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105B1 - 쌍안경 - Google Patents

쌍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105B1
KR100191105B1 KR1019900021116A KR900021116A KR100191105B1 KR 100191105 B1 KR100191105 B1 KR 100191105B1 KR 1019900021116 A KR1019900021116 A KR 1019900021116A KR 900021116 A KR900021116 A KR 900021116A KR 100191105 B1 KR100191105 B1 KR 100191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yepiece
objective lens
pair
obj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763A (ko
Inventor
노부오 하시모또
껜 모로
Original Assignee
요시다 쇼이치로 ; 오노 시게오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쇼이치로 ; 오노 시게오,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요시다 쇼이치로 ; 오노 시게오
Publication of KR91001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 G02B23/18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for binoc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0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 G02B23/06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having a focussing action, e.g. parabolic mirr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scop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에 있는 관찰 물체를 확대하여 관측하기 위한 쌍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찰 물체가 손에 지지된 렌즈 경통으로 관측될 수 있는 쌍안경의 렌즈 경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쌍안경은 대물렌즈, 접안렌즈 그리고 반사 광학 수단을 갖는 한쌍의 좌우 관측 광학 시스템과, 한쌍의 대칭하는 원통형 렌즈 경통 그리고 렌즈 경통 연결 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쌍안경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쌍안경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쌍안경의 렌즈 경통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쌍안경을 양손에 든 상태를 도시하는 쌍안경의 배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쌍안경이 관측자의 눈 높이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실시도.
제5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쌍안경의 개략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쌍안경의 배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쌍안경의 측면도.
제8도는 제5도에 도시된 종래 쌍안경을 양손에 든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
제9도는 제5도에 도시된 종래 쌍안경이 관측자의 팔을 구부려서 관측자의 눈 높이까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실시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지지된 종래 쌍안경이 수평 방향으로 관측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실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렌즈 경통 2a, 2b : 접안렌즈
3a, 3b : 대물렌즈 6a, 6b : 지지 부재
7 : 샤프트 8 : 촛점 노브
본 발명은 원거리의 관찰 물체를 확대하여 관찰하기 위한 쌍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찰 물체가 손에든 렌즈 경통으로 관찰 될 수 있는 개선된 렌즈 본체에 관한 것이다.
첨부 도면중의 제5도에 도시된 종류의 쌍안경은 좌우 한쌍의 접안 렌즈와 좌우 한쌍의 대물렌즈를 갖고 있는 좌우 렌즈 경통(11a, 11b)과, 상기 렌즈 경통(11a, 11b)의 각각에 일체식으로 설치된 팔지지부(12a, 12d), 그리고 아암 지지부(12a, 12b)를 통하여 상기 렌즈 경통(11a, 11b)을 회전하는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샤프트(13)로 구성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촛좀 노브(14)가 접안 측상에 위치하는 샤프트(13)의 한 단부에 위치한다.
첨부 도면중의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렌즈 경통(11a, 11b)내에 정립상이 접안렌즈(15a, 15b)를 통하여 관찰 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하여 직각으로 각각 두개의 프리즘(16a, 17a 및 16b, 17b)이 설치되어 있고, 제5도에 도시된 대물렌즈(18a, 18b)에 의하여 형성된 관찰 본체상이 좌측 프리즘(16a, 17a)과 우측 프리즘(16b, 17b)에 의하여 접안렌즈(15a, 15b)를 항하여 돌출되어 있다.
관측자가 좌우 렌즈 경통(11a, 11b)을 손으로 잠고서 관찰할 때, 촛점 노브(14)부가 첨부 도면의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경통(11a)의 상부에 위치하고, 첨부 도면의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손의 검지로 촛점 노브(14)를 회전시키므로서 촛점 조절이 이루어진다.
관측자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렌즈 경통(11a, 11b)을 손으로 잡고서 그의 팔을 구부려 상술한 구조물의 쌍안경을 그의 눈까지 가져갈 때, 좌우 렌즈 경통(11a, 11b)을 잡고 있는 손의 손가락 기저 관절부를 지나는 직선(a)이 하향 경사된다. 도한, 상부면 (b)이 직선(a)을 따를 수 있도록 렌즈 경통이 유지되고, 상부면(b)과 실직적으로 평행한 쌍안경의 시즌측 (대물렌즈의 광축)이 하향 경사진다.
