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464B1 - 유압식 배력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배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464B1
KR100193464B1 KR1019950021524A KR19950021524A KR100193464B1 KR 100193464 B1 KR100193464 B1 KR 100193464B1 KR 1019950021524 A KR1019950021524 A KR 1019950021524A KR 19950021524 A KR19950021524 A KR 19950021524A KR 100193464 B1 KR100193464 B1 KR 100193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chamber
hydraulic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133A (ko
Inventor
고이치 하시다
Original Assignee
구라우치 노리타카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라우치 노리타카,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라우치 노리타카
Publication of KR960004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2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60T13/145Master cylinder integrated or hydraulically coupled with boo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8Arrangements for pressure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압력제어 밸브의 밸브부분은 밸브가 개방될때 밸브를 개방하려는 압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불안정해 지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 압력제어밸브의 밸브부분은 포핏밸브의 형태로 있으므로 밸브부분의 밸브몸체는 밸브를 개방하려는 방향으로 동압원의 압력을 수용하고 밸브를 폐쇄하려는 방향으로 유압도입 챔버의 압력을 수용한다. 이런 배열상태에서 밸브가 개방되어지고 동압원 압력이 강하될 때 밸브를 폐쇄하려는 힘은 증가되어서 압력제어밸브는 폐쇄하려는 경향을 더 강하게 보이고 있다. 이것은 압원 압력의 자유강하를 방지하므로 밸브부분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한다. 따라서, 진동 및 이상소음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압식 배력장치
제1도는 종래의 유압식 배력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유압식 배력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압력제어 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워 피스톤 2 : 몸체
3 : 입력로드 4 : 스풀밸브
5 : 동압챔버 6 : 유압도입챔버
7, 8 : 고압시일 9, 10 : 복귀스프링
11 : 펌프 13 : 어큐뮬레이터
14, 15, 16 : 구멍 17 : 감압통로
18 : 유체통로 30 : 압력제어밸브
본 발명은 보조동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수동제어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유압식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제동력 발생장치로서 유압식 마스터 실린더의 출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유압식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유형의 유압식 배력장치는 그 밸브유니트를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진 힘에 비례한 수준으로 이 장치를 제어한 후 파워 피스톤의 배면상에 동압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밸브유니트는 입력로드와 파워 피스톤 사이의 상대위치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다시 말하면, 파워 피스톤이 입력로드에 상응하여 후퇴될때 동압원의 압력은 동압챔버내로 도입되어서 동압출력을 증가시킨다. 파워 피스톤이 입력로드에 상응하여 전진될때 동압챔버는 저장부 쪽으로 개방되에서 동압챔버를 감압시킨다.
종래의 배열상태에서는 이와같은 제어가 파워 피스톤과 입력로드가 함께 이동하도록 파워 피스톤에 구비된 밸브유니트에 의해서 행해진다. 또다른 배열상태에서는 피스톤과 로드 사이의 상대 위치가 검출되어서 피스톤과 로드로 부터 별개로 구비된 고정밸브 유니트로 전달된다.
이와같은 2가지의 배열상태 중에서 후자는 완전하고 값이 비싼 링크기구가 필요하므로 종래의 배력장치의 대부분은 전자의 배열상태를 사용하고 있다.
