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830B1 - 신규한 카페산의 유도체, 오라포시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특히 피부과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카페산의 유도체, 오라포시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특히 피부과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830B1
KR100194830B1 KR1019930702831A KR930702831A KR100194830B1 KR 100194830 B1 KR100194830 B1 KR 100194830B1 KR 1019930702831 A KR1019930702831 A KR 1019930702831A KR 930702831 A KR930702831 A KR 930702831A KR 100194830 B1 KR100194830 B1 KR 10019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
orafoside
compound according
formul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앙다리 끌로드
앙드레 빠트리스
Original Assignee
빠르펭 크리스티앙 디오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빠르펭 크리스티앙 디오르 filed Critical 빠르펭 크리스티앙 디오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18Acyclic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n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Rheu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카페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이 신규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I)을 갖는다.
(상기식에서, 하나 이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C5알킬기, 구체적으로는 메틸 및 아실기, 구체적으로는 C1~C6기, 구체적으로는 아세틸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신규한 카페산의 유도체, 오라포시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특히 피부과학적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필수적인 신규한 카페산의 유도체, 오라포시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특히 피부과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유도체인, 오라포시드는 오르반차세에과 (Orbanchaceae family)의 식물류에서 추출한 카페산의 유도체이다. 발명은 또한, 오라포시드의 특정 유도체, 특히 아실화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특히 초종용속 식물(broomrape), 라품 제니스테(Rapum genistae)로부터 추출한 식물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일차적인 연구는 카페산 유도체가 엽록소를 함유하지 않는 기생 헌화 식물인 오르반차세에서 유래한 추출물에 존재한다는 것이 이미 알려졌지만(Andaryet al.. 1980, II Farmaco, 1, 1 30:Brdel and charaux, 1924, C.R. Acad. Sci. 178,1989), 그 구조는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다.
카페산 (또는 3,4-디히드록시신남산) 및 그의 몇몇 천연산 유도체의 약물학적 이점은 이미 다수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기무라 등 (Planta Medica, 1984, 473 477)은 가종 탄닌류, 및 구체적으로는 카페산 및 아르테미시아(Artemisian)종의 식물에서 추출된 카페올일퀴닌산 유도체의 작용을 연구하였으며, 쥐와 간 미토콘드리아 및 미크로 좀의 지질의 과산화반응에 대한 억제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류코트리엔 및 아라키돈산 대사와 관련된 리폴시게나제에 대한 상기 분자의 억제효과 천식과 같은 염증 상태의 치료에 있어서 이들의 사용 가능성은 기무라 및 오꾸다(J. of Natural Porducts. 1987, 50, 392-399)에 의해 반포되었다.
상이한 카페산 유도체는 그의 구조와 관련되어 다양하게 각종 방법으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약용 및 기타 식물류에서 이와 같은 계통의 신규 분자를 조사하여, 새로운 약물학적 활성 또는 개량된 성능을 찾는 것은 유리하다.
따라서, 특히 흥미로운 특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은, 각종 금작화[시티서스 스코파리우스(Cyti년 scoparius) 및 푸르간스(purgans)]에 기생하는 오르반차세에과의 식물 뿐만 아니라 식용식물, 예컨대 렌즈콩, 잠두 및 솔라나세에(Solanaceae) (토마토, 가지)의 추출물에서 얻을 수 있다. 초종용속 식물은 플라워링 스파이크(flowering spike)를 갖는 줄기를 포함하는 다년생 식물이며, 전체 식물은 스케일(scale)로 덮혀진 구근(bulb)의 기부에서 종결되는 줄기를 따라 모두 스케일을 지닌, 20내지 100㎝길이에 달한다. 이 전체 식물은 헤테로시드 카페산 이스테르 유도체가 풍부하다. 작은 뿌리의 형태로 넝쿨로서 숙주 식물의 뿌리에 부착된 기관인 구근은 이들 헤테로시드 카페산 에테르를 최고 농도로 함유하는 기관이다. 예컨대 알콜 중에 식물 추출물 또는 식물 세포를 침지하여(steeping)하여 초종용속 식물, 라품 제니스테에서 추출된 물질을 순수한 결정형태로 수득하고, 분자 배열 및 구조를 확립할 수 있는 각종의 통상적인 분석(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 융점의 결정, NMR 스펙트럼의 조사, 분자 스펙트럼, X-레이, IR 및 UV스펙트럼 및 각종 생화학적 분석법)을 한다. 상기 분석으로부터 이끌어낸 식은 하기와 같다: 3-0-(α-L-람노피라노실)-[2-(3,4-디히드록시페닐)-1,2-에틸리덴]-β-D-글루코피라노시드 4-카페에이트.
오라포시드라 칭하는 것으로 제안된 상기 물질은 하기 일반식 (I)로 표현된다.
[상기식에서, R은 수소원자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R이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저급 C₁내지 C5 알킬(구체적으로는 메틸), 또는 아실기(구체적으로는C₁내지 C6를 함유하는 아실기, 특히 아세틸)인 일반식(I)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벤젠 고리상의 OR기만이 알킬화, 구체적으로는 메틸화된다.
