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471B1 -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471B1
KR100193471B1 KR1019960019925A KR19960019925A KR100193471B1 KR 100193471 B1 KR100193471 B1 KR 100193471B1 KR 1019960019925 A KR1019960019925 A KR 1019960019925A KR 19960019925 A KR19960019925 A KR 19960019925A KR 100193471 B1 KR100193471 B1 KR 100193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fety
electromotive force
magnet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184A (ko
Inventor
김현학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19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471B1/ko
Priority to DE19723653A priority patent/DE19723653B4/de
Priority to CN97112129A priority patent/CN1171518A/zh
Publication of KR980003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1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thermocouples
    • F23N5/1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thermocouple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25Protection against flame failure by using flame dete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1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thermocou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 F23N5/206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3/00Signal processing; Details thereof
    • F23N2223/08Microprocessor; Microcompu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5/00Valves, nozzles or pumps
    • F23N2235/12Fuel valves
    • F23N2235/14Fuel valves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유입 통로를 개폐하는 안전밸브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안전차단장치는, 타이머와; 써모커플과; 하부로 스프링력이 가해지는 스프링에 지지되어 가스유입통로를 개폐하는 안전밸브와;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인가받아 이 기전력에 기인하는 자력을 발생해서 상기 안전밸브를 상부로 끌어당겨 가스유입통로를 개방하는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와; 밸브 스위치와; 정류시킨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밸브스위치의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순방향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타이머의 오프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역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전류의 전송방향을 절환시키는 절환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이용하여 다수의 안전차단장치를 제어하는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1, 3릴레이를 제어하는 회로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2릴레이를 제어하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써모커플 2 :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
3 : 전자석 4 : 철판
5 : 스프링 6 : 안전밸브
8 : 차단스위치 9 : PCB
10, RY1, RY2, RY3 : 릴레이 11 : 전극
SW1, SW2, SW3, SW4, SW5 : 스위치
R1-R10 : 저항 C1-C6 : 콘덴서
Q1-Q5 : 트랜지스터 19, 22, 19-1, 19-2, 19-3 : 리드
D1 : 다이오드 14, 15, 16, 100, 110, 120 : 안전차단장치
본 발명은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유입 통로르 개폐하는 안전밸브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를 제1도에 도시하고 있다. 제1도를 참조하면, 상기 안전차단장치는 2종의 금속에 온도차를 줌으로써 열기전력을 발생하는 써모커플(thermocouple)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써모커플(1)에서 발생하는 열기전력은 리드(lead)를 통해서 전자석(3)으로 인가되고, 상기 전자석(3)은 인가되는 열기전력에 의해서 자력을 발생한다.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은 250mA, 20mV 정도이다. 이때 발생된 자력에 의해서 상기 전자석(3)은 안전밸브(6)와 연결된 철판(4)을 끌어 당긴다.
