부는 라이너(104)의 후부 패널(112f) 또는 그에 인접한 곳에서 컨테이너 본체(102)에 연결된다.
라이너 타이(120)는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3도는 상세 확대하여 이러한 타이의 몇몇을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라이너 타이는 라이너 본체(112)에 연결되어 있고 그 상부 좌측 혹은 상부 우측 가장자리중 어느하나에 인접하고 신장된 채널(120b)를 형성하는 스트립 형상의 재료(120a)로 구성되고, 사용상에 있어서, 로프 부분(122, 124)중 하나는 그 신장된 채널을 관통해 확장한다. 제3도에 도시된 장착 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립(120a)은 위에서 부분적으로 접히게 되고, 스트립(120a)의 위로 접힌 부분은 채널(120b)을 형성하도록 상호 연결된다. 채널(120b)로부터 간격을 갖는 재료(120a)의 단부(120c, 120d)는 상호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그러나, 대신에, 사용상에 있어서, 이러한 단부중 하나는 라이너(104)의 상부 패널(112b)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는 라이너 타이가 라이너의 좌측 혹은 우측 사이드중 각각 어디에 위치되는가에 따라서 라이너의 좌측 혹은 우측 사이드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묶음부재(116)는 실질적으로 상호 동일하고, 제3도는 상세 확대도로 이러한 다수의 묶음 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이러한 묶음 부재는 묶음 부재가 각각 라이너의 좌측 혹은 우측 사이드상의 어디에 위치되는가에 따라서 라이너(104)의 좌측 혹은 우측 상부 가장자리중 어느, 하나에 인접한 컨테이너 본체에 고착되는 링(116a)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이러한 링을 중심 개구(116b)를 형성하고, 사용상에 있어서, 로프 부분(122, 124)중 하나는 라이너(104)를 화물 컨테이너 본체(102)내부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개구를 통해 연장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라이너가 정착된 화물 컨테이너의 실시예에 있어서, 링(116a)은 컨테이너 본체의 상부 좌측 혹은 상부 우측 내부 가장자리에 밀접하게 인접한 컨테이너 지붕(102b)에 연결된다. 그러나, 링(116a)은 다른 위치에서 컨테이너 본체(102)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라이너(104)의 높이가 컨테이너 본체(102)의 높이의 약 반일 경우, 링(116a)은 컨테이너 본체의 높이의 반보다 약간 큰 높이에서 컨테이너 본체의 좌측 및 우측 측 벽에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묶음부재(116)는 단독으로 혹은 컨테이너 본체(102)와 결합하여 중심 개구(116b)둘레를 완전히 확장하는 폐쇄된 주변부(closed perimeter)를 형성한다. 이러한 폐쇄된 주변부는 유용한데, 이것이 그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어떤 로프가 묶음 부재에서 미끄러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링(116a)은 어떤 적절한 재료로 제조되고 그것들은 어떤 적절한 방법으로 적소에 고착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링은 금속으로 제조되고, 컨테이너 본체에 볼트로 죄어진다.
전술한 라이너 지지 시스템에 있어서, 로프 혹은 로프 부분(122, 124)은 화물 컨테이너 본체(102)내에 수직으로 라이너(104)를 단단하게 고정한다. 동시에, 라이너 타이(120)는 제한된 거리만큼 이러한 로프 혹은 로프 부분을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고, 이것은 라이너(104)의 상부 부분이 라이너 내부로 이동하는 벌크 화물 적하인 경우에 이동되도록 한다. 이것은 차례로, 국부적인 힘이 라이너 내부에서 발생되는 경우, 그 상부 라이너 부분이 조정되어짐으로써 그 결과, 그 내부의 이동 화물은 이러한 이동 화물이 라이너를 찢거나 파열시키게 되는 경향을 감소시키고 최소화시키게 된다.
라이너(104)의 각각의 사이드상에 있어서, 라이너의 길이를 따라서 묶음부재(116)및 라이너 타이(120)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화물 컨테이너(100)의 특정 실시예에서, 아홉개의 라이너 타이(120)및 열 개의 묶음부재(116)가 라이너(104)의 각각의 사이드상에 제공된다. 부가적으로, 제4도를 참조하면, 묶음부재 및 라이너 타이를 관통하는 로프 부분은 적어도 단부에서 열-수축성 플라스틱 관(126)으로 둘러싸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은 각각의 로프의 이러한 단부에 고정성을 더하고, 라이너 타이 및 묶음 링을 통하여 로프가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묶음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도를 참조하면, 각각의 묶음 부재는 자루 부분(130a) 및 개방된 커브 부분(130b)을 갖는 후크(130)로 이루어진다. 사용시에는, 자루 부분은 컨테이너 본체(102)에 후크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고, 후크의 개방된 커브 부분은 지지 로프(122, 124)중 하나를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라이너(104)에는 라이너 주위에 위치된 다수의 하부 연결 부분(132)이 제공됨으로써 라이너가 컨테이너 본체(102)내부에 유지되도록 하고, 특히, 라이너의 바닥부 패널이 컨테이너 본체의 바닥에 단단히 고착되도록 한다. 제6도는 하나의 적절한 연결 부분(132)을 확대 상세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각각의 연결 부분(132)은 재료(132a)의 스트립을 포함한다. 재료(132a)의 한 단부는 라이너 본체(112), 특히, 그것(112a)의 바닥부 패널에 연결되어 있고, 재료(132a)는 라이너 본체로부터 컨테이너 바닥(102a)상으로 바깥쪽으로 확장하고, 재료(132a)의 바깥쪽부분(132b)은 컨테이너 바닥에 연결된다. 열밀봉 절차는 재료(132a)를 라이너 본체(112)로 연결하는 데 사용하고, 이러한 재료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스탬플(134)에 의해 컨테이너 바닥에 연결된다.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다른 수단 혹은 절차가 연결 부분(132)을 라이너 본체(112) 및 컨테이너 바닥(102a)에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연결 부분(132)이 컨테이너 바닥에 못이나 나사로 고정된다. 스탬플링이 바람직한 이유는 매우 용이하고 저렴하게 실시될 수 있고, 스탬플이 연결부분으로부터 빨리 쉽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가적으로, 보강재 부분(132c)이 연결 부분(132)에 컨테이너 바닥에 스탬플되는 그 부분에 직접적으로 더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형태의 연결 부분이 라이너(104)를 컨테이너 본체(102)의 바닥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적절한 선택적인 연결 부분은 특허출원중인 1990년 2월 15일에 출원된 특허출원 번호 제 482,030 호 및 1990년 12월 14일에 출원된 특허출원 번호 제 627, 695호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것에 부가하여, 보충 연결 혹은 고착 수단이 하부 연결 부분(132)에 부가되어 라이너(104)를 컨테이너 본체(102)의 바닥에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특허출원중인 특허 제 482,030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무 슬랫(slat)이 라이너(104)의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패널(112c, 112d)의 가장자리 혹은 하부 부분을 통하여 컨테이너 바닥에 못으로 고정되어짐으로써 라이너(104)의 바닥부를 컨테이너(100)내의 적소에 단단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라이너(104)를 화물 컨테이너 본체(102)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 컨테이너 바닥(102a)상에서 바닥패널(112a)를 위치시키고, 컨테이너 본체의 좌측 및 우측 바닥부내부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라이너의 좌측 및 우측 바닥부 가장자리를 배치시킴으로써, 컨테이너 본체내부에 라이너가 위치된다. 라이너(104)가 컨테이너 본체내에 위치되어 있을 때, 그 바닥부 패널(112a)상으로 혹은 바로 위로 놓여진 라이너의 상부 패널(112b)을 가지고, 라이너의 상부 및 바닥부 패널사이에 내부로 접어지는 사이드 패널(112c, 112d)을 가지고 접혀져 비교적 편평한 상태에 있게 된다. 라이너(104)는 더욱 접혀지거나 말려진 상태로 컨테이너 본체(102)내에 위치되고, 전술한 비교적 편평한 상태로 접혀지지않고 말려지지않게 된다.