바람직하게는, 글루코피라노실 또는 람노피라노실 고리상의 OR 기만이 아실화, 구체적으로 아세틸화된다.
특히, 오라포시드 또는 그의 유도체는 오르반차세에과의 식물, 구체적으로는 초종용속 식물, 라품 제니스테에서 추출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유도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특히, 오라포시드의 퍼아세틸화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1 부피의 피리딘이 첨가된 1 부피의 아세트산 무수물에 오라포시드의 결정을 용해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단순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주변온도에서 발새 방치한다. 다음날, 이를 여과하고,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를 재용해시켜, 동결건조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글루코피라노실 또는 람노피라노실 고리상의 모든 OR기는 아세틸화된 오라포시드의 퍼아세틸화 유도체를 수득한다.
본 발명에서, 오라포시드 및 그의 상기 유도체가 기대하지 않았던, 다수의 화학적 및 생화학적 효과, 예컨대 유리 라디칼의 트랩핑(trapping), 산화방지 효과, 특히 지질의 과산화반응의 억제, 알도즈 리덕타아제 저해, 도파-디카르복실라제 저해, 아드레날린계 블로킹, 항-진전 효과, 항-엘러지 효과 및 진통, 살균 및 살진균 효과를 가지며, UVA 및 UVB에 대한 넓은 흡수 밴드를 갖기 때문에 태양 필터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오라포시드, 이의 상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이, 특히 약제학, 화장품 및 식료품의 분야에 특히 유용하다.
두번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상기 일반식(I)의 유도체(식 중, 하나 이상의 R이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저급 C₁내지 C6기, 특히 아세틸)), 또는 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특히 피부과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아실화 유도체는 글루코피라노실 또는 람노피라노실 고리상의 OR기만이 아실화, 구체적으로는 아세틸화된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알킬화 유도체는 벤젠 고리사의 OR기만이 알킬화, 구체적으로는 메틸화된 것이다.
유리한 구현예에 따르면,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상기의 유도체는 약 0.001내지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내지 5 중량% 의 비율로 최종 조성물에 배합된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리 라디칼의 트랩핑, 알도즈 리덕타제의 저해, 5-리폭시게나제의 저해, 도파-데카르복실라제의 저해, 블로커로서의 작용, 진전 억제 또는 자외선 UVA 및 UVB 차단 효과를 갖는 조성물이다.
유리한 변형에 따르면, 상기 정의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내에서 추가적인 항세균성 또는 항진균성 보존제를 함유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지질의 산화를 방지하는 임의의 추가적인 산화방지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물론, 제형은 목적에 맞춘다. 따라서, 조성물을 주사제용 또는 경구 투여용 또는 국소적으로 도포하는 외용 치료제용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부형제는 상기 제제에 적합하고, 화장품용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태양 홍반을 빈번하게 동반하는 염증 상태의 치료에 특히 유효하다. 사실상 자외선 노출과 같은 외인성장애 또는 일부 대사 상태에 있어서, 산소 환원이 불완전하여 세포말의 인지질의 분해를 유발할 수 있는 유리 라디칼이 형성된다. 유리 라디칼의 형성은 세포노화를 촉진시키고, 발암, 염증현상 및 간의 중독과정을 촉진할 수 있는 각종 병리학적 상태를 유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 염증, 특히 태양에 과다 노출됨으로서 유발된 염증을 국소적인 도포 및 전신적인 수단으로 치료하고, 세포 노화, 특히 방사선으로 유발된 피부의 노화를 제어하고, 피부를 자외선 UVA 및 UVB로부터 보호하고, 피부상에 색소 침착된 마크를 예방 및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조성물은 간중독(원인과 무관하게)의 치료, 당뇨병, 구체적으로는 진성 당뇨병 및 이에 빈번하게 동반되는 수정체의 장애의 치료에 유효하고, 진통제, 항엘러지제, 항정신제, 파킨슨병 억제제 및 항고혈압제로 유효하다.
특히, 파킨슨병의 항진전 치료와 관련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명에 다른 조성물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L-도파를 또한 함유한다. 사실상, 상기 오라포시드 및 이의 일반식 (I)의 유도체는 사실상, 동물 및 사람에서 진전-유발 인자로 유발된 진전을 실험적으로 감소시킨다. 파킨슨병에서, L-도파로 처리함으로서 비정상적 운동성(무도병 형태) 및 기타 2차 장애가 개선됨이 관찰된다.
본 발명은 이제 몇몇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고, 따라서 이는 단지 설명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들 실시에는 또한, 첨부한 도면을 포함하는 다수의 도면을 참고하여 제시된다.
