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274B1 -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274B1
KR100194274B1 KR1019910012818A KR910012818A KR100194274B1 KR 100194274 B1 KR100194274 B1 KR 100194274B1 KR 1019910012818 A KR1019910012818 A KR 1019910012818A KR 910012818 A KR910012818 A KR 910012818A KR 100194274 B1 KR100194274 B1 KR 100194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fitting member
frame
fit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214A (ko
Inventor
요시이치 후지무라
우라 시즈타카 미쯔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쥬이치로
Publication of KR92000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2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hav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충돌 등의 긴급시에 시이트벨트의 인출을 잠그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제2끼움부재가 시이트벨트 끼움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때에 제2끼움부재의 앞측 가장자리부가 최초로 시이트벨트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 제2끼움부재의 앞쪽 가장자리가 최초로 시이트벨트에 접촉한 초기 접촉상태에 있어서, 그 앞쪽 가장자리부와 샤프트 축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이, 샤프트 축 중심에서 프레임 배판부에 내린 수직선에 대하여 교차하는 각도를 α로 하고, 초기 접촉상태에 있어서 제2끼움부재의 시이트벨트 접촉면과 프레임 배판부가 교차하는 각도를 β로 하였을 때, 각도 α°는 19°보다 작고, 각도 β는 13°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의 시이트벨트 리트렉터에 있어서는, 시이트벨트가 잠금작동초기에 급격하고도 강력하게 끼움부재 사이에 끼워지도록 잠금 특성이 뛰어나며, 또 시이트벨트와 끼움부재와의 슬라이드 이동은 매끄럽게 되어, 시이트벨트에 보푸라기가 생기는 일이 없어 내구성이 좋다.

Description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제1도는 실시예에 관한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동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리일잠금 기구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V-V선에 따르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종단면도.
제6도는 가이드부재 및 제1금속보강부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14 : 측벽부
16 : 배판부 18 : 시이트벨트
20 : 리일 22 : 리일잠금기구
24 : 벨트잠금기구 44 : 잠금링
66,68 : 장출부 74 : 훅
96 : 플라니휠 120 : 제1끼움부재
122 : 가이드부재 134 : 샤프트
136 : 제2끼움부재 138a : 앞측 가장자리부
180 : 금속제 보강부재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시이트벨트장치의 리트랙터에 관하려, 특히 차량 충돌 등의 긴급시에 시이트벨트의 인출을 멈추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에 있어서 차량충돌시 등의 긴급사태 발생시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시이트벨트장치가 자동차 좌석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이트벨트 장치에 있어서의 시이트벨트는, 차체강도부재에 장착된 긴급멈춤식 리트랙터에 감기도록 되어 있다.
이 리트랙터에 있어서는, 탑승자가 시이트벨트를 장착할 때에는, 시이트벨트는 리트랙터장치로부터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차량이 평상시에 있을 때에도 시이트벨트를 자유롭게 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탑승자의 이동을 구속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차량 충돌시와 같은 긴급사태 발생시에는, 그 충격력이나 급격한 가속도를 감지 하는 것에 의하여 리일잠금기구가 작동하여 시이트벨트를 감고있는 리일의 회전 운동을 멈춘다.
이 리일의 회전을 멈추는 것에 의하여 시이트벨트는 탑승자를 구속하여 탑승자가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여 탑승자를 보호한다.
그런데, 리일잠금기구는, 시이트벨트를 감고있는 리일자체의 회전은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으나, 이 리일이 멈추어 있어도 리일에 감겨있는 시이트벨트가 조임에 의하여 인출되는 일이 있다. 이 조임에 의한 시이트벨트의 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 제3도~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이트벨트가 제안 되었다.
제3,4도와 같이, 프레임(10)은 평행한 1쌍의 측벽부(12)(14)와, 이들 측벽부(12)(14)를 연결하는 배판부(16)를 보유하고 있다.
이 프레임(10)의 하측에 시이트벨트(18)을 감기 위한 리일(20)과, 리일(20) 긴급시의 잠금기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10)의 상측에, 리일(20)로부터 감겨나온 시이트벨트(18)의 긴급시의 인출을 저지하기 위한 벨트잠금기구(24)가 설치되어 있다.
