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133B1 - 센서가 장착된 카테테르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가 장착된 카테테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133B1
KR100193133B1 KR1019940029844A KR19940029844A KR100193133B1 KR 100193133 B1 KR100193133 B1 KR 100193133B1 KR 1019940029844 A KR1019940029844 A KR 1019940029844A KR 19940029844 A KR19940029844 A KR 19940029844A KR 100193133 B1 KR100193133 B1 KR 100193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un
sensor
probe
laser light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888A (ko
Inventor
노리오 다이꾸조노
Original Assignee
노리오 다이꾸조노
가부시키가이샤 에스. 엘. 티. 쟈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리오 다이꾸조노, 가부시키가이샤 에스. 엘. 티. 쟈판 filed Critical 노리오 다이꾸조노
Publication of KR96000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85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2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 body cavities or body tracts, e.g. by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5Details of cathete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 A61B2017/00084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 A61B2017/00084Temperature
    • A61B2017/00092Temperature using thermocou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 A61B2017/00106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74Prostate operation, e.g. prostatectomy, turp, bhp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61B2017/2206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for spreading elements a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47Prost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테테르 장치는 전립선에 대하여 레이저 광을 입사하여 치료함에 있어서,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부위의 치료 효과, 예를 들어 응고나 피사 정도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정보 검출용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카테테르 장치는 체강내에 삽입되는 강성의 외장; 천기 외장의 전방 말단부에서 개공되어 있는 윈도우; 전기 윈도우를 통하여 출입이 자유로운 센서; 및 전기 센서에 인접해 있는 팽창 가능한 발룬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발룬 수단이 전기 외장에 고정되어 있고, 전기 발룬이 팽창하여, 상기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반대쪽으로 상기 체강의 벽면에 대해 기울어져 압착하게 된다. 발룬의 반력에 의해 상기 센서는 윈도우를 통하여 돌출하여 전기 벽면에 대해 압착상태에서 접촉한다.

Description

센서가 장착된 카테테르 장치
제1도는 요도에 삽입되는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 장치 전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도는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의 전방 말단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다.
제3도는 카테테르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확대 수직 단면도이다.
제4도는 홀더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직장에서의 전립선 치료와 온도 검출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제6도는 강제 냉각을 실시할 때와 실시하지 않을 때에 있어서 요도 내벽으로부터의 깊이 방향의 온도 분포를 부여주는 예시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첫번째 구현예에 따른 온도 검출 카테테르 장치의 사시도이다.
제8도는 요도에 삽입된 상태의 카테테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두번째 구현예에 따른 온도 검출 카테테르 장치의 사시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카테테르의 정면도이다.
제11도는 제9도의 카테테르의 수직단면도이다.
제12도는 발룬이 팽창된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다.
제13도는 제11도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확대 수직 단면도이다.
제14도는 온도 센서 단자의 확대 수직 단면도이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두번째 구현예에 따른 온도 검출 카테테르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16도는 다른 형태의 정보 검출 센서가 장착된 카테테르 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17도는 제16도의 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발룬 2 : 제2발룬
10 : 삽입 가이드 12 : 제1가이드
14 : 제2가이드 16 : 온도센서의 리드선
18 : 배뇨용 도관 20 : 제2발룬 팽창용 냉각매체 공급관 라인
22,36,44 : 컨넥터 24 : 온도제어부
26 : 레이저 광 발생기 28 : 냉각수 탱크
30 : 순환펌프 34 : 배수관
38 : 광 섬유 40 : 보호관
42 : 홀더 46 : 제1연결관
48 : 코일 스프링 50,51,56,58 : 끈
52 : 집전장치(shoe) 54 : 제2연결관
60 : 요도 62 : 방광
64 : 전립선 68 : 직장
70 : 온도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74 : 온도센서
76 : 바이어싱 발룬
84 : 탐침
본 발명은 식도, 위, 직장 등의 체강내에 삽입하여, 체강벽면의 또는 체강벽면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가 장착된 카테테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요도에 삽입하여 전립선의 레이저 치료를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와 함께 사용되는 장치로서, 직장에 삽입하여 직장벽면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가 장착된 카테테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laser balloon catheter)는 혈관의 폐쇄부를 개공하는 경우 등에 사용된다. 또 암조직에 대하여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온열치료(hyperthermia treatment)를 행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의 구조는 미국특허 제4,512,762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미국특허에는, 광 섬유를 둘러싸고 있는 루멘 튜브(lumen tube)가 장착되어 있고, 이 루멘 튜브의 전방 말단에, 광 섬유의 전방 말단을 둘러싸고 있는 발룬이 설치되어 있는 카테테르가 개시되어 있다.
또, PCT 국제 공개 제WO 90/13333호에는 다른 구조의 카테테르가 기재되어 있다. 탐침(probe)는 샤프트(shaft)와 슬리브(sleeve)로 이루어져 있다. 샤프트의 전방 말단에는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가 설치되어 있다. 윈도우(window)는 샤프트의 전방 말단부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를 관통하여 지나가는 레이저 섬유의 전방 말단부는 윈도우에 위치한다. 탐침의 전방 말단부는 발룬으로 둘러싸여 있고, 바닥 말단부는 외부 원통형 케이싱으로 둘러싸여 있다. 발룬은 외부 원통형 케이싱과 슬리브 사이의 공간에, 예를 들어 요도의 기벽을 기울게 할 목적으로 물을 제공함으로써 팽창시킨다. 이러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전립선에 레이저 섬유의 전방 말단부를 통하여 레이저 광을 조사한다.
PCT 국제 공개 WO 90/02285호에 기재된 카테테르 장치는, 전립선에 레이저 광이 조사되는 동안 레이저 광의 조사(irradiarion)부위를 실시간(real time)에 근거하여 검출하는 것은 가능하나, 레이저 광이 조사되는 동안 전립선의 응고나 괴사의 정도는 감지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립선에 대하여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치료하는데에 있어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부위에서의 치료 효과, 예를 들어 응고나 괴사의 정도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정보 검출용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카테테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번재 형태에 의하면, 체강내에 삽입되어 체강내 벽면의 정보와 벽면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카테테르 장치에 있어서, 강성의 홀더; 상기 홀더의 전방 말단부의 한쪽에 고정되어 있는 센서; 및 전기 홀더에 고정된 상기 센서의 반대쪽에서 팽창하는 발룬을 갖고 있는 발룬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발룬 수단의 발룬 내부에 공급되는 유체압에 의해 상기 발룬이 팽창할 때, 발룬은 체강의 벽면에 대해 기울어져 압착하게 되고, 홀더는 그의 반력에 의해 발룬의 반대쪽으로 기울어져 상기 센서가 벽면에 대해 압착상태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구비한 카테테르 장치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두번째 형태에 의하면, 체강내에 삽입되어 체강내 벽면의 정보와 벽면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카테테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강내에 삽입되는 강성의 외장; 전기 외장의 전방 말단부에서 개공되어 있는 윈도우; 전기 윈도우를 통하여 출입이 자유로운 센서; 및 전기 센서에 인접해 있는 팽창 가능한 발룬을 갖고 있는 발룬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발룬 수단이 전기 외장에 고정되어 있고, 전기 발룬이 팽창하여, 상기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반대쪽으로 상기 체강의 벽면에 대해 기울어져 압착하게 되고, 그의 반력에 의해 상기 센서가 윈도우를 통하여 돌출하여 전기 벽면에 대해 압착상태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구비한 카테테르 장치가 제공된다.
각각의 형태에서, 상기 센서로 조직의 온도, 조직을 통하여 투과되는 레이저 광의 입광량 및 초음파 레벨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을 행하도록 채택할 수 있다.
또, 두번째 형태에서, 전기 발룬 수단은 그것에 장착된 탐침과 발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룬은 탐침과 함께 외장내에 삽입될 수 있다. 탐침은 외장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탐침은 그것의 전방 말단부가 밀폐된 공중체를 가질 수 있으며, 또 공중체의 전방 말단부 벽면에 연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연통공을 둘러싸도록 발룬을 설치할 수 있다. 발룬은 중공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연통공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압에 의해 팽창한다.
