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425B1 - 팩시밀리에서 무문서 수신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에서 무문서 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425B1
KR100194425B1 KR1019950052589A KR19950052589A KR100194425B1 KR 100194425 B1 KR100194425 B1 KR 100194425B1 KR 1019950052589 A KR1019950052589 A KR 1019950052589A KR 19950052589 A KR19950052589 A KR 19950052589A KR 100194425 B1 KR100194425 B1 KR 100194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character
reception
document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737A (ko
Inventor
이종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5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425B1/ko
Publication of KR970056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425B1/ko

Links

Landscapes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1. 청구벙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팩시밀리에서 무문서 수신하는 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는 팩시밀리를 이용하여 문서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에 팩시밀리가 설치된 경우에만 문서 송,수신이 가능했다. 그래서 송신측에 팩시밀 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송하고자 하는 문서를 보내는데 전혀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팩시밀 리가 없는 야외의 경우에는 어떠한 내용을 전송하고자 할 때 이를 실행할 수 없었다. 특히, 수신측이 부재중일 경우 상대측에 메모를 남기거나 특정한 내용을 보내고자 할 때 수신측에 문서로 남길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외부전화기로부터 송신되는 문자코드와 제어코드에 해당하는 DTMF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문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문자의 수신이 종료되면 상기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인쇄하여 출력함으로서 팩시밀 리가 비치되지 않은 곳에서 전화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송,수신하는 방법.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병렬접속전화기를 구비한 팩시밀리.

Description

팩시밀리에서 무문서 수신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팩시밀리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전화기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문자를 인쇄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어부 112 : NCU
114 : 모뎀 116 : 스캐너
118 : 프린터 120 : OPE
122 : 메모리 124 : 전화기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서 무문서 수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팩시밀리에서 외부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DTMF신호를 문자로 젼환하여 인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병렬접속 전화기를 내장한 팩시밀리의 일반적인 구성은 제1도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도에 도시된 임반적인 팩시밀리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110)는 설정된 모드의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NCU(Network Control Unit)(112)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공중전화망9PSTN)과 모뎀(114)과의 통화로를 형성시킨다. 상기 모뎀(114)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NCU(112)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복조하고,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신호를 안라로그신호로 변조한다. 스캐너(116)는 송신 또는 복사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공급되는 원고를 스캐닝 하여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프린터(118)는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복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인쇄한다. OPE(Operating Panel)(120)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 매트릭스로 구성되며, 키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키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OPE(120)내부에는 팩심리리의 현재 동작상태를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된다. 메모리(122)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수신모드에서 기로지가 없거나, 특정기능이 설정되는 경우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전화기(124)는 상기 NCU(112)을 통하여 팩시밀이에 병렬 접속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르 받아 음성 통화시에 통화를 수행한다.
종래에느 팩시밀리를 이용하여 문서를 송, 수신하기 위해서는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에 팩시밀 리가 설치된 경우에만 문서 송, 수신이 가능했다. 그래서 송신측에 팩시밀 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송하고자 하는 문서를 보내는데 전혀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팩시밀 리가 없느 야외의 경우에는 어떠한 내용을 전송하고자 할 때 이를 실행할 수 없었다. 특히, 수신측이 부재중일 경우 상대측에 메모를 남기거나 특정한 내용을 보내고자 할 때 수신측에 문서로 남길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수신모드가 설정된 팩시밀리에서 외부전화기에 의해 무문서 수신모드로 전환되며, 문자코드를 입력받아 인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모드가 설정된 팩시밀리로부터 무문서 수신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기능 선택키가 입력되면 외부전화기로부터 문자코드를 입력받아 인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저은 외부전화기로부터 소정 코드르 입력받아 문자와 문자를 구분하여 인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 팩시밀리의 구성은 상기한 제1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참조 부호도 동일하게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1도에 도시한 제어부(110)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자코드 및 소정 코드에 의해 무문서 수신을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메모리(122)는 무문서의 수신을 위한 소정의 문자코드와 제어코드에 대응하여 문자가 저장된 메모리 테이블을 구비하여야 하며, 모뎀(114)은 수신되는 DTMF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제공하여야 한다. 프리터(118)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무문서 수신기능에 의해 수신된 문자를 인쇄한다.