라이너(104)가 컨테이너 본체(102)의 바닥(102a)상에서 접혀짐 또는 말림이 풀린후에, 하부 연결 부분(132)이 바닥에 고착된다. 보충 연결 혹은 고착 수단이 하부 연결 부분(132)에 부가되어 라이너(104)를 컨테이너 본체의 바닥로 연결하도록 사용된다. 사실상, 전술한 바와 같이, 나무 슬랫이 라이너(104)의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패널의 가장자리 혹은 하부 부분위를 통하여 컨테이너 바닥에 못으로 고정되어 짐으로써 라이너의 바닥부를 컨테이너 본체내의 적소에 단단히 유지시키게 된다.
라이너(104)의 바닥부가 컨테이너 본체(102)에 고착되자마자, 라이너는 그 내부에서 부분적으로 팽창되고, 이것은 입구(112g)를 통해 라이너의 내부로 가스를 유도함에 의해 달성된다. 라이너가 컨테이너 본체 내부에서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팽창되어진 후에, 로프 혹은 로프 부분(122, 124)이 묶음부재(116) 및 라이너 타이(120)를 통해 꿰어지게 됨으로써 라이너를 화물 컨테이너내의 수직 확장된 위치내에 유지하게 된다. 특히, 로프 부분(122)의 한 단부는 컨테이너의 정면에서 링(116)에 매어지게 되고, 이 로프 부분의 제2단부는 라이너의 우측 사이드상의 묶음부재(116) 및 라이너 타이(120)를 통해 꿰어진다. 이러한 로프 부분(122)의 제2단부는 컨테이너 본체(102)의 후부에 도달하고, 로프 부분은 팽팽하게 치도록 당겨지고 컨테이너 본체의 후방 단부에서 링(116)에 매어진다. 유사하게, 로프 부분(124)의 한 단부는 화물 컨테이너의 좌측 정면에서 링에 매어지고, 이러한 로프 부분의 제2단부는 라이너의 정면으로부터 시작되어 이를 따라 후방으로 라이너의 좌측 사이드상의 묶음부재(116)및 라이너 타이(120)를 통해 꿰어진다. 이러한 로프 부분의 제2단부가 컨테이너 본체(102)의 후부에 도달하자마자, 로프는 팽팽하게 치도록 당겨지고 화물 컨테이너의 후방 단부에서 링(116)에 매어진다.
라이너(104)의 상부가 컨테이너 본체(102)로부터 매달려진 이후에, 라이너는 완전히 팽창되고 격벽은 라이너의 후부 패널(112f)에 대하여 화물 컨테이너에 설치된다. 또한 브레이싱(bracing)이 라이너의 후부 패널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격벽 및 라이너의 후부 패널을 브레이싱하기 위한 다수의 우수한 시스템이 1990년 12월 14일에 출원된 전술한 특허 출원 제 627,695 호에 개시되어 잇다. 라이너(104)가 컨테이너 본체(102)내부에 완전히 고착되고 고정되자마자, 화물은 역시 입구(112g)를 통해 안을 댄 컨테이너로 적재된다. 이러한 적재가 완결되었을때, 화물 컨테이너(100)는 목적지로 이송되고 화물 컨테이너로부터 화물을 하역하게 된다. 통상, 이것이 출구(112b)를 개방하고 컨테이너의 정면부 단부를 들어올림으로써 그 내부의 화물이 후부로 미끄러져 라이너 후부 패널(112f)의 출구 개구를 통해 나오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물 컨테이너용 라이너는 라이너의 상부, 바닥부, 정면부, 후부 및 좌측 및 우측 패널을 형성하도록 관상 부재의 다양한 섹션을 접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제7도 내지 제13도는 관상 부재(150)를 화물 컨테이너용 라이너로 형태를 만들거나 접고 격벽을 그 라이너로 부착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절차에 있어서, 다양한 접기 혹은 플랩이 그것이 제조된 바와 같이, 라이너상에 형성되고, 이러한 플랩은 예를 들면, 스탬플 혹은 못과 같은 라이너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확장되는 어떤 고착 장치의 필요없이 격벽을 라이너로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제7도는 정면부 및 후부 단부(150a, 150b)를 갖는 유연성 있는 관상 부재(15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관상 부재로부터 라이너를 형성하기 위해서, 양쪽 모두 그 부재의 후부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확장하는 관상 부재의 제1및 제2섹션(150c, 150d)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 패널(152) 및 좌측 및 우측 사이의 상부 후부 가장자리가 되는 가장자리주위의 아래방향으로 접혀지고, 섹션(150d)은 라이너의 바닥부 후부 가장자리가 되는 가장자리주위의 윗방향으로 접혀진다. 섹션(150c, 150d)이 접혀진 바와 같이, 섹션(150c)의 부분 및 섹션(150d)의 부분은 좌측 플랩(154)을 형성하는 관상 부재(150)의 제3섹션(150e)에 대하여 접혀지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삼각형이고, 동시에, 섹션(150c)의 부분 및 섹션(150d)의 부분은 우측 플랩(156)을 형성하는 관상 부재의 제4섹션(150f)에 대하여 접혀지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삼각형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관상 부재(150)의 다양한 섹션이 후부 패널(152) 및 플랩(154, 156)을 형성하도록 접혀지는바와 같이, 바닥부 플랩(158)은 그 후부 패널의 바닥부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하도록 또한 형성된다.
