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647B1 - 음극선관 기종 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기종 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647B1
KR100190647B1 KR1019960005121A KR19960005121A KR100190647B1 KR 100190647 B1 KR100190647 B1 KR 100190647B1 KR 1019960005121 A KR1019960005121 A KR 1019960005121A KR 19960005121 A KR19960005121 A KR 19960005121A KR 100190647 B1 KR100190647 B1 KR 100190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athode ray
conveyor
ray tub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340A (ko
Inventor
손호근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0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0647B1/ko
Publication of KR970063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H01J9/48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with automatic transfer of workpieces between operat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46Handling of tube components during manufacture
    • H01J2209/463Identifying or selecting compon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2Measurement or testing during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음극선관 검사조정 라인에서 음극선관 기종 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검사 조정 라인 콘베어에 이송되는 파레트의 지지대에 부착된 반사판에서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파레트에 재치된 음극선관의 기종을 판단하여, 상기 파레트를 방향 전환장치에 의해 방향을 전환하여 판단된 기종에 따라 상기 파레트를 해당 검사 콘베어로 이송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 기종 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 기종 분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 기종 분리 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파레트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향전환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5a, b도 및 제5c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 기종 분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 차트가 도시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 제어부 2 : 모터 구동부
3. : 실린더 구동부 4 : 스토퍼 구동부
25 : 실린더 110 : 검사라인 콘베어
130 : 14" 검사 콘베어 140 : 20" 검사 콘베어
150 : "21" 검사 콘베어 160 : 이재기
본 발명은 음극선관 기종 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기종으로 생산되는 음극선관을 센서와 이송장치등을 이용하여 기종 별로 분리하는 음극선관 기종 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TC 공정에서 여러 종의 음극선관이 기종의 구별없이 트롤리 콘베어에 의해 이송되어 이재기에 도착하면 이재기는 도착된 음극선관을 집어올려 버퍼용 콘베어의 파레트로 옮겨 재치(在置)한다. 상기 버퍼용 콘베어는 파레트에 재치된 음극선관을 조종작업이 이루어지는 조정 작업대까지 이송하게 된다. 조정 작업대까지 이송된 음극선관을 검사원이 직접 버퍼 콘베어로부터 조정 작업대로 이송하여 전압검사 또는 조정작업등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음극선관의 이재 시스템은 음극선관을 수작업으로 분류 및 이재하는 수동적인 방법과 음극선관의 기종을 판별하기 위하여 별도의 바코드(Bar Code)를 음극선관에 부착하고, 이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극 선관의 기종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트롤리 콘베어상에 재치된 음극선관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를 로보트에 설치하여 로보트의 시각시스템이 상기 음극선관을 인식하여 그 인식정보에 의해 상기 로보트가 여러 기종의 음극선관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이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수작업으로 음극선관을 분류 및 이재하는 수동적인 방법은 무거운 유리로된 음극선관을 사람의 힘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힘든 작업으로 인해 지원자가 없어 노동력 부족에 의해 생산성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는 바코드 인식을 위한 바코드 인식 시스템의 사용과 음극선관의 위치 결정을 위해 CCD 카메라를 사용시 대형 기종의 음극선관인 경우에는 다수개의 CCD 카메라가 필요하여 비용이 과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롤리 콘베어를 통해 이송되는 여러 기종의 음극선관을 기종 별로 분류하여 각 조정 작업대로 이송하는 음극선관 기종 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트롤리 콘베어로부터 음극선관을 이송받아 검사 조정 작업대로 이송하는 버퍼 콘베어와, 상기 버퍼 콘베어로부터 음극선관을 검사 라인 콘베어로 이재하는 이재기와, 상기 검사라인 콘베어상에 놓여 상기 이재기로부터 음극선관을 받아 이송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를 검사 조정 작업대로 이송하는 검사 라인 콘베어와, 상기 검사라인 콘베어의 이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를 소정시간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검사라인 콘베어의 이송 끝단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를 이송받아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장치와, 상기 방향 전환장치로부터 상기 파레트를 이송받아 각 조정 작업대로 이송하는 제 1 검사 콘베어, 제2검사 콘베어, 제3검사 콘베어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검사 조정 라인 콘베어에 이송되는 파레트의 지지대에 부착된 반사판에서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파레트에 재치된 음극선과의 기종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파레트를 방향 전환장치에 이송하는 단계와, 판단된 기종에 따라 상기 파레트를 해당 검사 콘베어로 이송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 기종 분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 기종 분리 장치는 각 종 콘베어 및 이재기(160)를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LC)와, 파레트에 부착된 반사판을 감지하는 포토센서들(PHS1-PHS10)과, 제어신호를 받아 각종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2)와, 제어신호를 받아 각종 실린더를 구동하는 실린더 구동부(3)와, 스토퍼를 구동하는 스토퍼 구동부(4)로 구성된다.