먼저, 이 리일잠금기구(22)의 구성에 대하여 주로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양 측벽부(12)(14)에는 같은 축 위에 지지구멍(26)(28)이 형성되고 양 구멍(26)(28)에는 리일용 샤프트(30)가 합성수지제의 부시(32)를 매개로 하여 상시한 축 중심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샤프트(30)에 리일(20)이 끼워져 있다.
상기한 샤프트(30)의 한쪽 끝에는 복귀스프링(34)의 중심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복귀스프링(34)의 외주단은 커버(36)를 매개로 하여 측벽부(12)에 고정되어 있다.
시이트벨트(18)를 인출하면, 복귀스프링(34)을 누루는 방향으로 리일(20)이 회전한다.
시이트벨트(18)에서 손을 떼면, 복귀스프링(34)의 힘에 의하여, 리일(20)이 회전하고, 시이트벨트(18)가 자동적으로 리일(20)에 감기게 된다.
그리고 시이트벨트(18)가 인출될 때에는, 리일(20) 및 리일용 샤프트(30)는 화살표(A1)방향으로 회전한다.
측벽(14)의 외면측에는, 리일잠금기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리일잠금기구(22)는, 리일용 샤프트(30)의 타단부에 샤프트(30)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라쳇휠(38)을 보유하고 있다.
라쳇휠(38)의 바깥쪽에는 샤프트(30)의 회전축 중심과 같은 중심의 돌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40)에는 타이플레이트(42)의 개구(43)가 끼워져 있다.
또, 돌출부(40)에는 잠금링(44)의 중심구멍(48)이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된 걸림구멍(스프링 행거)(52)에 걸리고, 다른쪽 끝은 잠금링(44)의 걸림구멍(스프링행거)(54)에 걸려 있다.
잠금링(44)에는 내치(56)가 설치되어 있다.
잠금링(44)에 형성된 스프링행거(54)와 타이플레이트(42)에 형성된 스프링커버(52)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50)에 의하여 잠금링(44)에는 화살표(A2)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힘이 부여 되어 있다.
프레임(10)의 측벽부(14)에는 제동레버(58)의 기단측이 축핀(60)에 의하여 피봇팅되어 있다.
이 레버(58)의 선단은 라쳇휠(38)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레버(58)의 중도부분에는 핀(62)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축핀(60)에는 타이플레이트(42)의 선단측개구(64)가 끼워 맞춤되어 있다.
잠금링(44)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치한 위치에 2개의 장출부(66)(68)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장출부(66)는 제동레버(58)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것이고, 다른 쪽의 장출부(68)는 벨트잠금기구(24)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잠금링(44)의 장출부(66)에는 원호형상의 긴구멍(70)이 설치되고, 그 긴구멍(70)에 제동레버(58)의 돌출핀(62)이 삽입되어 있다.
잠금링(44)에 중심구멍(48)을 관통하여 그 외측에 돌출한 샤프트(30)의 돌출부(40)에, 훅리테이너(72)가 고정되어 있다.
이 훅리테이너(72)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훅(74)을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76)(78)가 직경 방향으로 대치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76)(78)에 훅(74)의 구멍(80)(82)이 삽입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훅리테이너(72)에 대하여 훅(74)이 돌출부(76)(78)를 연결하는 방향(B1, B2 방향)에 직선적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훅리테이너(72)와 훅(74)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84)이 장치되고, 훅(74)은 화살표(B1)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훅(74)의 외측 가장자리 일부에는, 잠금링(44)의 내치(56)에 걸어 맞춤 가능한 네일(86)이 설치되어 있다.
또 훅(74)의 외측면에는 연결핀(88)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훅(74)은 통상시에 있어서 압축 코일스프링(84)에 의해 활살표(B1)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제4도의 왼쪽으로 이동한 위치를 취하고 있고, 이 결과 네일(86)은 내치(56)로부터 이탈하고 있다.
상기한 연결핀(88)에는, 링형상으로 형성된 마찰걸림부재(9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된 걸림구멍(92)이 끼워져 있다.
