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000B1 - 대장균에서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대량생산방법 - Google Patents

대장균에서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대량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000B1
KR100194000B1 KR1019970001911A KR19970001911A KR100194000B1 KR 100194000 B1 KR100194000 B1 KR 100194000B1 KR 1019970001911 A KR1019970001911 A KR 1019970001911A KR 19970001911 A KR19970001911 A KR 19970001911A KR 100194000 B1 KR100194000 B1 KR 100194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
coli
gene
stimulating factor
hu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405A (ko
Inventor
김천형
조중명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7000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000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00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eyrthropoietin : EPO)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대량 발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EPO 유전자의 5'-말단의 염기서열이 5'-말단 3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루이신으로 치환됨을 제외하고는 아미노산 변화없이 대장균 선호코돈으로 치환변형시키고, 치환변형된 EPO 유전자의 5'-말단 앞에는 연어 성장 호르몬의 5'-말단 염기서열 일부와 리보소옴 결합부위 및 종료코돈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O 유전자를 포함하는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을 EPO 발현에 적합한 조건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의하면 기존의 방법보다 높은 수율로 대장균에서 EPO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장균에서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대량 생산방법
본 발명은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erythropoitein; 이하 EPO라 함)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대량 발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PO 유전자의 5'-말단의 염기서열을 5'-말단 3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루이신으로 치환됨을 제외하고는 아미노산 변화없이 대장균 선호코돈으로 치환시키고 변형된 EPO 유전자의 5'-말단 앞에 연어 성장 호르몬의 5'-말단 염기서열 일부와 리보소옴 결합부위 및 종료코돈이 연결되도록 하여 대장균에서 발현시킴으로써 EPO 단백질을 높은 효율로 대량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EPO는 고등생물에서 적혈구 형성을 촉진하는 호르몬으로서(Carnot, et al., Compt. Rend. 143, 384(1906)) 166개의 아미노산과 여러 종류의 당으로 구성된 당단백질이다. 적혈구는 인체내 모든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혈액내 존재하는 세포로서 산소공급의 정도에 따라 그 양이 조절되는데, 이의 교량역할을 하는 것이 EPO이다. 즉, 체내 산소공급이 저하되면 콩팥에 존재하는 특정세포가 이를 감지하여 EPO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혈액내 적혈구의 양이 많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산소공급도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EPO는 혈액내 적혈구 형성에 필수불가결한 인자로서, 빈혈 등 혈액관련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EPO는 영아의 간, 성인의 신장 및 간에서 생성되며 성인의 골수 및 지라, 영아의 간 세포와 반응한다(Naughton, B. A., et al., Science, 196, 301-302(1976); Krantz. S. B., J. Biol. Chem, 238, 4085-4090(1963); Drystal. G., Expl. Hemat., 11, 649-660(1983)). EPO는 정상인의 경우 혈액 1㎖당 약 15 내지 30 mU(밀리 유니트) 또는 0.01mM 수준으로 유지되는데(Garcia, J. F., Lab. Clin. Med., 99, 624-635(1982), 재생불량성 빈혈 등의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는 정상인 보다 높은 농도의 EPO가 생산되어 이들의 혈액이나 뇨를 EPO 생산에 이용하기도 한다(White, et. al., Rec. Progr. Horm., Res., 16, 219(1960); Espada, et al., Biochem Med., 3, 475(1970); Fisher, Pharmacol. Rev., 24, 459(1972)).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EPO를 대량생산하기에는 원료 수급에 한계가 있으며, 정상인의 뇨에서는 EPO의 농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활성 저해제가 있어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정제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 4,397,840 호; 제 4,303,650 호 및 제 3,865,810 호). EPO를 양의 혈장에서 추출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사람에게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Goldwasser, Control cell. Dif. Divelop., Part A. 487-494(1981); Alan R. Liss. INC., N. Y.). 