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167B1 - 김초밥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김초밥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167B1
KR100194167B1 KR1019960023774A KR19960023774A KR100194167B1 KR 100194167 B1 KR100194167 B1 KR 100194167B1 KR 1019960023774 A KR1019960023774 A KR 1019960023774A KR 19960023774 A KR19960023774 A KR 19960023774A KR 100194167 B1 KR100194167 B1 KR 100194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ng
sushi
rotating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147A (ko
Inventor
히로시 오노
Original Assignee
히로시 오노
치바 미주에
치바 앤드 어소시에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16354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9893A/ja
Priority claimed from JP726180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03257A/ja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오노, 치바 미주에, 치바 앤드 어소시에이츠 filed Critical 히로시 오노
Publication of KR970000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167B1/ko

Links

Abstract

김초밥 제조장치(10)는 기저부(12)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기초판(16), 상기 기초판(16)의 대향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2 샤프트(18, 20), 제 1 샤프트(18)의 각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2 기어(26a, 26b)들 및 제 2 샤프트(20)의 각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 3, 4 기어(28a, 28b)들과 이중 제 1, 3 기어(26a, 28a) 및 제 2, 4 기어(26b, 28b)는 각각 서로 맞물려 있으며, 제 1, 2 샤프트(18, 20)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2 회전판(22, 24), 제 2 회전판(24)위에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면서 캠 부재(3aa, 38b)들을 구비하는 제 3 회전판(34) 그리고 밥(B)을 예정된 공간범위 내에서 예정된 두께로 형상화하기 위한 프레임(54) 등을 구비한다. 조작자마다 그 품질이 변하지 않는 양질의 김초밥을 만들어낼 수 있는 조작자에게 있어서 숙현된 기술과 경험이 굳이 필요로 하지않는 상기 김초밥 제조장치는 설치공간이 클 필요가 없으며, 비교적 용이한 유지관리만을 필요로 하며 그와 동시에 저혐한 제조비용을 필요로 한다.

Description

김초밥 제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김초밥 재조장치에 관한 평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김초밥 제조장치에 관한 저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김초밥 제조장치의 캠 부재에 관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김초밥 재조장치가 사용되는 방식율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6도는 제2도의 VI-VI 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로서, 기저판과 서로 편평하게 놓여있는 제 1 회전판 및 제 3 회전판을 도시하고 있다.
제7도는 제2도의 VI-VI 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로서, 제 1 회전판 내지 제 3 회전판이 각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8도는 제2도의 VI-VI 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로서, 제 1 회전판 내지 제 3 회전판이 제7도에 나타난 위치로부터 각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9도는 제2도의 VI-VI 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로서, 핀이 평탄면(straight surface)에 맞물리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0도는 제2도의 VI-VI 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로서, 완성된 초밥을 도시하고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김초밥 제조장치에 관한 평면도이다.
제13도는 제11도에 도시한 김초밥 제조장치의 캠 부재에 관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제14도는 제11도에 도시한 김초밥 제조장치가 사용되는 방식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한 김초밥 제조장치에 관한 평면도이다.
제17도는 제15도에 도시한 김초밥 제조장치의 캠 부재에 관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제18도는 제15도에 도시한 김초밥 제조장치가 사용되는 방식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재조장치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제20도는 제19도에 도시한 김초밥 제조장치에 관한 평면도이다.