마찰걸림부재(90)에는, 라쳇(94)을 보유한 플라이휠(96)이 외측에서 끼워져 있다.
플라이 휠(96)은, 그 중심구멍이 샤프트(30)의 돌출부(40)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이플라이휠(96)은 상당히 짧은 통형상이고 그 내측에는 마찰걸림부재(90)가 내측에 끼워져 있다.
마찰걸림부재(90)의 외주부에는 원호형상의 스프링(98)이 장착되어 있고, 이 스프링(98)이 플라이 휠(96)의 내주면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플라이 휠(96)은 마찰걸림부재(90)에 대하여 마찰력을 받으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99는 플라이휠(96)의 누름용 리벳이고 상기한 돌출부(40)의 앞 끝면 구멍(40A)에 끼워지게 된다.
프레임(10) 측벽부(14)에는, 제3도와 같이 록기동장치(100)가 부착되어 있다. 이 록기동장치(100)는, 측벽부(14)에 고정된 케이스(104)와, 케이스(104)내에 느슨하게 끼워 지지된 타원형상의 작동자(106)와, 작동자(106) 상면에 대하여 돌기(108)가 맞닿아 있는 작동편(110)과, 그 작동편(110)의 기단측을 피봇팅하는 지지부(112)등을 갖추고 있다.
제4도와 같이 조립되는 리일록기구(22)에 대하여, 제3도와 같이 커버(114)가 씌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이트벨트의 리트랙터에 있어서, 시이트벨트(18)를 탑승자가 인출할 때에는, 플라이 휠(96)과 작동편(110)은 비걸어맞춤 상태에 있고, 리일(20) 및 샤프트(30)는 자유회전하며 시이트벨트(18)가 자유롭게 감기어 나온다.
그리고, 시이트벨트(18)를 인출하는 힘을 놓으면 샤프트(30)는 커버(36)내의 복귀스프링(34)에 의하여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이트벨트(18)가 리일(20)에 감기게 되었다.
차량의 충돌등에 의하여 큰 속도변화를 받으면, 록기동장치(100)가 작동하여 시이트벨트(18)의 감겨나오는 것이 저지된다.
즉, 록기동장치(100)에 큰 가속도가 걸리면, 작동자(106)가 경사진다.
그러면, 돌기(108)를 매개로 하여 작동현(110)이 밀려 올라가고 그 작동편(110)의 선단이 들어 올려지고 그 선단이 플라이휠(96)의 외주면 라쳇(94)과 걸어 맞춤되어, 플라이휠(96)이 정지된다.
이러한 플라이휠(96)이 회전정지에 따라서, 마찰걸림부재(90)도 정지한다.
한편, 차량충돌에 수반하여 시이트벨트(18)가 감겨 나오려고 하기 때문에, 리일 샤프트(30)가 화살표(A1)방향으로 회전하다.
이 리일샤프트(30)의 회전에 따라서, 훅리테이너(72) 및 훅(74)도 화살표(A1)방향으로 회전하려 한다.
그런데, 핀(88)에 걸려있는 마찰걸림부재(90)의 회전이 정지하고 있으므로, 훅(74)은 그 상태로는 회전되지 않고, 훅리테이너(72)가 A1방향으로 회전 운동한 비율 만큼 훅(74)은 화살표(B2)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네일(86)이 잠금링(44)의 내치(56)와 걸어 맞춤된다.
이결과, 잠금링(44)도 리일용 샤프트(30)의 회전에 끌려서 화살표(A1)방향으로 회전운동 한다. 그렇게 되면, 장출부(66)도 A1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장출부(66)의 긴구멍(70)에 걸어 맞춤된 핀(62)을 보유한 제동레버(58)가 화살표(C1)방향으로 회전운동 한다.
이로 인하여, 자동레버(58)의 선단이 리일용 샤프트(30)의 라쳇휠(38)에 걸어 맞춤되고, 리일용 샤프트(30) 및 리일(20)이 견고하게 멈춤상태로 된다.