상기 철판(4)은 안전밸브(6)와 하나의 축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안전밸브(6)는 전자석(3) 및 철판(4)을 내장하고 있는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Magnetic Power Unit ; 2)의 몸체 하단부에 스프링(5)으로 지지되며, 상기 안전밸브(6)를 지지하는 스프링(5)력은 하부로 가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하부로 가해지는 스프링력은,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한 기전력에 기인되어 상기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자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써모커플의 기전력에 의해서 발생된 자력으로는 스프링력을 이기고 이격된 거리에 위치한 철판(4)을 당기기는 어렵게 구성된다. 따라서 초기 점화시 상기 안전밸브(6)를 여는 동작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푸쉬스위치(20)를 누름으로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동동작에 의해 일단 열린 안전밸브(6)가 계속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위해서,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인가받아 발생되는 자력으로 상기 전자석(3)이 철판(4)을 당겨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안전밸브(6)는 상부로 당겨져서 가스 유입구가 개방되고, 소정시간이 지난 후 상기 가스 유입구로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고자 할 때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써모커플(1)과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2) 사이에 설정된 시간동안 동작하고 오프되는 타이머 차단 스위치(8)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차단 스위치(8)가 설정된 시간동안 온(on) 동작하고 오프되면서 전자석(3)으로 공급되는 써모커플(1)의 기전력을 차단시킨다. 상기 차단 스위치(8)에 의해 기전력이 차단되면, 상기 전자석(3)이 자력을 잃게 되고, 따라서 상기 전자석(3)이 철판(4)을 놓게 되면서 스프링(5)의 힘으로 안전밸브(6)가 하부로 하강되어 가스 유입구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안전밸브가 가스 유입구를 차단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전자석(3)으로 상기 써모커플(1)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이 공급된다고 하더라도 이때 발생되는 상기 전자석(3)의 자력으로는 상기 스프링(5)력을 이기고 이격된 거리의 철판(4)를 당겨 붙일 수는 없으므로, 상기 안전밸브(6)는 수동으로 다시 열기 전에는 항상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종래 시스템에서는 가스 유입이 이루어지는 동작과정에서, 상기 차단 스위치(8)를 통해 전자석(3)으로 기전력이 인가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차단 스위치(8)의 접촉 저항을 항상 20mΩ 이하로 유지시켜야 하였다. 이것은 상기 전자석(3)으로 공급되는 기전력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철판(4)를 당기는 동작을 유지해야 하므로, 상기 차단 스위치(8)에 의해 소요되는 전압을 최소화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차단 스위치(8)는 장시간 사용에 따라 접촉 저항이 점점 증가하여 상기 전자석(3)으로 공급되는 기전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점화 동작시에 수동동작에 의해서 안전밸브를 장시간 누르거나 잡고 있어야 하며, 심지어는 기전력이 완전히 차단되어서 사용불능의 상태에 도달하는 등의 품질 문제가 심하게 야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사용에 구애 받지 않고, 장착된 소자에 의한 접촉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연소기구의 초기 점화동작 및 소화동작을 단순히 하나의 스위치 선택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이머와; 써모커플과; 하부로 스프링력이 가해지는 스프링에 지지되어 가스유입통로를 개폐하는 안전밸브와;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인가받아 이 기전력에 기인하는 자력을 발생해서 상기 안전밸브를 상부로 끌어당겨 가스유입통로를 개방하는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와; 상기 설정된 시간동안 동작하고 오프되는 타이머에 연동되어 상기 타이머가 오프 동작되면,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로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과 반대가 되는 역기전력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이머와; 써모커플과; 하부로 스프링력이 가해지는 스프링에 지지되어 가스유입통로를 개폐하는 안전밸브와;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인가받아 이 기전력에 기인하는 자력을 발생해서 상기 안전밸브를 상부로 끌어당겨 가스유입통로를 개방하는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와; 밸브 스위치와; 정류시킨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밸브스위치의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순방향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타이머의 오프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역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전류의 전송방향을 절환시키는 절환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안전차단장치는 가스레인지, 가스오븐레인지, 가스밥솥 등 가스 연소가 필요한 장치에서 가스의 유입을 개폐하는 안전밸브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해서, 전자석(3)과 철판(4)을 내장하고 있는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2)가 있다. 상기 전자석(3)에는 코일이 감겨있고, 상기 전자석에 감겨있는 코일의 일측에 스크류(SCREW) 고정단자(12)가 접속되며, 상기 스크류 고정단자(12)를 접속한 리드(lead : 22)를 통해서 써모커플(thermocouple ; 1)의 일측이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리드(22)에 접지(earth ; 1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3)에 감겨있는 코일의 타측에는 콘넥터(11)에 의해서 써모커플(1)의 일측이 접속한다. 이때 상기 콘넥터(11)와 써모커플(1) 사이의 리드(lead ; 19)에 타이머(18)와 연결된 PCB(9)가 연결된다.