제21도는 제19도에 도시한 김초밥 제조장치가 사용되는 방식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김초밥 제조장치 12 : 기저부
14a,14b : 장방형 케이싱 16 : 기초판
18,27,32 : 제 1, 2, 3 샤프트 26a,26b : 제 1, 2기어
22,24,34 : 제 1, 2, 3 회전판 28a,28b : 제 3, 4기어
30a,3eb : 베어링 36a,36b : 컬럼 부재
38,84(a, b) : 캠 부재 40a,40b : 핀
41a,41b : 곡면 42a,42b ; 평탄면
43 : 손잡이 44,40,48,80(a, b) : 스토퍼
S7a,50b : 스프링 52,104(a, b),100(a~e) : 구멍
54,110 : 프레임
58(a, b),112(a∼j) : 톱니, 치형부
102a, 102b : 체결 부재 108a,108b : 체결판
A : 김 B : 밥
C : 속 재료
본 발명은 기초판과 제 1, 2, 3 회전판 위에 김과 밥 및 속 재료를 놓고서 이 회전판들을 각운동시킴으로써 일본 스시(sushl)의 일종인 김초밥을 만들 수 있는 일명, 노리마키 (norimaki)라 불리는 김초밥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별명의 죽재 롤링 매트(bamboo rolling mat: 김밥말이발) 위에 김 등의 해초류와 밥 그리고 속 재료을 깔아놓고서 수동으로 말아 굴리며 김초밥을 연속적으로 만드는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해왔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외관상 그매트의 중심에 속 재료가 가지런히 능여진 모양이 좋은 김초밥을 만들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과 경험이 필요하였다. 그럼에 따라 김초밥의 품질은 사람마다 제각기 달랐으며, 김초밥의 수동 제조과정의 효율은 일반적으로 낮은 실정이었다.
상당수의 김초밥 전문점과 김초밥 포장가게에서는 김초밥의 대량생산용 자동 김초밥 제조장치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자동 김초밥 제조장치는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고, 관리하는데 매우 힘들며 동시에 관리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고, 김초밥의 제조 효율면에서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떨어진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비교적 크기가 작고 다루기가 용이하며 김초밥을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김초밥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관리하기가 편하면서 제조비용이 낮은 김초밥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숙현된 기술과 경험을 갖춘 조작자를 필요로 하지도 않으며 조작자가 바뀔때마다 그 품질이 변하지 않는 김초밥을 제조할 수 있고 설치공간이 클 필요가 얼는 김초밥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들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첨부도면과 연관시켜 보면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이해하기 용이해질 것이다.
제1,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는 종방향의 대향단부 상에 한쌍의 장방형 케이싱(14a, 14b)들이 배치된 기저부(12)를 구비하고 있다. 길다란 장방형와 기초판(16)은 기저부(12) 상에 견고하게 장착뢰며 케이싱(14a, 14b)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1, 2 샤프트(18, 20)들은 기초판(10)의 대향된 각 종방향 측면을 따라 케이싱(14a, 14b)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제 1, 2 샤프트(18, 20)들은 케이싱(14a, 14b)들로 연장하는 대향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회전판(22)은 제 1 샤프트(18)에 그리고 제 2 회전판(24)은 제 2 샤프트(20)에 각각 고정된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4a, 14b)들은 제 1 샤프트(18)의 각 단부에 고정되는 제 1, 2 기어(26a, 26b)들 및 제 2 샤프트(20)의 각 단부에 고정되는 제 3, 4 기어(28a, 28b)들을 수용한다. 여기서, 제 1 기어(2ea)는 제 3 기어(28a)와 그리고 제 2 기어(26b)는 제 4 기어(28b)와 각각 맞물려 있다.
제 1 기어(2ea)와 제 3 기어(28a)는 각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또한 제 2 기어(26b)와 제 4 기어(28b)도 각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 1, 2 회전판(22, 24)은 각각 제 1, 2 샤프트(18, 20)얘 대해 반대방향으로 각운동한다.
제 3 샤프트(32)는 한쌍의 베어링(30a, 30b)(제 3 도 참조)들매 의해 제 2 회전판(24) 상에 장착되며, 제 3 회전판(34)은 제 3 샤프트(32) 상에 장착된다. 79 부재(38a, 38b)들은 제 3 회전판(34)의 각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컬럼 부재(36a, 3eb)들에 의해 제 3 회전판(34)의 각 대향단부얘 고정된다.
핀(40a, 40b)듈은 기저부(12)에 결합된 케이싱(14a, 14b)들의 각 벽면 상에 장착되고, 캠 부재(38a, 38b)들의 외주면과 맞물려 고정된다. 제4도는 캠부재 (3aa, 3ab)들을 각기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재(38a, 38b)들은 각각의 곡면(41a, 41b) 및 이 곡면(41a, 41b)들에 연속되는 각각의 평탄면(42a, 42b: straight surface)을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43)(제1도 내지 제3도 참조)는 제 1 회전판(22)에 고정된다.