탐침은 외장보다 길이가 더 길고, 외장에의 장착이 자유롭다. 윈도우의 전방 말단부 및 바닥부에서, 탐침은 외장에 고정되어 있다.
외장의 외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장의 삽입 정도를 표시해주기 위한 눈금이 새겨져 있다.
또, 외장의 외면에는 칼라형 스토퍼(stop)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토퍼는 외장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 이 스토퍼에는 외장에 대한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전립선의 치료에 있어서, 요도내에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를 삽입하고, 전립선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전립선을 가열하므로써, 응고나 괴사를 촉진한다. 임상 결과는 환자에게 부담이 적으며, 치료가 빠르고, 치료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전립선의 치료에 있어서, 전립선의 요도의 내벽으로부터 5~15cm 정도 깊은 부위에 있기 때문에, 전립선을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광의 파워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높은 파워의 레이저 광으로 조사하는 경우에는, 요도의 내벽과 그 주변에 있는 조직들이 지나치게 가열되며, 요도 주변의 조직이 파괴되고, 치료가 곤란해지며, 직장이 열손상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요도 주변 조직의 파괴를 방지하고,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직장을 열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레이저 광의 입사 파워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전방 말단부에 온도 센서를 갖고 있는 탐침용 직장내에 삽입하여, 직장 내벽의 온도를 검출하고, 그것의 온도 신호를 레이저 광 출력 제어 장치에 되돌려 보내어 레이저 광의 전립선으로의 입사 파워 및 파워 밀도를 조절하므로써 전립선이나 직장을 열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전립선의 치료에 접근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전방 말단부에 온도 센서를 갖고 있는 탐침을 삽입하므로써 직장의 벽면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온도 센서를 직장의 벽면에 연속적으로 밀착시키는 것이 어렵다. 센서가 연속적으로 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벽면 온도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어렵다. 적절한 피드-백 제어가 효과를 얻을 수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강내에 삽입되어 체강내 벽면의 정보와 벽면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카테테르 장치에 있어서, 강성의 홀더; 상기 홀더의 전방 말단부의 한쪽에 고정되어 있는 센서; 및 전기 홀더에 고정된 상기 센서의 반대쪽에서 팽창하는 발룬을 갖고 있는 발룬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발룬 수단의 발룬 내부에 공급되는 유체압에 의해 상기 발룬이 팽창할 때, 발룬은 체강의 벽면에 대해 기울어져 압착하게 되고, 홀더는 그의 반력에 의해 발룬의 반대쪽으로 기울어져 상기 센서가 벽면에 대해 압착상태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구비한 카테테르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센서는 발룬의 팽창에 의해 직장등의 체강 벽면에 대하여 확실하게 밀착하여 직장 벽면의 정확한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립선에 입사되는 레이저 광의 입사 에너지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은 요도 주변의 조직 손상을 방지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직장을 열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첫번째 형태에서, 센서는 홀더에 고정되어 있거나 통합되어 있다. 따라서, 발룬이 팽창되면 홀더는 센서 쪽으로 기울어진다. 이에 반하여, 두번째 형태에서는 센서를 갖고 있는 카테테르 장치는 체강내에 삽입되어 체강내 벽면의 정보와 벽면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카테테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강내에 삽입되는 강성의 외장; 전기 외장의 전방 말단부에서 개공되어 있는 윈도우; 전기 윈도우를 통하여 출입이 자유로운 센서; 및 전기 센서에 인접해 있는 팽창 가능한 발룬을 갖고 있는 발룬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발룬 수단은 상기 외장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발룬이 팽창되면, 상기 윈도우 반대쪽으로 상기 체강의 벽면에 대해 기울어져 벽면을 누른다. 상기 센서는 윈도우를 통과하여 돌출하여 전기 벽면에 대해 압착상태에서 접촉한다. 즉, 센서는 발룬의 팽창에 의해 외장의 윈도우를 통하여 외장으로의 출입이 자유롭다.
본 발명의 각 형태에서, 상기 센서로는 조직의 온도, 조직을 통하여 투과되는 레이저 광의 입광량 및 초음파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채택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직 온도의 검출은 직장의 손상을 방지하는데에 있어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전립선의 치료를 위해, 본 발명의 카테테르 장치에는 레이저 광의 입광량을 검출하는 센서,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나 포토트랜지스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요도에 삽입된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이 전립선을 투과하여 직장에 도달한 광량을 검출하므로써 전립선에 의해 흡수된 레이저 광의 흡광량을 파악할 수 있고, 직장에 도달한 레이저 광량을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ultrasonic wave sensor)가 사용될 수도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전립선에 대하여 보냄으로써 전립선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전립선의 위치를 표시하는 신호에 근거하여 전기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를 요도에 삽입할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잘못된 위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한 괄약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러 온도 센서들이나 포토다이오드들이 본 발명의 카테테르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개의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설정 신호선을 넘는 경우 레이저 광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조절이 행해진다. 발룬 수단은 탐침과 그것에 장착된 발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룬은 탐침과 함께 외장내에 삽입될 수 있다. 탐침은 외장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탐침은 그것의 전방 말단부가 밀폐된 중공체를 가질 수 있으며, 또 중공체의 전방 말단부 벽면에 연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연통공을 둘러싸도록 발룬을 설치할 수 있다. 발룬은 주공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연통공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압에 의해 팽창한다. 발룬은 예를 들어 탐침을 통과한 공기를 펌핑함으로서 팽창시킬 수 있으며,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그것의 복원력에 의해 수축시킬 수 있다. 탐침은 외장보다 길이가 더 길고, 외장에의 장착이 자유롭다. 윈도우의 전방 말단부 및 기단부에서, 탐침은 외장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룬 수단은 외장과는 별개로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발룬이 고무 라덱스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발룬이 낡은 경우에는, 단지 낡은 발룬만을 새 발룬으로 교환하여 이를 탐침과 함께 외장 내로 삽입함으로서 새 것으로 교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외장의 외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장의 삽입 정도를 표시해주기 위한 눈금이 새겨져 있다. 또, 외장의 외면에는 칼라형 스토퍼(stop)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토퍼는 외장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 이 스토퍼에는 외장에 대한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직장내로의 삽입 정도는 외장의 진입 정도를 표시해주는 외장 눈금을 외장의 외면에 형성함으로써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외장이 최적의 위치에 진입해 있는 상태에서, 스토퍼를 외장에 고정함으로서 진입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센서는 센서 롤더와 센서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 홀더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다. 센서 단자는 돌기들 위에 위치한다. 센서 홀더에 대하여 돌출하도록 센서 단자들과 돌기들을 배열함으로써 센서 단자를 직장등의 체강의 내벽에 확실하게 접촉시킨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에 예시된 구현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카테테르 장치는, 전립선의 치료를 위해 다른 종류의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로 장치를 요도에 삽입하여 레이저 광을 전립선에 조사하는 경우에도, 직장에 삽입하여 레이저 광의 출력을 제어할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를 들어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의 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 장치의 전체를 보여주는 것으로, 삽입 가이드 10의 전방 말단부에 제1발룬 1과 제2발룬 2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 가이드 10은 내부에 제1가이드 12와, 이 제1가이드 12를 둘러싸고 있는 제2가이드 14를 갖는다. 제1가이드 12와 제2가이드 14 사이에는 온도 센서의 리드선(lead line) 16, 배뇨용 도관 18 및 제2발룬 팽창용 냉각매체 공급관 라인 20이 설치되어 있다. 온도 센서의 리드선 16은 컨넥터 22에 접속되어 있고, 온도 신호는 컨넥터 22를 통하여 온도제어부 24에 입력되어, 레이저 광 발생기 26을 구동시킨다. 치료중에 배뇨가 있는 경우에는, 배뇨용 도관 18을 통하여 배출된다. 제2발룬 팽창용 냉각매체 공급관 라인 20에는 예를 들면 물 W2가 공급된다.
