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153B1 -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153B1
KR100190153B1 KR1019960038187A KR19960038187A KR100190153B1 KR 100190153 B1 KR100190153 B1 KR 100190153B1 KR 1019960038187 A KR1019960038187 A KR 1019960038187A KR 19960038187 A KR19960038187 A KR 19960038187A KR 100190153 B1 KR100190153 B1 KR 10019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ning
pilot
pilot chamber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750A (ko
Inventor
다다히꼬 노가미
고로 다이몬
야스히데 다께다
히데오 가와모또
고오이찌 사도
히로시 마에다
히로요시 사다무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97001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fluid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fluid actuator
    • H01H33/34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fluid actuator hydraulic

Landscapes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폐로 조작 계통이 폐로 동작 종료 후에도 폐로 조작 상태 그대로 되는 이상이 생겨도, 개로 동작 후에 멋대로 폐로 동작해 버리는 오동작 사고를 발생하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해, 개로용 제어 밸브(15)는 파일럿실을 저압으로 하여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는 한 편, 이 파일럿실과 복귀 포트를 잇는 유로 상에 폐로용 파일럿 밸브(14)와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에 접속하는 두 개의 파일럿실이 함께 저압으로 되면 개방되는 쇄정 밸브(41)를 설치한다. 이로써, 상기 이상이 생기면, 개로 지령이 나올 때 까지는 폐로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일단 개로 동작하면 쇄정 밸브(41)가 개방되어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파일럿실을 저압측에 접속하여 개로용 제어 밸브(15)를 개방한 채로 하고, 폐로 동작 불능으로 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본 발명은 전력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로 동작 후에 잘못하여 폐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체압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전력을 순간적으로 차단하여 전력 공급 계통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에서는, 고속으로 개로 동작하는 것은 물론, 개로 동작 후에는 정확한 폐로 지령이 발생되지 않는 한 개로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결코 멋대로 폐로 동작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폐로 조작 계통에 어떤 이상이 발생 하거나, 폐로 지령이 해제되지 않고 남아 있거나 하는 등 폐로 동작 종료 후에도 폐로 조작 상태 그대로 되어 있으면, 개로 조작 계통이 소정 개로 동작을 완료하여 복귀한 후에 다시 폐로 조작 상태로 되어 버리므로 멋대로 폐로 동작하는 오동작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소59-822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폐로 조작 계통에 쇄정 밸브를 설치하고, 폐로 조작시에 폐로용 제어 밸브 또는 주 제어 밸브가 폐로 조작 위치로 절환한 후에 소정 시간 만큼 이보다 늦게 폐로 조작 계통의 유로를 닫고, 일단 폐로 지정이 해제되지 않는 한 이를 열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오동작을 방지하는 기구가 이용되고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의 구성에서는 이상이 생긴 때 뿐만 아니라 정상인 상태에 있어서의 폐로 동작시에도 항상 쇄정 밸브가 동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쇄정 밸브는 폐로용 제어 밸브나 주 제어 밸브가 폐로 조작 위치로 절환된 후에 소정 시간 만큼 늦게 폐쇄 동작하게 하고, 이 쇄정 밸브의 동작에 의해, 폐로용 제어 밸브나 주 제어 밸으의 폐로 조작이 저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축부 등을 이용하여 쇄정 밸브의 폐쇄 동작의 시기나 속도를 늦추는 등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구성에서는 쇄정 밸브의 동작 특성을 교축부 등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는 데다가, 조정 결과에 따라서 특성이 변동하고, 온도나 사용 빈도 등에 의해 특성이 변화되는 등, 신뢰성 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개로 동작 후에 멋대로 폐로 동작하는 오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데다가, 쇄정 밸브의 동작 특성의 조정도 필요 없고, 특성의 변화도 없으며, 신뢰성이 높은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차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상적인 상태에서 폐로 유지 상태를 도시하는 구조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상인 상태에서의 개로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구조도.
제3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상인 상태에서의 개로 유지 상태를 도시하는 구조도.
제4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상인 상태에서의 폐로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구조도.
제5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폐로 조작 계통에 이상이 생긴 경우의 폐로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구조도.
제6도는 제5도의 상태로부터 개로 동작하는 상태을 도시하는 구조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쇄정 밸브의 다른 구조에 있어서의 폐쇄 지지 상태를 도시 하는 구조도.
제8도은 제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쇄정 밸브의 개구 위치를 도시하는 구조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개로 조작 계통에 이상이 생긴 경우의 폐로 유지 상태를 도시하는 구조도.
제10도는 제9도의 상태로부터 개로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구조도.
제11도는 쇄정 밸브와 폐로용 제어 밸브의 동작 개시 압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상의 폐로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구조도.
제13도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폐로 조작 계통에 이상이 생긴 경우의 폐로 유지 상태를 도시하는 구조도.
제14도는 제13도의 상태로부터 개로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구조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유체압 실린더 6 : 유체압 펌프
8 : 주 제어 밸브 13 : 폐로용 제어 밸브
14 : 폐로용 파일럿 밸브 15 : 개로용 제어 밸브
16 : 개로용 파일럿 밸브 41 : 쇄정 밸브
50 : 멈춤 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접촉자를 개폐하는 유체압 실린더와, 작동 유체를 가압 공급하는 유체압원과, 이 유체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유체압 실린더를 구동하는 제어 밸브류를 구비한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류는 접촉자를 폐로 상태로 유도 하는 폐로 조작계 밸브류와, 접촉자를 개로 상태로 유도하는 개로 조작계 밸브류를 구비하고, 폐로 조작계 밸브류가 폐로 조작 상태에 있고 개로 조작계 밸브류가 개로 조작을 행하는 경우, 이 개로 조작 후에는 상기 개로 조작계 밸브류의 개로 조작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폐로 조작계 밸브류의 폐로 조작을 무료로 하는 수단을 설치한다.