제 1, 2, 3 회전판(22, 24, 34)은 기저부(12)에 대해 제 1, 2, 3 회전판이 상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기 위해서 각기 쌍으로 되어있는 스토퍼(44a, 44b: 46a, 46b: 48a, 48b)듬을 구비하고 있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3 회전판(24, 34)이 통상 서로에 대해 하나의 동일 평면 상에 같은 높이로 있게 하도록 스토퍼(46a)와 스토퍼(48a) 사이 그리고 스토퍼(4eb)와 스토퍼(48b) 사이에 스프링 (50a, 50b)들이 연결된다. 제 3 회전판(34)은 김의 위치를 정하기 위한 표시부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구멍(52a, 52b)들을 구비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길다란 중공령 프레임(54)은 김초밥 제조장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프레임(54)을 사용할 경우, 프레임은 밥을 주어진 공간범위 내에서 지정두께로 형상화시키기 위해서 기초판(16) 및 제 1, 2, 3 회전판(22, 24, 34) 상에 놓인다. 여기서, 이 프레임(54)은 밥을 형상화하는데 필요할 때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프레임(54)은 종방향 대향단부 상에 장착되며, 각각의 핀(47a, 40b)을 수용하기 위해 각 흠(56a, 56b)들이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치형부(58a, 58b)들을 구비하며, 그립(grip: 60)은 프레임의 종방향 측면 테두리(연부) 중앙에 부착되어 이 프레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전술한 구조로 된 김초밥 재조장치(10)의 작동순서는 다음과 같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의 한쪽 연부가 구멍(S2a, S2b)들에 맞춰져 정렬되면서 미리 지정된 크기로 자른 김초밥용 김(A)이 기초판(16) 및 제 1, 2, 3 회전판(22, 24, 34) 상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나서, 핀(40a, 40b)들을 치형부(58a, 5ab) 내의 각 홈(56a, 56b) 내로 끼운 상태에서 프레임(54)을 김(A)위에 놓는다. 그후, 밥(B)율 프레임(54)의 폭과 깊이 만큼 충분히 프레임(54)내에 놓는다. 손으로 밥(B) 내부에 흠을 형성시키고, 박(calabash)의 속을 자른 조각 등을 포함한 속 재료(C)를 흠 내에 채운다. 그후에는, 제6도에 도시한 것처럼, 프레임(54)을 제거한다.
전술한 준비과정 이후, 김초밥 제조장치 (10)의 조작자는 제 1 회전판(22)이 샤프트(18)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각운동하도록 손잡이(43)를 수동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 2 회전판(24)은, 제7도에 도시한 것처럼, 제 1, 2, 3, 4 기어(26a, 26b, 28a, 2ab)들을 통해 샤프트(20)에 대해 자동적으로 상부방향으로 각운동하게 된다.
캠 부재(3aa, 3ab)들의 곡면(41a, 41b)들은 각각의 핀(40a, 40b)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제8도 참조), 제 3 회전판(34)이 회전하여 밥(B)이 랄리게된다(제9도 참조). 이때, 핀(40a, 40b)들은 캠 부재(3aa, 3ab)들의 각 평탄면(42a, 42h)에 맞물려 접한다. 손잡이(43)가 회전될때, 제 3 회전판(34)은 제 1 회전판(22)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며, 밥(B)은 제 1 회전판(22)과 제 2 회전판(24) 사이에서 강제로 압박된다. (제 10 도 참조) 그러면 밥(B)은 갑작스럽게 터지는 일이 얼이 견고하게 눌려진다. 결국, 손잡이(43)가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되돌아오면 김초밥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김초밥 제조장치(10)를 사용함으로써 조작자따다 숙련된 기술과 경험을 필요로 하지않고도 속 재료(C)가 중앙에 능여 보기에 좋게 곁들여진 김초밥을 만들어낼 수가 있다. 그렇게 만듈어진 김초밥의 품질은 조작자마다 변하지 않는다. 또한, 김초밥 제조장치(10)는 비교적 크기가 작고, 설치공간이 크지않으며, 비교적 용이한 유지관리만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는 제11도 내지 제14도를 통해 기술될 것이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와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의 각 부분들에 대해서 기술할 것이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와 동일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의 부분들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로 인용되며 상세히 기술하지는 않을 것이다.