섹션(150c, 150d)이 접혀진 이후에,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후부 패널(152)의 다양한 가장자리가 상호 밀봉처리된다. 본질적으로, 후부 패널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152a, 152b)는 관상 부재(150)의 인접한 부분에 연결되고, 특히, 이러한 가장자리는 관상 부재로 부터 형성된 라이너(160)의 좌측 후부 및 우측 후부 가장자리이거나 혹은 가장자리가 되어질 관상 부재(150)의 부분에 각각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섹션(150c)의 바닥부 가장자리 및 섹션(150d)의 상부 가장자리는 후부 패널(152)의 중간 부분을 측면으로 가로지르면서 확장하며 상호 연결되어 있다. 가장자리(152a, 152b)는 관상 부재(150)의 인접한 부분에 연결되어 있고, 섹션(150c, 150d)의 가장자리는 열-밀봉에 의한 것과 같은 어떤 적절한 방법으로 상호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섹션(150c)은 적어도 후부 패널(152)의 전체 폭을 따라 섹션(150d)에 연결되고, 가장자리(152a, 152b)는 후부 패널상 H-형 밀봉을 형성하면서 이러한 가장자리의 전체 높이를 따라 관상 부재(150)의 인접한 부분에 연결된다.
제7도에 있어서, 관상 부재(150)는 일반적으로 균일한 장방형 횡단면을 가진 팽창되거나 확장된 상태로 도시되고, 명확한 바닥부, 정상부 및 좌측 및 우측 사이드를 갖는다. 그러나, 섹션(150c , 150d)가 상호 접혀졌을 때, 관상 부재가 그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고, 이러한 섹션은 관상 부재(150) 그 자체가 비교적 편평한 상태이거나 혹은 부분적으로 확장되거나 팽창된 상태에 있을 때, 후부 패널(152)을 형성하도록 상호 접혀진다.
패널(152)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가 관상 부재(150)의 근접한 부분에 연결된 이후에, 좌측 및 우측 사이드 플랩(154, 156)의 전체는 아니지만 대부분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연결 플랩(154a, 156a)을 남겨둔 채 잘려진다. 이러한 플랩은 아래에 설명될 바와 같이, 격벽을 라이너(160)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제10도를 참조하면, 격벽(162)은 비교적 편평한 형태를 가지며, 주 혹은 중심 본체 섹션(164) 및 좌측, 우측 및 바닥부 연결 플랩(166, 170, 172)으로 구성된다. 좌측 플랩(166)은 그 좌측 가장자리(164a)를 따라 본체 섹션(164)에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있고, 우측 플랩(170)은 그 우측 가장자리(164b)를 따라 본체 섹션(164)에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바닥부 플랩(172)은 그 바닥부 가장자리(164c)를 따라 본체 섹션(164)에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격벽(162)의 각각의 연결 플랩은 차례로 한쌍의 섹션을 포함하고, 그 첫번째는 격벽의 본체 섹션에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그 두번째는 플랩의 첫번째 섹션에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있다. 좀 더 본질적으로, 제11도를 특별히 참조하면, 플랩(166)은 섹션(166a, 166b)를 포함한다. 섹션(166a)은 가장자리(164a)를 따라 본체 섹션(164)에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섹션(166b)은 접는선(166c)을 따라 플랩섹션(166a)에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이것은 가장자리(164a)에 평행하게 확장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플랩 섹션(166a, 166b)의 높이는 본체 섹션(164)의 높이와 동일하고, 이러한 두 플랩 섹션은 동일한 폭을 가진다. 유사하게, 제12도를 참조하면, 플랩(170)은 플랩섹션(170a, 170b)를 포함한다. 섹션(170a)은 가장자리(164b)를 따라 본체 섹션(164)에 접힐 수 있게 연결되고, 섹션(170b)은 접는선(170c)을 따라 플랩 섹션(170a)에 접힐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이것은 가장자리(164b)에 평행하게 확장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플랩 섹션(170a, 170b)의 높이는 본체 섹션(164)의 높이와 동일하고, 이러한 두 플랩 섹션은 동일한 폭을 가진다. 부가적으로, 제13도를 참조하면, 바닥부 플랩(172)은 플랩 섹션(172a, 172b)을 포함하고, 섹션(172a)은 가장자리(164c)를 따라 본체 섹션(164)에 접힐 수 있게 연결되고, 섹션(172b)은 접는선(172c)을 따라 플랩 섹션(172a)에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그것은 가장자리(164c)에 평행하게 확장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플랩 섹션(172a, 172b)의 길이는 본체 섹션(164)의 폭과 동일하고, 이러한 두 플랩섹션은 동일한 폭을 가진다.
격벽(162)의 주 본체 섹션(164)의 크기 및 형태는 라이너(160)의 후부 패널(152)의 크기 및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각각의 격벽 플랩의 각각의 섹션의 폭은 라이너(160)의 대응하는 플랩의 폭보다 조금 크다. 특히, 각각의 격벽 플랩 섹션(166a, 166b)의 폭은 라이너 플랩(154a)의 폭보다 약간 크고, 각각의 격벽 플랩 섹션(170a, 170b)의 폭은 라이너 플랩(156a)의 폭보다 약간 크고, 각각의 격벽 플랩 섹션(172a, 172b)의 폭은 라이너 플랩(158)의 폭보다 약간 크다.