한편, 제1발룬 1을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 예를 들면 물 W1은 순환펌프 30에 의하여 냉각수 탱크 28로부터 도관 32로 공급된 후에는, 제1가이드 12와 제2가이드 14 사이에 있는 공간을 통하여 유입되어 제1발룬 1을 팽창시키는데 사용된 후, 제1가이드 12로 유출되어 배수관 34를 거쳐 냉각수 탱크 28로 회송된다. 냉각수 탱크 28에 있는 물의 온도는 소정 온도로 조정된다.
레이저 광 발생기 26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 바람직하게는 Nd-YAG 레이저 광은 컨넥터 36과 광 섬유 38을 통하여 전달된다.
제2도에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의 전방 말단부의 구조를 예시하였다. 즉, 폴리에틸렌등의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진 제1가이드 12 내에는 광 섬유 38이 설치되어 있다. 제1가이드 12의 전방 말단부 안에는 강성이 높은 내열성 보호관(protection tube) 40이 설치되어 있다. 보호관 40 안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홀더 42가 배치되어 광 섬유 38의 전방 말단을 유지하고 있다.
광 섬유 38을 유지하는 태양을 제3도 및 제4도에 예시하였다. 즉, 홀더 42는 전방 말단쪽에 환형부 42A를, 그리고 후방 말단부쪽에는 평편유지부 42B를 갖고 있다. 환형부 42A에는 그의 양쪽에 투과광(through-holes) 42C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 42는 레이저 광을 반사하기 위해, 금과 같은 반사성 금속으로 도금되어 있다. 광 섬유 38은 유지부 42B와 환형부 42A를 관통하고 있으며, 환형부 42A의 전방 말단부의 아래로 뻗어 있는 전방부에는 도금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어 38A가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코어부38A로부터 레이저 광이 출사된다. 이 경우에는, 레이저 광의 선투과성(linea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때문에 레이저 광은 다른 부분으로부터 보다 코어 38A의 전방 말단부로부터 출사되는 비율이 높다.
코어 측면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 빛을 산란시키는 물질(scattering material)을 함유하는 피막 또는 광 에너지(light energy)를 열에너지(thermal energy)로 전환시키기 위해 탄소와 같은 흡광 분말(absorbing powder)을 함유하는 피막을 코어에 입히는 작업을 제3도의 Z영역에 걸쳐 행할 수 있다.
광 섬유의 선단의 전방에서 레이저 광 출사말단에는 연결수단으로 사용되는 컨넥터 44가 구비되어 있다. 컨넥터 44는 그의 후방말단에 직경이 좁아진 부분(소경부) 44A를 갖는다. 제1연결수단으로는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지고, 레이저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제1연결관 46은 소경부 44A의 주위와 보호관 40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제1연결관 46은 보호관 40의 외면에서, 제1가이드 12의 전방 말단과 충돌하는 태양으로 보호관 40의 외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1연결관 46에는 적절한 위치에 연통공 46A가 형성되어 있다. 제1연결관 46 안에는 소경부 44A의 후방 말단과 보호관 40의 전방 말단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 48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 48은 그의 외면이 금과 같은 레이저 광 반사 피막으로 도금되어 있다. 소경부 44A는 그의 후방 말단 면위에 레이저 광 반사 피막, 예를 들어 금 피막층 44A가 형성되어 있다.
레이저 광은 제1연결관 및 보호관 40의 내면에서 산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광을 산란시키는 방법으로는 제1연결관 46과 보호관 40의 내면에 요철을 형성시키거나 내면에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 분말을 소성(baking)에 의해 부착시키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제2가이드 14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나 폴리프로필렌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의 전방 말단부에 미리 팽창시킨 부분 14A를 갖는다. 제2가이드 14의 전방 말단은 컨넥터 44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며, 끈 50과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제1발룬 1에 묶여져 고정되어 있다.
한편, 컨넥터 44의 전방에는 예를 들면 금속으로 만들어진 집전장치(shoe) 52가 설치되어 있다. 집전장치 52는 제2연결수단을 구성하는 가요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2연결관 54에 의해 컨넥터 44에 연결되어 있다. 제2연결관 54는 그의 반대편 말단이 끝 56에 의해 묶여져 집전장치 52와 컨넥터 44에 고정되어 있다. 제2연결관 54에는 투과공 54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발룬 1을 구성하는 튜브는 컨넥터 44를 통하여 집전장치 52에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어 제2발룬 2를 구성하고 있다. 제1발룬 1을 구성하는 튜브는 끝 51에 의해 묶여져 제2가이드 2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서는, 제1발룬 1과 제2발룬 2를 분리시킬 수 있다. 제2발룬 2의 전방 말단부는 끝 58과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집전장치 52에 고정되어 있다. 제1발룬 1과 제2발룬 2는 가요성과 탄성을 갖는 팽창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무 라텍스로 만들어져 있고, 실리콘 고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집전장치 52는 그의 전방 말단에 반(半)구형부 52A를, 중간부에는 원주형부를 그리고 후방 말단에는 세경부(細徑部)를 갖는다. 집전장치 52에는 반구형부 52A의 중심 및 양측부에서 개구되어 있는 주 배뇨구 52B와 부 배뇨구 52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뇨구들은 세경부의 후방 말단에서 개공되어 있는 통공의 배뇨관 52D와 연결되어 있다.
배뇨용 도관 18은 집전장치 52의 세경부에 꼭 맞게 끼워져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배뇨용 도관 18은 컨넥터 44를 통하여 제1가이드 12와 제2가이드 14 사이의 공간을 관통하여 외부를 향해 개공되어 있다. 따라서, 수술중에 배뇨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뇨는 배뇨구중 어느 하나에 유입된 후 배뇨관 52D 및 도관 1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전립선 수술에서 전립선을 가열하면 배뇨가 촉진되기 때문에 이러한 배뇨수단은 매우 효과적이다. 반구형부 52A의 중심과 양측면에 배뇨구가 설치되어 있는 이유는, 개구중 어느 하나가 방광벽에 의해 폐쇄될 경우에 다른 개구를 통하여 뇨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2발룬을 팽창시키는 냉각매체 공급관 라인 20은 제1가이드 12와 제2가이드 14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뻗어있고 컨넥터 44를 관통하여 제2연결관 54내로 들어가 있다.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 W2는 제2발룬 팽창용 냉각매체 공급관 라인 20을 통하여 유입된 후 제2연결관 54, 연통공 54A를 차례로 거쳐 제2발룬 2로 유입되어 제2발룬 2를 팽창시킨다. 제2발룬 팽창용 냉각매체 공급관 라인 20을 통하여 냉각수 W2를 배출하면 제2발룬 2는 수축된다.
제2도에 나타낸 대로, 온도센서의 리드선 16은 제1가이드 12와 제2가이드 14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뻗어있으며, 컨넥터 44의 외곽을 끼고 돌아서, 제2가이드 14를 관통하여 제1발룬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서 제1발룬 1의 내면과 접촉하고 있다. 리드선 16의 전방 말단은 레이저 광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호일이나 백색색소를 함유한 플라스틱 시트로 만들어진 두개의 반사편(反射片) 16A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다. 반사편 16A는 제1발룬 1의 내면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전립선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냉각수 W1과 W2를 압력하에 펌핑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발룬 1과 제2발룬 2는 그들 자체의 수축력에 의해 수축된다. 이때, 제2가이드 14는 제1발룬 1이 수축됨에 따라 수축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를 요도 60에 삽입하여 제2발룬 2가 방광 62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순환 펌프 30을 이용하여 냉각수 탱크 28로부터 도관 32를 거쳐 냉각수를 공급하고, 제1가이드 12와 제2가이드 14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제2가이드 14의 팽창부 14A에 냉각수 W1을 공급하여 팽창부 14A를 팽창시킨다. 이 팽창에 의하여, 제2도와 제5도에 도시한 것처럼, 제1발룬 1도 같이 팽창하게 된다. 팽창을 위해 사용된 냉각수 W1은 연통공 46A을 거쳐 제1가이드 12로 유입되어 제1가이드 12를 통과한 후 배수관 34를 통하여 냉각수 탱크 28로 회송한다.