제2도는 본 발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신모드에서 외부전화기로부터 무문서 수신모드로 전환을 요구하는 기능선택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문자코드를 분석하여 저장하고 문자코드의 수신이 완료되면 저장된 무자코드 데이터를 문자로 변환하여 인쇄하는 과정과, 음성통화모드에서 상기 외부전화기의 호출에 응답하여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무문서 수신 기능키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문자코드를 분석하여 저장하고 문자코드의 수신이 완료되면 저장된 문자코드 데이터를 문자로 변환하여 인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문자코드는 외부전화기의 숫자티가 사용자에 의해눌림에 따라 송출되는 DTMF신호가 적어도 두 개 조합된 코드로서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르 나타내며, 상기 제어코드는 상기 외부전화기의 특수키가 눌림에 따라 송출되는 DTMF신호로서문자와 문자를 구분하기 위한 제어코드와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의 송신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제어코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능선택코드는 상기 외부전화기에서 두 개의 특정 숫자키가 눌림에 따라 송출된느 DTMF신호가 조합된 코드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한 무문서는 팩시밀리로부터 전송되는 문서가 아닌 전화기로부터 전송된는 DTMF신호에 대응된는 문서를 나타내며, 상기 무문서는 상기 문자코드와 제어코드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인 제1,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문서 전송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122)에 구비되어 문자코드와 제어코드에 대응되는 무자의 구성을 가지는 메모리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키 : 문자와 문자를 구분하기 위한 제어코드에 해당하는DTMF신호를 송출하는 키.
*키 : 문서전송의 완료를 알리기 위한 제어코드에 해당하는 DTMF신로를 송출하는 키.
상기 제2도와 표 1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210단계에서 링 신호가 NCU(112)에서 검출되는가를 감지한다. 상기 링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2단계에서 수신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수신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4단계에서 상기 NCU(112)제어하여 공중전화먕(PSTN)을 모뎀(114)측으로 연결하여 문서수신 통화루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216단계에서 송신측 외부전화기로부터 무문서 수신모드로 전환을 요구하는 기능선택코드(두개의 숫자키 3과9에 해당하는 DTMF신호, 이하 기능선택코드'라 함)가 입력되는가를 감지한다. 상기 기능선택코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240단계로 진행하여 통상적인 수신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 기능선택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20단계에서 상기 외부전화기로부터 문자코드에 해당하는 DTMF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222단계에서 문자와 문자를 구분하기 위한 제어코드(#키에 해당한는 DTMF신호, 이하 구분제어코드'라 함)가 수신되는가를 감지한다. 상기 구분제어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24단계에서 상기 220단계에서 수신한 문자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모리 테이블조부터 문자 데이터를 결정하여 메모리(122)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표 1로부터 문자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개의 문자코드 수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이 가능한 것은 상기 222단계에서 구분제어코에 해당하는 #키가 수신될 때까지 220단계가 반복 수행되기 때문이다. EEK라서, 220단계에서 선택될 수 있는 문자는 영문 등과 같이 하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쌍자음 기능, 이중받침 기능과 완성형으로 이루어지는 한글도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226단계에서 문자의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어코드(*키에 해당하는 DTMF신호, 이하 완료제어코드라 함)가 수신되는가를 감지한다. 상기 완료제어코드의 수신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다음 문자의 수신을 위하여 상기 220단계, 222단게와 224단계를 통하여 수신되는 문자코드를 하나의 문자코드를 하나의 문자코드 단위로 분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226단계에서 완료제어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28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22)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프린터(118)를 통해 인쇄한다.