전자의 배열상태에서는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파워 피스톤에 동압원의 압력을 도입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하는데에는 2가지의 공지된 방법이 있다. 한가지 방법은 가요성 호스에 의해서 파워 피스톤에 형성된 밸브실과 동압원의 출력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다른 한가지 방법은 파워 피스톤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밸브실과 연통하도록 파워 피스톤의 주위에 환상의 유압도입챔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후자의 방법에서는 피스톤이 미끄럼 이동하는 동안에 챔버를 밀봉하도록 챔버의 양쪽 측면상에 고압시일을 제공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은 2가지 방법중에서 후자는 전자의 방법에서 사용된 가요성 호스가 내구성과 관련된 문제점을 가지기 때문에 전자보다 대체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후자의 방법에 또한 문제점이 없다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면, 유압도입챔버가 동압원과 직접 유체연동하기 때문에 챔버를 형성하는 2개의 시일은 항상 동압원의 압력과 동일한 고압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것은 필연적으로 시일의 미끄럼 저항을 증가되게하여 원위치로 파워 피스톤이 복귀되도록 하는데 강도가 더 강한 복귀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을 내리누를때 파워피스톤은 빨리 이동하지 않고 피스톤에 작용된 힘이 시일의 미끄럼 저항과 복귀스프링의 힘을 합한 것을 초과한 후에만 이동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것은 행정의 초기 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감을 떨어뜨린다. 더구나, 시일은 동압원의 압력과 동일한 고압에 영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미끄럼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시일은 충분한 내구성을 갖춘 재료로 만들어져야 한다. 내구제는 통상적으로 고가 일뿐아니라 시일의 미끄럼 저항을 한층 더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에 대한 한가지 해결책은 EP 296614 B1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서 개시된 유압식 배력장치는 동압원과 유압도입챔버 사이에 구비된 압력제어 밸브를 가지고 있어서 챔버와 동압원을 연결하는 통로를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동압챔버의 압력보다 소정의 수준에 의거하여 유압도입챔버의 압력을 더 높게 유지하고 있다.
이와같은 압력제어밸브로서는 공개번호 64-1652에서 스풀밸브와 체크밸브 및 체크밸브를 밀어올리도록 된 핀을 갖추고 있는 피스톤을 가지고 있는 또다른 밸브를 개시하고 있다. 후자의 유형의 밸브는 또한 FR-A 2604673 및 미합중국 특허 4463561에 공지되어 있다.
스풀밸브는 이 밸브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에 유체의 누출방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유체누출을 방지해서 스풀밸브가 압력제어벨브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 피스톤 및 피스톤 케이스는 매우 좁은 공차로 다듬질되므로 이들 사이에서의 여유가 실제적으로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정밀가공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발명자는 후자의 유형의 밸브를 포함하는 유압식 배력장치를 연구하였다. 그러나, 이 배력장치가 또한 브레이크 페달을 내리누를때 빈번하게 생기는 브레이크 페달의 진동 및 이상 소음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무익하다는 것을 판명하였다.
제1도는 EP296614 B1에 개시된 유압식 배력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유압식 배력장치는 보어를 갖추고 있는 몸체(2); 이 몸체(2)의 보어내에서 축선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도록 장착된 파워 피스톤(1); 이 파워 피스톤(1)의 후방에 구비된 입력로드(3); 파워 피스톤(1)에 형성된 밸브실내에서 축선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도록 장착된 스풀밸브(4); 파워 피스톤(1)의 배면 부분에 동압을 가하기 위한 동압챔버(5); 몸체(2)의 보어와 파워 피스톤(1)의 외주 사이에 구비되고 펌프(11)의 출력 서킷에 연결된 유압 도입챔버(6); 피스톤(1)의 미끄럼운동을 허용하면서 챔버를 밀봉하도록 챔버(6)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된 어큐뮬레이터(13)로 이루어진다. 부재번호 14, 15 및 16은 구멍을 나타내고, 17은 감압통로를 나타내고, 18은 유체통로를 나타낸다. 부재번호 30은 압력 제어밸브를 나타낸다. 압력제어밸브는 푸시핀(35)을 갖추고 있는 피스톤(36), 챔버(32) 쪽으로 피스톤(36)을 편향하는 오프셋 스프링(34) 및 챔버(32)와 동압원을 연결하는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볼밸브(37)을 포함하고 있다. 이 볼밸브(37)는 피스톤(36)을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입력제어밸브(30)내에서 생긴 힘의 관계는 하기식으로 주어진다;