제2도에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 기종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음극선관 기종 분리장치는 트롤리 콘베어로부터 음극선관을 이송받아 검사 조정 작업대로 이송하는 버퍼 콘베어(170)와, 상기 버퍼 콘베어(170)로부터 음극선관을 검사 라인 콘베어(110)로 이재하는 이재기(160)와, 상기 검사라인 콘베어(110)상에 놓여 상기 이재기(160)로부터 음극선관을 받아 이송하는 파레트(11)와, 상기 파레트(11)를 검사 조정 작업대로 이송하는 검사 라인 콘베어(110)와, 상기 검사라인 콘베어(110)의 끝단 측면에 설치되어 파레트(11)의 도착을 감지하는 제3포토센서(PHS3)와, 상기 검사라인 콘베어(110)의 이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11)를 소정시간 정지시키는 제1스토퍼(180)와, 상기 제1스토퍼(180)에 의해 정지된 파레트(11)에 재치된 음극선관의 기종을 감지하는 제1포토센서(PHS1)및 제2포토센서(PHS2)와, 상기 검사라인 콘베어(110)의 이송 끝단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11)를 이송받아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 장치(120)와, 상기 방향 전환 장치(120)로부터 상기 파레트(11)를 이송받아 각 조정 작업대로 이송하는 14"검사 콘베어(130), 20"검사 콘베어(140), 21"검사 콘베어(150)와, 상기 14", 20", 21" 검사 콘베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파레트(11)를 정지시키는 제2, 제3, 제4 스토퍼(181, 182, 183)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트롤리 콘베어에서 버퍼 콘베어(Buffer Conveyor)(170)로 옮겨진 음극선관은 이재기(160)에 의해 검사 라인 콘베어(110)로 이재(移載)된다. 이재기(160)는 6축 로보트와 같은 다관절 로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검사 라인 콘베어(110)에는 파레트(11)가 놓여있어 도시된 바와같이 그 파레트(11)에 놓인 음극선관(CTR)의 전면이 검사 라인 콘베어(1)의 측면을 바라보게 놓인다. 검사 라인 콘베어(110)의 끝에 제1스토퍼(180)가 설치되며, 검사라인 콘베어(110)의 측면에 제3포토 센서(PHS3)가 설치되어 검사라인 콘베어(110)를 따라 이송되던 파레트(11)가 제3포토센서(PHS3)에 의해 감지되며 중앙 제어부(1)는 제1스포터(180)를 동작시켜 파레트(11)가 제1스토퍼(180)에 걸려 정지된다. 파레트(11)가 제1스토퍼(180)에 의해 정지된 때, 파레트(11)의 지지대(12)에 부착된 반사판을 감지하여 파레트(11)에 재치된 음극선과의 기종을 판별한다.
제3도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파레트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파레트(11)는 사각형 형태의 밑판(11a)과 그 사각형의 네 모서리 부근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4개의 지지대(12, 12, 12, 12)로 구성된다. 외부에서 보아서 각 변의 오른쪽에 설치된 지지대(12)의 정면에 두개의 반사판(13, 14)이 부착된다. 이 반사판이 부착되는 높이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토포 센서(PHS1)와 제2포토 센서(PHS2)의 발광부에서 방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각 포토 센서(PHS1, PHS2)의 수광부에 입사된다.