수기모토(Sugimoto)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 4,377,513 호에서는 나말바(Namalva), BALL-1, NALL-1, TALL-1 및 JBL을 포함한 인간 임파구를 동물 체내에 증식시킴으로서 EPO를 생산하는 방법을 보고한 바 있으나, 이 방법은 인간 종양 세포를 재료로 사용하므로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더욱 집중적인 조사를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사람의 EPO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동물세포 또는 곤충세포에서 발현시키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대한민국 특허공고 제89-1011 호 및 제 93-591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3-16865 호). 본 발명자들은 인간 면역 글로불린의 혼성화 방법을 EPO에 처음으로 적용시킴으로써 EPO의 발현율을 높이는 한편, EPO에 결합된 인간 면역 글루로린이 스태필로코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의 단백질 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간단한 정제공정을 개발함으로써 EPO의 대량 생산방법을 보고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4-32342 호).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 발현된 EPO는 당화된 형태로 3차 구조를 연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EPO의 3차 구조 연구를 위해 대장균에서 EPO를 발현시키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순수한 EPO 만을 발현시키는 데는 실패하였다. 즉, 보이셀 등은 EPO의 아미노 말단에 10개의 히스티딘 아미노산을 접합시킴으로써 대장균에서 EPO를 융합 단백질의 형태로 발현시켰으며(Boissel. Jean-Payl, et al., J. Boil. Chem, 268, 15983(1993)), 빌 등은 4개자 대장균 발현벡터를 이용하여 EPO를 발현시키고자 시도하여 EPO 아미노 말단에 글루타티온-S-전이효소가 융합된 형태의 단백질 만을 발현시킨 바 있다(Bill, R. M., et. al., Biochem., Biophys. Acta., 1261, 35(1995)). 이와 같이 융합된 형태로 얻어진 EPO는 순수한 EPO와는 구조적인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융합 단백질로부터 순수한 EPO 단백질 만을 분리하는 공정이 추가로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장균으로부터 순수한 EPO 단백질 만을 비당화된 형태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하던 중, trp 프로모터하에서 EPO 유전자의 5'-말단 염기서열이 5'-말단 염기서열 일부 및 이후의 리보소옴 결합부위와 시작코돈인 ATG 사이에 mRNA 2차 구조가 생기지 않도록 고안된 합성링커를 연결시킨 EPO 유전자 발현벡터를 대장균에서 발현시킴으로써 비당화된 EPO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높은 수율로 발현시키는데 성공하였으며, 이에 따라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은 EPO 단백질의 3차 구조 분석 및 변이체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인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EPO)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높은 수율로 대량 발현시킬 수 있도록 변형된 재조합 인단 EPO 유전자, 이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상기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 그리고 이를 사용하여 인간 EPO를 높은 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EPO 유전자 단편을 함유한 대장균 발현벡터 ptrp 3HS EPO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된 염기서열을 갖고 5'-말단 3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루이신으로 치환되도록 한 변이형 EPO 유전자 단편을 함유하는 대장균 발현벡터 ptrp 3HS REPOP3L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제3도는 EPO 유전자 및 변이형 EPO 유전자를 포함하는 각각의 발현벡터 ptrp 3HS EPO 및 ptrp 3HS REPOP3L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을 배양하여 SDS-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된 EPO 유전자의 5'-말단 염기서열을 EPO 유전가의 5'-말단 염기서열과 비교한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EPO) 유전자의 5'-말단 염기서열이 5'-말단 3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루이신으로 치환됨을 제외하고는 아미노산 변화없이 대장균 선호코돈으로 치환변형되고, 치환변형된 EPO 유전자의 5'-말단 앞에는 연어 성장 호르몬 5'-말단 염기서열 일부와 리보소옴 결합부위 및 종료코돈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유전자, 이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상기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그리고 상기 형질 전환된 대장균을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발현에 적합한 조건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 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라 치환변형된 EPO 유전자의 5'-말단 염기서열은 다음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2
이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자들의 선출원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86-11712 호와 제 93-16865 호로부터 EPO 단백질을 코딩하는 EPO 유전자의 5'-말단과 3'-말단에 대응하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이하 PCR이라 함)용 프라이머를 고안 합성한다. 5'-말단에 대응하는 프라이머는 대장균 발현벡터로 클로닝이 용이하도록 제한효소 인지부위가 존재하고, EPO 유전자의 5'-말단 앞에는 연어 성장 호르몬의 시작코돈(ATG)에서 37개 염기쌍 부위와 리보소옴 결합부위, 그리고 연어 성장 호르몬의 합성을 중지시키기 위한 종료코돈(TAA)이 삽입된 바이시트로닉용 프라이머로 만들며, 이에 대응되는 3'-말단 프라이머에는 종료코돈과 제한효소 인지부위를 삽입하여, 시작코돈으로부터 단백질이 합성되어 인위적으로 삽입한 종료코돈에서 단백질 합성이 완료되도록 한다.