상기 써모커플(1)은 2종의 금속에 온도차를 줌으로써 열기전력을 발생하는 것으로써,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금속은 콘스탄탄과 인코엘이다. 상기 2종의 금속이 가열되어서 발생되는 양전극과 음전극이 리드(19, 22)를 통해서 전자석(3)으로 전달된다. 즉, 상기 리드(19, 22)에 전자석(3)에 감긴 코일의 양측이 각각 접속된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전자석(3)은 상기 써모커플(1)에서 발생하는 열기전력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열기전력에 기인한 자력을 발생한다. 이 발생된 자력으로 인하여 상기 전자석(3)은 안전밸브(6)와 연결된 철판(4)을 끌어 당기게 된다.
상기 철판(4)에 연결된 안전밸브(6)의 상하 이동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다. 다시 한번 살펴보면, 상기 철판(4)은 안전밸브(6)와 하나의 축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안전밸브(6)는 전자석(3) 및 철판(4)을 내장하고 있는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2)의 몸체 하단부에 스프링(5)으로 지지되며, 상기 안전밸브(6)를 지지하는 스프링(5)력은 하부로 가해지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하부로 가해지는 스프링력은 크기 때문에,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한 기전력에 기인해서 상기 전자석(3)에서 발생하는 자력으로는 상기 스프링(5)력을 이기고 이격된 거리에 위치한 철판(4)을 당기기는 어렵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전밸브(6)를 여는 동작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안전밸브(6) 하단에 위치한 푸쉬스위치(20)를 미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동동작에 의해 일단 열린 안전밸브(6)가 계속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자석(3)의 자력이 상기 철판(4)을 당겨주는 것이다.
그리고 밸브 몸체부(7)에 성형된 가스 유입구가 상기 안전밸브(6) 하부에 성형되고, 상기 가스 유입구로 가스가 유입되기 위해서는 안전밸브(6)를 수동으로 연다. 즉, 상기 안전밸브(6)의 하단부에 푸쉬 스위치(20)를 장착하고, 상기 푸쉬 스위치(20)를 미는 것에 의해서 상기 안전밸브(6)를 상부로 밀어 가스 유입구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타이머(18)와 연결된 PCB(9)상에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2)의 동작을 순간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회로가 구현된다. 이 구성을 살펴보면, 5볼트(V)의 전원(21)이 일측을 접지에 연결하고 타측을 릴레이(10)에 연결한다. 상기 릴레이(10)의 다른 일측은 상기 콘넥터(11)와 써모커플(1) 사이의 리드(19)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10)는 소정시간이 지난 후 오프(OFF) 동작되는 타이머(18)에 연동되어, 상기 타이머(18)가 오프(OFF) 동작될 때 온(ON) 동작되는 소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차단장치로 가스가 유입될 때와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시킬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초기 점화 동작시, 안전밸브(6)를 여는 것은 사용자의 수동동작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안전밸브(6) 하단의 푸쉬스위치(20)를 상부로 밀어서 상기 안전밸브(6)를 상부로 밀게된다. 이 과정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써모커플(1)이 가열되면서, 상기 써모커플(1)에 연결된 두 리드(19, 22)에 양전극과 음전극이 발생된다. 즉,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안전밸브(6)를 소정시간 동안 상부로 밀어주는 동안에, 상기 써모커플(1)에서 기전력이 발생되어, 이 발생된 기전력에 기인해서 전자력에 자력이 발생하고, 이 발생된 자력으로 상기 상부로 이동된 안전밸브(6)를 계속 끌어당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 써모커플(1)에서 발생된 기전력으로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2)가 동작되고 나서는 사용자는 푸쉬 스위치(20)에 의한 안전밸브(6)를 미는 동작을 정지해도 상기 안전밸브는 계속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은 안전차단장치의 소화동작을 설명한다.
설정된 시간동안 동작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18)는 오프 동작된다. 이때 상기 타이머의 동작에 연동되어서 동작되는 릴레이(10)가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릴레이(10)가 온 되면, 전원(21)에서 인가되는 전류가 상기 릴레이(10)를 통해서 리드(19)로 흐른다. 상기 리드(19)로 공급되는 전류는 전자석(3)으로 인가되는데, 이때 상기 전자석(3)으로 흐르는 전류의 극성은 상기 써모커플(1)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한 극성과 반대가 된다. 그러나 상기 릴레이(10)를 통해서 인가되는 전류가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상기 전자석(3)의 극성은 바뀌게 된다.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은 25mA, 20mV이고, 상기 전원(21)에서 인가되는 전류는 1A, 전압은 5V이다.