여기서, A는 피스톤(36)의 단면적이고; B는 볼밸브(37)의 밀봉면적이고; P1은 동압원의 압력이고; P2는 유압도입챔버(6) 내의 압력이고; P3은 동압챔버(5)내의 압력이고; 그리고 F는 스프링(34)력이다. B값은 A값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게된다. 따라서 P2= P3+ F/A이다. 브레이크 페달을 내리누른 직후 동압챔버(5) 내의 압력(P3)이 대단히 작기 때문에 챔버(6) 내의 압력(P2)은 F/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를들어, 동압원의 압력(P1)이 160㎏/㎠이면 F/A=10-20kg/cm2이다. 따라서, 미끄럼 저항은 충분히 낮게 유지되어 진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동압원의 압력(P1)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압력제어밸브(30)는 식(1)을 만족시킬때 개방된다. 이 밸브(30)가 개방되는 순간펌프(11)와 압력제어밸브(30)사이에 존재하는 유체의 흐름속도는 급격하게 증가해서 동압원의 압(P2)과 동일한 압력제어밸브의 입구에서의 압력은 P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으로 급격하게 강하된다. 펌프(11)와 압력제어밸브(30) 사이에서 파이프의 길이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밸브(30)의 입구에서의 압력은 파이프내의 유체의 관성 및 점성의 영향으로 인해서 더 빠르게 강하되려는 경향이 있다. 밸브(30)의 입구에서의 압력이 P2로 강하될 때 하기식이 만족된다:
이런 상태에서, 압력제어밸브(30)는 압력(P2)을 증가시키려는 경향, 즉 개방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밸브(30)가 개방되기 시작하는 순간 밸브가 개방되려는 경향은 더 강해진다. 결론적으로, 압력제어밸브의 입구에서의 압력은 한층 더 감소된다. 밸브 폐쇄력은 압력(P2)이 식(2)를 만족시키는 수준으로 증가된 후에만 밸브 개방력을 압도한다. 이런 상태에서, 압력제어밸브의 입구에서의 압력은 동압원의 압력(P1)과 동일한 수준으로 증가된다. 그렇다면, 압력제어밸브는 압력제어밸브(30)의 입구에서의 압력이 압력(P2)과 동일한 수준, 즉 식(1)을 만족시키는 수준으로 감소될때까지 폐쇄되어진 채로 있다. 따라서, 압력제어밸브는 식(1)과 (2)에 의해서 나타내어진 상태들 사이에서 요동한다. 밸브(30)의 이런 불안전한 상태는 스풀밸브(4)의 진동을 생기게 해서 브레이크 페달의 진동과 배력장치에서 이상 소음을 생기게 한다.
본발명의 목적은 압력제어벨브를 가지고 있으며 진동 및 이상 소음이 없는 유압식 배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동압챔버내의 압력 보다 소정의 수준에 의거하여 유압도입챔버내의 압력을 더 높게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입력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유압식 배력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압력제어벨브는 유압도입챔버와 동압원을 연결하는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포핏밸브의 형태로 밸브부분을 가지고, 이 밸브부분은 동압원의 압력이 밸브를 개방하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유압도입 챔버의 압력이 밸브를 폐쇄하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밸브몸체를 가지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압력제어밸브의 밸브부분이 개방될 때 강제유체는 동압원으로 부터 유압도입챔버내로 흘러서 유압도입챔버내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본발명에 의하여 유압도입챔버내의 압력은 밸브를 폐쇄시키려는 방향으로 밸브부분의 밸브몸체상에 작용하도록 된다. 따라서, 압력제어밸브가 개방되고 밸브부분의 입구에서의 압력이 강화될 때 이 밸브는 개방되려는 경향 보다 폐쇄되려는 경향을 더 강하게 보이고 있다.
따라서, 밸브부분의 움직임은 안정된다. 이것은 배력장치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켜 페달행정의 초기 단계 동안에 브레이크 페달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덜 비싼 시일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항에서 청구된 압력제어 밸브는 구조가 특히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압력제어밸브는 개방될때 폐쇄되려는 경향을 강하게 보이고 있기 때문에 압력제어밸브를 제공하려는 본래의 목적, 즉 유압도입챔버내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목적은 달성될 수 있다.