발현벡터 pVL1393 L-EPO(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3-16865 호)를 주형으로 하여 상기 프라이머들을 이용하여 PCR 반응에 의해 변형된 EPO 유전자를 증폭한다. 증폭된 유전자를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얻은 유전자 단편을 적절한 대장균 발현벡터,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장균 발현벡터인 ptrp 3H BGHRAN(KCTC 0143BP)의 BGHRAN 유전자와 치환하여 발현벡터 ptrp 3HS EPO를 제조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라 EPO의 발현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EPO 유전자의 5'-말단 염기서열이 5'-말단 3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루이신으로 치환됨을 제외하고는 아미노산 서열에는 변화없이 염기서열 만이 무작위로 변형되도록 EPO 유전자의 5'-말단에 대응하는 PCR용 프라이머를 고안 합성한다. 이에 대응하는 프라이모는 소성장 호르몬 발현벡터인 ptrp HS B매 1-13의 Amp 유전자에 위치하며 제한효소 PvuI 인지부위를 포함하도록 고안 합성한다. 발현벡터 ptrp 3HS EPO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 프라이머들을 LD용하여 PCR 반응에 의해 변형된 EPO 유전자를 증폭한다. 증폭된 유전자를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얻은 유전자 단편을 ptrp 3HS EPO의 EPO 유전자와 치환하여 ptrp 3H-SREPOP3L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로 대장균을 형질전환시킨 다음, 본 유전자의 발현에 적당한 조건에서 배양한다. 단백질의 생성여부는 통상적으로 SDS-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생성된 단백질은 배양된 대장균 또는 배양액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분리정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바이시트로닉 시스템을 이용한 EPO의 발현]
[단계 1]
연어 성장 호르몬의 5'-말단 일부의 유전자를 포함한 EPO 유전자의 합성
본 출원인의 선출원 명세서 중에 기재된 플라스미드 ptrp HS BGH 1-13의 염기서열 정보(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86-11712 호) 및 기존의 EPO 염기서열 정보(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3-16865 호)로부터 다음과 같은 프라이머를 합성하였다:
Figure kpo00003
(이 프라이머는 EPODB전자의 5'-말단에 대응하는데, 제한효소 Ndel 인지부위를 가지고 있고, 밑줄친 부분은 연어 성장 호르몬의 5'-말단 염기서열을 나타내며 박스내 AGGA는 리보소옴 결합부위, 박스내 TTA는 연어 성장 호르몬 일부 유전자 종료코돈을 나타낸다. 그 이후의 24개 염기쌍은 시작코돈(ATG)과 EPO 유전자의 시그날 서열 이후의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04
(이 프라이머는 EPO 유전자의 3' 말단에 대응하며, 해독이 종료되도록 종료코돈을 가지고 있고, 동시에 제한효소 SalI 인지부위를 갖는다.)
반응 튜브에 플라스미드 pVL1393 L-EPO(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3-16865호) 1ng을 주형으로하여 프라이머 P3HSEPO 2㎍과 프라이머 PSALEPO 2㎍을 넣은 다음, 10㎍의 10배 중합 완충용액(500mM KCl, 100mM Tris-HCl, pH 9.0, 1.0% 트리톤 X-100), 10㎍의 2mM dNTP(각 2mM dGTP, 2mM dCTP, 2mM dATP 및 2mM dTTP), 2.5 단위체 Taq 중합효소와 증류수를 가하여 총부피를 100㎕가 되도록 하여, 95℃에서 1분(변성단계), 55℃에서 40초(어닐링단계), 72℃에서 2분(중합단계)의 조건을 PCR을 25회 실시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PCR 산물을 5% 폴리아크릴아미드 젤에서 분리하여 약 590 염기쌍의 DNA가 증폭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동일 조건의 폴리아크리아미드 젤로 분리정제하였다. 이하, 이 단편을 '단편 HSEPO'라 칭한다.
