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030B1 -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030B1
KR100194030B1 KR1019960007218A KR19960007218A KR100194030B1 KR 100194030 B1 KR100194030 B1 KR 100194030B1 KR 1019960007218 A KR1019960007218 A KR 1019960007218A KR 19960007218 A KR19960007218 A KR 19960007218A KR 100194030 B1 KR100194030 B1 KR 100194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ignal
input
pulse width
moni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7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7085A (ko
Inventor
임남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07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030B1/ko
Publication of KR97006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0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영상신호의 입력을 표시하는 모니터의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 수직 주파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수직 사이즈의 크기를 일정하게 자동 조절하는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 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자동 조절 회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를 펄스폭변조하여 출력하는 펄스폭변조수단과, 상기 펄스폭변조된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적분수단과, 상기 적분된 신호의 피이크값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되는 수직주파수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피이크 검출부와, 상기 피이크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주파수에 댕으하는 레벨의 신호의 차를 증폭하여 수직 드라이브의 이득을 제어하는 차동증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일부분의 동작 파형도이다.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의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 수직 주파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수직 사이즈의 크기를 일정하게 자동 조절하는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 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모니터는 컴퓨터의 주변장치로서,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케소드 레이 튜브(Cathode Ray Tube : CRT) 등의 수상관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이다. 현재, 컴퓨터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영상신호가 출현하면서 이에 대응한 표시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들면, 멀티싱크 모니터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범용적인 모니터는 영상신호의 수직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수직 사이즈가 가변토록 동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직 주파수에 대응하여 수직 드라이브에 인가되는 제어전압을 조절하는 가변 저항 등을 수동으로 조절하여 수직 사이즈를 조절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 싱크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수직 사이즈 조절 방식은 사용자가 가변 저항 등의 노브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서 사용상에 불편하였으며, 수동으로 수직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수직 주파수가 변화될 때 마다 표시화면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에 따른 다양한 수직 주파수가 입력되더라도 표시 화면의 수직 사이즈가 동일하도록 자동 제어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 주파수의 입력을 검출하여 표시화면의 수직 사이즈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 주파수가 변화하더라도 미리 설정된 기준 사이즈로 표시화상의 수직 사이즈를 자동조절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이에 동기된 의사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발진기와, 상기 수직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의사 수직동기신호에 응답하여 수직주사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이득조절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드라이브하는 수직 드라이브와, 상기 수직 드라이브의 출력에 응답하여 CRT상의 수직빔을 편향하는 수직출력부를 구비한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를 펄스폭변조하여 출력하는 펄스폭변조부와, 상기 펄수폭변조된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적분기와, 상기 적분된 신호의 피이크값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되는 수직주파수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피이크 검출부와, 상기 피이크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주파수에 대응하는 레벨의 신호의 차를 증폭하여 상기 수직 드라이브의 이득을 제어하는 차동증폭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구성은, 수직동기신호 Vs의 입력에 응답하여 이에 동기된 의사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발진기 12와, 상기 수직 발진기 12로부터 출력되는 의사 수직동기신호에 응답하여 수직주사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이득조절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드라이브하는 수직 드라이브 14와, 상기 수직 드라이브 14의 출력에 응답하여 CRT상의 수직빔을 편향하는 수직 출력부 16와, 상기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 Vs를 펄스폭변조하여 출력하는 펄스폭변조부 18와, 상기 펄스폭변조부 18의 출력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적분기 20와, 상기 적분된 신호의 피이크값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되는 수직주파수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피이크 검출부 22와, 상기 피이크 검출부 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주파수에 대응하는 레벨의 신호의 차를 증폭하여 상기 수직 드라이브의 이득을 제어하는 차동증폭기 24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일부분의 동작 파형도로서, A는 수직동기신호 VS이며, b는 상기 수직동기신호 VS를 펄스폭 변조한 펄스폭 변조신호이다. 그리고, C는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를 적분한 신호이며, D는 상기 적분된 신호의 최대치 검출 신호이고, E는 상기 검출된 최대치 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의 차를 증폭한 차동증폭 신호이다.
상기 제2도를 참조하여 제1도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컴퓨터등과 같은 시스템으로부터 40Hz~100Hz 사이의 주파수를 갖는 수직동기신호 VS가 출력되면, 이는 제1도의 수직 발진기 12 및 펄스폭 변조부 18로 각각 공급된다. 이때, 상기 수직동기신호 VS의 형태는 제2도 a와 같다. 상기 제2도 A와 같은 수직동기신호 VS를 입력하는 펄스폭 변조부 18는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존의 펄스폭을 확장하여 제2도 b와 같이 펄스폭 변조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펄스폭 변조된 신호는 저항 R1~R4와 트랜지스터 Q1 및 캐패시터 C1로 구성된 저역필터의 적분기 20로 입력된다. 상기 적분기 20은 저항 R1~R3와 트랜지스터 Q1의 구성에 의해 제2도 b와 같이 입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를 버퍼링하며, 저항 R4와 캐패시터 C1의 시정수 값에 의해 버퍼링된 신호를 저역필터링하여 제2도 c와 같은 삼각파의 적분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적분된 파형은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며, 최대치도 변화된다. 예를 들면, 펄스폭이 좁은 주파수 일수록 피이크값은 높게 나타날 것이다.