상술한 동작은 팩시밀 리가 수신모드로 설정되어 있어 별도의 제어가 필요 없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동작이라 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고 상기 212단게에서 통화모드와 같이 문서의 전송이 불가능한 모드가 설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230EKSRP로 진행하면 병렬 접속된 전화기(124)가 훅크-오프되는 가를 감지한다. 상기 훅크-오프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32단게에서 상기 NCU(112)를 제어하여 공중전화망(PSTN) 상기 전화기(124)측으로 연결하여 음성통화루프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236단계와 238단게에서 음성통화모드가 수행되기 시작하여 종료될 때까지 234단계에서OPE(120)로부터 무문서 수신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수신측 사용자에 의해 기능키가 눌리는가를 감지한다. 만약 상기 234단계에서 무문서 수신 기능키의 눌림이 감지되면,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20단계로 진행하여 무문서 수신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무문서 수신기능은 상기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216단계 또는 234단게에서 무문서 수신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Call me at six라는 무문서를 송신 및 수신하여 인쇄하는 과정을 일 예를 들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송신측의 외부전화기를 사용하여 상기 무문서에 해당하는 숫자코드와 제어코드를 13#11#22#22#23#15#11#20#29#19#34#*의 순서로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팩시밀리는 상기 눌린 키에 대응되는 DTMF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상기 수신되는DTMF신호를 #키에 해당하는DTMF신호에 따라 하나의 문자씩 분석하여 저장하게 된다. 분석하는 과정은 13에 해당하는 DTMF신호를 분석하여 'C라는 문자를 분석해 내게되며, 상기 분석된 C라는 데이터는 메모리(122)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된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122)에 저장되며, 완료제어코드인 *키에 해당하는 DTMF신호가 감지되면 프린터(120)를 통하여 Call me at six라고 인쇄하게 된다.
또 단른 예로 한글을 WANANS서로 수신하여 인쇄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이때에는 표 1에 도시한 메모리 테이블과는 달리 영문이 아닌 자음과 모음이 기록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하면 아래 표 2와 같다.
상기 표 2를 참조하여 문서를 송신하겠습니다라는 무문서를 전송한다고 가정하면, 외부전화기의 사용자는 문'을 전송하기 위해 '153112에 해당하는 숫자키를 누른 후 문자와 문자를 구분하기 위한 #을 누를 것이다. 다음으로 서를 전송하기 위해 1727을 누른 후#을 누를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수신되는 문자코드는 제2도에 도시한 220단계와 222단계를 반복 수행함에 따라 수신되거나 문자와 문자르 구분할 것이다. 즉, 153112'를 수신한 후#이 수신되면 224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코드에 대응하는 문자인문을 저장한 후 다음으로 수신되는 1727을 처리한다.
이와 같이 한글의 전송이 가능한 것은 문자와 문자를 구분하기 의한 구분제어코드가 존재하이다. 만약 상기 구분제어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빨리빨리 같이 쌍자음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정확한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한편, 문단을 구분하기 위한 문자코드(RT)를 추가하여 송신측의 사용자가 임의의로 무문서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수신한 무문서를 인쇄시 가로와 세로 글자를 정해진 칼럼에 의해 인쇄하며, 일반 워드르로세서의 기능과 마찬가지로 저장된 문자 데이터가 조합되어 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쇄하는 방법은 수신이 완료된 후 바로 인쇄하는 방법과, 상기 메모리(122)에 보관하였다가 설정 분량을 한꺼번에 인쇄하는 방법이 있을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며은 팩시밀 리가 없는 장소에서 일반전화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문자로 송신이가능하며, 특히 수신측이 부재중인 경우에 문자로 이루어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문자코드에 대응하여 문자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테이블을 구비한 팩시밀리에 있어서, 착신 링에 의래 문서 수신을 위한 루프를 형성하여 송신측으로부터 기능 선택코드가 수신되는 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기능선택코드가 수신될 시 무문서 수신모드를 설정하여 외부로부터 짝수이며, 적어도 두 개의 문자코드를 수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문자코드를 수신하는 중 외부로부터 구분제어코드의 수신을 감지하는 제3과정고, 상기 구분제어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제2과정에서 수신한 문자코드의 연속되는 두 개의 문자코드를 하나의 묶음으로 하여 상기 묶음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태이블에 의해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문자 데이터으 조합에 의한 문자를 저장하는 제4과정과, 상기 문자 데이터의 저장이 이루어지면 외부로부터 완료제어코드의 수신을 검사하여 상기 완료제어코드의 수신이 검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과정으로 리턴하는 제5과정과,상기 완료제어코드의 수신이 검사되는 경우에 상기 제4과정에서 저장한 문자를 인쇄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지으로 하는 무문서 수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코드는 송신측 단말기에 구비된 숫자키의 눌림에 의해 발생된 DTMF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문서 수신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제어코드와 상기완료제어코드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에 구비된 특수키가 눌림에 의해 발생된 DTMF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문서 수신방법.