[단계 2]
바이시스트로닉 시스템을 이용한 EPO의 발현벡터 제조 및 대장균 형질전환
본 출원인의 선출원 명세서 중에 기재된 플라스미드 ptrp 3H BGHRAN(KCTC 0143BP, 대함민국 특허출원 제 94-40025 호) 2㎍을 NEB 완충용액 3(10mM 트리스 HCl, 10mM MgCl2, 100mM NaCl, 1mM DTT, pH7.0)의 조건하에서 제한효소 SalI으로 HDKSWJSWJFEKS한 뒤 제한효소 NdeI으로 부분절단하고, 이를 0.7% 아가로스 젤로 분리하여 약 2.4kb 단편을 분리정제하였다. 이하, 이 단편을 '단편 ptrp 3H-N/L'이라 한다. 한편,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단편 HSEPO'를 NEB오나충용액 3의 조건하에서 제한효소 NdeI과 SalI으로 완전절단한 후 이들을 페놀/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20㎕의 TE 용액(10mM 트리스-HCL, 1mM EDTA, pH 8.0)에 용존시켰다. 이를 '단편 HSEPO-N/L'이라 한다. 접합반응 튜브에 상기에서 얻은 100ng의 '단편 ptrp 3H-N/L'과 100ng의 단편'HSEPO-N/L', 2㎕의 10배 접합 반응용액(0.5M 트리스-HCl, 0.1M MgCl2, 0.2mM DTT, 10mM ATP, 0.5mg/㎕ BSA, pH7.8), 및 10 단위체의 T4 DNA 리가제를 넣고 총부피가 20㎕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한 다음 16℃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접합반응이 끝나면 대장균 W3110(ATCC 37339)에 형질전환시킨 후, 형질전환된 균체로부터 '단편 HSEPO'를 함유하는 대장균 발현벡터 'ptrp 3HS EPO'를 얻었다.
제1도는 EPO 유전자 단편을 함유한 대장균 발현벡터 ptrp 3HS EPO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단계 3]
바이시스트로닉 시스템을 이용한 EPO 유전자의 발현 유도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재조합 대장균 세포를 50㎍/ml의 앰피실린이 함유된 액체 루리아(Luria) 배지(6% 박토트립톤, 0.5% 효모추출물, 1% 염화나트륨)에서 12시간동안 진탕배양한 다음, 이중 3㎖을 300㎖의 M9 배지(40mM K2HPO4, 22mM K2HPO48.3mM NaCl, 18.7mM NH4Cl, 1% 포도당, 0.1mM MgSO4, 0.1mM CaCl2, 0.4% 카사미노산, 10㎍/㎖ Vit. B1, 40㎍/㎖ 앰피실린)로 옮겨서 37℃에서 약 4 시간동안 진탕배양하였다. 배양액의 흡광도가 650nm에서 약 0.3 정도가 될 때 인돌아크릴산(indole acrylic acid, IAA)을 최종농도가 50㎍/㎖가 되게 첨가하였다. IAA를 첨가한 지 약 4 시간 후에 세포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원심분리기(Beakman J2-21, JA14 rotor)를 이용하여 11,000 rpm에서 25 분간 원심분리하여 박테리아 세포 침전물을 수거하였다. 수거한 세포 침전물들을 램리의 방법(Laemmli, Nature, 227, 680(1970)에 따라 15% SDS-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하여 발현을 측정하였다.
제3도의 제 2 열에는 EPO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을 배양하여 SDS-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한 결과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에서 보면 EPO 단백질이 거의 발현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5'-말단 3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루이신으로 치환변형된 변이형 EPO 유전자 증폭 및 발현]
[단계 1]
5'-말단 3번째 아미노산이 루이신으로 치환된 EPO 유전자의 합성
기존의 EPO의 염기서령 정보(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86-11712 호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3-16865 호)로부터 EPO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아미노산 변화없이 대장균에서 선호하는 염기코돈으로 치환변형시키되, 5'-말단 3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을 루이신으로 치환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무작위 프라이머를 고안 합성하였다:
Figure kpo00005
(이 프라이머는 EPO 유전자의 5'-말단으로부터 16개 아미노산에 대해서는 5'-말단 3번째 아미노산(밑줄)인 프롤린을 루이신으로 치환변형한 것을 제외하고는 아미노산 변화없이 염기서열 만을 변형시킨 것으로, 17번째 아미노산과 18번째 아미노산 위치의 EPO 염기서열 TTGAA를 CTCGAG로 치환함으로써 아미노산 변화없이 형성시킨 제한효소 XhoI의 인지부위를 포함한다).