그런데 사각형의 네변에는 그 변마다 재치되는 음극선관의 기종이 정해져 있으며, 예를들어 제3도의 정면에 21" 음극선관이 놓이는 경우, 오른쪽 변에는 20" 음극선관이 놓이며, 뒷변에는 14" 음극선관이 놓인다. 따라서, 21" 음극선관이 놓이는 정면의 오른쪽 지지대(12)에는 21" 음극선관을 표시하는 두개의 반사판(13, 14)가 부착되며, 20" 음극선관이 놓이는 오른쪽 변의 오른쪽 지지대(12)에는 20"를 표시하는 제1반사판(13)만이 부착된다. 여기서 반사판이 부착된 곳은 빗금으로 표시하고, 반사판이 부착되지 않은 곳은 백색으로 표시하였다.
이렇게 기종에 따라 파레트(11)에 재치되는 변이 달라지며, 이재기(160)로부터 파레트(11)에 음극선관이 놓일 때, 중앙 제어부로 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의해 파레트(11)는 재치되는 음극선관의 기종에 맞는 변이 이재기(160)를 향하도록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하여 그 변에 설치된 좌, 우 지지대(12, 12) 사이에 음극선관이 놓여 지지된다. 예를들면, 버퍼 콘베어(170)에 20" 음극선관이 놓여 있고, 검사라인 콘베어(110)에 파레트(11)가 14"변이 이재기(160)를 향하여 놓여있는 경우, 검사 라인 콘베어(110)의 회전 장치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파레트(11)의 20"변이 이재기(160)를 향하도록 한다. 파레트(11)의 20"변이 이재기(160)를 향한 후, 이재기(160)를 제어하여 버퍼 콘베어(170)로부터 20" 음극선관을 검사라인 콘베어(110)의 파레트(11)로 옮겨 놓는다. 이와같이 각 음극선관은 그 기종에 따라 파레트(11)의 대응 변에 놓여 검사라인 콘베어(110)를 따라 이송된다.
검사 라인 콘베어(110)의 끝에 파레트(11)가 도착하면 제3포토 센서(PHS3)에 의해 감지되고, 그 감지신호가 중앙 제어부(1)에 전송되고, 제3포토 센서(PHS3)로부터 파레트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중앙 제어부(1)는 제1스토퍼(180)가 동작시켜 파레트(11)를 일시 정지시키며, 이때 제1포토 센서(PHS1)는 제1반사판(13)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고, 제2포토 센서(PHS2)는 제2반사판(14)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한다. 상기 포토센서들은 감지신호를 중앙 제어부(1)로 전송하고, 중앙 제어부(1)는 그 감지신호들로부터 제1반사판(13)과 제2반사판(14)의 조합에 의해 다음 표와 같이 음극선의 기종을 판별하게 된다.
반사판 감지가 완료되면 스토퍼(180)의 동작을 멈추어 하강함으로써, 파레트(11)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파레트(11)는 계속 이송되어 방향 전환장치(120)에 놓이게 된다.
제4도에 방향전환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방향 전환장치(120)의 위에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 전환 콘베어(21)와 상기 방향 전환 콘베어(21)를 구동하는 방향 전한 풀리(22)가 설치된다. 상기 방향 전환 풀리(22)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상기 모터는 중앙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회전하거나 정지하게 된다. 방향 전환 풀리(22)는 지지 프레임(23)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23)은 실린터 로드(24)와 접속되어 실린더(25)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실린더 로드(24)가 상승 및 하강한다.
