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855B1 -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855B1
KR100193855B1 KR1019960064386A KR19960064386A KR100193855B1 KR 100193855 B1 KR100193855 B1 KR 100193855B1 KR 1019960064386 A KR1019960064386 A KR 1019960064386A KR 19960064386 A KR19960064386 A KR 19960064386A KR 100193855 B1 KR100193855 B1 KR 10019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message
display unit
user servic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097A (ko
Inventor
정인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64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855B1/ko
Publication of KR1998004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855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다수 포트를 사용할 때 각 포트 사용자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표시부를 제1포트 사용자 서비스용 영역과 제2포트 사용자 서비용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제1 및 제2포트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서 각각 해당 부분으로 제1포트 사용자 서비스용 메시지 및 제2포트 사용자 서비스용 메시지를 출력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제1포트 및 제2포트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각 포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정확하게 출력하므로, 상기 제1포트 사용자 서비스용 메시지와 상기 제2포트 사용자 서비스용 메시지의 구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 출력 방법
본 발명은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다수의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 표시부로 상기 각 포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이하 ISDN이라 한다)는 음성 및 비음성 서비스를 디지털 방식으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ISDN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중앙처리장치100과 램102와 롬104와 조작부106과 표시부108과 음성처리부110과 전송부120과 터미널인터페이스부130과 전화인터페이스부140으로 구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00은 ISDN 전화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램102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중앙처리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롬104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조작부106은 다수의 기능키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키에 대한 정보를 중앙처리장치100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08은 액정표시장치인 LCD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 동작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10은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를 받아 음성 통로, DTMF, 링, 톤 등의 신호처리를 한다. 전송부120은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처리장치100으로 전달하고,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를 받아 소정 데이터를 송신한다. 터미널인터페이스부130은 RS232C와 같은 직렬통신라인을 통해 접속된 데이터 단말과 중앙처리장치100간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전화인터페이스부140은 일반전화기인 아날로그전화기와 중앙처리장치100간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즉, 전화인터페이스부140은 상기 아날로그전화기의 후크 온/오프상태를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100으로 전달한다.
도2는 종래 ISDN 전화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른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2개의 포트를 사용하는 전화기의 표시부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종래 2개의 포트를 동시에 사용하는 ISDN 전화기에서 표시부108로 소정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종래 ISDN 전화기에서 표시부108은 20자에서 40자 이내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200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ISDN 전화기를 제어하여 제1포트 사용자 서비스 개시한다. 202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터미널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전화인터페이스부140을 통해 제2포트 사용자 서비스 중인지의 여부를 파악한다. 상기 제2포트 사용자 서비스 중인 경우 중앙처리장치100은 전송부120을 통해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표시부108로 출력한다. 이와 달리 제2포트 사용자 서비스 중이 아닌 경우 206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는 전송부120을 통해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208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상기 수신 메시지를 표시부108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ISDN 전화기는 한 포트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개시하면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표시부108을 통해 출력한다. 표시부108은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문자가 20자 이내이면 첫 번째줄에만 출력하고, 만약 상기 문자가 20자 이상 40자 미만이면 첫 번째줄과 두 번째줄에 모두 출력한다. 또한, 다른 포트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고자하는 경우 표시부108을 통해 상기 제2포트의 사용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한다. 즉, 표시부108는 제1포트 또는 제2포트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따라서, 한 포트의 사용자만이 표시부108을 통해 출력되는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ISDN 전화기에서 제1포트 및 제2포트를 사용자가 동시에 서비스를 받고하자는 경우 표시부108을 통해 제1포트에 대응되는 메시지인지 또는 제2포트에 대응되는 메시지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SDN 전화기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SDN 전화기에서 다수의 포트 사용 여부에 따라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SDN 전화기에서 사용되는 포트에 따라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트별로 출력할 수 있는 영역을 나누어 상기 포트 사용 여부에 따라 대응되는 영역으로 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에 따른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제1포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제2포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SDN 전화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포트 또는 제2포트 사용 여부에 따라 표시부의 영역을 나누고 각 포트의 사용 여부에 따라 대응되는 영역으로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SDN 전화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301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제1포트 또는 제2포트의 통신포트를 통해 사용자가 서비스를 시도하고자 하는 것을 감지한다. 302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사용자가 제1포트를 통해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1포트를 통한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 303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상기 제1포트를 통한 서비스를 개시한 후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달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304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상기 교환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글자 수가 20자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수신 메시지의 글자 수가 20자 미만인 경우 표시부108에서 제1포트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상기 메시지를 출력한다. 즉, 중앙처리장치100은 표시부108에서 제1포트에 대응되는 영역인 윗줄로 상기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와 달리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20자 이상인 경우 306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줄바꿈 글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줄바꿈 글자가 있는 경우 307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표시부108에서 상기 제1포트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상기 줄바꿈 글자이전까지의 글자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상기 줄바꿈 글자가 없는 경우 308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표시부108에서 상기 제1포트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20개의 글자를 출력한다. 309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일정시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일정시간은 보통 3초 내지 5초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달리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310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상기 제1포트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나머지 글자를 출력한다.