이 배력장치는 동압챔버와 유압도입챔버 사이의 압력차가 밸브몸체와 고정밸브시트 사이에서 표면접촉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력제어밸브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값에 도달할때 동압챔버를 향하여 변위하도록 된 압력차 보상수단을 더 포함한다. 압력차 보상수단으로서 압력제어 피스톤부분을 사용함으로써 압력제어 밸브의 구조를 한층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배력장치의 개량된 형태를 도시하기만 하였다. 그러나, 본발명의 개념은 미합중국 특허 4463561과 FR-A 2604673에서 개시된 배력장치와 같은 다른 유형의 배력장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본발명의 다른 특징 및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하기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2도는 본발명에 따른 유압식 배력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유압식 배력장치는 보어를 갖추고 있는 몸체(2); 이 몸체(2)의 보어내에서 축선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도록 장착된 파워 피스톤(1); 이 파워 피스톤(1)의 후방에 구비된 입력로드(3); 파워피스톤(1)에 형성된 밸브실내에서 축선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도록 장착된 스풀밸브(4); 파워 피스톤(1)의 외주 사이에 구비되고 펌프(11)의 방출서킷에 연결된 유압 도입챔버(6); 피스톤(1)의 미끄럼 운동을 허용하면서 챔버를 밀봉하도록 챔버(6)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된 고압시일(7, 8); 파워 피스톤(1)용 복귀스프링(9); 스풀밸브(4) 용 복귀 스프링(10); 저장부(12); 및 어큐뮬레이터(13)로 이루어진다. 부재번호 14, 15 및 16은 구멍을 나타내고, 17은 감압통로를 나타내고, 18은 유체통로를 나타낸다. 부재번호 100은 압력제어밸브를 나타낸다. 압력제어밸브는 밸브몸체(102)와 고정밸브 시트(105)로 만들어진 밸브부분, 소직경부분(103a)과 대직경부분(103b)을 갖추고 있는 계단형 입력제어 피스톤(103), 밸브부분을 수용하는 제1유체챔버(107), 제1유체챔버(107)와 서로 인접하여 있고 압력제어 피스톤(103)의 대직경부분(103b)에 의해서 분리된 서브챔버(104)로 이루어진 제2유체챔버(108) 및 직경이 큰 측면을 향하여 (밸브를 개방하려는 방향으로) 압력제어 피스톤(103)을 편향하는 스프링(104)으로 이루어진다.
압력제어 피스톤의 소직경부분(103a)은 챔버(108과 107)를 분할하는 벽을 통하여 미끄럼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시일(109)은 분할벽과 소직경부분(103a) 사이에서 끼워맞춤 되어서 유밀상태의 시일을 제공하고 있다. 밸브몸체(102)의 위치는 압력제어 피스톤(103)의 이동과 관계가 있다. 따라서, 피스톤(103)을 이동시킴으로써 챔버(107)와 동압원에 연결된 챔버(101)사이의 유체통로는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챔버(106)는 (이 실시예의 압력제어 피스톤(103)을 통하여 형성되나 몸체내에 형성될 수도 있는) 통로(112)를 통하여 챔버(107)와 연통한다. 챔버(107)는 배력장치의 유압도입챔버(6)와 연통한다. 챔버(108)는 동압챔버(5)와 연통한다.
압력제어밸브(100) 내에서 생긴 힘의 관계는 하기식으로 주어진다:
여기서, A는 압력제어 피스톤(103)의 대직경부분의 단면적이고; B는 밸브몸체(102)의 밀봉면적이고; C는 피스톤의 소직경부분(103a)의 단면적이고; P1은 동압원의 압력이고; P2는 유압도입챔버(6) 내의 압력이고; P3은 동압챔버(5) 내의 압력이고; 그리고 F는 스프링(104)력이다. 종래의 압력제어밸브의 경우에서와 같이, B 값은 (A-C)값 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게된다. 이런 경우에서는 실질적으로 P2= P3+ F/(A-C)이다. 브레이크 페달을 내리누른 직후 동압챔버(5) 내의 압력(P3)은 대단히 작아서 챔버(6)내의 압력(P2) 은 F/A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미끄럼 저항은 충분히 낮게 유지되어 진다.
밸브(100)는 하기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식 (3)을 만족시킬때 압력제어밸브(100)는 개방되고, 동시에 압력제어밸브(100)의 입구에서의 압력은 동압원의 압력(P1)으로 부터 강하된다. 압력의 이와같은 강하는 식 (3)에서 명백해지는 바와같이 밸브를 폐쇄하려는 방향으로 압력제어 피스톤(103)을 가압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하면, 본발명의 압력제어밸브는 종래의 압력제어밸브에서 관찰된 문제점, 즉 밸브가 아주 약간 개방되어질때 압력제어밸브의 입구에서의 압력은 강화되려는 경향이 있어서 밸브를 한층 더 개방하려고 작용하여 압력을 한층 더 강하시키는 문제점이 해결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챔버(6)내의 압력이 밸브가 동압원의 압력과 챔버(6)내의 압력간에 차에 따라 폐쇄되도록 동압언의 압력과 반대인 방향으로, 즉 밸브를 폐쇄하려는 방향으로 밸브부분의 밸브몸체상에 작용되지 않으면 안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배열상태는 이런 필요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장 간단하며 저렴한 배열상태중의 하나이다.