제11도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70)는 기초판(16)의 각 대향단부에 인접하게 기초판(16) 상에 배치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안 한쌍의 세장형(細長型) 돌출부(ridge; 72a, 72b)들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54)은 프레임의 각 종방향 대향단부에 부착된 한쌍의 판형 부재(76a, 76b)들을 구비하는데, 이 판형 부재들 내부에는 흠(74a, 7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판형 부재(76a, 76b)들은 각각 돌출부(72a, 72b)에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제 3 회전판(34)은 샤프트(7aa, 78b)들에 의해 제 2 회전판(24) 상에 장착되며, 판(34)의 각 대향단부로부터 제 2 회전판(24)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스토퍼(80a, 80b)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스토퍼(80a, 80b)들은 제 3 회전판(34)이 기저부(12)에 대해 상부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제 3 회전판(34)의 임의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 2 회전판(24)에 작용한다. (제13도 참조) 캠 부재(84a, 84b)들은 제 3 회전판(34)의 각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스토퍼(80a, 80b)들로부터 각각의 스텝(step: 82a, a2b)들을 통하여 연장한다. 그러므로, 제 3 회전판(34)과 스토퍼(80a, 80b) 및 캠 부재(84a, 84b)들은 일체로 형성된다.
제 2, 3 회전판(24, 34)이 통상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으로 놓일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리테이너(86)와 제 2 샤프트(20)를 서로 탄성적으로 잡아당기도록 되어있는 스프링(90)에 의해, 스텝(82a)은 제 2 샤프트(20) 상의 리테이너(88)에 연결되는 삼각형상의 리테이너(86)를 구비하고 있다.
김초밥 제조장치(70)로 김초밥을 만들기 위해서는, 미리 지정된 크기로 자른 김초밥용 김(A)을 돌출부(72a, 72b) 사이의 기초판(10) 위에 놓는다. (제14도 참조) 그후, 프레임(54)을 김(A) 위에 올려 놓는데, 이때 돌출부(72a, 72b)는 판형 부재(76a, 76b) 내의 각각의 흠(74a, 74b)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나서, 밥(B)과 속 재료(C)를 프레임(54) 위에 놓고 나서 프레임을 제거한다. 그 다음에는 조작자가 제 1 회전판(22)이 각운동하도록 손잡이(43)를 회전시킨다. 김초밥을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10)의 작동과정처럼 유사한 방식으로 김초밥 제조장치(70)가 작동한다.
이와 같이, 김초밥 제조장치(70)는 조작자마다 숙련된 기술과 경험을 필요로 하지않고도 속 재료(C)가 중심에 놓여 보기에 좋게 곁들여진 김초밥을 만들어낼 수 있다. 그렇게 만들어진 김초밥의 품질은 조작자마다 변하지 않는다. 또한, 김초밥 제조장치(70)는 비교적 크기가 작고, 설치공간이 크지 않으며, 비교적 용이한 유지관리만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는 제15도 내지 제18도에서 기술될 것이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와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의 각 부분들에 대해서 기술할 것이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와 동일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기 김초밥 제조장치의 부분들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로 인용되며 상세히 기술하지는 않을 것이다.
제15도와 제16도에 기술된 바와 갛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100)는 기초판(16)의 각 대향단부에 인접하게 기초판(16) 상에 배치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하여 구부러진 한쌍의 체결 부재(102a, 102b)들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회전판(22)은 그 내부에 종방향으로 동일하게 이격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104a∼104e)들을 구비하고 있다. 제 3 회전판(34)은 기저부(12)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한 체결판(108a, 108b)들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그 내부에 형성된 한쌍의 길다란 장방형의 구멍(106a, 106b)들을 구비하고 있다. 체결판(108a, 10ab)들이 각 구멍(106a, 106b) 내에 삽입될 때, 이 체결판(108a, 108b)듈의 선단부는 제 3 회전판(34) 상부로 약간 돌출하게 된다(제17도 참조).