제1도는 처리 후 3 및 7시간 째에, 간세포 4.106(8일 배양)에 의해 배양 배지로 방출된 LDH(락테이트 디히드로게나제)의 양을 나타낸다. 히스토그람의 두개의 블록에서 참조부호1은 대조용으로 사용하는 비처리 배양물에서 수득된 결과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는 10-4M 농도의 니트록시닐로 처리한 배양물을 사용하여 얻은 히스토그램 블록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3은 10-4M 농도의 니트록시닐 및 5.10-5M농도의 베르바스코시드로 처리한 배양물로 얻은 히스토그램 블록을 나타내고, 참고부호4는 10-4M 농도의 니트록시닐 및 5.10-5M 농도의 오라포시드로 처리한 배양물로 얻은 히스토그램을 블록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5는 10-4M 농도의 니트록시닐 및 5.10-5M 농도의 아레나리오시드로 처리한 배양물로 얻은 히스토그램 블록을 나타낸다. 니트록실은 간독성 시약이고, 베르바스코시드 및 아레나리오시도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카페산의 기타 헤테로시도 에스테르류이다.
제2도는 처리 후 3, 7 및 24 시간 째에 간세포 4.106(24 시간 배양)에 의해 배양 배지로 방출된 LDH(락테이트 디히드로게나제)의 양을 나타낸다. 제1도와 마찬가지로 참고부호 1은 비처리 배양물로 얻은 결과이며, 참조부호3은 10-4M 클로로포름 및 5.10-5M농도의 오라코시드의 조합으로 처리한 배양물로 얻은 결과이다. 클로로포름 또한 간독성 시약이다.
제3도는 반응 매질에서 5.10-5M의 상이한 페놀계 화합물에 의한 간 미크로좀에 대한 지질과산화의 억제를 나타낸다. 참고부호 1은 페놀계 화합물이 없는 대조군으로 얻은 히스토그램 블록을 나타내고, 참고부호 2는 베르바스코시드로 얻은 결과를 나타내며, 참고부호 3은 오라포시드로 얻은 결과를 나타내고, 참고부호 4는 아레나리오시드로 얻은 결과를 나타내며, 참고부호 5은 로스마린산으로 얻은 결과를 나타내고, 참고부로 6은 이소클로겐산으로 얻은 결과를 나타내며, 참고부호 7은 치코르산으로 얻은 결과를 나타내고, 참고부호 8은 카페산으로 얻은 결과를 나타내며, 참고부호 9는 비타민 E(α-토코페롤)은 얻은 결과를 나타낸다. 베르바스코시드, 오라포시드 및 아레나리오시드는 카페산의 헤테로시드 에스테르류이고, 언급된 산은 카페산의 기타 에스테르류이다.
제4도는 토끼의 간 미크로좀에서 상이한 농도의 오라포시드에 의한 지질 과산화의 억제를 나타낸다. 참고부호 1은 오라포시드가 없는 참고군으로 얻은 결과를 나타내고, 참고부호 2는 5.10-5M농도의 오라포시드로 얻은 결과를 나타내며, 참고부호 3은 10-5M 농도의 오라포시드로 얻은 결과를 나타내고, 참고부호 4는 5.10-6M 농도의 오라포시드로 얻은 결과를 나타내며, 참고부호는 2.10-6M농도의 오라포시드로 얻은 결과를 나타내고, 참고부호 6은 10-6M 농도의 오라포시드로 얻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결정의 정제, 오라포시드 식의 분석 및 확립]
출발 물질은 석유 에테르로 탈지한 분말 식물(초종용속 식물)이다. 상기 분말을 50℃에서 식물 분말 400g당 10ℓ의 비율로 80%에탄올 또는 80%메탄올에 침지시키고, 얻어진 추출물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한다. 조 초종용속 식물 추출물이라 부르는 상기 동결건조 추출물은 3내지 5중량%의 오라포시드를 함유한다.
여과한 다음, 금방 제조한 10%의 소듐 메타비술피트의 수용액 20㎖를 상기 알코올성 잔류물에 신속하게 가한다. 4℃에서 밤새 방치한 다음, 그 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알코올을 제거한다. 수성인 추출물을 퍼옥시드부재 에틸 에테르-석유 에테르(3:1)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최종적 탈지시킨다.
이 탈지 추출물을 20ℓ의 에틸 아세테이트(염화 칼슘으로 재증류함)로 반복 추출한다. 에틸 아세테이트상을 소듐 술페이트(순수,건조)를 사용하여 건조한 다음, 배합하고 진공하에 증발건조시킨다. 정제된 초종용속 식물 추출물로 불리는, 수득된 크림색의 분말상 잔류물은 약 30 중량%의 오라포시드를 함유한다. 이 정제된 추출물을 열수에 용해시킬 수 있으며, 이 용액을 주변온도, 이어서 4℃에서 결정화함으로서 추가로 정제한다.
이들 결정을 건조시켜 5%에탄올-95%물의 뜨거운 혼합물에 재용해시킨 다음. 냉각재결정화한다. 이 조작을 수회 반복한다.