이런 배열상태에서는 챔버(6)내의 압력이 챔버(6)와 동압원을 연결하는 통로를 개폐시킴으로써 동압챔버(5)내의 압력 보다 소정의 수준에 의거하여 더 높게 유지되어진다. 다시 말하면, 압력제어밸브(100)는 챔버(6)내의 압력을 낮추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밸브는 브레이크 페달이 풀어질 때 동압챔버내의 압력강하를 생기게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배력장치에서 압력제어밸브(100)와 스풀밸브(4) 사이의 부분이 챔버(6) 내의 압력이 스풀밸브(4)를 통하여 대단히 적은 양의 유체의 누출에도 상응하여 신속하게 강하될 정도로 견고하기 때문에 실행상의 문제점을 생기게 하지 않는다.
그러나, 밸브몸체(102)는 챔버(6)내의 압력이 충분히 강하될때 고정밸브시트(105)에 대하여 강하게 가압되기 때문에 밸브의 내구성은 높은 접촉압력으로 인하여 저하된다.
이런 문제점은, 예를들어 챔버(6)와 동압챔버(5) 사이에서 동압챔버를 향하여 피스톤을 편향시키기 위해서 액밀상태로 미끄럼 가능하도록 끼워맞춤된 제2피스톤과 제2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력차 보상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되어진다.
제2스프링력은 압력제어밸브가 작동하고 압력제어밸브의 밸브부분의 내구성을 손상시키는 압력차 보다 낮은 범위내에서 압력차가 압력차의 범위 보다 높은 지점에 도달할때 유압 도입챔버의 체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제2피스톤이 이동하도록 설정되어진다. 제2피스톤의 근소한 이동만이 압력차에서 과도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차 보상수단은 이와같은 피스톤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스프링 장착 다이어프램일 수도 있다.
또한 압력제어밸브의 피스톤 그 자체는 압력차 보상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배력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압력제어밸브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제어 피스톤(113)의 대직경부분(113b)은 밸브몸체(102)를 지지하는 소직경부분(113a)으로 부터 떨어져 있고 대직경부분과 소직경부분 사이에서 끼워맞춤된 액밀상태의 시일로 밸브몸체(102)로 부터 원격된 끝에서 소직경부분상에 미끄럼가능하도록 끼워맞춤된다. 소직경부분은 밸브몸체(102)로 부터 원격된 끝에 스토퍼(114)를 가지고 있다. 이 스토퍼(114)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부터 소직경부분(113a)에 대하여 대직경부분(113b)이 오른쪽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밸브를 개방하려는 방향으로 대직경부분(113b)에 의한 편향력만이 소직경부분(113a)으로 전달된다. 소직경부분(113a) 그리고 나서 밸브몸체(112)는 밸브를 폐쇄하려는 방향, 즉 동압원의 압력(P1)과 반대인 방향으로 스프링(115)에 의해서 편향된다. 스프링(116)은 압력제어 피스톤(113)의 대직경부분(113b)을 편향하여 도입챔버(6)와 동압챔버(5) 사이에서 압력차를 생기게 한다.
제3도에 도시된 압력제어밸브에서 생긴 힘의 관계는 하기식으로 주어진다:
여기서, A는 압력제어 피스톤의 대직경부분(113b)의 단면적이고; B는 밸브몸체(102)의 밀봉면적이고; C는 소직경부분(103a)의 단면적이고; P1은 동압원의 압력이고; P2는 챔버(6)내의 압력이고; P3은 동압챔버(5)내의 압력이고; 그리고 F는 스프링(116)력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의 밸브의 기능은 제1실시예에서의 밸브의 기능과 동일하다.