제15도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110)은 종방향 측면부재의 하단 모서리에 동일하게 이격된 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톱니(112a∼112e; l12f∼l12j)들을 구비하고 있다. 톱니(112a∼112e: 112「-ll2j)들은 쐐기형 하단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김을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은 종방향 측면부재의 상부 연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플랜지(114a, l14b)들을 구비하고 있다. 그립(116)은 플랜지(114a)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로부터 핑방향으로 연장한다. 그립(115)은 조작자가 프레임(110)을 다루기에 편하게 한다. 그립(116)은 플랜지(114a)보다는 프레임(110)의 측면부재로부터 직접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110)은 그 횡방향 측면부재의 하부연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일체로 된 굴곡판(118a∼l18d)들을 구비하고 있다. 굴곡판(118a, 118b)들은 그 내부에 체결 부재(102a)를 수용시킬 수 있는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고, 굴곡판(118c, l18d)도 그 내부에 체결부재(102b)를 수옹시킬 수 있는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18도에 도시된 것처렇, 김(A)의 한쪽 연부가 체결 판(108a, 108b)에 인접하도록 하면서 지정된 크기로 자른 김초밥용 김(A)을 기초판(16) 및 제 1, 2, 3 회전판(22, 24, 34) 위에 놓는다. 그후, 프레임(110)을 김(A) 위에 올려놓고, 굴곡판(118a, l18b, 118c, 118d)들 사이의 틈새에 수용되는 체결부재(102a, 102b)들에 의해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톱니(112a∼l12j)들은 김(A)을 관통한다. 여기서, 프레임(110)의 종방향 측면부재들 중의 한 부재의 롭니(112a-112e)들은 각 구멍(104a-104e) 내에 맞물리고, 프레임(117)의 다른 종방향 측면부재 상의 톱니(l12f∼l12j)들은 제 2 회전판(24)과 제 3 샤프트(32)에 인접한 공간 내매 삽입된다. 그러므로, 김(A)은 갑작스런 위치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톱니(112a-ll2j)들에 의해 기초판(16)과 제 1, 2, 3 회전판(22, 24, 34)에 고정된다.
그후, 프레임(110)의 폭과 두께를 따라 충분하게 프레임(110) 내에 밥(B)을 채우게 된다. 그러므로, 밥(B)은 프레임(110)의 내부 테두리에 의해 형성된 형태를 취하게 된다. 만일 밥(B)을 프레임(110) 내에 플랜지(114a, l14b)의 높이까지 담는다면, 그후 프레임(110) 내에 담는 밥(B)은 언제나 일정한 양으로 담을 수 있다. 김(A)이 전술한 그 위치에 놓이기 때문에, 조작자가 손으로 김(A)을 잡을 필요가 얼지만 밥(B)을 양손으로 프레임(110) 내에 담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밥(B)을 프레임(110) 내에 담는 수작업의 효율은 향상될 것이다.
그리고나서, 박의 속을 자른 조각 등을 포함하는 속 재료(C)을 밥(B) 위에 놓고서 프레임(110)을 제거한다 그러면, 조작자는 손잡이(43)를 회전시켜 제 1 회전판(22)이 각운동하게 한다. 그다음, 김초밥을 완성시키기 위해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10)의 작동과정처럼 유사한 방식으로 김초밥 제조장치 (100)가 작동한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자는 프레임(110) 내에 밥(B)을 언제나 일정한 양을 담을 수 있으며, 김(A)이 제위치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프레임(110) 내에 밥(B)을 쉽게 담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는 제19도 내지 제21도에서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2, 3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와 동일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로 인용되며 상세히 기술하지는 않을 것이다.
제19도와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120)는 제 2, 3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70, 100)의 조합형과 유사하다. 김초밥 제조장치(120)는, 전술한 김초밥 제조장치(100)와 같이, 기초판(16)의 각 대향단부매 인접하게 그 기초판(16) 상에 배치되면서 상부방향으로 돌출한 한쌍의 구부러진 체결 부재(102a, 102b)들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회전판(22)은 내부에 종방향으로 동일하게 이격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104a∼104e)들을 구비하고 있다. 제 3 회전판(34)은 기저부(12)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한 체결판(leaa, loab)들을 수용하기 위해서 그 내부에 형성된 한쌍의 길다란 장방형의 구멍(106a, 106b)들을 구비하고 있다.