순수한 결정상태로 얻어진 성분을 각종 통상의 생화학적, 물리학적 및 화학적 분석을 한다. 광회전력을 (α)22D=-100.3。(메탄올)로 결정한다. 융점은 210℃이다. NMR1H스펙트럼(ppm의 δ)은 하기와 같다:
Kontron Uvikon 860(상품명)형의 장치를 사용하여 얻은 UV 스펙트럼은 330nm에서 UVA 최대 흡수 및 290nm에서 UVB피크를 나타낸다. UVB 피크의 표면적을 적분하여 오라포시드와 Parsol MCX(상품명)을 비교하여, 오라포시드의 UVB 흡수 활성이 Parsol MCX(상품명)의 0.4배인 것을 알 수 있다. 오라포시드의 UVB피크의 표면적을 적분하여 Parsol 1 789과 비교해보면, 오라포시드의 UVA흡수는 Parsol 1 789(상품명)의 약 0.2배임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 질량 스펙트럼, X 및 IR 스펙트럼을 조사하여 오라포시드가 3-0-(α-L-람노피라노실)-[2-(3, 4-디히드록시페닐)-1,2-에틸리덴]-β-D-글루코피라노시드 4- 카페에이트임을 증명할 수 있다.
[실시예 2]
[배양에서 토끼 간세포의 보호에 있어서 오라포시드 성질의 시험관 조사]
선택된 실험적 모델은 1차 배양에서 토끼 간세포에 의한 락테이트 디히드로게나제(LDH)의 방출 조사이며, 상기 LDH의 방출은 간세포 손상의 마커를 나타낸다.
간세포를 니트록시닐(10-4내지 10-5M) 또는 클로로포름(10-3내지 10-5M 고의로 중독시킨다.
제1도는 오라포시드가 니트록시닐에 의해 중독된 간세포에 의한 LDH의 방출을 매우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제 2도는 클로로포름으로 처리된 세포에 덜 명확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이는 독성 효과가 적다.
오라포시도 자체는 100μM 농도에서도 세포 독성이 없다.
[실시예 3]
[토끼 간 미크로좀의 지질과산화 억제의 시험관 조사]
토끼 간 미크로좀을 NADPH의 존재하에 배양할 때, 지질과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미크로좀은 초음파로 간세포를 가공하여 회수한다.
지질과산화는 Placer 등,1966에 의한 방법(Analyt, Biochem. 16. 359 364)에 따라 말로닐 디알데히드의 형성을 통해 평가된다.
이 반응을 카페산 또는 오라포시도가 없을 때(대조)또는 5.10-5M 농도로 존재할 때 또는 5.10-5M(공지된 저해 활성 표준)의 α-토코페롤(Sigma)이 존재할 때 수행시킨다.
제3도는 카페산 및 α-토코페롤이 등가의 저해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명확하게 나타내며, 오라시포드는 보다 강력한 저해(100%)를 나타낸다.
50%의 억제를 얻기에 요구되는 오라포시드의 양은 10-5M이다. (제4도).
또한 유리 라디칼 발생제(CCl₄ 및 H₂O₂에 의한 막의 지질 산화가 강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 오라포시드는 CCl₄일때는 100%, H₂O₂일 때는 90%억제한다.
[실시예 4]
[항세균 및 항진균 작용의 검출]
다수의 카페산 유도체가 세균 및 진균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 성질은 세균의 10속에 속하는 40의 상이한 균주 및 진균 25중에 속하는 25의 상이한 균주로서 오라포시드에 관하여 확인되었다.
모든 세균 균주의 100%억제는 0.5%mg/ml 이상의 투여량으로 관찰된다. 시험되는 세균 균주는 스타피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트렙 토코쿠스(A군 및 B군), 에스체르키아 콜리(Escherchia coli), 쿨레브스이엘라 뉴모니에(Klebsiella pneumoniae), 프로테우스 종 (Proteus sp.), 프로비덴티아 종(Providentia sp.), 세르라티아 마르세스센스(Serratia marcescens), 엔테로박터 클로아세( Enterobacter cloacae), 수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살모넬라(Salmonella)(S. typhi 및 S. paratyphi)이다.
박테리움 스타피로코커스 이루레우스의 29개 균주를 사용하여 수행된 보다 상세한 조사는 0.06mg/ml의 농도에서 70% 및 0.12mg/ml 농도에서 80%의 억제를 나타낸다.
항진균 ghkf성은 식료품에서 통상 발견되는 마크로마이세테스(micromycetes)에 대하여 시험된다. 이 시험은 아델로마이세테스(Adelomycetes)[예. 알테마리아 테누이스(Altemria tenuis), 후사리움 아벤시움(Fusarium avenceum). 지오트리콤 칸디듐(Geotricom condidum) 등], 무코랄레스(Mucorales) [예. 무코르무세도(Mucor mucedo). 쿠닝 하멜라 엘레간스(Cunninghamella elegance), 리조푸스 니그리칸스(Rhizopus nigricans) 등], 엔도마이세테스(Endomycetes) [예. 칸디다 리vhf리티카(Candida lipolitica), 사카로마이세테스 세레비시에(Saccharomycetes cerevisiae) 등], 플렉토마이세테스(Plectomycetes) [예, 아스퍼질러스 클라바투스(Aspergillus clavatus). 에이. 니게르(A. niger), 페니실리윰 크리소제늄(Pencillium chrysongenum), 피. 루비룸(P. rubrum) 등] 및 피레노마이세테스(Pyrenomycetes) [예. 카에토미늄 글로보룸(Chaetomium globosum), 소다리아 히미콜라(Sordaria himicola) 등]에 속하는 25 종으로 수행한다.