격벽(162)을 라이너(160)로 부착하기 위해서, 격벽은 라이너의 후부 패널(152)에 대해서 위치된다. 좀더 본질적으로, 격벽의 중심 본체 섹션(164)은 실질적으로 서로 경계를 접하는 후부 패널(152)에 대해서 위치된다. 또한, 좌측 격벽 플랩(166)은 좌측 라이너 플랩(154a)에 대해서 위치되고, 우측 격벽 플랩(170)은 우측 라이너 플랩(156a)에 대해서 위치되고, 바닥부 격벽 플랩(172)은 바닥부 라이너 플랩(158)에 대해서 위치된다. 그 다음에는, 각각의 격벽 플랩은 상응하는 라이너 플랩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상응하는 격벽 플랩의 두 섹션사이에 각각의 라이너 플랩을 삽입하고, 그 다음에는, 이러한 두 격벽 플랩 섹션사이에 단단하게 포획되어진 상응하는 라이너 플랩과 함께 각각의 격벽 플랩의 두 섹션을 상호 스탬플링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제11도를 참조하면, 좌측 격벽 플랩 섹션(166a)은 라이너 플랩(154a)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위치되고, 격벽 플랩 섹션(166b)은 두 격벽 플랩 섹션(166a, 166b)사이에 라이너 플랩이 삽입되도록 라이너 플랩(154a)둘레에 접혀져있고, 그 다음에, 이러한 두 격벽 플랩 섹션은 라이너 플랩(154a)을 그 사이에 포획하도록 스탬플(174)에 의해 상호 스탬플로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12도로부터 가장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우측 격벽 플랩(170a)은 라이너 플랩(156a)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위치되고, 격벽 플랩 섹션(170b)은 두 격벽 플랩 섹션(170a, 170b)사이에 그 라이너 플랩을 삽입하면서, 이러한 라이너 플랩둘레에 접혀져있고, 다음에, 스탬플(174)은 그 사이에 라이너 플랩(156a)를 포획하도록 이러한 두 격벽 플랩 섹션을 스탬플로 상호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제12도를 참조하면, 바닥부 격벽 플랩 섹션(172a)은 라이너 플랩(158)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위치되고, 격벽 플랩 섹션(172b)은 두 격벽 플랩 섹션(172a, 172b)사이에 그 라이너 플랩을 삽입하면서 이 라이너 플랩위로 접혀지고, 다음에, 이러한 격벽 플랩 섹션은 그 사이로 라이너 플랩(158)을 포획하도록 상호 스템플로 고정된다.
전술한 바에 부가하여, 강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가 격벽(162)의 전체 후면 상에 즉, 라이너 패널(152) 및 플랩(154a, 156a, 158)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위치되는 격벽의 면상에 제공되어짐으로써 격벽을 라이너에 고착할 수도 있다.
어떤 적절한 절차에 의하여 라이너(160)용 정면부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면, 그 정면 부 단부에 근접한 관상 부재(150) 섹션이 접혀져서 라이너의 정면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리된 재료부분이 관상 부재(150)의 정면부 단부(150a)에 연결됨으로써 정면 패널을 형성할 수 도 있다.
라이너(160)는 얇은 폴리에틸렌 재료와 같은, 어떤 적절한 재료로 제조되고, 라이너는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화물 컨테이너내에 저장되고 작동되고 고착된다. 예를 들면, 라이너에 전술한 다수의 연결 부분(132)을 제공함으로써 라이너가 화물 컨테이너내의 적소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격벽(162) 또한 어떤 적절한 재료로 제조되고, 예를 들면, 격벽은 파형 카드보드의 단일 블랭크로 제조되고, 이것은 접는선(164a, 164b, 164c, 166c, 170c, 172c)을 형성하도록 선이 그어진다. 선택적으로, 중심 섹션(164) 및 플랩(166, 170, 172)은 각각의 하나의 분리된 재료의 부분으로부터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이것은 격벽을 만들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조립에 있어서, 각각의 격벽 플랩의 두 섹션(166, 170, 172)은 스탬플이외의 수단, 예를 들면, 못이나 나사와 같은 것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그러나, 스탬플링이 바람직한데, 이는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면서도 매우 효율적인 절차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질적으로 격벽(162)의 중시 섹션(164)은 개구 혹은 새긴 금 선이 제공되고, 일반적으로 164d로 표시되는 격벽내의 화물 입구 및 출구 개구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규격 구조의 화물 컨테이너 내부에 안을 대는 데 사용되는 형태의 라이너에는, 라이너의 내부로 화물을 인도하고, 라이너의 내부로부터 화물을 내리는 것을 돕기 위하여, 입구 및 출구 슈트는 통상 라이너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슈트는 화물 컨테이너가 이송되는 동안에는, 라이너의 내부로부터 슈트를 통해 화물이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폐쇄되어 묶여진다. 제14도 및 15도는 폐쇄된 슈트를 묶을 필요를 제거시킨 자기-접합 입구슈트를 갖는 유연성 있고 팽창 가능한 개선된 라이너를 도시하고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4도 및 제15도는 라이너(202)의 일부분 및 입구 슈트(204)를 도시하고 있다. 라이너(202)는 벌크 화물을 유지하기 위한 내부를 한정하고, 화물 입구 개구(206)를 형성한다. 제14도 및 제15도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라이너의 특정한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평행 육면체형을 가지고, 그 각각이 일반적으로 편평하고 직사각형을 갖는 정상부 및 후부 패널을 포함한다. 그러나, 예상되는 바와 같이, 다른 형태를 갖는 라이너도 본 발명의 실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입구 슈트(204)는 입구(206)를 통해 확장하고, 내부 및 외부 부분(204a, 204b)을 포함하여, 그것은 각각의 라이너(202)의 내부 및 외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슈트(204)는 밀봉부(210)에 의하여, 입구(206)주위에 라이너(202)에 대해 밀봉됨으로써 화물이 슈트(204) 및 라이너(202)사이를 통해 라이너 내부로 혹은 라이너 내부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비록 다른 적절한 연결 절차가 또한 사용되는 경우에도, 열 밀봉 절차는 슈트를 라이너로 밀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화물을 라이너(202)로 싣기 위해서, 슈트(204)는 제14도에서 도시된 위치로 개방되고, 거기에 슈트는 관상형 통로를 형성하고, 화물은 슈트를 통해 라이너 내부로 간단히 이송된다. 통상 벌크 화물은 압력에 의하여 라이너로 실어지게 되고, 이것이 실행되어질때, 라이너 내부의 기압은 라이너 외부의 기압보다 큰 레벨까지 상승하게 된다. 라이너(202)로의 화물 적재가 완료되었을 때, 라이너 내부의 기압으로 인하여,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204)의 내부 부분(204a)이 라이너, 특히 라이너의 후부 패널에 대해 비교적 편평하고 폐쇄된 위치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것은 입구(206)를 폐쇄하고, 화물이 슈트(204)를 통해 밖으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한다.