다음에, 벨트잠금기구(24)의 구성에 대하여 제3도,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레임(10)의 배판부(16) 상반부에 제1끼움부재(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끼움부재(120)는, 그 배판부(16)를 따라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홀더(123)와, 홀더(123)에 지지된 레시버(124)와 레시버(124)를 하방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126)을 구비하고 있고, 레시버(124)의 전면은 파형의 요철면으로 되어 있다.
122는 시이트벨트(18)의 가이드부재이다.
이 가이드부재(122)는,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형상이고, 그 상부 및 하부에는, 시이트벨트(18)의 삽입관통구멍(127)(129)이 슬릿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22)는 합성수지제이다.
프레임(10)의 측벽부(12)(14)에는 개구(130)(132)가 같은 축 위에 설치되어 있고, 이 개구(130)(132)사이에 샤프트(134)가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134)에 제2끼움부재(136)의 지지구멍(138)이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하여, 제2기움부재(136)가 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5도와 같이, 제2끼움부재(136)의 자유단측에는 반원주모양의 푸셔(pusher)(138)가 설치되어 있고, 이 푸셔(138)의 레시버(124)와의 대향면은 파형의 요철면으로 되어 있다.
이 푸셔(138)와 레시버(124)사이에 시이트벨트가 통하여져 있다. 제2기움부재(136)의 측면에는 핀(140)(제3도)이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핀(140)은 프레임(10) 측벽부(14)의 긴구멍(142)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프레임(10)의 측벽부(14) 외면에는, 피봇팅핀(144)에 의하여 록커아암(146)이 피봇팅되어 있다.
록커아암(146)은 L자의 절곡형상이고, 한쪽 끝에는 핀(140)을 걸어 맞춤 가능한 절삭부(148)가 설치되어 있다.
록커아암(146)의 다른똑 끝에는 레버(150)의 상단이 피봇팅된 관절부(152)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150)는, 도면의 E방향으로 극히 약간의 각도만 회전 운동 할 수 있도록 록커아암(146)의 관절부(152)에 피봇팅되어 있다.
레버(150)의 하단은 잠금링(44)의 장출부(78)의 겹치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고, 그 하단부분에 핀(154)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핀(154)은 장출부(68)에 설치된 긴구멍(156)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피봇팅핀(144)에는, 스프링(158)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58)의 한쪽 끝은, 프레임(10) 측벽부(14)의 구멍(160)에 걸리고, 다른쪽 끝은 록커아암(146)의 구멍(162)에 걸려 있다.
스프링(158)은, 록커아암(146)을 화살표(G1)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벨트잠금기구(24)의 작동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차량이 평상시에 있을 때에는, 록커아암(146)은 스프링(158)에 화살표(G1)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핀(140)을 화살표(G1)방향으로 누르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제2끼움부재(136)는, 자유단측의 푸셔(138)가 제1끼움부재(120)의 레시버(124)로부터 떨어지고, 푸셔와 레시버(124)사이를 시이트벨트(18)가 자유롭게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차량 충돌시 등의 긴급시에는, 상기와 같이 록기동장치(100)의 작동자(106)가 경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작동편(110)이 플라이휠(96)의 라쳇(94)에 걸어 맞춤되고, 잠금링(44)이 화살표(A1)방향으로 회전운동 한다.
그리고 다음의 ①-⑤와 같이 순차로 작동하여 시이트벨트(18)가 잠긴 상태에 이른다.
① 잠금링 장출부(68)의 A방향으로 회전 운동에 의하여 핀(154)이 긴구멍(156)의 하단측으로 이동한다.
즉, 레버(150)가 E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② 레버(150)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선단부(150a)가 라쳇휠(38)과 걸어 맞춤된다.
③ 라쳇휠(38)의 회전에 의하여, 레버(150)가 들어올려 진다. 즉, 피봇팅핀(144)을 중심으로 하여 록커아암(146)이 G2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에 의하여 핀(140)은 G2방향으로 눌려진다(그리고, 이때 아직 제동레버(58)는 라쳇휠(38)과 걸어 맞춤되지 않는 위치에 있도록 긴구멍(70)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④ 이 결과, 제2끼움부재(136)의 푸셔(138)는 제1끼움부재(120)의 레시버(124)로 향하여 이동하고, 푸셔(138)와 레시버(124)사이에서 시이트벨트(18)를 끼운다.