상기 제2도 C와 같이 적분된 신호는 연산증폭기 Q2, Q3와 다이오드 D1, D2와, 저항 R5~R6 및 커패시터 C2로 구성된 피이크 검출부 22로 입력된다. 상기 피이크 검출부22는 비반전용 이상화 다이오드를 이용한 절대값 회로로서 연산증폭기 Q2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삼각파의 피이크 레벨을 검출하여 제2도 D와 같은 직류레벨의 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검출된 피이크 검출신호는 차동증폭기 24로 입력된다.
상기 차동증폭기 24는 상기 피이크 검출부 22로부터 제2도 D와 같이 출력되는 피이크 검출신호를 저항 R7과 가변저항 VR1에 의해 적정한 레벨의 신호로 디바이드되어 연산증폭기 Q4의 비반전단자로 입력한다. 이때, 상기 연산증폭기 Q4의 반전단자에는 기준 수직 사이즈에 대응하는 기준전압이 저항 R8를 통해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연산증폭기 Q4는 상기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피이크 검출신호와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기준 해당 수직 주파수에 대응하는 기준전압의 차를 증폭하여 수직 드라이브 14의 이득제어신호로 공급한다.
한편, 컴퓨터로부터 제2도 a와 같이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 VS를 입력하는 수직 발진기 12는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 VS에 대응하는 의사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여 수직 드라이브 14로 공급한다. 상기 수직 드라이브 14는 상기 입력되는 의사 수직동기신호를 수직 출력부 16로 공급한다.
상기 수직 드라이브 14는 상기 수직 발진기 12로부터 출력되는 의사 수직동기신호에 응답하여 수직주사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차동 증폭기 24로부터 제2도 E와 같이 출력되는 이득조절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수직 주사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수직 출력부 16을 구동한다. 상기 수직 출력부 16은 상기 수직 드라이브 14의 출력에 응답하여 CRT상의 수직빔을 편향하여 주사함으로써 CRT상에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피이크 전압과 기준 수직의 크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수직크기의 전압의 차에 따라 수직 드라이브 14 이득을 제어하여 수직 사이즈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주파수의 변화에 자동으로 적응하여 수직사이즈의 크기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수직동기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이에 동기된 의사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발진기와, 상기 수직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의사 수직동기신호에 응답하여 수직주사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이득조절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드라이브하는 수직 드라이브와, 상기 수직 드라이브의 출력에 응답하여 CRT상의 수직빔을 편향하는 수직 출력부를 구비한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를 펄스폭변조하여 출력하는 펄스폭변조수단과, 상기 펄수폭변조된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적분수단과, 상기 적분된 신호의 피이크값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되는 수직주파수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피이크 검출수단과, 상기 피이크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미리 설정된 기준주파수에 대응하는 레벨의신호의 차를 증폭하여 상기 수직 드라이브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기준 수직 크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상기 검출된 피이크 신호 전압의 차를 증폭하여 상기 수직 드라이브의 이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 회로.
KR1019960007218A 1996-03-18 1996-03-18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194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7218A KR100194030B1 (ko) 1996-03-18 1996-03-18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7218A KR100194030B1 (ko) 1996-03-18 1996-03-18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085A KR970067085A (ko) 1997-10-13
KR100194030B1 true KR100194030B1 (ko) 1999-06-15

Family

ID=6621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72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194030B1 (ko) 1996-03-18 1996-03-18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0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085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86169A (ja) 液晶表示装置の対向電極調整回路
KR100194030B1 (ko) 모니터의 수직 사이즈 자동 조절회로
US5596375A (en)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apparatus for a monitor
KR870003641A (ko) 패러볼릭 전압 발생 회로
US5264934A (en) Apparatus for adjusting brightness of a display screen based on a detected horizontal sync frequency
US4345246A (en) Synchronization device for a character-generating circuit and a vertical scanning circuit and television receiver comprising such a device
US5450138A (en) Display monitor
JP2986438B2 (ja) デューティ変更回路
JP3154335B2 (ja) 画質制御装置
KR970009302A (ko) 광대역 휘도 조절 회로
JPH087704Y2 (ja) 混変調補償回路
US6724975B1 (en) Products combining television and video recorder
KR100246769B1 (ko) 모니터의 영상 처리 회로
KR100417249B1 (ko) 국부휘도 조정장치
KR200146936Y1 (ko) 모니터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
KR950008281Y1 (ko) 케이블 텔레비젼용 채널 복조기의 자기 진단회로
JPH03135168A (ja) 画質コントロール回路
US4303868A (en) Sawtooth waveform generating circuit for utilization in a helmet mounted display
KR0153349B1 (ko) 밝기에 따른 화면 폭 변화 보정회로
JPH01303492A (ja) 適応形クロスハッチ信号発生器
JP2578755Y2 (ja) スペクトラムアナライザ
KR20000003286U (ko) 다중동기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보상회로
KR19990071179A (ko) 화면상태 자동진단장치
KR19990070411A (ko) 영상표시기기의 밝기 자동조절장치
KR19980057447U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밝기 조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1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3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