상기 전자석(3)의 극성이 바뀌는 순간에 상기 전자석(3)은 끌어 당기고 있던 철판(4)을 놓거나 튕겨버리게 된다. 상기 전자석(3)이 철판(4)을 놓거나 튕겨버리면 압측 코일스프링(5)의 하부로 향하는 스프링력에 의해서 안전밸브(6)가 밸브 몸체에(7) 닿게 되면서 상기 밸브 몸체(7)에 성형된 가스 유입 통로를 막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 안전밸브(6)가 가스유입 통로를 차단한 후, 상기 릴레이(10)가 오픈 동작되면서, 전자석(3)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전자석(3)으로 역기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은 1초에서 2초간이며, 이 시간이 경과되면 역기전력이 소멸되므로써 접촉 저항에 의해 나타나는 부작용이 없다. 이때 상기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은 전체적으로 35mΩ 이하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써모커플(1)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해서는 스프링력을 이기고 상기 안전밸브(6)를 당기지 못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전밸브를 수동으로 다시 열기 전에는 항상 닫혀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는 초기 점화 동작시, 수동으로 안전밸브를 열고, 상기 열린 안전밸브를 계속 열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한다. 그리고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장착된 전자석으로 소정시간 동안 역기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회로부를 구성해서, 상기 안전차단 장치의 안전밸브를 오프시키고자 할 때,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보다 큰 전원이 상기 회로부에서부터 상기 전자석으로 인가되어, 상기 전자석의 극성을 바꾼다. 이때 극성이 바뀌면서 전자석이 순간적으로 자력을 잃게 되고, 이때 안전밸브는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로부의 사용에 의해 생기는 저항은 종래의 차단 스위치의 사용에 의한 접촉 저항보다 훨씬 작은 저저항이기 때문에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부작용이 발생되는 일이 없다.
다음은 제3도를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안전차단장치를 제어하는 구성도이다.
각 안전차단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단지 여러개의 안전차단장치(14, 15, 16)가 구비되고, 상기 안전차단장치 역기전력을 인가하는 회로부(9)가 구성되며, 상기 회로부(9)와 상기 각 안전차단장치(14, 15, 16)가 리드(19-1, 19-2, 19-3)를 통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부(9)와 상기 리드 사이에 선택스위치(SW3)가 접속되어, 역기전력이 공급될 안전차단장치를 선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스위치(SW3)의 특정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전환시켜서, 역기전력이 필요한 안전차단장치와 리드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타이머(도시하지 않음)가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오프 동작되면, 상기 타이머와 연동 동작되는 릴레이(10)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서, 선택된 안전차단장치로 상기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역기전력 공급이 이루어진다.
즉,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서 한개의 타이머로서 여러개의 가스연소기구를 선택적으로 소화시킬 수 있으므로서 고신뢰성과 염가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소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를 설명한다.
제4도는 안전차단장치의 초기 점화시와 소화시 동작을 모두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제1전원(양전극)과 제2전원(음전극)은 리드(19, 22)를 통해서 안전차단장치 내 전류가 흐르는 전선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정류부와 안전차단장치 사이에 릴레이부가 접속되고, 상기 릴레이부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안전차단장치로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이 전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릴레이부의 상호 연결관계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제1전원(양전극)단자와 제2전원(음전극)단자에 제1릴레이의 가동단자(C, C')가 각각 접속한다. 상기 제1릴레이(RY1)는 두개의 스위치(SW4, SW5)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각 가동단자(C, C')에 두개의 단자(NC, NO ; NC', NO')가 절환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SW4)의 단자(NC)와 스위치(SW5)의 단자(NO')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SW4)의 단자(NO)와 스위치(SW5)의 단자(NC')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스위치(SW4)의 단자(NC)에는 제 2, 3 릴레이(RY2, RY3)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 2, 3 릴레이는 리드(19)를 통해 안전차단장치의 음전극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SW5)의 단자(NC)'는 리드(22)를 통해 안전차단장치의 양전극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차단장치의 음전극 또는 양전극이라고 하는 것은 써모커플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한 전극을 일컫는다.