⑤ 한번 시이트벨트(18)가 푸셔(138)와 레시버(124)사이에 맞물리면, 시이트벨트(18)의 인출방향 푸셔(138)와 레시버(124)를 접근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되어, 시이트벨트(18)는 푸셔(138)와 레시버(124)사이에서 상당히 강력하게 끼워져, 인출방향으로의 이동이 강력 저지된 잠긴상태로 된다.
상기한 종래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잠금 작동시에 제2끼움부재(136)가 회전 운동하여 제1끼움부재(120)와의 사이에서 시이트벨트(18)를 끼우기 시작한 상태에 있어서는, 시이트벨트(18)가 양 끼움부재(120), (136)에 대하여 약간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있다.
이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푸셔(138)나 레시버(124)의 시이트벨트 접촉면의 요철을 날카로운 톱니형상으로 하는 것이 고려되나, 이와 같이하면, 톱니선단이 시이트벨트(18)의 표면을 긁기 때문에 시이트벨트(18)에 보푸라기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는, 대향하는 1쌍의 측벽부 및 측벽부 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배판부를 보유한 프레임과, 그 프레임 측벽부끼리의 사이에 설치된 시이트벨트 감기용 리일과, 프레임의 배판부에 설치된 시이트벨트 끼움용 제1끼움부재와, 프레임의 측벽부끼리의 사이에 설치된 샤프트와 ,한쪽 끝에 설치된 지지구멍이 샤프트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그 프레임에 피봇팅되어 있고, 다른쪽 끝의 자유단측이 제1끼움부재에 겹치는 위치와 제1끼움부재에서 떨어진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된 제2끼움부재와, 차량의 긴급시에 제2끼움부재를 제1끼움부재에 겹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잠금작동 수단을 구비한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제2끼움부재가 시이트벨트 끼움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때에 제2끼움부재의 앞측 가장자리부가 최초로 시이트벨트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제2끼움부재의 앞측 가장자리부가 최초로 시이트벨트에 접촉한 초기접촉상태에 있어서, 그 앞측 가장자리부와 샤프트 축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이, 그 샤프트축 중심에서 프레임 배판부에 내린 수직선에 대하여 교차각도를 α로 하고, 그 초기접촉상태에 있어서 제2끼움부재의 시이트벨트 접촉면과 프레임 배판부가 교차하는 각도를 β로 하였을 때, 각도 α는 19°보다 작고, 각도 β는 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작용]
이러한 본 발명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제2끼움부재의 앞측 가장자리부는, 잠금작동 초기에 제2끼움부재를 피봇팅하는 샤프트 축심으로부터 프레임 배판부에 내린 수직선에 가까운 개소에 있어서 제1끼움부재와의 사이에서 시이트벨트를 끼우기 시작한다.
따라서, 시이트벨트는 처음부터 상당히 강력하게 양 끼움부재 사이에 끼워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제2끼움부재의 앞측 가장자리부가 최초에 시이트벨트에 접촉한 초기접촉상태에 있어서, 제2끼움부재의 시이트벨트 접촉면과 프레임 배판부의 교차각도가 크다.
즉, 제2끼움부재의 시이트벨트 접촉면은 시이트벨트에 대하여 깊은 각도로 맞닿으려 한다.
이 때문에 제2끼움부재의 앞측 가장자리부에 시이트벨트 끼우는 힘이 집중하게 되어, 제2끼움부재가 시이트벨트 장력을 받아서 상기한 수직선으로 향하여 급속하게 외전 운동하여 시이트벨트가 양 끼운부재 사이에 급속하게 끼어 들어가게 된다.
[실시예]
제1도는 실시예에 관한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분해도, 제2도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제1, 제2도에 있어서, 종래예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로서 표시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도에 표시한각도 α,β는, α = 18.1°, β = 14°로 되어 있다.
이 각도 α는 선분(a)과 수직선 (h)의 교차각이다.
수직선(h)은 샤프트9134)의 축 중심에서 프레임 배판부(16)에 내린 수직선이다.