압력차가 P2- P3F1/ (A-C) 일때까지 증가할때 대직경부분(113b)은 동압챔버(5)와 연동하는 챔버(108)를 항하여 이동하여서 챔버(6)내의 압력(P2)은 급격히 감소된다. 스프링(115)력은 폐쇄하려는 방향으로 밸브몸체(102)를 편향하려는 경향이 있는 힘만이다. 따라서, 밸브를 폐쇄하려는 힘은 상당히 낮은 수준내에서 유지되어 진다.

Claims (4)

  1. 보어를 갖추고 있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된 상기 보어내에 축선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밸브실을 가지고 있는 파워 피스톤; 상기 파워 피스톤의 배면에 동압을 가하기 위한 동압챔버; 상기 파워 피스톤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파워 피스톤과 독립적으로 축선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한 입력로드; 한쪽 축선방향으로 상기 파워 피스톤을 편향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 상기 파워 피스톤의 외주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쌍; 상기 시일쌍 사이와, 상기 몸체의 상기 보어의 내부면과 상기 파워 피스톤의 외주 사이에서 형성된 유압도입챔버; 상기 파워 피스톤에 형성되고 상기 동압챔버 및 상기 동압챔버용 감압통로와 연통하는 상기 밸브실에 구비된 밸브수단; 및 동압원과 상기 유압도입챔버 사이에 구비된 입력제어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파워 피스톤과 상기 입력로드 사이에서 상대적인 축선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유압도입챔버와 연결되어 있는 통로와, 상기 감압통로와 상기 동압챔버를 연결하고 있는 통로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동압챔버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압력제어밸브는 상기 유압도입챔버와 상기 동압원을 연결하고 있는 통로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동압챔버내의 압력 보다 소정의 수준에 의거하여 더 높게 상기 유압 도입챔버내의 압력을 유지하며, 상기 압력제어밸브는 상기 유압도입챔버와 상기 동압원을 연결하고 있는 통로를 개폐하기 위해서 포핏밸브의 형태로 밸브부분을 가지고, 상기 밸브부분은 상기 동압원의 압력이 상기 밸브를 개방하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상기 유압도입챔버내의 압력이 상기 밸브를 폐쇄하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밸브몸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배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압력제어밸브는 밸브몸체를 가지고 있는 상기 밸브부분, 상기 밸브부분이 하우징된 제1유체챔버, 분할벽에 의해서 상기 제1유체챔버로 부터 분리된 제2유체챔버, 한쪽 끝에서 상기 밸브부분의 상기 밸브몸체를 지지하고 상기 분할벽을 통하여 미끄럼 가능하며 액밀상태로 삽입된 소직경부분과 상기 제2유체챔버 안에 하우징되고 상기 소직경부분에 연결되 대직경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유체챔버 부근의 제1서브챔버와 상기 제1유체챔버와 원격인 제2서브챔버내로 상기 대직경부분에 의해서 분할되어지는 압력제어 피스톤, 밸브를 개방하려는 방향으로 상기 입력제어 피스톤을 편향하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제2서브챔버와 상기 제1유체 챔버를 연결하고 있는 통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유체챔버는 상기 유압도입챔버와 연통하고 상기 제1서브챔버는 상기 동압챔버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배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대향끝을 가지고 있는 압력차 보상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압도입챔버내의 압력은 상기 동압챔버내의 압력과 스프링의 편향력이 다른 한쪽끝에 작용하는 동안에 상기 대향끝중 한쪽에 작용하고 상기 보상수단은 상기 대향끝상에 작용하는 상기 힘이 서로 평형을 이룰때 까지 상기 대향끝상에 작용하는 힘간의 차가 상기 압력제어밸브에 의해서 생긴 상기 소정의 압력차 보다 소정의 값에 의거하여 더 크게될때 상기 유압도입챔버의 체적을 증가시키려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배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 피스톤의 상기 대직경부분은 상기 소직경부분으로 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소직경부분상에 미끄럼 가능하며 액밀상태로 끼워맞춤되어 있으며 상기 소직경부분은 상기 대직경부분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다른 한쪽 끝에 스토퍼를 가지고 있고, 상기 소직경부분은 밸브를 폐쇄하려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서 편향되기 때문에 상기 대직경부분은 상기 압력차 보상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배력장치.