제9도는 도시된 사선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물체의 관측 방향(시즌 축)을 이동하기 위하여, 관측자는 첨부 도면의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선에서 실선까지의 α각도로 팔을 상승시켜야 하며, 또한 측면을 향하여 β각도로 손목을 비틀어야 하므로, 쌍안경의 지지가 불안정하다. 게다가, 관측자가 그의 손목을 비튼채 관찰 물체를 계속 관측하면, 관측자를 비틀린 손목에 부담이 되어 피곤하게 하여 관측이 곤란하게 되는 단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관측자가 쌍안경을 보관케이스로부터 끄집어 내어 처음부터 수평 방향으로 관측할 때, 관측자는 그의 팔을 많이 상승시켜 접안 측을 향하여 그의 팔목을 비틀어야 하며, 이것은 관측자가 쌍안경을 끄집어내어 제10도에 도시된 자세를 가질 때까지 운동이 복잡하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의 관점에서 제작되었고 그 목적은 종래 쌍안경의 상기 단점을 극복하고 관측자가 수평 방향으로 관측 자세를 취하도라도 시간을 요하지 않고 관측자를 피곤하게 하지 않으며 그리고 오랫동안 안정하게 지지될 수 있는 쌍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 본 발명에 따른 쌍안경은 대물렌즈와 광측이 대물렌즈의 광측에 평행하도록 위치하고 관찰 물체상이 확대되어 관측되도록 하는 접안 렌즈의 그리고 대물렌즈에 의하여 형성된 관측 물체상을 접안 렌즈에 보내기 위한 반사 광학 수단을 갖는 한쌍의 좌우 간측 광학 시스템, 접안 렌즈를 지지하는 접안 렌즈부 근처에서 접안 렌즈를 지지하는 대물 측면의 단부까지 외부면이 상기 대물렌즈와 접안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경사기게 형성되어 대물 측면이 하향 위치할 수 있는 각관측 광한 시스템을 지지하는 한쌍의 원통형 대칭 렌즈 경통, 그리고 상기 한상의 렌즈 경통 사이에 설치된 샤프트를 갖고 상기 렌즈의 광축에 평행하고 그리고 좌우 접안 렌즈의 광축이 서로에 대하여 평행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변위할 수 있는 한쌍의 렌즈 경통을 서로 연결하는 렌즈 경통 연결 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의 쌍안경에 있어서, 좌우 렌즈 경통의 원통부는 대물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상이며, 관측자가 그의 얼굴을 향하여 속목을 비틀지 않고 그이 팔을 구부림으로써 간단히 수평 방향에서 관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특징 및 효과는 첨부도면과 관련된 후술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심 촛점형 프리즘의 개략도이며, 제2도는 렌즈 원통부의 측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쌍안경의 좌우 렌즈 경통(1a, 1b)에서, 대물측 단부로부터 접안측 단부의 부근까지 렌즈 경통(1a, 1b)의 원통부는 후술될 광측에 대하여 좌측 대물측을 항하여 하향 경사진 원통 형상이다. 렌즈 경통(1a)내에, 접안 렌즈(2a)와 대물렌즈(3a)가 각각 접안 렌즈와 대물렌즈의 광측(l1, l2)이 수평하게 위치하는 방식으로 접안측과 대물측상에 위치하고, 원통부내에는 반사 프리즘(4a,5a)이 대물렌즈(3a)에 의하여 얻어진 관찰 물체의 역상을 정립하여 접안 렌즈(2a)를 향하여 투영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렌즈 경통(1a)은 제1도의 우측 렌즈 경통이며, 렌즈 경통(1a)과 대칭하는 좌측 렌즈 경통(1b)내에 광학 시스템(2b 내지 5b)이 제2도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광학 시스템(2a 내지 5a)과 대칭적으로 위치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렌즈 경통 (1a, 1b)에 각각 지지 부재(6a, 6b)가 고정되어 있으며, 렌즈 경통(1a, 1b)은 지지 부재(6a, 6b)를 통하여 샤프트(7)에 의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샤프트(7)는 접안 렌즈(2a, 2b)와 대물렌즈(3a, 3b)의 광축(l1내지 l4)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된다. 