파레트(11)의 지지대(12)에 부착된 반사판의 감지에 의해 음극선관의 기종 판별이 완료되면 중앙 제어부는 방향 전환 콘베어(21)를 구동하여 검사 라인 콘베어(110)로부터 파레트(11)를 이송받는다. 방향 전환 콘베어(21)의 구동에 의해 방향 전환 콘베어(21)로 이송되는 파레트(11)를 제10포토 센서(PHS10)가 감지하면 파레트(11)가 방향전환 콘베어(21)에 완전히 이송된 것이므로, 방향 전환 콘베어(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앞서 판별된 음극선관의 기종에 따라 그 기종만을 검사 조정하는 콘베어를 선택하기 위해 중앙 제어부는 상기 실린더 로드(24)를 상승시킨 후, 중앙 제어부는 방향 전환모터(30)를 회전시켜 모터 풀리(29), 타이밍 벨트(28)및 실린더 풀리(27)를 거쳐 회전력을 방향 전환 콘베어(21)에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21" 음극선관이 파레트(11)에 놓인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한 후, 방향 전환 풀리(22)의 회전에 의해 방향 전환 콘베어(21)를 구동하여 21" 검사 라인 콘베어(150)로 이송하고, 20" 음극선관이 파레트(11)에 놓인 경우, 회전없이 방향 전환 콘베어(21)를 구동하여 20" 검사 라인 콘베어(140)로 이송하며, 14" 음극선관이 파레트(11)에 놓인 경우, 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한 후, 방향 전환 풀리(22)의 회전에 의해 방향 전환 콘베어(21)를 구동하여 14" 검사 라인 콘베어(130)로 이송한다.
제5a, b도 및 제5c도에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 기종 분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 차트가 도시된다.
단계 501에서, 초기화 과정을 실행하고, 단계 502에서 제3포터센서(PHS3)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제3포토 센서(PHS3)가 온 상태인 경우, 단계 503에서, 제1스토퍼(180)를 동작시켜 검사라인 콘베어(110)를 따라 진행하는 파레트(11)를 정지시킨다. 단계 504에서, 제1포토센서(PHS1)및 제2포토센서(PHS2)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온 상태인 경우, 단계 505에서, 제1스토퍼(180)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방향전환 모터를 구동하여 스토퍼(180)의 동작을 멈추어 하강함으로써 파레트(11)의 진행을 발행하지 않게 되어 파레트(11)는 계속 이송되어 방향 전환장치(120)에 놓이게 된다. 단계 506 에서 제10포토 센서(PHS10)가 온 상태인 지를 판단하여 방향 전환 콘베어(21)로 이송되는 파레트(11)가 방향전환 콘베어(21)에 완전히 이송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온 상태인 경우, 파레트(11)가 방향전환 콘베어(21)에 완전히 이송된 것이므로, 단계 507에서 방향 전환 콘베어(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단계 508에서 실린더(25)를 구동하여 방향 전환 콘베어(21)를 상승시킨다. 단계 509에서 방향전환 모터(30)를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킨다. 단계 510에서 방향 전환 콘베어(21)및 21" 검사 라인 콘베어(150)를 소정시간 구동하여 파레트(11)를 21" 검사 라인 콘베어(5)로 이송한다. 단계 511에서 상기 소정시간 후 제2스토퍼(181)를 구동하여 이송되는 파레트(11)를 정지시키고, 방향 전환 콘베어(21)를 시계 방향으로 90。 회전시키고 실린더(25)를 하강하여 원위치시킨다. 단계 512에서 파레트(11)의 지지대(12)에 부착된 반사판을 제4, 5 포토 센서(PHS4, PHS5)가 감지했는지를 판단한다. 