체결판(108a, 10ab)들이 각 구멍(106a, 106b)들 내에 삽입될때, 이 체결판(108a, 108b)들의 선단부는 제 3 회전판(34) 위로 약간 돌출한다. 프레임(110)은 복수의 톱니(112a∼1120: l12f∼l12j)들, 한쌍의 플랜지(114a, l14b)들, 그립(116) 그리고 복수의 굴곡판(118a∼l18d)들을 구비한다. 제 3 회전판(34)은, 전술한 김초밥 제조장치(70)와 같이, 판의 각 종방향 단부로부터 제 2 회전판(24)으로 연장하는 한쌍와 스토퍼(80a, 80b)들을 구비한다. 캠 부재(84a, 84b)들은 제 3 회전판(34)의 각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80a, 87b)들로부터 각 스텝(82a, 82b)을 통하여 연장한다. 여기서, 제 3 회전판(34)과 스토퍼(80a, 80b)들 및 캠 부재(84a, 84b)들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김초밥 제조장치(120)로 김초밥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21도에 도시된 것처럼, 지정된 크기로 자른 김(A)을 기초판(16) 및 제 1, 2, 3 회전판(22, 24, 34) 위에 놓고, 그다음에는 김(A) 위에 프레임(110)을 놓는다. 이때, 톱니(112a∼l12j)들은 갑작스런 위치변화에 대해 김(A)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이 김(A)을 관통한다.
그리고 나서, 밥(8)과 속 재료(C)를 프레임(54) 위에 놓고, 잠시후 프레임을 제거한다. 그 다음에는 조작자가 손잡이(43)를 회전시켜 제 1 회전판(22)이 각운동하게 한다. 김초밥을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초밥 제조장치(10)의 작동과정과 유사한 방식으로 김초밥 제조장치(120)가 작동한다.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자는 프레임(110) 내에 밥(B)을 언제나 일정판 양으로 담을 수가 있으며, 김(A)이 제위치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프레임(110) 내에 밥(B)을 팁게 담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양호한 실시예가 명확하게 도시되어 상세히 기술되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첨부한 특허 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기저부(12)와; 상기 기저부(12)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기초판(16)과; 상기 기초판(16)에 대해서 각운동할 수 있는 복수의 회전판(22, 24, 34)과; 상기 회전판(22, 24, 34)을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시켜 집단적으로 각운동시키기 위한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의하여 상기 화전판(22, 24, 34)을 각운동시키는 수동손잡이(43)를 구비 하며; 김(A)을 상기 기초판(16)과 상기 회전판(22, 24, 34) 위에 놓고 밥(B)을 상기 김(A) 위에 그리고 속 재료(C)름 그 밥(B) 위에 선택적으로 놓고 나서, 상기 기초판(16)에 대해 상기 회전판(22, 24, 34)을 각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수동 손잡이(43)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김(A)과 밥(B)은 상기 기초판(16)과 상기 회전판(22, 24, 34)에 의해 다각형(polygonal)이나 원형단면을 갖는 김초밥으로 말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초밥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2, 24, 34)은 제 1 샤프트(15)에 의해 상기 기초판(16)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 제 1 회전판(22)과, 제 2 샤프트(20)에 의해 상기 기초판(16)의 대향측면을 따라 배치된 제 2 회전판(24)과; 그리고 상기 제 2 회전판(24) 위로 각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제 3 회전판(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초밥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 3 회전판(34)의 각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제 3 회전판(34) 위에 장착되는 캠 부재(38a, 38b, 84a, 84b)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초밥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회전판(22, 24, 34)이 상기 기초판(16)에 대해 각운동할 때, 상기 제 2 회전판(24)에 대해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3 회전판(34)이 캠 부재(38a, 38b, 84a, 84b)들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서 케이싱 (14a, 14b)의 각 벽면 상에 장착된 핀(40a, 40b)들을 구비한 한쌍의 상기 케이싱(14a, 14b)들과 상기 기저부(1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초밥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회전판(34)이 상기 기저부(12)에 대해 상부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3 회전판(34)은 한쌍의 스토퍼(80a, 80b)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회전판(34)과 상기 스토퍼(80a, 80b) 및 상기 캠 부재(84a, 84b)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초밥 제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제 1 샤프트(18)의 각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2 기어(26a, 26b)들과 제 2 샤프트(20)의 각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 3, 4 기어(28a, 28b)들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기어(26a)는 제 3 기어(28a)와 그리고 제 2 기어(26b)는 제 4 기어(28b)와 각각 