냉각수 W2도 제2도와 제5도에 도시한 것처럼, 제2발룬 팽창용 냉각매체 공급관 라인 20을 거쳐, 제2연결관 54로 공급된 후 연통공 54A로 통과하여 제2발룬 2로 유입되어 제1발룬 2를 팽창시킨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레이저 광 발생기 26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은 컨넥터 36을 통하여 광 섬유 38에 입사되고, 광 섬유 38의 전방 말단부에서 코어 38A로부터 출사된다. 출사된 레이저 광 중에서 보호관 40 또는 제1연결관 46에 입사된 레이저 광은 상기 보호관 40 또는 제1연결관 46을 통하여 직접 투과되거나 또는 상기 관들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결국 측방으로 확산되어 전달되고, 이어 제2가이드 14 및 제1발룬 1을 통하여 전립선 64에 입사된다. 레이저 광의 직진성을 갖는 레이저 광은 그것의 직전 과정중에 금으로 도금된 코일 스프링 48과 충돌하여 반사되어 측방으로 확산된 후, 제1연결관 46, 제2가이드 14 및 제1발룬 1을 거쳐 전립선 64에 입사된다.
코일 스프링 48과 충돌하지 않은채로 전방으로 진행하는 레이저 광은 금으로 도금된 피막층 44B 상에서 반사된다. 이들 중 일부는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측방으로 반사되거나 또는 코일 스프링 48과 충돌한다. 후방으로 진행하던 중 반사된 빛은 홀더 42의 환형부 42A의 금-도금 전방 표면에서 반사된 후 전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레이저 광은 컨넥터 44의 후방에서 금-도금 피막 44B 및 환형부 42A의 금-도금 전방에서 반복한 후에 측방으로 확산된다. 따라서, 레이저 광은 제1발룬의 전면에 걸쳐, 그의 중심부분에서는 다량으로, 그리고 그의 말단에서는 적은 양으로 전립선에 입사된다.
전립선 64에 입사된 레이저 광은 전립선 64의 조직에 의해 흡수되어 열을 발생한다. 그 결과로서, 전립선 64가 가온 또는 가열된다. 레이저 광에 의한 가열은 소정 기간동안 계속한다. 전립선 64 내의 조직에는 레이저 광이 조사되어 가온, 가열된다. 가온, 가열된 조직은 응고 또는 괴사를 일으키게 되고, 수술후에 조기 회복된다.
레이저 광, 특히 Nd-YAG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레이저 광은 조직내 단백질에 의해 흡수된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전립선을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다. 대부분의 초음파는 전립선 조직중의 물에 의해 흡수되어 열을 발생시킨다. 이들은 레이저 광보다 조직에 덜 흡수된다. 치료효과도 낮다. 이에 비하여, 레이저 광, 특히 Nd-YAG 레이저 광은 약 10%만이 물에 의해 흡수되며, 나머지는 조직 내의 단백질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치료 효과도 높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냉각수 W1은 제1가이드 12와 제2가이드 14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순환한 후, 연통공 46A을 통하여 제1가이드 12내로 유입되어 제1가이드 12 안의 공간을 통하여 배출되지만, 이 냉각수의 흐름 방향은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현예에서, 제1연결관 46을 제1가이드 12와는 별도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장치의 어셈블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가이드 12의 전방 말단부에 홀더 42와 보호관 40을 고정시키고, 연결관 46내에 스프링 48을 고정시켜야 한다. 따라서, 제1연결관 46은 생략할 수도 있으며, 제1가이드 12는 소경부 44A에 꼭 끼워져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가이드 12에는 냉각수 W1용의 연통공이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대로 레이저 광으로는 Nd-YAG레이저 광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아르곤 레이저와 다이오드 레이저 광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광은 물에 거의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 광은 냉각수를 통하여 투과하여 충분한 비율로서 목표조직에 입사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레이저 광으로는 KTP 레이저 광, 다이 레이저 광(dye laser light), KTP/Nd-YAG의 이중선 레이저 광을 들 수 있다.
상기한 구현예에서, 제1발룬 1과 제2발룬 2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를 사용한다. 또, 공기, 질소기체, 이산화탄소 기체등의 기체나 알코올등의 다른 냉각액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의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를 조직내에 부드럽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제1가이드 12, 제2가이드 14, 제1연결관 46과 제2연결관 54가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선적으로 카테테르를 삽입할 수만 있다면, 이들 요소중 최소한 하나는 가요성을 갖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한 구현예에서, 제1발룬 1의 내부는 제2가이드 14를 통하여 강제 순환되는 냉각수 W1에 의해 냉각되어 소정의 온도로 유지된다. 강제냉각을 행하지 않으면, 레이저 광이 요도의 내벽으로부터 전립선의 심부로 진행됨에 따라 그의 파워가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제6도의 온도분포곡선 Y에 표시한 것처럼, 요도의 내벽 주위의 조직을 고온으로 가열되는 반면, 전립선의 심부는 저온으로 가열된다.
전립선의 중심부(요도 내벽으로부터 약 6~12mm 깊이)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레이저 광의 파워를 증가시키면, 요도의 내벽과 그 부근의 조직이 과열되어 손상을 입을 수도 있게 되며, 손상된 조직을 치료하는 것은 더욱 어렵게 된다.
제1발룬 1 및 제2가이드 14의 팽창부 14A의 내부를 냉각수 W1으로 가열하면, 요도 주변의 조직이 제6도에 도시한 온도분포곡선 X로 나타내지는 것처럼 냉각되어, 충분한 양이 레이저 광이 전립선 중심부에 입사되어 전립선 중심부의 조직이 충분히 가열되어도 손상을 입지 않는다. 이 경우에 레이저 광의 파워와 냉각수 W1의 온도 또는 순환량을 조절하므로써, 제6도에 온도분포곡선 X1또는 X2로 도시한 것처럼 온도분포를 조정할 수 있다. 치료 효과는 온도 분포를 전립선의 증상에 따라 조절하므로써 증가될 수 있다.
전립선염등의 경우에, 냉각수 W1을 이용하여 강제 냉각하므로써 전립선 내부를 43℃ 이하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전립선비대의 경우에는, 전립선 내부를 45℃ 이상의 온도를 가열하여 응고나 괴사를 일으키는 한편, 요도의 내벽과 그 주변의 조직은 냉각수 W1을 이용하여 강제 냉각하므로써 열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응고된 또는 괴사된 조직은 대사에 의해 흡수되어 전립선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요도가 개통된다.