화물이 그 슈트를 통해 적재되는 동안, 슈트(204)를 그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파이프 또는 그와 유사한 장치(212)와 같은, 딱딱하거나 단단한 관상 부재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 내부에 위치된다. 이 관상 부재는 화물의 바람직한 양이 라이너로 적하된 이후에 슈트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슈트가 그 폐쇄된치로 접혀지도록 한다.
제17도 내지 제19도는 라이너(216) 입구가 신장된 슬릿에 의해 형성된 라이너(214)를 도시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라이너(214)는 벌크 화물을 유지하기 위한 내부를 또한 정의하고, 입구 개구(216)를 형성하며, 입구개구는 라이너로 신장된 슬롯을 포함한다. 입구 슈트(220)는 입구 (216)를 통해 확장하고, 내부 및 외부 부분(220a, 220b)을 포함하고, 이것은 각각 내측 및 외측 라이너(214)에 각각 배치된다. 슈트(220)는 밀봉부(222)에 의하여, 입구(216) 주위에서 라이너(214)에 밀봉되어짐으로써 화물이 슈트(229) 및 라이너(214)사이를 통해 라이너의 내부로 또는 라이너의 내부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4도 내지 제16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밀봉은 열 밀봉 절차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열 밀봉 절차가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면, 단열재 혹은 단열 부재를 슈트(22)의 상면 및 바닥부사이의 입구(216) 및 슈트(220) 내부로 일시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슈트의 상면 및 바닥면이 상호 밀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물은 제14도 내지 16도와 관련하여 상기 논의한 절차와 유사한 방식으로 라이너(214)로 적재된다. 또한, 슈트(220)는 제17도 및 제18도에 각각 도시된 개방 및 폐쇄 위치사이로 이동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14도 내지 제16도의 슈트(204)는 그 개방 및 폐쇄 위치사이로 이동된다.
간소함을 위해, 제14도 내지 제19도는 라이너(202, 214)의 일부분만을 도시한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에 의해 이해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각각의 라이너는 어떤 적절한 절차로 어떤 적절한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이러한 라이너는 전술한 연결 부분(132) 및 라이너 타이(120)과 같은 수많은 아이템으로 제공된다. 또한, 통상 각각의 라이너는 라이너로부터 화물을 내리기 위한 출구 개구가 제공되고, 자기 접힘되거나 되지않는 슈트가 라이너에 연결되어짐으로써 짐을 내리는 출구로부터 화물을 인도하기 쉽게 한다.
자기 접힘 슈트는 다수의 위치에서 라이너에 연결되고, 이러한 슈트는 입구 및 출구 슈트로서 양쪽 모두에 사용된다. 예를들면,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접힘 슈트(224)는 확장가능한 라이너(226)의 정상부 패널에 연결되고, 또한, 자기 접힘 슈트(230)는 라이너(226)의 후부 패널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화물을 내리는데 사용된다. 자기 접힘 슈트를 라이너의 정상부 패널에 연결하는 것은 라이너가 유동체 혹은 반-유동체 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어질 때 유용하다.
여기에 개시된 라이너는 드라이 벌크 케미칼, 분상 및 작은 입자로 된 수지, 곡분, 커피, 곡물 및 유동체 및 반 유동체를 포함한 매우 다양한 산물을 수송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개시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수많은 수정 및 실시예가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고안되어질 것이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실한 정신 및 범위내에 있는 모든 수정 및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3)

  1. 내부 화물 공간을 한정하는 컨테이너 본체와, 상기 컨테이너 본체 내부에 고착되고, 상호 연결되어 상부 좌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부 및 좌측 사이드 패널 및 상호 연결되어 상부 우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상부 및 우측 사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유연성있고 확장가능한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의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라이너의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 가장자리의 인접부를 따라 서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며, 각각이 채널을 형성하는 다수의 라이너 타이와, 상기 라이너의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 가장자리에 입접한 컨테이너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 본체를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다수의 묶음부재와, 컨테이너 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라이너 타이의 채널 및 묶음부재를 관통해서 뻗어 있음으로써, 컨테이너 내부에서의 라이너의 제한적인 미끄러짐 이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라이너를 컨테이너 본채내에서 직립위치로 지지하도록 하는 로프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타이 각각은, i) 그 상부 우측 및 상부 좌측 가장자리중 하나에 인접한 라이너의 상부 패널에 고착되어있는 제1부분과, ii) 그 상부 우측 및 상부 좌측 가장자리중 하나에 인접한 라이너의 우측 및 좌측 사이드 채널중 하나에 고착되어 있는 제2부분과, iii) 라이너 타이의 제1및 제2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및 제2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하며 연결되어 있고, 라이너 타이의 채널을 형성하는 제3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컨테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묶음부재는 컨테이너에 연결되는 다수의 묶음링(lashing rings)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컨테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묶음부재는 컨테이너에 연결되는 제1단부 및 구부러지고 개방된 제2단부를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컨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라이너의 상부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묶음부재는 라이너 타이와 교대로 배치되고, 라이너의 상부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묶음 부재는 라이너 타이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컨테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라이너는 정면부 및 후부 패널을 포함하고, 로프 수단은 i) 제1및 제2단부를 갖는 제1로프와, ii) 제1및 제2단부를 갖는 제2로프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및 제2로프의 제1단부는 라이너의 후부 패널에 인접한 컨테이너 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제1및 제2로프의 제2단부는 라이너의 정면부 패널에 인접한 컨테이너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컨테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제 1로프는 라이너의 좌측 사이드상의 묶음부재 및 라이너 타이를 관통해 뻗어 있고, 제2로프는 라이너의 우측 사이드상의 묶음부재 및 라이너 타이를 관통해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컨테이너.
  8.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및 제2로프의 제2단부는 플라스틱 관으로 둘러 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컨테이너.