그리고 제5도와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릴레이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은 제4도의 구성에 의한 안전차단장치의 초기 점화시의 동작 및 소화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동작 설명 중에 필요한 릴레이의 제어 회로 부분에 대해서ㅡ는 제5도와 제6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4도는 안전차단장치의 초기 점화동작시에 상기 안전차단장치로 순방향의 기전력을 일정시간만큼 인가할 수 있는 회로이다. 이때 인가되는 순방향의 기전력은 상기 안전밸브를 끌어 당기기에 충분한 크기의 힘을 인가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5도에 도시된 밸브 스위치(SW2)가 온 동작 되면, 상기 스위치(SW2)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트랜지스터(Q5)를 턴-온(turn-on) 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Q5)가 턴-온 되므로서 저항(R9, R10)과 콘덴서(C5)에 의해 결정된 충전시간과 방전시간 동안에 제1, 3릴레이(RY1, RY3)를 통과하는 전류통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릴레이는 가동단자(C, C')의 위치를 절환시키고, 상기 제3릴레이는 온 동작된다.
즉, 제4도에서 상기 제1릴레이(RY1)는 초기 상태에 가동단자(C, C')가 각각 단자(NC, NC')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환동작에 의해서 가동단자(C, C')가 단자(NO, NO')로 연결된다. 따라서 정류부에서 정류된 제1전원 (양전극)과 제2전원(음전극)은 제1릴레이(RY)의 단자(NO, NO')을 통해서 전극의 전송로가 바뀌게 되고, 따라서 제3릴레이 (RY3)를 통과하는 리드(19)에는 음전극이 흐르게 되고, 다른 리드(22)에는 양전극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전차단장치로는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과 동일방향으로 전류(12)가 흐르게 된다. 이때 인가되는 전류는 통상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보다는 훨씬 큰 전류이고 또한 상기 안전밸브를 하단으로 끌어당기는 스프링력보다도 큰 힘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3)은 이때 인가되는 기전력에 의해서 철판(4)을 끌어 당겨서 안전밸브(6)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전자석(3)으로 약 5초동안 기전력이 인가되고, 이 시간 동안에 써모커플(1)은 가열되어 기전력을 발생한다. 상기 약 5초의 시간이 지난 후, 밸브 스위치(SW2)가 오프 되면서, 상기 제1릴레이는 초기상태 [가동단자가 단자(NC, NC')에 접속되는 상태]로 전환되고, 제3릴레이는 오프된다.
그래서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안전차단장치로 공급하는 전송로가 차단된다. 그러나 이때 상기 써모커플에 의한 기전력으로 상기 철판을 당기는 동작은 계속 유지된다. 즉 사용자가 밸브스위치(SW2)를 잠깐 눌러도 회로에서 시간이 보상되므로 고속 점화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밸브스위치(SW2)는 밸브를 누르던지 돌렸다는 신호를 감지하는 스위치이다.
다음은 제4도에서 소화 동작시에 상기 안전차단장치로 역기전력이 인가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제6도에 도시된 타이머 스위치(SW1)가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오프 동작된다. 상기 스위치(SW1)가 오프되면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turn-off) 되면서 동시에 트랜지스터(Q2)는 턴-온(turn-on)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가 턴-온 됨에 의해서 제2릴레이(RY2)의 전류 통로가 형성되고, 따라서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해 결정된 충전시간동안 제2릴레이(RY2)에 전압이 인가된다.