[실시예 5]
[알도즈 리덕타제(ECI.1.1.21) (=A.R)의 억제에 관한 시험]
[절차]
효소 억제는 소 및 쥐에서 새롭게 얻은 수정체로부터 분리한 조-효소 추출물을 사용하여 시험관에서 평가한다. 반응의 원리는 하기와 같다:
이 반응은 주변온도로 pH = 6.2에서 일어나고, 340nm에서 소멸이 측정되다. 시험된 분자를 2번 증류수에 용해시킨다.
글리세롤의 결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IC50(효소 활성의 50%를 억제하는 농도)으로 나타낸다.
[결과]
이 결과는 하기 표에 정리된다:
A.R. - 송아지의 수정체
A.R. - 쥐의 수정체
각종 헤테로시드 카페산 에스테르 (1) 및 (2)의 알도즈 리덕타제 억제 활성은 2개의 상이한 일련의 시험과 일치한다.
[결론]
4개의 분자가 소 및 쥐에서 유래한 알도즈 리덕타제를 억제한다. 가장 활성인 물질은 1.6 x 10-7mol/ℓ의 IC50을 갖는 오라포시드이다. 오라포시드는, IC50이 5 x 10-7mol/ℓ인 6-플루오로스피로크로만-4,4'-이미다졸린-2',5'-디온의 식을 갖는 합성 분자인 현재 시판되는 것중 가장 유망한 분자, 즉 Sorbinil(상품명) 보다 훨씬 활성적인 것이다.
[실시예 6]
[케라티노사이트 (Keratinocyte) 배양에서 오라포시드의 항-유리 라디칼 작용의 검출]
[서론]
오라포시드의 항-유리라디칼 활성은 잘 공지된 항-유리 라디칼 제제와 비교하여 배양에서 인체 케라티노사이트 라인에 관하여 조사한다.
항-유리 라디칼 제제의 보호 활성은 세포를 산화 유리 라디칼 원(source)을 접촉시킨 다음 (상기에 참고로 언급한 Z.Z. Placer 등, 1966, anal. Biochem. 16, 359-64의 방법은 다음), 배양배지에서 말론알데히드 (MDA) (세포막 지질의 지질과 산화반응의 반영)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된다.
이 물질의 세포독성은 또한, 고농도에서 락테이트 디히드로게나제(LDH)를 결정함으로써 측정된다(Z. Klin Chem. 1970, 8, 658 및 Klin. Biochem. 1972, 10, 182).
이와 같은 모든 결과를 근거로 하여, 이 분자는 그의 항-유리 라디칼 활성 및 세포 수준에서 그의 세포독성 가능성의 기준을 분류된다.
[재료 및 방법]
[재료]
- 세포 : 측두린 암종(Suqamous carinoma)에서 유래한 인체의 케라티노사이트.
- 배양 배지 : 5%의 태아 송아지 혈청 (제조원 : Intermed company)가 가해진 DMEM(1/2), HAM F12(1/2) 기초 배지 (제조원 : Gibco company).
[방법]
[세포 배양 및 처리]
씨딩(seeding) 밀도 : 1㎠당 5000 세포로 60mm 페트리 디쉬(NUNC)에 배양을 준비한다.
씨딩 1주 후에 출현한 단일의 세포층을 시험될 분자가 가해진 pH8의 PBS 완충액중 비타민 C 10-3M, FeCl310-4, FeSo4 10-4M로 구성된 산화 라디칼 발생제를 함유하는 500ℓ의 용액(=반응매질)으로 처리한다.
37℃에서 2시간 배양한 후, NDA의 결정용으로 이 배양배지를 회수한다.
[LDH의 측정]
이 화합물은 200μM으로 DMSO의 용액에서 시험되며, 대조배양은 동일한 양의 용매를 함유한다.
항-유리 라디칼 분자로 매일 처리한 다음, 배양 배지로 방출되는 LDH의 양을 24시간 후에 결정한 다음, 6일 후에 결정한다.
배양 배지의 상층부를 소듐 피루베이트 및 NADH와 접촉시키고, LDH 활성의 동역학을 분광 광도계(Boehringer 사의 키트)로 측정한다.
LDH 활성은 분자의 활성을 반영하는, OD/min(OD=광학 활성)의 증가로서 나타난다.
[MDA의 측정]
세포를 2시간 배양한 다음 500㎕의 반응 배지를 샘플로 취하여, 티오바르비투르산을 가하여 532nm에서 MDA를 결정한다.
결과는 MDA 생산의 억제%로서 언급된다.