선분(a)은 제2끼움부재(136)가 잠금 작동시에 최초로 시이트벨트(18)에 접촉한 초기상태(제2도 상태)에 있어서, 끼움부재(136)를 구성하는 푸셔(138)의 앞측 가장자리부(시이트벨트와 최초로 접촉하는 부분)(138a)와 그 샤프트(134)의 축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이다.
또, 각도 β는, 그 초기접촉상태에 있어서 제2끼움부재(136)의 푸셔 (138)의 샤프트 접촉면과 프레임 배판부(16)의 교차각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는, 잠금작동 초기에 앞측 가장자리부(138a)가 접촉하고, 제1 및 제2끼움부재(129)(136)사이에서 시이트벨트(18)를 끼우기 시작한다.
따라서, 시이트벨트(18)는 최초부터 강력하게 양 끼움부재(120)(136)사이에 끼우게 된다.
또, 초기접촉상태에 있어서는, 푸셔(138)의 시이트벨트 접촉면이 시이트벨트(18)에 대하여 깊은 각도로 닿게 되기 때문에, 앞측 가장자리부(138a)에 시이트벨트 끼움력이 집중하게 되며, 제2끼움부재(136)가 시이트벨트(18)의 장력을 받아서 수직선(h)에 향하서 급속하게 회전 운동하고, 시이트벨트(18)가 양 끼움부재(120)(136)사이에 급속하게 끼어 들어가게 된다.
또, 레시버(124)나, 푸셔(138)에 날카로운 톱니형상 요철을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시이트벨트(18)의 보푸라기 발생도 방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수지제 가이드부재(122)의 삽입관통구(129)부분을 보강하는 금속보강부재(180)가 프레임(10)의 측벽부(12),(14)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182,184는 측벽부(12),(14)에 설치된 금속보강부재(180)의 부착 구멍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시이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는, 시이트벨트가 잠금작동 초기에 급속하고 또한 강력하게 끼움부재 사이에 끼워 지도록 되고, 잠금특성이 뛰어나고, 또 시이트벨트와 끼움부재와의 슬라이드 이동은 매끄럽고, 시이트벨트에 보푸라기가 생기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좋다.

Claims (2)

  1.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12)(14) 및 그 측벽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배판부(16)를 보유한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측벽부끼리의 사이에 설치된 시이트벨트 감리용 리일과, 그 프레임(10)의 배판부(16)에 설치된 시이트벨트 끼움용 제1끼움부재(120)와, 프레임(10)의 측벽부끼리 사이에 설치된 샤프트(134)와, 한쪽 끝에 설치된 지지구멍이 그 샤프트(134)에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프레임(10)에 피봇팅되어 있고, 다른쪽 끝의 자유단측이 제1끼움부재와 겹치는 위치와, 제1끼움부재(120)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회전운동 가능하게 된 제2끼움부재(136)와, 차량 긴급시에 제2끼움부재(136)를 제1끼움부재(120)에 겹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잠금 작동수단을 구비한 시이트벨트 리트렉터에 있어서, 제2끼움부재(136)가 시이트벨트를 끼우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될 떼에 제2끼움부재(136)의 앞측 가장자리(138a)가 최초로 시이트벨트(18)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2끼움부재(136)의 앞측 가장자리부(138a)가 최초로 시이트벨트에 접촉한 초기접촉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앞측 가장자리부(138a)와 상기한 샤프트축중심을 연결하는 선분이, 샤프트축 중심에서 프레임 배판부(16)에 내린 수직선(h)에 대하여 교차하는 각도 α로 하고, 그 초기 접촉상태에 있어서 제2끼움부재(136)의 시이트벨트 접촉면과 프레임 배판부(16)가 교차하는 각도를 β로 하였을 때, 각도 α는 19°보다 작고, 각도 β는 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KR1019910012818A 1990-08-01 1991-07-25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KR100194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04815 1990-08-01
JP2204815A JP2913789B2 (ja) 1990-08-01 1990-08-01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214A KR920004214A (ko) 1992-03-27
KR100194274B1 true KR100194274B1 (ko) 1999-06-15

Family

ID=1649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818A KR100194274B1 (ko) 1990-08-01 1991-07-25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156356A (ko)
JP (1) JP2913789B2 (ko)
KR (1) KR100194274B1 (ko)
AU (1) AU635480B2 (ko)
CA (1) CA2047864A1 (ko)
DE (1) DE4125531A1 (ko)
ES (1) ES2043514B1 (ko)
FR (1) FR2665403A1 (ko)
GB (1) GB2246506B (ko)
IT (1) IT12511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8904Y2 (ja) * 1991-06-13 1998-04-22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
JP2574488Y2 (ja) * 1992-09-07 1998-06-11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ー
US7407184B2 (en) * 2003-06-16 2008-08-0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Micro gas generator including an initiator blast shiel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73502B (sv) * 1971-08-24 1975-02-10 S M Lindblad Upprullningsdon for sekerhetsselar
JPS5332128B2 (ko) * 1971-09-18 1978-09-06
DE3576941D1 (de) * 1984-12-21 1990-05-10 Autoliv Kolb Gmbh & Co Sicherheitsgurtsystem.