KR1019950021524A 1994-07-21 1995-07-21 유압식 배력장치 KR100193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69497 1994-07-21
JP6169497A JPH0834343A (ja) 1994-07-21 1994-07-21 液圧ブース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133A KR960004133A (ko) 1996-02-23
KR100193464B1 true KR100193464B1 (ko) 1999-06-15

Family

ID=1588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524A KR100193464B1 (ko) 1994-07-21 1995-07-21 유압식 배력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26731A (ko)
EP (1) EP0693408B1 (ko)
JP (1) JPH0834343A (ko)
KR (1) KR100193464B1 (ko)
DE (1) DE6950815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4024A (ja) * 1997-09-16 1999-06-08 Sumitomo Electric Ind Ltd 負荷液圧の制御方法
US6564553B2 (en) * 2000-11-09 2003-05-20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Braking pressure intensifying master cylinder
JP4779232B2 (ja) * 2001-05-25 2011-09-28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制動装置
JP3979260B2 (ja) * 2002-10-21 2007-09-19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ブレーキ液圧発生装置
US8366205B1 (en) 2008-10-02 2013-02-05 Robert Bosch Gmbh Blended hydraulic brake booster
CN104067041B (zh) * 2012-01-25 2016-05-18 株式会社爱德克斯 滑阀
FI124349B (en) * 2012-03-09 2014-07-15 Wärtsilä Finland Oy Hydraulic actuator and gas exchange valve arrangement
DE102012212546A1 (de) * 2012-07-18 2014-01-23 Robert Bosch Gmbh Fluidisch gesteuertes Druckschaltventil für ein Fahrzeugbremssystem und Fahrzeugbremssystem
CN103994119A (zh) * 2014-06-12 2014-08-20 苏州劳灵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铰接内杆式双作用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1904A1 (de) * 1981-01-22 1982-09-02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Druckregelventil
DE3215737A1 (de) * 1982-04-28 1983-11-0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Bremskraftverstaerker
DE3633969A1 (de) 1986-10-06 1988-04-07 Teves Gmbh Alfred Bremsdruckgeber fuer eine 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anlage
KR890000299A (ko) 1987-06-24 1989-03-13 나카하라 츠네오 유압부우스터
JPH0345459A (ja) * 1989-07-14 1991-02-27 Nissin Kogyo Kk 流体圧倍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08159D1 (de) 1999-04-15
EP0693408A3 (en) 1997-02-12
US5526731A (en) 1996-06-18
EP0693408A2 (en) 1996-01-24
EP0693408B1 (en) 1999-03-10
JPH0834343A (ja) 1996-02-06
KR960004133A (ko) 1996-02-23
DE69508159T2 (de) 199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6089A (en) Reaction means for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US5720170A (en) Master cylinder and emulator with apply assist
US4329846A (en) Fast fill displacement master cylinder
US3977425A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valve
KR100341962B1 (ko) 릴리프 밸브
KR100193464B1 (ko) 유압식 배력장치
US4455831A (en) Differential master cylinder
US4034566A (en) Hydraulic boosting apparatus in braking system
KR930011754B1 (ko) 감소된 행정과 급속보상의 유압식브레이크 배력장치
US4745751A (en) Master cylinder with fast fill valving mechanism
US4963692A (en) Brake control valve
US4800724A (en) Brake booster device providing pressure to both pressure chambers of tandem brake master cylinder device
US4850655A (en) Hydraulic booster
US4311085A (en) Hydraulic brake booster
US5676172A (en) Relief valve
JPS5852854B2 (ja) 流体圧ブレ−キブ−スタのための圧力制御装置
US4237772A (en) Hydraulic ratio-changing booster with hydraulic lock
CA2079137C (en) Two-stage valve
EP0041451B1 (en) Master cylinder with fast fill auxiliary chamber
US5168791A (en) Liquid-operated booster
DE2503870A1 (de) Mit fremdkraft betaetigter hydraulischer bremsverstaerker fuer eine fahrzeugbremsanlage
DE3743190C2 (ko)
US4398390A (en) Master cylinder with fast fill auxiliary chamber within a piston
US3657887A (en) Power assisted brake
JPS62175250A (ja) ポ−トレス型マスタシリン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