Figure kpo00006
(이 프라이머는 EPO 유전자의 19번째 아미노산부터 25번째 아미노산과 동일한 염기서열을 포함하며, 17번째 아미노산과 18번째 아미노산 위치의 EPO 염기서열 TTGGAA를 CTCGAG로 치환함으로써 아미노산 변화없이 형성시킨 제한효소 XhoI의 인지부위를 포함한다).
Figure kpo00007
(이 프라이머는 플라스미드 ptrp HS BGH 1-13(대한민국 특허출원 제86-11712호)의 Amp 유전자에 위치하며, 제한효소 PvuI의 인지부위를 포함한다).
반응튜부 A에 프라이머 PEPORANP3L 2㎍와 프라이머 PPBR3720 2㎍을 넣고, 반응튜브 B에는 프라이머 PXEPO 2㎍, 프라이머 PSALEPO 2㎍을 넣은 다음, 각각의 튜브에 주형으로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얻은 플라스키드 ptrp 3HS EPO 1ng, 10㎖의 10배 중합 완충여용액, 10㎖의 2mM dNTP, 2.5 단위체 Taq 중합효소와 증류수를 가하여 총부피 100㎕로 한 후 95℃에서 1분(변성단계), 55℃에서 40초(어닐링단계), 72℃에서 2분(중합단계)의 조건을 PCR을 25회 실시하였다. 수득된 PCR 산물을 5% 폴리아크릴아미드 젤에서 분리한 결과, 약 1000 염기쌍의 핵산이 증폭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동일 조건의 폴리아크리아미드 젤로 분리정제하였다. 이하 수득된 각 단편을 '단편 REPOP3L' 및 '단편 XLEPO'이라 칭한다.
[단계 2]
변이형 EPO 유전자의 발현벡터 제조 및 대장균 형질전환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단편 XLEPO'을 NEB 완충용액의 3의 조건하에서 제한효소 XhoI와 PvuI으로 완전절단한 후, 페놀/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20㎕의 TE 용액에 용존시켰다. 이를 '단편 REPOP3L-X/P'라 한다.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단편 REPOP3L'을 NEB 완충용액의 3의 조건하에서 제한효소 XhoI와 PvuI으로 완전절단 후, 페놀/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20㎕의 TE용액에 용존시켰다. 이를 '단편 XLEPO-X/P'라 한다.
접합반응 튜브에 상기에서 얻은 100ng의 단편 REPOP3L-X/P, 100ng의 단편, 100ng의 단편 XLEPO-X/P, 100ng의 단편 ptrp 3H-B/P, 2㎕의 10배 접합 반응용액 및 10 단위체의 T4 DNA 리가제를 넣고 총부피가 20㎕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한 다음 16℃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접합반응이 끝나면 대장균 W3110(ATCC 37339)에 형질전환시킨 후, 형질전환된 균체로부터 '단편 REPOP3L'를 함유하는 대장균 발현벡터 'ptrp 3HS REPOP3L'를 얻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된 염기서열을 갖고 5'-말단 3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루이신으로 치환되도록 한 변이형 단편 REPOP3L 유전자 단편을 함유한 대장균 발현벡터 ptrp 3HS REPOP3L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단계 3]
변이형 EPO 유전자의 발현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재조합 대장균 200 여개의 콜로니를 50㎍/ml의 앰피실린이 함유된 액체 루리아 배지에서 12시간동안 진탕배양한 다음, 이중 3㎖을 300㎖의 M9 배지로 옮겨서 37℃에서 약 4 시간동안 진탕배양하였다. 배양액의 흡광도가 650nm에서 약 0.3 정도가 될 때 IAA을 최종농도가 50㎍/㎖가 되게 첨가하였다. IAA를 첨가한 지 약 4 시간 후에 세포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1,000 rpm에서 25 분간 원심분리하여 박테리아 세포 침전물을 수거하였다. 수거한 세포 침전물들을 램리의 방법에 따라 SDS의 존재하 15% 폴리아크릴아미드 젤에서 전기영동하여 발현을 확인한 결과, EPO 단백질이 대량발현된 변이체를 선별할 수 있었으며 이를 'ptrp 3HS REPOP3L #66'이라 하였다.