한편, 상기 제1릴레이(RY1)의 가동단자 (C, C') 는 단자 (NC, NC')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되어 출력되는 제1전원(양전극)은 제1릴레이 단자(NC) 및 제2릴레이를 통해서 리드(19)로 흐르게 되고, 제2전원(음전극)은 제1릴레이 단자(NC')를 통해서 리드(19)로 흐른다. 따라서 상기 안전차단장치의 써모커플(1)에서 전자석(3)으로 인가되는 전극과 극성이 바뀌면서, 상기 전자석(3)에 역방향의 전류(I1)가 흘러서, 상기 전자석(3)이 순간적으로 자력을 잃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 상기 전자석(3)은 순간적으로 철판(4)을 놓치게 되고, 이때 하부로 향한 스프링력에 의해 안전밸브(6)는 가스 유입구를 막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수행되는 중에도 상기 써모커플(1)에서는 계속 열기전력이 발생되나, 상기 써모커플(1)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은 상기 정류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비해 극히 적은 전원이기 때문에 상기 정류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서 상기 안전차단장치의 극성은 바뀌게 된다.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은 250mA, 20mV이고, 상기 정류부에서 인가하는 전원은 1A, 5V 이다. 그리고 다시 제2릴레이가 오프되면서 상기 정류부에서 인가되는 역기전력이 차단되고, 상기 안전차단장치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순방향의 기전력이 인가되어도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해서는 상기 스프링력을 이기고 철판을 끌어당길 수는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원(21)과 정류부를 통해서 출력되는 전원은 밧데리(Bettery) 또는 교류 220 볼트 50/60 Hz, 교류 110 볼트 50/60 Hz의 전원 등을 이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차단장치는, 상기 안전차단장치 회로 내에 사용함에 따라 저항이 증가하는 차단 스위치와 같은 소자를 추가하지 않고도 상기 안전차단장치 안전밸브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가의 타이머와 PCB를 하나씩 장착하고, 단순 염가의 선택스위치를 장착해서 많은 수의 안전차단장치를 하나의 타이머 영향 아래에서 제어할 수 있음으로 상품의 사용성, 편리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설정된 시간동안 동작하고 오프되는 타이머와; 써모커플과; 하부로 스프링력이 가해지는 스프링에 지지되어 가스유입통로를 개폐하는 안전밸브와;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인가받아 이 기전력에 기인하는 자력을 발생해서 상기 안전밸브를 상부로 끌어당겨 가스유입통로를 개방하는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와; 상기 타이머에 연동되어 상기 타이머가 오프 동작되면,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로서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과 반대가 되는 역기전력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안전기구의 안전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전원과; 상기타이머의 오프 동작에 연동 동작하고, 상기 전원이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스위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안전기구의 안전차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릴레이 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안전기구의 안전차단장치.
  4. 써모커플과, 하부로 스프링력이 가해지는 스프링에 지지되어 가스유입통로를 개폐하는 안전밸브와,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인가받아 이 기전력에 기인하는 자력을 발생해서 상기 안전밸브를 상부로 끌어당겨 가스유입통로를 개방하는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안전차단장치와; 소화동작시에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과 반대가 되는 역기전력을 상기 안전차단장치로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다수개의 안전차단장치와 전원공급부 사이에 접속한 선택스위치로 구성하여 복수개의 안전차단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전원과; 상기 타이머의 오프 동작에 연동 동작하고, 상기 전원이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전류통로를 형성하는 스위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릴레이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타이머와; 써모커플과; 하부로 스프링력이 가해지는 스프링에 지지되어 가스유입통로를 개폐하는 안전밸브와; 상기 써모커플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인가받아 이 기전력에 기인하는 자력을 발생해서 상기 안전밸브를 상부로 끌어당겨 가스유입통로를 개방하는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와; 밸브스위치와; 정류시킨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밸브 스위치와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순방향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타이머의 오프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에 역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전류의 전송방향을 절환시키는 절환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는,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의 음전극에 접속한 제1전송로와; 상기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의 