발룬 1과 제2가이드 14의 팽창부 14A의 길이 또는 광 섬유 38의 전방 말단의 위치는 레이저 광이 괄약근 부분 66에 입사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제2발룬 2는 먼저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의 위치를 잡는데 효과적이고, 둘째 수술중에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가 방광 6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는 그의 제2발룬 2가 방광 62내에 위치할 때까지 삽입한다. 이후, 제2발룬 2를 팽창시키고,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를 방광 62의 네크(neck)부 62A에 이를 때까지 뽑아낸다. 이렇게 하여 제1발룬 1은 전립선 6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이런 설정이 종료된 후에, 제1발룬 1을 팽창시킨다. 또, 수술중에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가 제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도, 제2발룬 2가 방광 62의 네크부 62A에 접해 있기 때문에,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는 방광 62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요도 내벽의 온도는 리드선 16의 전방 말단에 설치된 열전대(thermocouple)에 의해 검출된다. 온도신호는 리드선 16과 컨넥터 22를 통하여 온도제어부 24로 입력된다. 요도 내벽의 온도는 검출된 온도와 요도 내벽의 목표 온도사이의 차이에 따라 레이저 광 발생기 26을 ON, OFF하는 시간 간격을 조절하므로써 제어할 수 있다. 목표 온도가 전립선의 중심부의 온도인 경우에는, 전립선 중심부의 온도와 요도 내벽의 온도사이의 상관관계를 미리 측정하므로써, 전립선 중심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정보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레이저 광을 지나치게 입사하여 전립선을 지나치게 가열시키는 것은 전립선 조직을 손상시킬 수도 있으므로, 제5도에 도시한 대로 온도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70을 직장 68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70은 전방 말단이 예를 들면 강성이 큰 금속으로 만들어진 삽입체(insert) 72의 전방 말단의 한쪽에 위치하는 복수개, 예를 들면 5개의 열전대를 구비한 온도센서 74를 포함하며, 또 삽입체 72의 다른 한쪽에는 바이어싱 발룬 76을 포함한다. 온도센서 74의 각 열전대의 리드선은 온도제어부 24와 같은 외부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바이어싱 발룬 76은 온도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70의 삽입체 72가 직장 68 내로 삽입된 후에, 공기의 압축과정과 같은 외부의 유체 가압원에 의해 팽창된다. 이에 팽창 반력에 의해 바이어싱 발룬은 삽입체 72를 전립선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하여 직장 68의 내벽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레이저 광이 조사된 전립선 64는 가온 또는 가열되고, 일부 레이저 광은 전립선 64를 통해 직장 68에 도달하여 직장 68 부근의 조직도 가열시킨다. 직장 68의 내벽의 온도는 온도센서 74의 의해 검출된다. 온도가 소정의 온도를 넘어서게 되면, 레이저 광 발생기 26의 TURN-OFF 시간을 연장시키거나 레이저 광 발생기 26으로 레이저 광의 파워를 낮추어서 전립선 64가 파열되거나 직장 68이 열손상 받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온도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70의 제1구현예는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금속제 도관으로 만들어진 홀더 72A의 전방 말단부에는 온도 센서 74A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 72A는 전방 말단 한쪽에는 위도우 7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위도우 72a에 온도 센서 74A가 끼워져 있다. 온도 센서 74A를 고정시키기 위해 홀더 72A의 전방 말단에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플러그 78이 끼워져 있어, 플러그 78의 외면은 온도 센서 74A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고, 온도 센서 74A를 홀더 72A의 내면에 밀착시켜 유지한다. 홀더 72A와 플러그 78의 외면은 고무 라덱스로 만들어지고, 상기 위도우 72a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절개되어 있는 바닥을 갖는 튜브 형태의 바이어싱 발룬 76A로 피복되어 있다. 제8도에 명확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아치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금속제의 규제판(restricting plate) 80이 바이어싱 발룬 76A의 외면에 접촉해 있다. 규제판 80은 끝 81A와 81B에 의해 바이어싱 발룬 76A와 결합되어 있다. 규제판 80에서 상기한 위도우 72a에 상응하는 부분은 절개되어 있다.
한편, 홀더 72A에는 연통공 72b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 72A는 공기 공급원(도시하지 않았음)과 연결되어 있다. 바이어싱 발룬 76A에서, 규제판 80에 의해 규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7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를 공급하면 팽창하고 공기를 빼면 수축한다.
직장 68 내의 중심축 O1을 따라 직장 68에 삽입된 온도 검출용 장치 70은 바이어싱 발룬 76A가 팽창함에 따라 그 반력에 의해 중심축 O2로 기울어지고, 이에 의해 온도 센서 74A는 직장 68의 내벽에 압착된다. 온도 센서 74A는 조직과의 접촉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5개의 돌기부 74a를 갖고 있다. 열전대는 각 돌기부 74a의 외면에 위치한다. 리드선 74b의 전방 말단은 열전대에, 바닥은 온도 제어부 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온도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70에서는 홀더 72A에 온도 센서 74A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이어싱 발룬 76A이 팽창함에 따라 직장 68의 내벽이 반력판으로 작용하게 되어 홀더 72A의 중심축은 O1에서 O2로 이동되어 기울어진다. 이런 경우, 홀더 72A를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고압으로 발룬을 팽창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고압에 대해 내성을 가는 강성의 발룬이 요구된다. 홀더 72A가 직장 68에 삽입된 후, 홀더 72A를 직장 68의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온도 센서 74A의 길이 방향으로 한쪽은 직장 68의 내벽에 강하게 접해 있는 반면, 다른 쪽은 직장 68의 내벽과 떨어져 있다. 이는 전체 길이 방향에 대해 온도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따라서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의하면, 바이어싱 발룬의 팽창과 수축과 동시에 온도 센서 74A를 팽창, 수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는 제9도 내지 제15도에 나타내었다. 제9도 및 제15도는 외장 83, 탐침 84, 온도 센서 74 및 스토퍼 85로 구성된 온도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70의 전체를 보여준다.
외장 83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스틸로 만들며, 그것의 외곽에는 중간부에서 후방쪽으로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장 83의 직장 68 내로의 삽입정도를 표시해 주는 눈금 83a가 형성되어 있다. 눈금 83a는 외장 83에 중간부에서 후방부까지만 형성되어 있지만, 외장 83의 전체 길이 방향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길이 방향으로 계속 연결되어 있는 표시 83b는 온도 센서 74의 원주 방향으로 중심을 표시한다. 표시 83b를 전립선과 같은 열로 정렬시킴으로써 온도 센서 74를 전립선 쪽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제10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 83을 직장 68에 삽입하여, 그의 삽입 위치를 결정한 후, 스토퍼 85를 고정시킨다. 또는 스토퍼 85를 먼저 소정의 눈금 83a에 고정시킨 후, 외장 83을 직장에 삽입한다. 스토퍼는 칼라 85A를 갖고 있으며, 외장 83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어 외장 83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스토퍼는 고정 볼트 85B에 의해 외장 83에 고정된다. 칼라 85A는 외장 83의 직장 68에의 삽입정도를 규제하며, 수술중 예기치 않은 외력에 의한 외장의 삽입을 방지한다.
탐침 84는 외장 83에 끼워져 있으며, 외장 83에서의 탐침 84의 위치 고정은 외장 83을 관통하는 고정 볼트 83A에 의해 행해진다.
번호 82는 첫번째 실시예와 동일한 리드선 74b를 보호하기 위해 각 리드선 74b를 둘러싸고 있는 보호관이며, 리드선은 온도 제어부 2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0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장 83의 전방 말단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플러그 8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 86의 외면은 반구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직장 68 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한다. 플러그 86의 외면에는 반구형상의 스토퍼 85가 형성되어 있다.
탐침 84는 스테인레스스틸로 만들어지며, 그의 전방 말단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플러그 78A가 고정되어 있다. 탐침 84의 전방 말단은 밀폐되어 있으며, 중공형으로 구성된다. 탐침 84에는 플러그 78A를 둘러싸고 있으며, 고무 라덱스로 만들어진 바닥을 갖고 있는 발룬 76이 제공되어 있다. 발룬 76은 고정 끈 87에 의해 탐침 84에 고정되어 있다. 발룬 76은 접착제에 의해 탐침 84에 고정될 수도 있다. 탐침 84의 벽면에는 연통공 84a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와 같은 유체가 탐침 84를 거쳐 공급되는 경우, 유체압은 연통공 84a를 거쳐 발룬 76의 내벽에 작용하게 되며, 발룬 76은 제12도에서나타낸 바와같이 팽창한다. 외장 83의 전방 말단부 벽면에는 거의 사각형인 위도우 83c가 형성되어 있다(제9도 참조). 온도 센서 74는 위도우 83c 안에 배치된다. 온도 센서 74는 발룬 76의 외면에 설치된다. 한편, 외장 83에는 온도 센서 74가 형성되어 있는 반대쪽에 발룬 76의 팽창을 위한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다.
온도 센서 74의 형상은 다소 복잡하다. 그의 형상은 제13도 내지 제15도에서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온도 센서 74는 플라스틱 케이싱으로 성형된 센서 홀더와 센서 단자로 적용하는 열전대를 갖고 있다. 센서 홀더는 외면에 지그재그로 배열된 5개의 돌기부 741을 갖고 있으며(제9도 참고), 내면에는 홈(凹부) 742를, 전·후방 양측에는 각각 칼라 743A, 743B를 갖고 있다. 후부의 칼라 743B에는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 742에 연결되는 노치 744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말단에 열전대를 갖고 있는 리드선 74b는 전기 온도센서 74의 내벽을 관통하여, 각 돌기부 741의 표면에 도달하여, 접착제등에 의해 고정된다. 리드선 74b는 홈 742와 노치 744를 관통하여 보호관 82내에 집결하여 온도 제어부 24에 연결된다.