제4, 5 포토 센서(PHS4, PHS5)가 온 상태가 아닌 경우, 단계 513에서 에러루틴을 실행하고, 제4, 5 포토 센서(PHS4, PHS5)가 온 상태인 경우, 파레트(11)가 정확하게 이송된 것이므로,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한편, 단계 504에서 판단하여 제1포토센서(PHS1)및 제2포토센서(PHS2)가 온 상태가 아닌 경우, 단계 514로 진행하여 제1포토센서(PHS1)온, 제2포토센서(PHS2)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제1포토센서(PHS1) 온, 제2포토센서(PHS2)가 오프 상태인 경우, 단계 515에서, 제1스토퍼(180)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방향전환 모터를 구동하여 파레트(11)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파레트(11)는 계속 이송되어 방향 전환장치(120)에 놓이게 된다. 단계516에서 제10포토센서(PHS10)가 온 상태인 지를 판단하여 방향 전환 콘베어(21)로 이송되는 파레트(11)가 방향전환 콘베어(21)에 완전히 이송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온 상태가 아닌 경우, 단계 515를 반복하고, 온 상태인 경우, 파레트(11)가 방향전환 콘베어(21)에 완전히 이송된 것이므로, 방향 전환 콘베어(21)의 구동을 정시시킨다(단계 517). 단계 518에서 방향 전환 콘베어(21)및 20" 검사 라인 콘베어(140)를 소정시간 구동하여 파레트(11)를 20" 검사 라인 콘베어(150)로 이송한다. 단계 519에서 상기 소정시간 후 제3스토퍼(182)를 구동하여 이송되는 파레트(11)를 정지시키고, 단계 520에서 파레트(11)의 지지대(12)에 부착된 반사판을 감지하여 제6포토센서(PHS6)가 온, 제7포토 센서(PHS7)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제6포토센서(PHS6)가 온, 제7포토 센서(PHS7)가 오프 상태가 아닌 경우, 단계 521에서 에러 루틴을 실행하고, 제6포토센서(PHS6)가 온, 제7포토 센서(PHS7)가 오프 상태인 경우, 파레트(11)가 정확하게 이송된 것이므로,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한편, 단계 514에서 판단하여 제1포토센서(PHS1)가 온, 제2포토센서(PHS2)가 오프 상태가 아닌 경우, 단계 522로 진행하여 제1포토센서(PHS1) 오프, 제2포토센서(PHS2)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제1포토센서(PHS1) 오프, 제2포토센서(PHS2) 온 상태가 아닌경우, 단계 523에서 에러루틴을 실행하고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제1포토센서(PHS1) 오프, 제2포토센서(PHS2)가 온 상태인 경우, 단계 524에서, 제1스토퍼(8)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방향전환 모터를 구동하여 파레트(11)를 계속 이송시켜 방향 전환장치(2)에 놓이게 한다. 단계 525에서 제10포토 센서(PHS10)가 온 상태인 지를 판단하여 방향 전환 콘베어(21)로 이송되는 파레트(11)가 방향전환 콘베어(21)에 완전히 이송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온 상태가 아닌 경우, 단계 524를 반복하고, 온 상태인 경우, 파레트(11)가 방향전환 콘베어(21)에 완전히 이송된 것이므로, 단계 526에서 방향 전환 콘베어(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단계 527에서 실린더(25)를 구동하여 방향 전환 콘베어(21)를 상승시킨다. 단계 528에서 방향전환 모터(30)를 시계 방향으로 90。 회전시킨다. 단계 529에서 방향 전환 콘베어(21)및 14" 검사 라인 콘베어(130)를 소정시간 구동하여 파레트(11)를 14" 검사라인 콘베어(130)로 이송한다. 단계 530에서 상기 소정시간 후 제4스토퍼(183)를 구동하여 이송되는 파레트(11)를 정지시키고, 방향 전환 콘베어(21)를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시키고 실린더(25)를 하강하여 원위치시킨다. 단계 531에서 제8포토 센서(PHS8) 오프, 제9포토 센서(PHS9)가 온 상태가 아닌 경우, 단계 532에서 에러루틴을 실행하고, 제8포토 센서(PHS8) 오프, 제9포토 센서(PHS9)가 온 상태인 경우, 파레트(11)가 정확하게 이송된 것이므로, 메인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으로 음극선관을 분류 및 이재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생산성이 높아지며, 값비싼 CCD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절감된다.