  4. 문자코드에 대응하여 문자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테이블과 병렬 접속되어 음성 통화기능을 제공하는 전화기ㅣ를 구비한 팩시밀리에 있어서, 착신 링을 검출하는 경우 현재 설정된 모드가 문서 수신이 가능한 모드인지를 검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문서 수신이 불가능한 모드라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의 훅크-오프에 의해 음성 통화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통화모드가 수행되는 중에 사용자에 의해 기능선택코드가 선택되는 가를 감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문서 수신이 가능한 모드라고 판단하는 경웅 문서 수신을 위한 루프를 형성하여 송신측으로부터 기능선택코드가 수신되는 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 및 상기 제3돠정에서 기능선택코드가 수신 될 시무문서 수신모드를 설정하여 외부로부터 짝수이며, 적어도 두 개의 문자코드들 수신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문자코드를 수신하는 중 외부로부터 구분제어코드의 수신을 감지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구분제어코드의 수신을 감지한면 상기 제4과정에서수신한 문자코드의 연속되는 두 개의 문자코드를 하나의 묶음으로 하여 상기 묶음에 대음하는 문자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테이블에 의해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문자 데이테의 조합에 의한 문자를 저장하는 제6과정과,TKDRL 문자 데이터의 저자잉 이루어지면 외부로부터 완료제어코드의 수신을 검사하여 상기 완료제어코드의 수신이 검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4과정으로 리턴하는 제7과정과,상기 완료제어코드의 수신이 검사되는 경우에 상기 제6과정에서 저장한 문자를 인쇄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문서 수신방법.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코드는 송신측 단말기에 구비된 숫자키의 눌림에 의해 발생된DTMF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문서 수신방법.
  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제어모드와 상기 완료제어코드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에 구비된 특수키가 눌림에 의해 발생된DTMF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문서 수신방법.
KR1019950052589A 1995-12-20 1995-12-20 팩시밀리에서 무문서 수신방법 KR100194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2589A KR100194425B1 (ko) 1995-12-20 1995-12-20 팩시밀리에서 무문서 수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2589A KR100194425B1 (ko) 1995-12-20 1995-12-20 팩시밀리에서 무문서 수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737A KR970056737A (ko) 1997-07-31
KR100194425B1 true KR100194425B1 (ko) 1999-06-15

Family

ID=6664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2589A KR100194425B1 (ko) 1995-12-20 1995-12-20 팩시밀리에서 무문서 수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4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737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9559A (en) Facsimile apparatus with a mode for receiving non-image information
GB2147769A (en)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ing pushphone and information reception apparatus
JPH04211565A (ja) 画像蓄積機能付き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194425B1 (ko) 팩시밀리에서 무문서 수신방법
US6049397A (en) Technique for printing call-back information in a facsimile machine combined with automatic answering machine
KR950006750B1 (ko) 팩시밀리의 메세지 수신 보고방법 및 장치
JPH03232360A (ja) 画像受信装置
KR19980073400A (ko) 다기능 원터치키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및 원터치 다이얼링 방법
KR970003393B1 (ko) 팩시밀리에 있어서 텔리메틱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100202417B1 (ko) 팩시밀리에서 식별정보 음성 안내방법
KR0143169B1 (ko)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호출방법
KR100233719B1 (ko) 팩시밀리에서 부재중시 팩스메시지 수신통보방법
KR100452679B1 (ko) 음성우편기능을갖는팩시밀리에서화상정보수신통보방법
JPH1032254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268970B2 (ja) 通信端末装置
KR100202378B1 (ko) 팩시밀리 기능을 구비한 전화기의 전화통화시 메모방법
KR100233659B1 (ko) 팩시밀리의 단축키 구조 및 그에 의한 다이얼링 방법
JP2637507B2 (ja) 通信装置
JPH0715549A (ja) 通信端末装置
JPH0514671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KR960003271A (ko) 팩시밀리의 부재중 수신메세지 통보방법
KR19990075200A (ko) 사용자의 부재시 수신측 상황 안내 방법
KR19980065859A (ko) 무선전화 겸용 팩시밀리장치에서 음성 메세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JPH073070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8307510A (ja) オートダイアラ装置及び該装置を内蔵した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