이렇게 하여 구성된 온도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70에 있어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외장 83이 직장 68내에 삽입된다. 삽입시, 온도 센서 74는 제11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해 있지 않아서 그것의 외면이 외장 83의 외면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외장 83의 직장 68내로의 삽입은 온도 센서 74와 직장 68의 내벽과의 맞물림 없이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어서, 공기가 탐침 84내로 송기되고 제1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통공 84a를 통하여 유입되어 발룬의 일부는 팽창용 윈도우 83d로부터 팽창해 나와서 외장을 직장 68 내벽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압착시킨다. 그 결과, 온도 센서 74는 반경방향으로 기울어져 압박되고 직장 68의 내벽면으로 기울어져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직장 68의 내벽면의 정확한 온도가 검출된다.
직장 68의 내벽면의 온도 검출은 적어도 요도 60내에 삽입된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 장치에 의해 전립선 64내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동안에 행해진다. 검출된 온도 신호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장 68의 내벽면으로부터 각 리드선 74b를 거쳐 온도 제어부 24로 입력된다. 온도가 직장 68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설정 온도를 넘어서는 경우, 레이저 광 발생기 26으로부터 출사되는 파워를 저하시키거나 출사시간을 단축시켜서 제어를 행한다. 레이저 광의 조사가 완료된 후,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 장치를 요도 60으로부터 빼내고, 온도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70 또한 직장 68로부터 빼낸다. 발룬 76이 장시간 동안이 사용에 의해, 또는 여러번에 걸친 반복 사용에 의해 기능이나 질이 저하되는 경우, 고정 볼트 83A를 풀고, 탐침 84와 발룬 76을 외장 83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사용중인 발룬을 새 것을 교환한다. 새 발룬이 장착된 탐침 84를 외장 83에 삽입한다. 탐침 84의 삽입시에 있어서,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78A 부분은 플러그 86의 맞물림부 86a내로 끼워져 있기 때문에 탐침 84는 외장 83의 중심에 확실하게 맞추어져 정렬해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정보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에서 센서로 작용하는 상기한 열전대를 사용한 온도 검출 외에도, 리드선 74b 대신에, 제16도 및 제1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 섬유 90을 별개로 더 추가할 수도 있다. 광 섬유 90은 직장의 내벽면에 도달한 레이저 광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검출된 레이저 광은 포토다이오드 91이나 포토트랜지스터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레이저 광의 수광량(受光量)을 나타낸다. 레이저 광의 수광량은 전립선을 통과하여 전립선에 입사된 레이저 광의 강도와 상관 관계가 있기 때문에, 레이저 광 발생기로부터의 전립선에로의 레이저 광의 입사량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기의 레이저 광의 수광량은 전립선 및 직장 내벽의 온도와의 상관 관계가 있기 때문에,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므로써 레이저 광 발생기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레이저 광의 수광량은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 장치의 요도내로의 삽입 심도와 관계가 있으므로, 레이저 광의 수광량은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의 요도내의 삽입 위치의 조절에 이용될 수 있다.
열전대를 사용한 온도 검출이나, 광 섬유 90을 이용한 레이저 광의 수광량의 검출과 함께, 초음파 진단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6도 및 제1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음파 탐침 9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초음파 탐침 92는 전립선 64에 초음파를 발진한다. 전립선 64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한다. 전립선 64의 단층 표상이 CRT 표시장치 93에 표시되는 동안, 전립선 64의 위치와 레이저 광의 입사와 관련된 전립선 64에서의 변환을 검출한다. 전립선 64의 위치를 눈금 83a와 관련지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립선암의 온열 치료를 행함에 있어서, 초음파 탐침자 92를 이용한 전립선 64의 난층 표상을 얻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정보 검출용 센서를 갖고 카테테르 장치를 다른 체강, 예를 들어 식도(esophagus), 기관(bronchia)에 삽입하여 목적하는 정보를 얻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은 전립선에 대하여 레이저 광을 입사하여 치료함에 있어서,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부위의 치료 효과, 예를 들어 응고나 괴사 정도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잇점을 제공한다.

Claims (8)

  1. 인체의 체강에 삽입되어, 체강내 벽면이 정보와 벽면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카테테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강내에 삽입되는 강성의 외장; 전기 외장의 전방 말단부에서 개공되어 있는 윈도우; 전기 윈도우를 통하여 출입이 자유로운 센서; 및 전기 센서에 인접해 있는 팽창 가능한 발룬을 갖고 있는 발룬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발룬 수단이 전기 외장에 고정되어 있고, 전기 발룬이 팽창하여, 상기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반대쪽으로 상기 체강의 벽면에 대해 기울어져 압착하게 되고, 그의 반력에 의해 상기 센서가 윈도우를 통하여 돌출하여 전기 벽면에 대해 압착상태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전기 센서는 조직의 온도, 조직을 통하여 투과되는 레이저 광의 입광량 및 초음파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발룬 수단은 그것에 장착된 탐침과 발룬을 포함하며, 발룬은 탐침과 함께 외장내에 삽입되고, 탐침은 외장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4. 제4항에 있어서, 전기 탐침은 그것의 전방 말단부가 밀폐되고 전방 말단부의 벽면에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체를 가지며, 전기 발룬은 연통공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고, 중공체의 내부를 거쳐 연통공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유체압에 의해 팽창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5.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전기 탐침은 외장보다 길이가 더 길고, 외장에의 장착이 자유로우며, 윈도우의 전방 말단부 및 바닥부에서 외장에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외장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장의 삽입 정도를 표시해주기 위한 눈금이 새겨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외장의 외면에 외장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칼라형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 스토퍼를 외장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이 전기 스토퍼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센서는 센서 홀더와 센서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센서 홀더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고, 돌기들 위에 전기 센서 단자가 위치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용 카테테르 장치.