좌우 렌즈 경통 (1a, 1b)이 각 지지부재 (6a, 6b)와 함께 샤프트(7)둘레를 회전 이동될 때, 광축(l1내지 l4)은 사프트(7)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우지되어 렌즈와 함께 이동하며 좌우 대물 렌즈의 광축(l1, l2)간의 거리(미간거리)는 샤프트(7)와 각각의 광축간의 간격이 일정하므로 조절된다. 촛점 노브(8)가 접안측상에 위치하는 샤프트(7)의 한 단부에 저널되고, 샤프트(7)와 함께 이 촛점 노브(8)는 제3도에 도시된 항쌍의 접안 렌즈(2a, 2b)의 광축(l1, l2) 을 갖는 평면(x)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지지 부재(6a, 6b)내에는 촛점 노브(8)의 회전 작동에 대하여 광축(l2, l4)의 방향을 따라 렌즈 경통(1a, 1b)내에서 대물렌즈(3a, 3b)를 활주시키기 위한 전달 장치(비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제4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광축(l1내지 l4)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된 렌즈 경통(1a, 1b)의 원통부를 양손에 지지하는 동안 관측자가 수평 방향으로 관측하는 자세를 도시하고 있다. 샤프트(7)와 촛점 노브(8)가 제3도에 도시된 접안 렌즈(2a, 2b)의 광축(l1, l3)을 각각 갖는 평면(x)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경통(1a, 1b)의 원통부를 쥐고 있는 양손의 엄지는 접안측에 민접한 원통부의 하부 외부면을 따라 제3도에 도시된 촛점 노브(8)를 접촉시킬 수 있으며, 작은 손을 갖고 있는 관측자라도 양손에 렌즈 경통(1a,1b)의 원통부를 잡고 있는 동안 그의 엄지를 촛점 노브(8)와 접촉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부의 상부 경사면(b)과 함께 렌즈 경통(1a, 1b)의 원통부를 잡는 양손의 손가락 기저 관절 부위를 지나는 직선(a)이 하향 경사져 있다. 그래서, 관측자는 종래 쌍안경에서와 같이 수평 방향을 따라 직선(a)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접안측을 향하여 팔을 크게 들고 손목을 비트는 일이 없이 쌍안경을 관측 위치에 쉽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안부 근처에서 대물측 단부까지 렌즈 경통의 원통부는 원통부의 상부 경사면과 함께 관찰 물체를 따라 하향 경사진 원통형부 형상이며, 렌즈 경통을 잡는 양손의 손가락 기저 관절 부위를 지나는 직선은 상기와 같이 하향 경사지며, 관측자는 그런 상태를 유지한채 수평 방향에서 관측할 수있다. 그러므로, 관측자는 종래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상기 직선을 위치 선정하기 위하여 접은 측을 향하여 팔을 크게 올려 손목을 비트는 일이 없이 할수 있다. 또한, 접안측을 향하여 그의 손목을 비트는 필요성이 상기에서와 같이 제기되므로, 관측자가 관측 자세를 유지한채 접안 렌즈를 통하여 원거리 관찰 물체상을 계속 관측하도라도 피로를 느끼지 않을 것이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쌍안경에 있어서, 관측자가 그의 양손에 좌우 렌즈 경통(11a, 11b)을 잡고서 촛점 조절을 할때, 그의 검지가 작으면 촛점 노브(14)에 닿을 수 없으며,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측자는 제8도에 도시된 렌즈 경통(11a 또는 11b)의 상부까지 적어도 한 손가락을 이동시키고 검지를 촛점 노브(14)와 접촉하도록 해야 하며, 관측자가 한 렌즈 경통의 상부까지 그의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렌즈 경통을 잡기가 어렵게 된다. 이것은 촛점 조절 작동이 작은 손을 갖는 관측자에게는 귀찮은 것이며 가능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유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촛점 노브가 각 접안 렌즈의 광측을 갖는 평면이하에 위치하게 되면, 작은 손의 관측자가 렌즈 경통을 잡고 있는 손의 엄지를 촛점 노브와 접촉할 수 있게 하며, 관측자는 렌즈 경통을 잡고 있는 동안 그의 엄지로 노브를 용이하게 회전 작동 시킬 수있다.