[시험 물질]
[결과 및 논의]
[세포 독성]
이는 200μM에서 3종의 물질에 관해서 시험한다. 그 결과는 처음 3일의 접촉에 관하여 제공되고 대조(+DMSO)에 대한 OD의 증가%로서 언급된다.
첫번째 날로 부터 LDH를 광범위하게 방출할 수 있는 BHT의 고세포독성이 주시될 것이다. 이는 α-토코페롤의 경우에는 덜 분명한 반면, 오라포시드는 세포에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MDA의 결정]
반응 혼합물로서 2시간 배양한 다음, 3종의 물질에 관하여 100μM의 농도로 조사를 수행한다. 분광 광도법으로 결정된 얻어진 MDA는, 대조(반응 매질 단독)과 비교해서 그 제조의 억제%로서 나타내는 결과를 제공한다.
항-라디칼 물질의 보호력은 하기로 평가된다.
오라포시드의 보호력은 BHT와 유사하고, α-토코페롤 보다 약간 약하다는 것이 주시된다.
[결론]
배양 상층부의 MDA의 결정은 100μM의 농도에서 오라포시드의 항-유리 라디칼 활성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2종의 참고 문자와는 다르게, 오라포시드는 200μM 이하까지 세포독성 효과가 없다는 것을 주시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라포시드 및 그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제제의 각종예는 하기에 제공된다.
다르게 표시하지 않는다면 %는 중량으로 주어지다.
[실시예 7]
오라포시드는 수성상이다.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약제학적 조성물]
상기한 오라포시드 또는 일반식 (I)의 그의 유도체 60mg을 함유하는 경구 투여용 캡슈제는 통상이 캡슐용 부형제로 제조한다.
이 캡슐제는 1일당 4 내지 6 캡슐의 투여양으로, 특히 파킨슨 병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투여량은 통상 1일당 1kg의 체중당 순수한 오라포시드 1 내지 6mg과 동일한 양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기재 또는 매질(Vehicle)에 유효량의 오라포시드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특히 피부과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국소적 도포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약 10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의 오라포시드 또는 그의 유도체를 상기 조성물에 함유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적당한 형태의 어떤 기원의 유리 라디칼에 의해 유발되는 상태를 앓고 있는 환자에게 상기한 유효량의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의 그의 유도체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국소적 도포에 관한 상기 치료 방법의 하나의 구현에 따르면, 상기한 오라포시드 또는 그의 유도체를 0.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 함유하는 조성물이 투여된다.
특정의 구현예에 따르면, 염증, 특히 태양에 과량으로 노출되어 생기는 염증은 유효량의 상기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의 유도체 중 하나를 국소적으로 처리하거나 경구, 직장 투여 또는 주사제로서 치료함으로서 원하는 효과를 얻는다.
다른 변형에 따르면, 세포노화, 특히 피부의 노화 및 특히 방시-유발노화는 유효량의 상기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 유도체 중 하나를 국소 도포함으로써 억제 또는 치료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는다.
다른 변형에 따르면, 피부는 유효량의 상기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의 유도체중 하나를 국소적으로 도포함으로서 자외선 UVA 및 UVB 방사로부터 보호하여 원하는 자외선 보호 효과를 얻는다.
또 다른 변형에 의하면, 착색된 피부 반점은 유료량의 상기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의 유도체중 하나를 국소적으로 도포함으로써 억제 또는 치료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어떤 기원의 간 중독은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효한 유효량의 상기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의 유도체중 하나를 투여,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하거나 주사함으로서 치료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당뇨병, 구체적으로는 진성 당뇨병 또는 당뇨병과 관련된 수정체 장애는 적절한 형태로 상기 상태를 앓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상기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의 유도체 중 하나를 투여함으로써 처리된다.
또 다른 구현에에 따르면, 항 엘러지 치료는 적절한 형태로 엘러지를 앓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상기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의 유도체 중 하나를 투여함으로써 적용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파킨슨병은 적절한 형태로 상기 질환의 환자에게 유효량의 상기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의 유도체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L-도파와 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치료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항고혈압 치료는 적절한 형태로 동맥성 고혈압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상기 오라포시드 또는 일반식 (I)의 유도체 중 하나를 투여함으로써 제공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항-진전 치료는 적절한 형태로 진전, 특히 파킨슨 병에 기인하는 진전 환자에게 유효량의 상기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의 유도체 중 하나를 투여함으로써 적용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항정신성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충분한 유효량의 상기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의 유도체 중 하나는 적절한 형태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Claims (15)

  1. 오파로시드 또는 하기 일반식 (I)의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카페산 유도체 :
    (상기 식에서, 하나 이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저급 C1∼C5알킬기, 또는 C1∼C6아실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글루코피라노실 또는 람노피라노실 고리상의 OR기만 아실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벤젠 고리상의 OR 기만이 알킬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오라포시드 또는 그의 유도체는 오로반차카에(Orobanchacae)과 식물에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정의된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의 유도체를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유리라디칼활성을 갖는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최종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오라포시드 또는 그의 상기 유도체 0.001∼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항-염증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간보호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9. 제1항 또는 2항에서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알도즈 리덕타제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오라포시드 또는 이의 일반식 (I)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오라포시드 또는 그의 유도체의 항세균 또는 산화 방지 활성 때문에, 항세균 또는 항진균 보존제, 산화 방지 보존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첨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1.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R이 메틸 또는 아세틸인 오라포시드 또는 일반식 (I)의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카페산 유도체.