  9.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 가장자리를 가지고,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라이너 타이를 가지는 유연성있고 확장가능한 라이너를, 내부 화물 공간을 한정하고 좌측 및 우측 사이드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묶음부재를 포함하는 화물 컨테이너 내부에 고착하는 방법으로, 화물 컨테이너내부에 라이너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제1로프의 제1단부를 컨테이너에 고착시키는 단계와, 라이너가 컨테이너 내부에서 제한적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화물 컨테이너내에서 라이너를 지지하도록 라이너의 좌측 사이드상의 라이너 타이 및 컨테이너 좌측 사이드상의 묶음부재를 통해 제1로프는 꿰는 단계와, 제1로프의 제2단부를 컨테이너에 고착시키는 단계와, 제2로프는 제1단부를 컨테이너에 고착시키는 단계와, 라이너가 컨테이너 내부에서 제한적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화물 컨테이너내에서 라이너를 지지하도록 라이너의 우측 사이드상의 라이너 타이 및 화물 컨테이너의 우측 사이드상의 묶음부재를 통해서 제2로프를 꿰는 단계와, 제2로프의 제2단부를 화물 컨테이너에 고착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라이너를 장착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1로프를 꿰는 단계는 상기 라이너 타이와, 라이너의 좌측 사이드상의 묶음부재를 통해 교대로 제1로프의 제2단부를 꿰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로프를 꿰는 단계는 상기 라이너 타이와, 라이너의 우측 사이드상의 묶음 부재를 통해 교대로 제2로프의 제2단부를 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라이너는 정면부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1로프의 제1단부를 고착시키는 단계는 라이너의 정면부 패널에 근접한 화물 컨테이너에 제1로프의 제1단부를 고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 지고, 제2로프의 제1단부를 고착시키는 단계는 라이너의 정면부 패널에 근접한 화물 컨테이너에 제2로프의 제1단부를 고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라이너는 후부 패널을 포함하고, 제1로프의 제2단부를 고착시키는 단계는 라이너의 후부패널에 근접한 화물 컨테이너에 제1로프의 제2단부를 고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제2로프의 제2단부를 고착시키는 단계는 라이너의 후부패널에 근접한 화물 컨테이너에 제2로프의 제2단부를 고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및 제2로프의 제2단부는 플라스틱 관으로 둘러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40700497A 1991-09-12 1992-09-11 유동현수 라이너 지지구조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및 라이너를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하는 방법_ KR100194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58,766 1991-09-12
US07758766 US5193710B1 (en) 1991-09-12 1991-09-12 Floating hanging liner support
PCT/US1992/007721 WO1993004955A2 (en) 1991-09-12 1992-09-11 Floating hanging liner suppor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496A Division KR100239945B1 (ko) 1991-09-12 1992-09-11 슈트를 구비하는 라이너 및 그 라이너를 통한 화물 적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4832B1 true KR100194832B1 (ko) 1999-06-15

Family

ID=2505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497A KR100194832B1 (ko) 1991-09-12 1992-09-11 유동현수 라이너 지지구조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및 라이너를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하는 방법_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5193710B1 (ko)
EP (1) EP0603293B1 (ko)
JP (1) JPH08509187A (ko)
KR (1) KR100194832B1 (ko)
AU (2) AU655141B2 (ko)
BR (1) BR9206496A (ko)
CA (1) CA2114613A1 (ko)
DE (1) DE69215378T2 (ko)
WO (1) WO199300495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8193A (en) * 1990-02-15 1994-06-07 Podd Sr Victor T Bracing system for a liner for a cargo container
US5152735A (en) * 1990-02-15 1992-10-06 Podd Jr Victor I Bracing system for a liner for a cargo container
US5657896A (en) * 1991-07-15 1997-08-19 Matias; Carlos J. D. Modified flexible insert for a generally rectangular container
JPH0624486A (ja) * 1991-07-15 1994-02-01 Carlos J D Matias 略矩形コンテナ用改良型可撓インサート
US5542563A (en) * 1991-07-15 1996-08-06 Matias; Carlos J. D. Modified flexible insert for a generally rectangular container
US5489037A (en) * 1991-07-30 1996-02-06 Insta-Bulk, Inc. Container liner system for bulk transfer
WO1994006648A1 (en) * 1992-09-24 1994-03-31 Podd Stephen D Container aeration/vaccum liner pads and liner systems
AU693161B2 (en) * 1994-02-03 1998-06-25 Seec, Inc. Collapsible container for hauling bulk materials
US5553639A (en) * 1994-02-03 1996-09-10 Seec, Inc. Contain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finely divided or dried coal
US5531361A (en) * 1994-08-26 1996-07-02 Podd; Victor T. Active bulkhead corner with enhanced commodity discharge
US5706964A (en) * 1994-08-26 1998-01-13 Podd; Stephen D. Reusable corner and bulkhead system for bulk cargo container
EP0716988A3 (en) * 1994-12-15 1998-01-28 Caretex A/S Liner for cargo container
GB2300178B (en) * 1995-04-29 1998-10-28 Zephyr Plastic Products Limite Universal fixing liner
US5890611A (en) * 1997-01-18 1999-04-06 Podd; Stephen D. Apparatus for discharging a container liner with dual ports
SE515492C2 (sv) * 1999-12-28 2001-08-13 Arca Systems Ab Fällbar bulkcontainer varslock försetts med profiler som minska liners rörelse relativt containern
IT1319189B1 (it) * 2000-10-09 2003-09-26 Ind Resine Biccari S P A Saccone di imballaggio per il trasporto in container di materiali allarinfusa.
US6523482B2 (en) * 2001-05-01 2003-02-25 Thomas A. Wingate Bulk material transport system
BR0106400B1 (pt) * 2001-09-13 2009-08-11 revestimento flexìvel para transporte de carga a granel aplicável no interior de recipientes de carga, e processo de instalação de revestimento flexìvel para transporte de carga a granel no interior de recipientes de carga.