양전극에 접속한 제2전송로와;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하는 제1전원(양전극)과 제2전원(음전극)을 입력하고, 상기 밸브스위치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전원을 제2전송로로 그리고 제2전원을 제1전송로로 전송하며, 상기 타이머의 오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전원을 제1전송로로 그리고 제2전원을 제2전송로로 전송하도록 스위칭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와 상기 제1전송로 사이에 접속하여 상기 밸브 스위치의 동작에 연동하는 제3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와 상기 제1전송로 사이에 접속하여 상기 타이머의 오프 동작에 연동하는 제2릴레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KR1019960019925A 1996-06-05 1996-06-05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KR100193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925A KR100193471B1 (ko) 1996-06-05 1996-06-05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DE19723653A DE19723653B4 (de) 1996-06-05 1997-06-05 Sicherheitsabschaltvorrichtung für Gasverbrennungsgeräte
CN97112129A CN1171518A (zh) 1996-06-05 1997-06-05 燃气器具的安全切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925A KR100193471B1 (ko) 1996-06-05 1996-06-05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84A KR980003184A (ko) 1998-03-30
KR100193471B1 true KR100193471B1 (ko) 1999-06-15

Family

ID=1946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9925A KR100193471B1 (ko) 1996-06-05 1996-06-05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193471B1 (ko)
CN (1) CN1171518A (ko)
DE (1) DE19723653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537B1 (ko) * 2012-11-21 2014-12-23 조태성 가스 레인지의 안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7780C (zh) * 1998-01-23 2007-01-31 张凡 燃具安全保护装置的磁保持电磁阀
EP3839351A1 (en) * 2019-12-17 2021-06-23 Illinois Tool Works INC.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of gas burners of a cooking appliance
CN111121099A (zh) * 2020-01-04 2020-05-08 肖克 一种能够自动切断加热源的燃气灶
CN111442539B (zh) * 2020-04-14 2020-10-30 河北凯德采暖设备有限公司 一种燃气壁挂炉用安全连接设备及燃气壁挂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51819B (de) * 1964-11-06 1967-01-25 Kromschroeder Ag G Zündsicherung für Gasgeräte
AT251745B (de) * 1964-12-03 1967-01-25 Junkers & Co Zündsicherung für gasbeheizte Geräte
DE4331193A1 (de) * 1993-09-14 1995-03-16 Electrolux Siegen Gmbh Thermostrom-Schal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537B1 (ko) * 2012-11-21 2014-12-23 조태성 가스 레인지의 안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518A (zh) 1998-01-28
DE19723653A1 (de) 1997-12-11
KR980003184A (ko) 1998-03-30
DE19723653B4 (de) 200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1884B2 (en) Control system for the ignition of a gas burner
CN110220221B (zh) 燃气器具燃烧器的火焰监测系统和燃气器具的控制方法
GB2249383A (en) Gas cooker
KR100193471B1 (ko) 가스연소기구의 안전차단장치
US749738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gas valve
US4529373A (en) Burner safety ignition system allowing for electrical and manual operation
US20220341593A1 (en) Thermoelectric safety assembly
US3660005A (en) Fail-safe electric ignition systems
JP2015007494A (ja) ガスコンロ
CA2752576C (en) Electric cooking appliance with relay driver
GB2034020A (en) Automatic Gas Burning Apparatus
EP0454613B1 (en) Gas appliance
JP2006517645A (ja) ガス流れに点火する方法と装置
US4101811A (en) Delayed extinction control
JP2731858B2 (ja) ガス機器の安全装置
JP3047077U (ja) ガス燃焼器具の安全遮断装置
DE2500557A1 (de) Gasarmatur fuer gasbeheizte geraete, insbesondere haushaltgeraete
US2517363A (en) Automatic safety cutoff for gas burners
JPS622440Y2 (ko)
JP4060003B2 (ja) 炊飯器
JP3244949B2 (ja) 立消え安全装置付きガス燃焼器具
WO1998037367A1 (en) Ignition control system for igniting a fuel gas burner
CN115585484A (zh) 燃气灶点火装置及燃气灶
JP2640013B2 (ja) 湯沸器
GB2176910A (en) Electrical control means for gas flow to a bur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