DE3543959C2 (de) * 1984-12-21 1998-06-10 Autoliv Kolb Gmbh & Co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Gurt-Klemmvorrichtung
DE3725223A1 (de) * 1987-07-30 1989-02-09 Autoflug Gmbh Klemmvorrichtung
DE8914928U1 (ko) * 1988-04-06 1990-03-01 Autoflug Gmbh & Co Fahrzeugtechnik, 2084 Rellingen, De
KR900001552A (ko) * 1988-07-27 1990-02-27 다까다 쥬우이찌로오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
US5029770A (en) * 1988-09-30 1991-07-09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Webbing retractor
JPH0785979B2 (ja) * 1989-09-11 1995-09-20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3197257A (ja) * 1989-12-26 1991-08-28 Takata Kk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3231055A (ja) * 1990-02-05 1991-10-15 Takata Kk シートベルトのクランプ装置
JPH07100431B2 (ja) * 1990-06-28 1995-11-01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913790B2 (ja) * 1990-08-01 1999-06-28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767756B2 (ja) * 1990-08-01 1998-06-18 タカタ 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912074A0 (it) 1991-07-26
GB2246506B (en) 1994-04-27
GB2246506A (en) 1992-02-05
DE4125531A1 (de) 1992-02-06
US5156356A (en) 1992-10-20
ES2043514A1 (es) 1993-12-16
GB9115937D0 (en) 1991-09-11
JP2913789B2 (ja) 1999-06-28
IT1251117B (it) 1995-05-04
AU635480B2 (en) 1993-03-18
AU8150391A (en) 1992-02-06
KR920004214A (ko) 1992-03-27
ITMI912074A1 (it) 1992-02-02
FR2665403A1 (fr) 1992-02-07
JPH0490945A (ja) 1992-03-24
ES2043514B1 (es) 1994-06-16
CA2047864A1 (en) 199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41977Y2 (ja) シ−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装置
US6131843A (en) Safety-belt retractor mechanism
EP0786384B1 (en) Seat belt retractor
JPH03551A (ja) 安全ベルト巻取り装置
KR100194274B1 (ko) 시이트벨트 리트랙터
JP2767756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3323831A (en) Retractable seat belt construction
US4726541A (en) Emergency locking retractor
US4830310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comfort mechanism
US4834313A (en) Emergency locking retractor
JP2001001863A (ja) 車の安全ベルト用のベルトリトラクターと力制限器との組立体
JPS6154615B2 (ko)
JP2780808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4725014A (en)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or a seat belt assembly
JP2913790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4792158A (en) Emergency locking device for an extractable strap in a vehicle safety belt
US6367728B1 (en) Belt winding device/belt tensioner combination with separable belt tensioner drive
JPH04123861U (ja) クランプ付リトラクター
EP1552992B1 (en) Belt retractor
JPH07100431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5065954A (en) Release mechanism
JPS6235633Y2 (ko)
JPS61205533A (ja) シ−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661610U (ja) クランプ付リトラクター
JPH04277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