US20030197009A1 (en) 2002-04-18 2003-10-23 Illinois Tool Works Inc. Reinforced bulk container liner
US6769571B2 (en) * 2002-08-01 2004-08-03 Illinois Tool Works Inc. Tilt-less discharge liner system for bulk material cargo containers
US6837391B2 (en) 2002-08-20 2005-01-04 Illinois Tool Works Inc. Suspension system for bulk material cargo container liner
GB0300933D0 (en) * 2003-01-16 2003-02-12 Linertech Ltd A liner for bulk cargo containers
MY130647A (en) * 2003-04-07 2007-07-31 San Miguel Corp Thermal insulation liner
AU2008100600B4 (en) * 2003-04-07 2008-08-14 San Miguel Corporation Thermal insulation liner
US7320408B2 (en) * 2003-09-04 2008-01-22 Illinois Tool Works Inc. Bulk material cargo container liner with internal restraint system for preventing the outward bulging of the liner
DE102004003364A1 (de) * 2004-01-22 2005-08-11 Wacker-Chemie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hochdisperser Pulver und Verfahren zu ihrer Befüllung und Entleerung
US7597525B2 (en) * 2004-03-16 2009-10-06 Illinois Tool Works Inc. Tiltless bulk material cargo container liner system for use with bulk material cargo containers
US7798711B2 (en) * 2004-07-27 2010-09-21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for FIBC or bag-in-box container systems
US7506776B2 (en) * 2005-02-10 2009-03-24 Powertex, Inc. Braceless liner
US20060186117A1 (en) * 2005-02-24 2006-08-24 Powertex, Inc. Discharge apparatus for a shipping container
US20070071590A1 (en) * 2005-09-21 2007-03-29 Podd Stephen D Spillbox system for a shipping container
WO2007038438A1 (en) * 2005-09-26 2007-04-05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with fitting on gusseted sid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WO2007056285A2 (en) * 2005-11-07 2007-05-18 Bengt Lager Paper collection system and device
US20070193649A1 (en) * 2006-02-17 2007-08-23 Podd Stephen D Pressure differential manlid and method of discharging a shipping container using a pressure differential
US8075188B2 (en) * 2006-02-24 2011-12-13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for FIBC or bag-in-box container systems with improved flex crack resistance
US7967161B2 (en) * 2006-03-20 2011-06-28 Townsend Arthur M Container liner systems
US8182152B2 (en) * 2006-03-28 2012-05-22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for FIBC or bag-in-box container systems with improved tensile strength
US20080053992A1 (en) * 2006-09-04 2008-03-06 Debord Steven Donald Method for Converting an Intermodal Shipping Container to a Rapidly Deployable Emergency Food, Water and Medicines Supply Container and Resulting Product thereof
GB2445356B (en) * 2007-01-02 2011-05-04 Hesco Bastion Ltd Gabion deployment
US20080197649A1 (en) * 2007-02-15 2008-08-21 Blue Planet Logistics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argo that is temperature or moisture sensitive
US9016555B2 (en) 2007-04-03 2015-04-28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and bag-in-box container systems
US20080257893A1 (en) * 2007-04-19 2008-10-23 Podd Stephen D Bulk liquid transport system
US8162164B2 (en) * 2007-04-19 2012-04-24 Podd Stephen D Bulk liquid transport system
US7938283B2 (en) * 2008-06-20 2011-05-10 Grainpro, Inc. System and method for hermetic storage of agricultural commodities during shipping
CN101342959A (zh) * 2008-08-01 2009-01-14 中绵集装箱袋(惠州)有限公司 存储容器内衬装置及其使用方法
CL2008003636A1 (es) * 2008-12-05 2009-05-08 Full Pak S A Sistema para transportar una carga a granel, comprendiendo un contenedor flexible al interior del cual se dispone una carga, una valvula que se conecta en una abertura de dicho contenedor flexible, una estructura de refuerzo y un panel de refuerzo plegable convertible en dicho contenedor flexible
US20110083768A1 (en) * 2009-10-09 2011-04-14 Environmental Packaging Technologies Limited Methods, systems, and kits for shipping and/or off-loading granular products
US9120608B2 (en) * 2009-11-17 2015-09-01 Cdf Corporation Sustainable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liquid or viscous products
US8567660B2 (en) * 2009-11-17 2013-10-29 Cdf Corporation Sustainable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liquid or viscous products
GB201013033D0 (en) * 2010-08-03 2010-09-15 Interbulk Uk Ltd Container liners
MX2013005546A (es) 2010-11-16 2014-05-27 Cdf Corp Sistema de empaquetado secundario para los productos preempacados.
DE102011007439A1 (de) * 2011-04-14 2012-10-18 Büscherhoff Spezialverpackung Gmbh & Co. Kg Vorrichtung zum Erwärmen einer Flüssigkeit in einem flexiblen Flüssigkeitstank
CA2835667A1 (en) * 2011-05-11 2012-11-15 Pactec, Inc. Flexitank design
US9771181B2 (en) 2012-04-10 2017-09-26 Asiatek Container liner systems
US9090392B2 (en) 2012-08-09 2015-07-28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hipping container liner
US11465785B1 (en) * 2012-11-29 2022-10-11 David M. Dodgen Quick filling and self sealing fluid storage bag assembly
FR3005642B1 (fr) 2013-05-14 2016-01-01 Arkema France Conteneur pour le stockage et le transport de produits thermosensibles
NZ701416A (en) * 2013-11-26 2017-07-28 Jf Hillebrand Ltd Securing of sheet material which is in the form of a liner, a cover or a curtain
FI125768B (fi) * 2014-03-17 2016-02-15 Actiw Oy Järjestely kuormatilan lastaamiseksi
FR3034086B1 (fr) 2015-03-25 2017-07-14 Sylvia Numa-Beaujour Conteneur intermodal limitant les pollutions de l'environnement
US11261027B2 (en) * 2017-07-21 2022-03-01 ASK Chemicals LLC Lining sock for foundry molding mix chute
FR3104556B1 (fr) * 2019-12-13 2022-01-07 So Bag Système de stockage et de transport de matière granulaire en vrac
DK202200777A1 (en) * 2022-08-19 2024-02-21 Maersk As Contain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027A (en) * 1909-06-11 1910-04-12 Francis L Weigand Crate.