상기 형질전환된 대장균 W3110/ptrp 3HS REPOP3L #66을 1996년 12월 27일자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에 기탁번호 제 KCTC 0290BP 호로서 기탁하였다.
제3도는 EPO 유전자 및 변이형 EPO 유전자를 포함하는 각가의 발현벡터 ptrp 3HS EPO 및 ptrp 3HS REPOP3L 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을 배양하여 SDS-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제1열은 플라스미드를 함유하지 않은 대장균, 제2열은 플라스미드 ptrp 3HS EPO를 함유한 대장균, 제12열은 플라스미드 ptrp 3HS REPOP3L #66을 함유한 대장균을 나타낸 것이고, 제M열은 표준 분자량 표지 단백질을 나타낸 것이고, 나머지 열들은 플라스미드 ptrp 3HS REPOP3L을 함유한 대장균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면 EPO 유전자를 함유한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에서는 EPO 단백질이 거의 발현되지 않은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변이형 EPO 유전자를 함유한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특히 ptrp 3HS REPOP3L #66의 경우 EPO 단백질의 발현율이 현저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단계 4]
변형된 염기서열을 갖는 변이형 EPO 말단의 염기서열 확인
상기에서 얻은 ptrp 3HS REPOP3L #66 클론으로부터 EPO 유전자의 5'-말단기의 염기서열을 확인하기 위해 생거 등의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먼저 플라스미드 2㎍을 NEB 완충용액의 3의 조건하에서 제한효소 BglⅡ와 EcoRI로 완전절단하였으며, 이를 7% 폴리아크릴아미드 젤로 분리하여 약 450 염기쌍의 핵산절편을 분리정제하였다. 이하, 이 핵산절편을 '단편 REPOP3L66-B/R'이라 한다. 한편 플라스미드 M13mp18 2Ⅱ을 NEB완충용액의 3조건 하에서 제한효소 BglⅡ와 EcoRI으로 완전절단하였으며, 이를 0.7 % 아가로스 젤로 분리하여 약 7kb의 핵산절편을 분리하였다. 이하, 이 핵산절편을 '단편 M13-B/R'이라 한다. 접합반응 용기에 상기에서 얻은 단편 REPOP3L66-B/R 100ng을 넣고, 100ng의 단편 M13-B/R, 2㎕의 10배 접합반응 용액, 10 단위체의 T4 DNA 리가제, 그리고 총부피가 20㎕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한 다음 16℃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이를 사용하여 대장균 JM105(ATCC 47016)에 형질전환시키고, 형질전환된 세포에 ㎕의 0.2M IPTG 용액을 넣은 후 미리 배양된 헬퍼세포(대장균 JM105) 100㎕, 3㎖의 2XYT 상층아가와 25㎕의 4% X-gal 용액을 혼합하여 Min A 플레이트 위에 고르게 도포한 다음 37℃에서 1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투명한 플라크를 이쑤시개로 찍어서 2㎖의 2XYT 액체 배지에서 37℃, 5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에 1/4 부피의 PEG/NaCl(20% 폴리에틸렌글리콜, 2.5M 염화나트륨)을 넣은 다음 M13 파아지를 수거해서 단일가닥 핵산을 추출한 후 변형된 염기서열을 갖는 변이형 EPO의 5'-말단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된 EPO 유전자의 5'-말단 염기서열을 EPO 유전자의 5'-말단 염기서열과 비교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의 EPO 유전자의 경우 대장균에서 매우 낮은 발현율을 보이는데 비해, 본 발명에 따라 EPO 유전자의 5'-말단 염기서열이 5'-말단으로부터 3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루이신으로 치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아미노산 변화없이 대장균 선호코돈으로 치환변형되고, 치환변형된 EPO 유전자의 5'-말단 앞에는 연어 성장 호르몬의 5'-말단 염기서열 일부와 리보소옴 결합부위 및 종료코돈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O 유전자를 포함하는 염기서열을 이용한 경우에 EPO가 대량으로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산방법에 따르면 EPO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은 EPO 단백질의 3차 구조 분석 및 변이체 제조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8)

  1.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EPO) 전자의 5'-말단 염기서열이 5'-말단으로부터 3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루이신으로 치환됨을 제외하고는 아미노산 변화없이 대장균 선호코돈으로 치환변형되고, 치환변형된 EPO 유전자의 5'-말단 앞에 연어 성장 호르몬의 5'-말단 염기서열 일부와 리보소옴 결합부위 및 종료코돈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유전자.