  12. 제2항에 있어서, 글루코피라노실 또는 람노피라노실 고리 상의 OR 기만 아세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3. 제3항에 있어서, 벤젠 고리 상의 OR 기만이 메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4. 제4항에 있어서, 오라포시드 또는 그의 유도체는 초종용속 식물, 라품제니스타에(Rapum genistae)에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5. 제6항에 있어서, 최종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오파포시드 또는 그의 상기 유도체 0.1∼0.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KR1019930702831A 1991-03-21 1991-03-21 신규한 카페산의 유도체, 오라포시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특히 피부과학적 조성물 KR100194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R1991/000229 WO1992016544A1 (fr) 1991-03-21 1991-03-21 Nouveau derive de l'acide cafeique, l'oraposide,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notamment dermatologique le conten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4830B1 true KR100194830B1 (ko) 1999-06-15

Family

ID=3483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2831A KR100194830B1 (ko) 1991-03-21 1991-03-21 신규한 카페산의 유도체, 오라포시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특히 피부과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719129A (ko)
EP (1) EP0576420B1 (ko)
JP (1) JP3147900B2 (ko)
KR (1) KR100194830B1 (ko)
AT (1) ATE123287T1 (ko)
AU (1) AU670742B2 (ko)
CA (1) CA2102689A1 (ko)
DE (1) DE69110136T2 (ko)
ES (1) ES2075437T3 (ko)
WO (1) WO1992016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4238A1 (de) * 1994-12-13 1996-06-20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Wirkstoffkombinationen aus Zimtsäurederivaten und Flavonglycosiden
DE19615575A1 (de) * 1996-04-19 1997-10-23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Glucosiden und Ferulasäure als antiirritativer Wirkstoff in kosmetischen und topischen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AU6473898A (en) * 1997-03-21 1998-10-2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he Methods for modulating neurotrophic factor-associated activity using aldose reductase inhibitors
US6696407B1 (en) 1997-03-21 2004-02-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untington's disease treatment comprising administering aldose reductase inhibitors to increase striatal CNTF
US6679584B2 (en) * 1997-07-15 2004-01-2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High volume pagewidth printing
US8466109B2 (en) * 1998-10-05 2013-06-18 Laboratoires Expanscience Cosmetic method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skin stretchmarks, and use in dermatology
CN1250191C (zh) * 1998-11-02 2006-04-12 西巴特殊化学品控股有限公司 身体护理品和家庭用品的稳定
US20040228816A1 (en) * 1998-12-30 2004-11-18 Carine Nizard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active agent which stimulates synthesis of the protein HSP 32 in the skin
FR2787996B1 (fr) * 1998-12-30 2002-05-10 Dior Christian Parfums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ntenant un actif stimulant la synthese de la proteine hsp 32 dans la peau et methode de traitement cosmetique
IT1317732B1 (it) * 2000-01-20 2003-07-15 Giuliani Spa Composti ad attivita' antiossidante, composizioni utili qualiintegratori alimentari che li contengono e procedimento per
AU2000258901A1 (en) 2000-04-06 2001-10-23 Nicholas V. Perricone Treatment of skin damage using olive oil polyphenols
EP1166765A3 (de) * 2000-06-20 2002-05-02 Laboratoires Serobiologiques Verfahren zum Schutz der menschlichen Haut
US7713569B2 (en) * 2000-09-01 2010-05-11 Creagri, Inc. Hydroxytyrosol-rich composition from olive vegetation water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02018310A1 (en) * 2000-09-01 2002-03-07 Creagri, Inc. Method of obtaining a hydroxytyrosol-rich composition from vegetation water
EP1260212A1 (de) * 2001-05-21 2002-11-27 Cognis France S.A. Kosmetische Mittel
JP2002363075A (ja) * 2001-06-05 2002-12-18 Kao Corp 高血圧症予防・治療剤
WO2003068171A2 (en) * 2002-02-13 2003-08-21 Creagri,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aids-associated neurological disorders
DE10215055A1 (de) * 2002-04-03 2003-10-30 Univ Schiller Jena Verwendung von Kaffeesäureestern zur Herstellung von kosmetischen nutrazeutischen sowie pharmazeutischen Präparaten und Arzneimitteln
US6989162B2 (en) * 2003-03-31 2006-01-24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Hepatoprotective agent of plant origin and a process thereof
EP1617853B1 (en) * 2003-03-31 2007-10-24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Isolation of the hepatoprotective agent acteoside from colerbrokea oppositifolia
US20060020029A1 (en) * 2004-07-02 2006-01-26 Shimasaki Craig 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rom ethnobotanicals
US20080300198A1 (en) * 2004-08-09 2008-12-04 Kathleen Matt Ol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ory Conditions
US9789149B2 (en) * 2005-07-19 2017-10-17 Creagri, Inc. Vegetation water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conditions
FR2892923B1 (fr) 2005-11-08 2009-01-16 Engelhard Lyon Sa Utilisatiion des derives de l'acide para-coumarique ou para- hydroxycinnamique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atologiques.