KR1019940029844A 1994-08-02 1994-11-14 센서가 장착된 카테테르 장치 KR100193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84,963 US5623940A (en) 1994-08-02 1994-08-02 Catheter apparatus with a sensor
US08/284,963 1994-08-02
US8/284963 1994-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888A KR960006888A (ko) 1996-03-22
KR100193133B1 true KR100193133B1 (ko) 1999-06-15

Family

ID=2309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844A KR100193133B1 (ko) 1994-08-02 1994-11-14 센서가 장착된 카테테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23940A (ko)
EP (1) EP0695536B1 (ko)
KR (1) KR100193133B1 (ko)
CN (1) CN1124662A (ko)
AT (1) ATE168254T1 (ko)
AU (1) AU686679B2 (ko)
DE (1) DE6941172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5332C2 (sv) 1995-05-18 1997-08-11 Lund Instr Ab Anordning för värmebehandling av kroppsvävnad
US6293943B1 (en) 1995-06-07 2001-09-25 Ep Technologies, Inc. Tissue heating and ablation systems and methods which predict maximum tissue temperature
US6615071B1 (en) 1995-09-20 2003-09-0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vulnerable atherosclerotic plaque
US5935075A (en) * 1995-09-20 1999-08-10 Texas Heart Institute Detecting thermal discrepancies in vessel walls
US6763261B2 (en) 1995-09-20 2004-07-13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vulnerable atherosclerotic plaque
US20020077564A1 (en) * 1996-07-29 2002-06-20 Farallon Medsystems, Inc. Thermography catheter
US6004315A (en) * 1996-09-16 1999-12-21 Focal, Inc. Optical fiber diffuser and method of making
US7603166B2 (en) 1996-09-20 2009-10-13 Board Of Regents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vulnerable atherosclerotic plaque
US5906636A (en) 1996-09-20 1999-05-25 Texas Heart Institute Heat treatment of inflamed tissue
US5871449A (en) * 1996-12-27 1999-02-16 Brown; David Lloyd Device and method for locating inflamed plaque in an artery
US6634363B1 (en) 1997-04-07 2003-10-21 Broncus Technologies, Inc. Methods of treating lungs having reversible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US7425212B1 (en) * 1998-06-10 2008-09-16 Asthmatx, Inc. Devices for modification of airways by transfer of energy
US7992572B2 (en) 1998-06-10 2011-08-09 Asthmatx, Inc. Methods of evaluating individuals having reversible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US7027869B2 (en) * 1998-01-07 2006-04-11 Asthmatx, Inc. Method for treating an asthma attack
US6488673B1 (en) * 1997-04-07 2002-12-03 Broncus Technologies, Inc. Method of increasing gas exchange of a lung
AU1377699A (en) * 1997-11-03 1999-05-24 Barzell Whitmore Maroon Bells, Inc. Ultrasound interface control system
US7921855B2 (en) 1998-01-07 2011-04-12 Asthmatx, Inc. Method for treating an asthma attack
EP0947221A3 (en) * 1998-03-31 2000-04-26 Terumo Kabushiki Kaisha Laser irradiation device
US8181656B2 (en) * 1998-06-10 2012-05-22 Asthmatx, Inc. Methods for treating airways
US7198635B2 (en) * 2000-10-17 2007-04-03 Asthmatx, Inc. Modification of airways by application of energy
SE521014C2 (sv) 1999-02-04 2003-09-23 Prostalund Operations Ab Anordning för värmebehandling av prostata
US6123675A (en) * 1998-10-06 2000-09-26 Trex Medical Corporation Temperature gradient sensing probe for monitoring hyperthermic medical treatments
SE521275C2 (sv) 1999-05-07 2003-10-14 Prostalund Operations Ab Anordning vid värmebehandling av kroppsvävnad
US7426409B2 (en) * 1999-06-25 2008-09-1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vulnerable atherosclerotic plaque
US8251070B2 (en) 2000-03-27 2012-08-28 Asthmatx, Inc. Methods for treating airways
US7104987B2 (en) 2000-10-17 2006-09-12 Asthmatx, Inc. Control system and process for application of energy to airway walls and other mediums
US6575623B2 (en) * 2000-11-10 2003-06-10 Cardiostream, Inc. Guide wire having extendable contact sensor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vessel walls
US6694181B2 (en) 2001-02-12 2004-02-17 Scimed Life System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vulnerable plaque
US6514214B2 (en) 2001-02-13 2003-02-04 Scimed Life Systems, Inc. Intravascular temperature sensor
US7160255B2 (en) * 2001-07-12 2007-01-09 Vahid Saadat 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and mapping temperature profile of a hollow body organ
US20030013986A1 (en) * 2001-07-12 2003-01-16 Vahid Saadat Device for sensing temperature profile of a hollow body organ
KR20030034649A (ko) * 2001-10-26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세척 방법
US6868290B2 (en) * 2001-11-05 2005-03-15 Prostalund Operations Ab Thermotherapy catheter and method of prostate thermotherapy with improved guide and heat confinement
US20030176810A1 (en) * 2002-03-15 2003-09-18 Maahs Tracy D. Thermography catheter
US6755849B1 (en) 2002-03-28 2004-06-2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 for delivering energy to tissue and apparatus
WO2003094715A1 (en) * 2002-05-07 2003-11-20 Volcano Therapeu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vulnerable plaque
CA2411569A1 (en) * 2002-11-12 2004-05-12 Ross E. Mantle Medical device for the extravascular recirculation of fluid in body cavities at controlled temperature and pressure
JP2004290462A (ja) * 2003-03-27 2004-10-21 Terumo Corp アプリケータの最適位置提示システム
US7112195B2 (en) * 2003-04-21 2006-09-26 Cynosure, Inc. Esophageal lesion treatment method
US20040221853A1 (en) * 2003-05-08 2004-11-11 Plasiatek, Llc Ultrasonic placement and monitoring of a tube within the body
US20040226556A1 (en) 2003-05-13 2004-11-18 Deem Mark E. Apparatus for treating asthma using neurotoxin
KR100550677B1 (ko) * 2003-05-23 2006-02-08 주식회사 헬스피아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 모듈, 휴대용 전립선 치료 기기
JP2005312950A (ja) * 2004-03-31 2005-11-10 Terumo Corp エネルギー照射用医療器具および医療用エネルギー照射装置
EP1582236B1 (en) * 2004-03-31 2012-04-25 Terumo Kabushiki Kaisha Medical energy irradiating apparatus
US8628519B2 (en) 2004-09-17 2014-01-14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Rapid exchange bias laser catheter design
JP4460606B2 (ja) * 2004-09-17 2010-05-12 ザ スペクトラネ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レーザーエネルギーの方向性送達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8545488B2 (en) 2004-09-17 2013-10-01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Cardiovascular imaging system
WO2006052940A2 (en) * 2004-11-05 2006-05-18 Asthmatx, Inc. Medical device with procedure improvement features
US7949407B2 (en) 2004-11-05 2011-05-24 Asthmatx, Inc. Energy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US20070093802A1 (en) * 2005-10-21 2007-04-26 Danek Christopher J Energy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ITBO20050495A1 (it) * 2005-07-22 2007-01-23 Fiab Spa Elettrocatetere esogageo
KR20080066705A (ko) 2005-09-29 2008-07-16 더 제너럴 하스피탈 코포레이션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분해능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샘플을 관찰 및 분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70270627A1 (en) * 2005-12-16 2007-11-22 North American Scientific Brachytherapy apparatus for asymmetrical body cavities
US8137256B2 (en) * 2005-12-16 2012-03-20 Portola Medical, Inc. Brachytherapy apparatus
US7862497B2 (en) * 2006-04-21 2011-01-04 Portola Medical, Inc. Brachytherapy device having seed tubes with individually-settable tissue spacings
CN101489490B (zh) * 2006-07-31 2011-03-23 株式会社日立医药 压迫装置及使用该压迫装置的超声波探头和超声波诊断装置
US7931647B2 (en) * 2006-10-20 2011-04-26 Asthmatx, Inc. Method of delivering energy to a lung airway using markers
US20100056916A1 (en) * 2006-11-21 2010-03-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device, method, computer-readable medium, and use for in vivo imaging of tissue in an anatomical structure
US20080195087A1 (en) * 2007-02-12 2008-08-14 Bwt Property, Inc. Apparatus for laser interaction with biological tissues
WO2008124644A1 (en) 2007-04-05 2008-10-16 Velomedix, Inc Automated therapy system and method
WO2008124643A1 (en) * 2007-04-05 2008-10-16 Velomedix, Inc. Device and method for safe access to a body cavity
US20100256461A1 (en) * 2007-05-01 2010-10-07 Urodynamix Technologies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hysiological conditions of tissue
JP5410423B2 (ja) * 2007-07-09 2014-02-05 ベロメディックス,インク 低体温装置および方法
US8235983B2 (en) 2007-07-12 2012-08-07 Asthmat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energy to passageways in a patient
US20090043301A1 (en) * 2007-08-09 2009-02-12 Asthmatx, Inc. Monopolar energy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urrent density in tissue
US9848952B2 (en) * 2007-10-24 2017-12-26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Liquid light guide catheter having biocompatible liquid light guide medium
US9066742B2 (en) 2007-11-09 2015-06-30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Intra-vascular device with pressure detection capabilities using pressure sensitive material
US8483831B1 (en) 2008-02-15 2013-07-09 Holaira, Inc. System and method for bronchial dilation
US8979828B2 (en) 2008-07-21 2015-03-17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Tapered liquid light guide