서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 1, 2 회전판(22, 24)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초밥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밥(B)을 예정된 공간범위 내에서 예정된 두께로 형상화시키기 위한 프레임(54, 11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초밥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2, 24, 34) 중 하나는 내부에 한쌍의 구멍(106a, 106b)들을 구비하고, 상기 기저부(12)에는 상기 구멍(106a, 106b)들 내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회전판(22, 24, 34) 중 하나의 회전판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체결판(108a, 10ab)들이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110)은 그 하부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롭니(112a∼l12j)들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22, 24, 34) 중 하나는 상기 톱니(112a∼l12j)들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구멍(104a-104e)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초밥 제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4, 110)은 그립(60, 1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초밥 제조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4, 110)은 그 상부 테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플랜지(114a, l14b)들온 구비하는 것율 특징으로 하는 김초밥 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플랜지(114a, l14b)들 중의 한쪽으로부터 연장하는 그립(1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초밥 제조장치.
KR1019960023774A 1995-06-29 1996-06-26 김초밥 제조장치 KR100194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63541A JPH099893A (ja) 1995-06-29 1995-06-29 海苔巻き製造装置
JP95-163541 1995-06-29
JP95-261801 1995-10-09
JP7261801A JPH09103257A (ja) 1995-10-09 1995-10-09 海苔巻き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147A KR970000147A (ko) 1997-01-21
KR100194167B1 true KR100194167B1 (ko) 1999-06-15

Family

ID=5156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774A KR100194167B1 (ko) 1995-06-29 1996-06-26 김초밥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194167B1 (ko)
TW (1) TW318786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147A (ko) 1997-01-21
TW318786B (ko) 199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0676A (en) Pizza cutting board
US20060272461A1 (en) Food presentation method
NO177212C (no) Fremgangsmåte ved fremstilling av deig og bröd, samt enzympreparat for anvendelse ved fremgangsmåten
US200702022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an interlocking decorative house
CA2011212A1 (en) Play table and activity center
US5870948A (en) Apparatus for making seaweed roll
USD266030S (en) Toaster bread stick product
KR100194167B1 (ko) 김초밥 제조장치
CN103476262B (zh) 滚轴板总成
US4206923A (en) Dice block puzzle
DE657089C (de) Kuechengeraet zum Halten des zu bratenden, zu roestenden oder zu kochenden Fleisches oder sonstiger zuzubereitender Speisen in verschiedenen Lagen
DE1030315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ebensmittelformteilen aus einer Grundmasse mit einem Hackfleischanteil
DE3681939D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ine fuellung enthaltenden brotes.
US20060147575A1 (en) Apparatus for making meatballs and the like
GB2257021A (en) Confectionery board
DE8523403U1 (de) Vorrats-Packung für ballenförmige Genußmittel, insbesondere Speiseeis-Kugeln
GB2029187A (en) Containers for growing plants
DE2302943C3 (de) Küchengerät mit einer in einen Füllschacht efnschiebbaren Aufnahmebuchse
KR200275087Y1 (ko) 반죽물 분할 절단기
DE3642704A1 (de) Schneidvorrichtung fuer lebensmittel
ES277269U (es) Utensilio domestico para cortar hortalizas
DE69822754T2 (de) Kühlschrank mit Zellen zum Herstellen von Eiswürfeln
JPH0437594Y2 (ko)
FR2403047A1 (fr) Nouveau presentoir transformable
US20190281858A1 (en) Food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