US2296163A (en) * 1939-03-09 1942-09-15 St Regis Paper Co Method of and spout for filling valve bags
US2209403A (en) * 1939-04-22 1940-07-30 American Hard Rubber Co Rubber sheathing and method of applying same
US2991906A (en) * 1957-05-27 1961-07-11 Eligoulachvili Leon Structure for transporting cargoes
US3000551A (en) * 1959-09-11 1961-09-19 Hudson Pulp & Paper Corp Bags
US3193180A (en) * 1961-08-03 1965-07-06 Lissner Hans Container of flexible material and in the shape of a sack, pouch, bladder or bag, particularly valved sack, and method of closing the same
US3132794A (en) * 1962-08-27 1964-05-12 Michael E Frazier Foldable receptacle
US3323559A (en) * 1964-10-19 1967-06-06 Crown Zellerbach Corp Container filling method and apparatus
US3297234A (en) * 1965-07-06 1967-01-10 Psg Plastik Sack G M B H Plastic bag with inlet valve
US3438562A (en) * 1967-10-25 1969-04-15 Inter Store Transfer Specialis Container
US3578213A (en) * 1969-01-28 1971-05-11 Edwin E Clarke Container with dispensing means for transporting bulk materials
US3696952A (en) * 1970-03-23 1972-10-10 Sea Land Service Bulk cargo handling system and method
US3756469A (en) * 1970-11-10 1973-09-04 Bulk Liner Corp Convertible hopper vehicle
US3894682A (en) * 1972-07-07 1975-07-15 Gilman Paper Company Container with filling opening and closure means therefor
US3951284A (en) * 1972-08-18 1976-04-20 Du Pont Of Canada, Ltd. Device for transporting bulk materials and methods
USRE29721E (en) * 1972-09-20 1978-08-08 Montedison S.P.A. Plastic bag and a protective container therefor and a fixture for securing the bag in the container
US4054226A (en) * 1973-11-16 1977-10-18 United States Lines, Inc. Lining of containers for bulk cargo
DE2441683A1 (de) * 1974-08-30 1976-03-11 Degussa Innenauskleidung fuer container
US3980196A (en) * 1975-05-21 1976-09-14 United States Lines, Inc. Lining of containers for bulk cargo
GB1567082A (en) * 1976-09-28 1980-05-08 Unicem Bag feeding machines
US4127230A (en) * 1977-07-18 1978-11-28 Olinkraft, Inc. Bulk container with hinged locking top
US4232803A (en) * 1978-11-06 1980-11-11 A.I.R. Foundation Bulk material retaining system having plural retainers
US4260071A (en) * 1979-08-13 1981-04-07 Manville Forest Products Bulk material container
US4272010A (en) * 1980-01-31 1981-06-09 International Paper Company Food service container and lid
US4365739A (en) * 1980-10-06 1982-12-28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Take-out carton with locking cover
DE3040504A1 (de) * 1980-10-28 1982-06-03 Degussa Ag, 6000 Frankfurt Innenventil fuer schuettgutsaecke
DE3109395A1 (de) * 1981-03-12 1983-01-20 Josef Nittel KG, 6096 Raunheim Container-innenhuelle
US4390051A (en) * 1981-04-03 1983-06-28 Bonar Industries Inc. Securing a liner within a flexible container
US4364424A (en) * 1981-06-29 1982-12-21 Bulk Lift International, Inc. End wall closure for bulk material transport bag
CA1179613A (en) * 1982-05-21 1984-12-18 Donald R. Fell Container liner
US4461402A (en) * 1983-04-01 1984-07-24 Don Fell Limited Container liner
US4585143A (en) * 1984-01-25 1986-04-29 Boise Cascade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GB8420600D0 (en) * 1984-08-14 1984-09-19 Nattrass Frank Bulk containers
JPH0213346Y2 (ko) * 1985-06-29 1990-04-12
JPH0248397Y2 (ko) * 1985-06-29 1990-12-19
US5158370A (en) * 1986-02-12 1992-10-27 Monsanto Company Bag valves
DE3625224A1 (de) * 1986-07-25 1988-02-04 Lohse Juergen Flexibler behaelter
GB2194770A (en) * 1986-09-06 1988-03-16 Mulox Ibc Ltd Bags having lifting loops
AU592421B2 (en) * 1987-01-07 1990-01-11 Kawasaki Kisen Kaisha Flexible case hanging device
US4872493A (en) * 1988-05-10 1989-10-10 Container Corporation Of America Apparatus for filling a lined container
CA2007045C (en) * 1989-01-10 1996-06-25 Keiji Ishii Interior bag for a container
US4941589A (en) * 1989-09-28 1990-07-17 Veronica Chen Inner lining for cargo container
US5018877A (en) * 1990-02-26 1991-05-28 Union Carbide Chemicals And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ackaging assembly for contaminable materials
US5427308A (en) * 1994-08-10 1995-06-27 Eco-Cool, Inc. Container with integral handles and locking tab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03293B1 (en) 1996-11-20
US5193710A (en) 1993-03-16
CA2114613A1 (en) 1993-03-18
JPH08509187A (ja) 1996-10-01
US5193710B1 (en) 1999-02-09
US5632400A (en) 1997-05-27
AU2581792A (en) 1993-04-05
DE69215378D1 (de) 1997-01-02
AU655141B2 (en) 1994-12-01
US5692546A (en) 1997-12-02
AU1356495A (en) 1995-05-04
BR9206496A (pt) 1995-03-14
DE69215378T2 (de) 1997-03-13
WO1993004955A2 (en) 1993-03-18
EP0603293A1 (en) 1994-06-29
WO1993004955A3 (en) 199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4832B1 (ko) 유동현수 라이너 지지구조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및 라이너를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하는 방법_
US5318193A (en) Bracing system for a liner for a cargo container
USRE36214E (en) Bracing system for a liner for a cargo container
AU687950B2 (en) Method for unloading a cargo from a cargo container
CA1313354C (en) Bulkhead and lining systems for cargo containers
US5181625A (en) Liner for a cargo container
US4461402A (en) Container liner
US4232803A (en) Bulk material retaining system having plural retainers
US5137170A (en) Flexible insert and method of installation within a generally rectangular container
US808341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bulk products
US5511681A (en) Bulkheadless liner
KR100239945B1 (ko) 슈트를 구비하는 라이너 및 그 라이너를 통한 화물 적재방법
US5167472A (en) Method for unloading bulk cargo from a modular cargo container
GB2072618A (en) Flexible liner bags for fluent materials
AU719432B2 (en) Lining for container
AU2074900A (en) Lining for container
JPH02191182A (ja) コンテナー用内装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