US9421065B2 (en) * 2008-04-02 2016-08-23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Liquid light-guide catheter with optically diverging tip
AU2009244058B2 (en) 2008-05-09 2015-07-02 Nuvaira, Inc Systems, assemblies, and methods for treating a bronchial tree
US20100114081A1 (en) 2008-11-05 2010-05-06 Spectranetics Biasing laser catheter: monorail design
EP2367470A1 (en) * 2008-11-07 2011-09-28 Velomedix, Inc Devices and methods for monitoring core temperature and an intraperitoneal parameter
US9408665B2 (en) * 2008-12-12 2016-08-09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Offset catheter
US8702773B2 (en) 2008-12-17 2014-04-22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Eccentric balloon laser catheter
EP2393460A4 (en) * 2009-02-06 2012-06-27 Velomed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THERAPEUTIC HYPOTHERMIA
EP2493408B1 (en) 2009-10-27 2015-06-24 Holaira, Inc. Delivery devices with coolable energy emitting assemblies
US8911439B2 (en) 2009-11-11 2014-12-16 Holaira, Inc. Non-invasive and minimally invasive denerv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the same
AU2010319477A1 (en) 2009-11-11 2012-05-24 Holaira, In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reating tissue and controlling stenosis
US9622670B2 (en) 2010-07-09 2017-04-18 Potrero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ure measurement
US10744307B2 (en) 2010-09-23 2020-08-18 Best Medical International, Inc. Multi-purpose balloon catheter for intra cavity radiation delivery
US10589071B2 (en) 2010-09-23 2020-03-17 Best Medical International, Inc. Multiple function balloon catheter
US9402980B2 (en) * 2010-09-23 2016-08-02 Best Medical International, Inc. Rectal catheter for urological and other applications
EP2825237B1 (en) * 2012-03-15 2020-06-10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Respiratory gas humidification system
WO2013162386A1 (en) 2012-04-27 2013-10-31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Usability features for respiratory humidification system
EP2854682B1 (en) 2012-06-04 2021-06-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ystems for treating tissue of a passageway within a body
EP2877113B1 (en) 2012-07-24 2018-07-2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lectrodes for tissue treatment
US9272132B2 (en) 2012-11-02 2016-03-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for treating airways and related methods of use
WO2014071372A1 (en) 2012-11-05 2014-05-0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vices for delivering energy to body lumens
US9398933B2 (en) 2012-12-27 2016-07-26 Holaira, Inc. Methods for improving drug efficacy including a combination of drug administration and nerve modulation
JP5819387B2 (ja) * 2013-01-09 2015-11-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音響画像生成装置及び挿入物
US9764112B2 (en) 2013-03-08 2017-09-19 Cure Medical Llc Compact packaged intermittent urinary catheter
US9694157B2 (en) * 2013-03-08 2017-07-04 Cure Medical Llc Compact packaged intermittent urinary catheter
US9623211B2 (en) 2013-03-13 2017-04-18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Catheter movement control
US10758308B2 (en) 2013-03-14 2020-09-01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Controller to select optical channel parameters in a catheter
US9757200B2 (en) 2013-03-14 2017-09-12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Intelligent catheter
US11642169B2 (en) 2013-03-14 2023-05-09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Smart multiplexed medical laser system
EP2799111A1 (en) * 2013-04-30 2014-11-05 Clinical Laserthermia Systems AB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munostimulating laser thermotherapy
US9814618B2 (en) 2013-06-06 2017-11-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vices for delivering energy and related methods of use
EP3335658B1 (en) 2013-08-09 2020-04-2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xpandable catheter
US10987168B2 (en) 2014-05-29 2021-04-27 Spectrane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ed laser delivery and imaging
WO2016069754A1 (en) 2014-10-29 2016-05-06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Laser energy delivery devices including laser transmissi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0492863B2 (en) 2014-10-29 2019-12-03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Laser energy delivery devices including laser transmissi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0226599B2 (en) * 2014-12-23 2019-03-12 C.R. Bard, Inc. Inflatable medical device and related sheath
US10646118B2 (en) 2014-12-30 2020-05-1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Laser catheter with use of reflected light to determine material type in vascular system
US10646275B2 (en) 2014-12-30 2020-05-1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Laser catheter with use of determined material type in vascular system in ablation of material
US10646274B2 (en) 2014-12-30 2020-05-1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Laser catheter with use of reflected light and force indication to determine material type in vascular system
WO2016157036A2 (en) * 2015-03-31 2016-10-06 Bombardier Inc. Sealing assembly and plug for non-destructive inspection
CN104783909B (zh) * 2015-04-01 2017-08-25 南京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Picco温度传感器腔保护帽
USD775728S1 (en) 2015-07-02 2017-01-03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Medical device handle
US11872362B2 (en) 2017-06-12 2024-01-16 Lamamed, Llc Regroomable balloon catheter system and methods of use
WO2019189757A1 (ja) * 2018-03-29 2019-10-03 テルモ株式会社 医療器具
CN112368048B (zh) * 2018-07-10 2022-08-30 奥林巴斯株式会社 光治疗支援装置、光治疗系统及光治疗支援方法
WO2020123797A1 (en) * 2018-12-14 2020-06-18 Teitelbaum George P Vagus nerve abl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2762A (en) * 1982-11-23 1985-04-23 The Beth Israel Hospital Association Method of treatment of atherosclerosis and a balloon catheter for same
DE3578694D1 (de) * 1984-05-30 1990-08-23 Devices Vascular Intervention Vorrichtung fuer atherektomie.
US4913142A (en) * 1985-03-22 1990-04-0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atheter for laser angiosurgery
US4967765A (en) * 1988-07-28 1990-11-06 Bsd Medical Corporation Urethral inserted applicator for prostate hyperthermia
FR2639238B1 (fr) * 1988-11-21 1991-02-22 Technomed Int Sa Appareil de traitement chirurgical de tissus par hyperthermie, de preference la prostate, comprenant des moyens de protection thermique comprenant de preference des moyens formant ecran radioreflechissant
WO1990013333A1 (en) * 1989-05-03 1990-11-15 Intra-Sonix, Inc. Instrument and method for intraluminally relieving stenosis
US5084043A (en) * 1990-01-12 1992-01-28 Laserscope Method for performing a percutaneous diskectomy using a laser
US5092873A (en) * 1990-02-28 1992-03-03 Devices For Vascular Intervention, Inc. Balloon configuration for atherectomy catheter
FR2660561B1 (fr) * 1990-04-06 1994-05-13 Technomed International Sonde rectale.
US5425355A (en) * 1991-01-28 1995-06-20 Laserscope Energy discharging surgical probe and surgical process having distal energy application without concomitant proximal movement
US5222953A (en) * 1991-10-02 1993-06-29 Kambiz Dowlatshahi Apparatus for interstitial laser therapy having an improved temperature sensor for tissue being treated
US5292309A (en) * 1993-01-22 1994-03-08 Schneider (Usa) Inc. Surgical depth measuring instrument and method
US5415654A (en) * 1993-10-05 1995-05-16 S.L.T. Japan Co., Ltd. Laser balloon cathet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662A (zh) 1996-06-19
DE69411725T2 (de) 1999-03-25
EP0695536A1 (en) 1996-02-07
KR960006888A (ko) 1996-03-22
AU686679B2 (en) 1998-02-12
AU8031494A (en) 1996-02-15
EP0695536B1 (en) 1998-07-15
ATE168254T1 (de) 1998-08-15
US5623940A (en) 1997-04-29
DE69411725D1 (de) 199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3133B1 (ko) 센서가 장착된 카테테르 장치
US5415654A (en) Laser balloon catheter apparatus
JP3558646B2 (ja) 細胞の加熱処置用カテーテル
JP2795540B2 (ja) 直腸プローブ
US5472405A (en) Therapy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pathological tissue with a catheter
EP0646359B1 (en) Laser balloon catheter
KR100190933B1 (ko) 열효과에 의한 조직 특히 전립선의 열치료 장치
CA1338135C (en) Intracavity laser phototherapy apparatus and method
US5391197A (en) Ultrasound thermotherapy probe
EP0981393B1 (en) Device for mucosal ablation using light
US4646737A (en) Localized heat applying medical device
EP0597463A2 (en) Thermotherapiesonde
US2003006081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afely shrinking tissues surrounding a duct, hollow organ or body cavity
JP3436373B2 (ja) 細胞の局部的熱処置装置
JPH06205836A (ja) 疾病組織処置用のカテーテル
KR102566620B1 (ko) 광 치료 장치
US6596017B1 (en) Device for heat treatment of body tissue
JPH0833646A (ja) 情報検出用カテーテル装置
JPH0795986A (ja) レーザーバルーンカテーテル
KR0177853B1 (ko)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 장치
KR0177854B1 (ko) 레이저 발룬 카테테르
KR102481165B1 (ko) 벌룬 카테터를 이용한 괄약근 광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JP3333019B2 (ja) 温熱治療装置
JPH0910222A (ja) 生体へのレーザ光照射システム
JP2004081288A (ja) 加熱治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