US20080167277A1 (en) * 2006-12-29 2008-07-10 Charles Conrad Methods of treating skin disorders with caffeic acid analogs
JPWO2008093678A1 (ja) * 2007-01-29 2010-05-20 オリザ油化株式会社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JP2009263279A (ja) * 2008-04-25 2009-11-12 Oriza Yuka Kk エラスターゼ阻害剤
US8450337B2 (en) * 2008-09-30 2013-05-28 Moleculin, Llc Methods of treating skin disorders with caffeic acid analogs
WO2012143017A1 (en) * 2011-04-17 2012-10-26 El-Sawy Mohamed Fakhr El-Din The use of orobancheace extract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virus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GB201705403D0 (en) * 2017-04-04 2017-05-17 Givaudan S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CN109776633B (zh) * 2019-03-18 2020-08-04 暨南大学 一种苯丙素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02745A1 (fr) * 1975-03-07 1976-10-01 Screen Esters heterosidiques d'acide cafeique, leurs procedes de preparation e
FR2314725A1 (fr) * 1975-03-07 1977-01-14 Screen Procede pour la preparation d'heterosides de dihydroxyphenylalcanol et medicaments contenant de tels heterosides
FR2652086B1 (fr) * 1989-09-20 1993-05-21 Andary Claude Compose nouveau d'origine vegetale, derive de l'acide cafeique, l'oraposide; composition a usage therapeutique et composition dermato-cosmetique le conten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10136T2 (de) 1996-01-11
JP3147900B2 (ja) 2001-03-19
ES2075437T3 (es) 1995-10-01
US5719129A (en) 1998-02-17
ATE123287T1 (de) 1995-06-15
AU670742B2 (en) 1996-08-01
CA2102689A1 (fr) 1992-09-22
DE69110136D1 (de) 1995-07-06
EP0576420B1 (fr) 1995-05-31
AU7585091A (en) 1992-10-21
WO1992016544A1 (fr) 1992-10-01
EP0576420A1 (fr) 1994-01-05
JPH06508601A (ja) 199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4830B1 (ko) 신규한 카페산의 유도체, 오라포시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특히 피부과학적 조성물
Li et al. Quercetin in a lotus leaves extract may be responsible for antibacterial activity
Singh et al. The genus Anogeissus: A review on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KR20080077774A (ko) 마트린 또는 옥시마트린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제
Singh et al. Efficacy of Desmodium gangeticum extract and its fractions against experimental visceral leishmaniasis
Njamen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rycristagallin, a pterocarpene from Erythrina mildbraedii
Farag et al. Salvadora persica L.: Toothbrush tree with health benefits and industrial applications–An updated evidence-based review
Khan et al. Pharmacological importance of Clerodendrum genus: a current review
Alam et al.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action of the crude ethanolic extract of the flowering top of Rosa damascena
SK285014B6 (sk) Extrakt z Tanacetum parthenium, farmaceutický a perorálny kozmetický prostriedok s jeho obsahom
US11969497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Entada seed extract enriched with metabolites of interest, extract produced by such a method, and cosmetic and dermocosmetic applications of such an extract
US20080286213A1 (en) Pharmaceutical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ral diseases
KR100619498B1 (ko) 간보호 및 간장질환 치료용 의약 조성물
Naz et al. In vivo hepatoprotective and in vitro antimicrobial potential of Ceasalpinia bonduc (Linn): Pharmacological correlation with identified phytochemicals.
FR2652001A1 (fr) Composition dermato-cosmetique a base d'acide rosmarinique presentant des proprietes de filtre solaire et d'agent anti-inflammatoire.
Swarnkar et al.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pyretic activitie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ethanolic extract of Schrebera swietenioides roxb. root
Das et al. Effect of ethanolic extract of leaves of Vitex negundo L. on acetic acid induced colitis in Albino rats
Schilcher et al. 11 Pharmacology and Toxicology
Sinda et al. Ethnobotany, pharmacology and phytochemical investigations of the seeds of pentaclethra macrophylla benth (Mimosaceae)
KR20030046182A (ko) 기린초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및 이들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제학적 조성물
Munawar et al.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the different extracts of Holoptelia integrifolia
US20080287527A1 (en) Pharmaceutical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ral diseases
FR2652086A1 (fr) Compose nouveau d'origine vegetale, derive de l'acide cafeique, l'oraposide; composition a usage therapeutique et composition dermato-cosmetique le contenant.
KR100823537B1 (ko) 알파 비사볼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El-meligy et al. Anti-inflammatory and anti-nociceptive activities of extracts and compounds isolated from Solenostemmaarghel (Del.) Hay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