Claims (3)

  1. 관찰 물체상을 확대하여 관측할 수있는 관측자의 손에 들수 있는 쌍안경에 있어서, 대물렌즈와 광축이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에 평행하여 상기 관찰 물체상을 확대하여 관찰 할 수 있게 배치된 접안 렌즈와, 그리고 상기 접안 렌즈에 상기 대물 렌즈에 의하여 형성된 관찰 물체상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광학 수단을 갖는 항쌍의 좌우 관측 광학 시스템과, 상기 접안 렌즈를 지지한는 접안 렌즈부 근처로부터 상기 대물렌즈를 지지하는 대물측면의 단부까지 외주면이 상기 대물 렌즈와 접안 렌즈의 광측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대물측이 하향 위치되게 되는, 각 관측 광학 시스템을 지지하는 대칭하는 항쌍의 원통형 렌즈 경통과 상기 한쌍의 렌즈 경통 사이에 설치된 샤프트를 갖고, 상기 렌즈의 광축에 평행하고, 좌우 접안랜즈의 광축이 서로에 대하여 평행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변위하게 한쌍의 렌즈 경통을 서로 연결하는 렌즈 경통 연결 수단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수단은 상기 대물 렌즈에 의하여 형성된 관측 물체상을 정립하기 위한 정립 프리즘이고, 상기 정립 프리즘은 적어도 두개의 직사각형 프리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측상에 위치하고, 광축 방향으로 상기 대물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좌우 접안 렌즈의 광축을 갖는 평면 아래에 제공된 사프트의 한 단부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촛점 조절용 촛점 노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안경.
KR1019900021116A 1989-12-21 1990-12-20 쌍안경 KR100191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147601U JPH0386313U (ko) 1989-12-21 1989-12-21
JP1-147601 1989-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763A KR910012763A (ko) 1991-08-08
KR100191105B1 true KR100191105B1 (ko) 1999-06-15

Family

ID=1543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116A KR100191105B1 (ko) 1989-12-21 1990-12-20 쌍안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33907B1 (ko)
JP (1) JPH0386313U (ko)
KR (1) KR100191105B1 (ko)
AT (1) ATE137029T1 (ko)
DE (1) DE6902658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27195T2 (de) * 1991-11-28 1999-06-02 Univ Melbourne Binokulare lupe mit gebogener achse
US5640271A (en) * 1994-07-21 1997-06-17 Minolta Co., Ltd. Self-housing binocula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27004A (en) * 1972-02-15 1976-03-03 Secr Defence Optical instruments
DE2843877A1 (de) * 1978-10-07 1980-04-17 Zeiss Carl Fa Doppelfernrohr
US4202598A (en) * 1978-10-10 1980-05-13 Jenkins Albert R Binoculars with individual quick focusing eyepie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33907B1 (en) 1996-04-17
DE69026582T2 (de) 1996-11-21
EP0433907A1 (en) 1991-06-26
DE69026582D1 (de) 1996-05-23
JPH0386313U (ko) 1991-08-30
ATE137029T1 (de) 1996-05-15
KR910012763A (ko) 199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90584B2 (ja) 双眼反射望遠鏡
CA2431127C (en) Wide field of view head mounted display device
US1146213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4929075A (en) Optical viewing system
JPS62287213A (ja) 実体顕微鏡用可変傾斜角双眼鏡筒
US6671090B2 (en) Vision enhancing optical system
KR100604152B1 (ko) 광학장치
US4643541A (en) Optical system for variable inclination angle microscope tubes
KR100191105B1 (ko) 쌍안경
JPS5933885B2 (ja) 観察装置用継手
KR20200141966A (ko) 두가지 배율 확대경
US4933756A (en) Eye fundus camera
EP0277024B1 (en) Stand magnifier
JPH0641208Y2 (ja) 組合せプリズムおよびこの組合せプリズムを用いた双眼顕微鏡
JP3386813B2 (ja) コンパクトなケプラー望遠鏡
JPH09133874A (ja) 双眼鏡
GB2217471A (en) Combination telescopes and microscopes
US20030095330A1 (en) Binocular
JPH0447687Y2 (ko)
JP2708667B2 (ja) 望遠鏡及びガイド望遠鏡
JPH05341201A (ja) 光学機器の可変双眼部構造
SU1210116A1 (ru) Контактный микроскоп
JPS6250807A (ja) 光反射装置
JP3028684B2 (ja) 顕微鏡用中間鏡筒
NO782222L (no) Optisk innrettede eleme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