  2. 제1항에 있어서, EPO 유전자의 5'-말단 앞에 연결된 연어 성장 호르몬의 5'-말단 염기서열 일부와 리보소옴 결합부위 및 종료코돈이 하기 서열들로 구성되는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유전자:
    Figure kpo00008
  3. 제1항에 있어서,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 유전자의 5'-말단 염기서열이 하기 서열인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유전자:
    Figure kpo00009
  4. 제1항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 발현벡터.
  5. 제4항에 있어서, 발현벡터 ptrp 3HS REPOP3L #66.
  6. 제4항의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7. 제6항에 있어서, 대장균 W3110/ptrp 3HS REPOP3L #66(KCTC 0290BP).
  8. 제6항의 대장균을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발현에 적합한 조건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이형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 단백질의 제조방법.
KR1019970001911A 1997-01-23 1997-01-23 대장균에서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대량생산방법 KR100194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911A KR100194000B1 (ko) 1997-01-23 1997-01-23 대장균에서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대량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911A KR100194000B1 (ko) 1997-01-23 1997-01-23 대장균에서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대량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405A KR19980066405A (ko) 1998-10-15
KR100194000B1 true KR100194000B1 (ko) 1999-06-15

Family

ID=6595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911A KR100194000B1 (ko) 1997-01-23 1997-01-23 대장균에서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대량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070B1 (ko) * 2002-10-31 2005-04-29 한미약품 주식회사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epo) 발현 벡터 및 이를이용한 epo의 대량 생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405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651927B (zh) 编辑rna的方法和组合物
JP6230158B2 (ja) ヒトβ−ヘキソサミニダーゼBの基質特異性を変換し、且つ、プロテアーゼ抵抗性を付与した新規高機能酵素
CN113811611A (zh) 无毒cas9酶及其应用
JP2010213699A (ja) 組換えヒトエリスロポイエチンを発現する宿主細胞
KR100194000B1 (ko) 대장균에서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대량생산방법
KR100229421B1 (ko) 대장균에서 인간 적혈구 형성 자극인자의 대량 생산방법
Nilsson et al. Improved heterologous expression of human glutathione transferase A4-4 by random silent mutagenesis of codons in the 5′ region
KING et al. A conserved motif in the yeast nucleolar protein Nop2p contains an essential cysteine residue
Kang et al. Cloning and sequencing of the astA gene encoding arylsulfate sulfotransferase from Salmonella typhimurium
Goosen et al. Genes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PQQ from Acinetobacter calcoaceticus
ITMI950442A1 (it) Frammento di dna codificante d-amminoacido ossidasi
CA2228378A1 (en) Cytidine deaminase cdna as a positive selectable marker for gene transfer, gene therapy and protein synthesis
RU2153535C1 (ru) Рекомбинантная плазмидная днк psav27, кодирующая синтез растворимого стрептавидина из streptomyces avidinii, и бактериальный штамм escherichia coli - продуцент растворимого стрептавидина из streptomyces avidinii
CN115261363B (zh) Apobec3a的rna脱氨酶活性测定方法及rna高活性的apobec3a变体
KR100225514B1 (ko) 조피볼낙 성장 호르몬의 대량생산 방법
KR0135390B1 (ko) 인간 플레이오트로핀 유전자의 발현벡터 및 효모에서의 인간 플레이오트로핀 단백질의 제조방법
KR100232658B1 (ko) 대장균에서 인간 혈소판 생성 촉진인자의 제조방법
KR100339151B1 (ko) 인간근세포성장인자
JPH1146769A (ja) フルクトシルアミノ酸オキシダーゼをコードするdna
Oda et al. Translation initiation sites and relative activity of large and small forms of human choline acetyltransferase
JPH07123985A (ja) レギュカルチンをコードするdna断片
KR100260633B1 (ko) 인간 미드카인 유전자의 발현 벡터 및 효모에서의 그의 발현
KR0184771B1 (ko) 광어 성장 호르몬의 대량 생산방법
CA3208244A1 (en) Fully synthetic, long-chain nucleic acid for vaccine production to protect against coronaviruses
CN115873850A (zh) 腺嘌呤碱基编辑系统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