Claims (4)

  1. 음극선관을 조정 작업하는 조정 작업 라인에 있어서, 트롤리 콘베어로 부터 음극선관을 이송받아 검사 조정 작업대로 이송하는 버퍼 콘베어와, 상기 버퍼 콘베어로 부터 음극선관을 검사 라인 콘베어로 이재하는 이재기와, 상기 검사라인 콘베어상에 놓여 상기 이재기로부터 음극선관을 받아 이송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를 검사 조정 작업대로 이송하는 검사 라인 콘베어와, 상기 검사라인 콘베어의 끝단 측면에 설치되어 파레트의 도착을 감지하는 제3포토 센서와, 상기 검사라인 콘베어의 이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를 소정시간 정지시키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1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파레트에 재치된 음극선관의 기종을 감지하는 제1포토센서 및 제2포토센서와, 상기 검사라인 콘베어의 이송 끝단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를 이송받아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장치와, 상기 방향 전환장치로 부터 상기 파레트를 이송받아 각 조정 작업대로 이송하는 다수의 검사 콘베어와, 상기 다수의 검사콘베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파레트를 정지시키는 다수의 스토퍼와, 각종 콘베어 및 이재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드롤러와, 제어신호를 받아 각종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와, 제어신호를 받아 각종 실린더를 구동하는 실린더 구동부와, 스토퍼를 구동하는 스토퍼 구동부와, 상기 제1포토센서 및 제2포토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파레트에 재치된 음극선관의 기종을 판단하여 그 기종에 따라 상기 각부를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검사 콘베어중 해당하는 검사 콘베어로 상기 파레트를 이송하는 중앙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기종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토센서 및 제2포토센서는 상기 파레트의 지지대에 부착된 반사판에 빛을 입사하여 그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기종 분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1포토센서 및 제2포토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파레트에 재치된 음극선관의 기종을 판단하여 상기 방향전환 장치에 의해 상기 파레트의 이송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다수의 검사 콘베어중 해당하는 검사 콘베어로 상기 파레트를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기종 분리 장치.
  4. 음극선관을 조정 작업하는 조정 작업 라인에 음극선관을 기종에 따라 분리하여 이송하는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검사 조정 라인 콘베어에 이송되는 파레트의 지지대에 부착된 반사판에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파레트에 재치된 음극선광의 기종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파레트를 방향 전환장치에 이송하는 단계와, 판단된 기종에 따라 상기 파레트를 해당 검사 콘베어로 이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기종 분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60005121A 1996-02-28 1996-02-28 음극선관 기종 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121A KR100190647B1 (ko) 1996-02-28 1996-02-28 음극선관 기종 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121A KR100190647B1 (ko) 1996-02-28 1996-02-28 음극선관 기종 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340A KR970063340A (ko) 1997-09-12
KR100190647B1 true KR100190647B1 (ko) 1999-07-01

Family

ID=1945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121A KR100190647B1 (ko) 1996-02-28 1996-02-28 음극선관 기종 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6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340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1044B1 (en) Hold and release singulator
US4634328A (en) Mail singulation system
CN203899959U (zh) 自动读条码机
CN112845111B (zh) 一种应对紧急情况的物流运输用分拣装置
CN218988022U (zh) 一种片状物料分拣机
CN105964557A (zh) 邮包自助收寄系统以及邮包自助收寄方法
US5159202A (en) Wafer shape detecting method
KR100190647B1 (ko) 음극선관 기종 분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I112848B (fi) Valmistussolu sekä siirto- ja käsittelylaitteisto työkappaleita varten
KR20040091386A (ko) 불량품 검출 및 취출 시스템
CN211056087U (zh) 一种物料自动输送加工的设备
CN215755136U (zh) 一种智能工厂用六自由度物料搬运系统
WO2020173217A1 (zh) 自动入库系统、仓储物流系统及自动入库方法
CN111842211A (zh) 一种具有视觉检测和剔除功能的分页机
CN114535114B (zh) 输送线上工件随动分拣系统
CN110589421A (zh) 一种物料自动输送加工的设备
KR0173254B1 (ko) 다품종 벌브의 이재시스템
CN217191043U (zh) 可双面检测的分拣机
CN216037395U (zh) 一种t型物流码垛机械手
CN213494996U (zh) 输送装置、分拣设备及分拣系统
CN215997584U (zh) 一种自动分拣设备
KR20050036430A (ko) 컨베이어 시스템
CN219525488U (zh) 检测下料摆盘装置
JPH0750653Y2 (ja) ワーク寸法検出装置
CN219104758U (zh) 一种透明容器表面缺陷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