상기 제1포트가 사용중이 아닌 경우 311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제2포트가 사용되는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2포트가 사용중인 경우 312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제2포트를 통한 서비스 개시후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313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글자수가 20자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글자수가 20자 미만인 경우 314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표시부108에서 제2포트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와 달리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20자 이상인 경우 315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줄바꿈 글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상기 줄바꿈 글자가 있는 경우 316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표시부108에서 상기 제2포트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상기 수신된 메시지 중 줄바꿈 글자의 이전 글자까지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줄바꿈 글자가 없는 경우 317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표시부108에서 상기 제2포트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상기 수신된 메시지 중 20글자까지를 출력한다. 318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나머지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해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파악한다.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319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은 상기 제2포트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상기 수신 메시지의 나머지 글자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SDN 전화기에서 다수의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 각 포트 사용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서비스될 수 있는 다수의 포트 수에 대응하도록 표시부의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다수의 포트 중 서비스되는 포트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포트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2. 두 개의 포트를 동시에 사용하는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를 제1포트 사용자 서비스용 영역과 제2포트 사용자 서비용 영역으로 나누는 과정과,
    상기 제1포트 및 제2포트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서 각각 해당 영역으로 제1포트 사용자 서비스용 메시지 및 제2포트 사용자 서비스용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메시지를 한꺼번에 출력할 수 없는 경우 표시 가능한 만큼 출력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나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서 줄바꿈 제어 문자가 있는 경우 상기 줄바꿈 제어 문자의 이전 메시지를 출력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줄바꿈 제어 문자의 이후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KR1019960064386A 1996-12-11 1996-12-11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 출력 방법 KR100193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386A KR100193855B1 (ko) 1996-12-11 1996-12-11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 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386A KR100193855B1 (ko) 1996-12-11 1996-12-11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 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097A KR19980046097A (ko) 1998-09-15
KR100193855B1 true KR100193855B1 (ko) 1999-06-15

Family

ID=6652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386A KR100193855B1 (ko) 1996-12-11 1996-12-11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8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09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461B1 (ko) Isdn 신호 캐퍼빌러티를 갖는 통신 시스템
US5703936A (en) Communication apparatus receiving information from portable information medium
US6014434A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processing an incoming call of a line-busy exchange system
KR100193855B1 (ko)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 전화기에서 메시지 출력 방법
KR100222781B1 (ko) 발신자번호를 이용한 착신호 검색 통화방법
KR19990001882A (ko) 전화기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
US6535296B1 (en) Facsimile device for providing a user-to-user signaling function and a method for transferring and receiving facsimile data by using the same
KR960009920B1 (ko) 디지탈 키폰의 긴급메시지 표시 방법
JP2000216861A (ja) 通信端末装置
JP3563297B2 (ja) ディジタル通信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通信方法ならびにその記録媒体
KR0159638B1 (ko) 아이에스디엔 전화기
KR19990010671A (ko) 문자를 송/수신하는 디지털 키폰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KR20010057823A (ko) 키폰시스템에서의 문자/그림 정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0143169B1 (ko)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호출방법
KR100267849B1 (ko) 알투신호를적용한자동전용네트워크다이얼링방법
KR100594154B1 (ko) 아이에스디엔 단말의 표시기능을 이용한 교환시스템의 기능을원격 설정하는 방법
KR200258218Y1 (ko)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
JPH02239762A (ja) 通信端末装置
KR920008762B1 (ko) Isdn 텔리라이팅 단말기 시스템
JPH0744617B2 (ja) 電話端末装置
KR100258389B1 (ko) 음성사서함장치의 진행상태를 키셋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방법
KR100238678B1 (ko) 바이오리듬에 따른 링음 자동변경 출력방법
JPH01231495A (ja) 電話装置
KR930022779A (ko) 마이컴을 이용한 전화기 시스템
JPH0777459B2 (ja) 電話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