여기서, 폐로 조작계 밸브류라 함은 접촉자를 폐로 상태로 유도하기 위해 이용되는 밸브의 총칭이며, 폐로용 제어 밸브나 이를 동작시키는 폐로용 파일럿 밸브 등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개로 조작계 밸브류라 함은 접촉자를 개로 상태로 유도하기 위해 이용되는 밸브의 총칭이며, 개로용 제어 밸브나 이를 동작시키는 개로용 파일럿 밸브 등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폐로 조작계 밸브류의 폐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수단으로서는 쇄정 밸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유체압 구동 장치를, 접촉자를 개폐하는 유체압 실린더와, 작동 유체를 가압 공급하는 유체압원과, 이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유체압 실린더를 구동하는 제어 밸브류를 구비한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류는 유체압 실린더에의 작동 유체의 공급 배출을 제어하는 주 제어 밸브와, 접촉자의 폐로 지령을 받아서 이 주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공급 포트에 접속하는 폐로용 제어 밸브 및 이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폐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하는 폐로용 파일럿 밸브와, 접촉자의 개로 지령을 받아서 상기 주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하는 개로용 제어 밸브 및 이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하는 개로용 파일럿 밸브와,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하는 유로와, 이 유로에 설치된 쇄정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폐로용 제어 밸브이 파일럿실이 복귀 포트에 접속된 경우, 상기 쇄정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의 복귀 포트에의 접속을 유지하여 상기 폐로용 제어 밸브의 폐로 조작을 무효로 하게 해도 좋다.
이 때, 상기 쇄정 밸브의 2차측 복귀 포트에 접속하고, 상기 유로를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이 상기 쇄정 밸브의 1차측에 접속되게 설치하고, 상기 쇄정 밸브의 개방 동작에 의해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이 복귀 포트에 접속되게 해도 좋다.
또, 상기 유로는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이 쇄정 밸브의 1차측에 접속 되고, 또 이 쇄정 밸브의 2차측이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1차측에 접속되게 설치 하고, 상기 쇄정 밸브 및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가 개방 동작한 때,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이 복귀 포트에 접속되게 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각 밸브의 1차측이라 함은 작동 유체가 유입하는 측을 말하고, 2차측이라 함은 작동 유체가 유출하는 측을 말한다. 또, 각 밸브의 개방 동작은 작동 유체의 1차측으로부터 2차측으로의 흐름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는 동작을 말하고, 폐쇄 동작은 작동 유체의 1차측으로부터 2차측으로의 흐름을 차단하는 동작을 말한다. 또, 접촉자의 개폐는 개로 또는 폐로라 불러 구별하고 있다. 또, 밸브는 보통,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해 밸브체를 끼우고 있는 두 개의 파일럿실을 구비하고, 한 쪽의 파일럿실을 거의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고, 다른 쪽 압력을 변화시키고, 밸브체에 작용하는 힘의 균형에 의해 밸브체를 구동한다. 특히, 언급 없이 파일럿실이라고 부를 때는 후자의 파일럿실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이 때, 개로용 파일럿 밸브가 열려서 쇄정 밸브의 제2 파일럿실이 저압으로된 상태에서, 이 쇄정 밸브가 개방 동작을 개시할 때의 그 제1 파일럿실의 압력을 폐로용 제어 밸브가 개방 동작을 개시할 때의 이 폐로용 제어 밸브의 제1 파일럿실의 압력 보다 높게 설정하면 된다. 이로써, 폐로용 제어 밸브가 개방된 채로 되기 전에, 쇄정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유로 및 쇄정 밸브를 설치하는 대신에,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 실과 1차측을 접속하는 유로를 설치하고, 이 유로에 멈춤 밸브를 설치해도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이 경우, 개로용 제어 밸브가 개방 동작할 때 까지 멈춤 밸브는 기능하지 않기 때문에, 개로용 제어 밸브의 개방 동작 이전에 멈춤 밸브를 개방해 둘 수 있다.
또, 이 멈춤 밸브를 외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개방 동작하는 밸브로 해도 좋고, 유체압 구동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이 감시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경보에 의해 멈춤 밸브가 개방 동작되게 해도 좋다. 이 때, 개방 동작은 상기 경보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게 해도 좋고, 조작자가 경보를 받아서 수동 이나 전동에 의한 원격 조작 등으로 행해도 좋다.
폐로용 및 개로용 파일럿 밸브는 그 1차측을 교축부를 거쳐서 공급 포트에, 2차측을 복귀 포트에 각각 접속하고, 쇄정 밸브는 상기 폐로용 파일럿 밸브의 1차측에 접속되는 제1 파일럿실과, 상기 개로용 파일럿 밸브의 1차측에 접속되는 제2 파일럿실과, 상기 제1 및 제2 파일럿실과 밸브체를 이격시켜 대향하고, 그 어느 것보다 작은 수압면적을 갖고 공급 포트에 접속되는 제3 파일럿실을 구비하게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쇄정 밸브는 폐로용 파일럿 밸브가 폐로 조작 상태에 있어서 개로용 파일럿 밸브가 개로 조작을 행한 것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개방 동작한다.
또, 쇄정 밸브를 포펫 밸브라 하고, 저부에 밸브 시트를 갖고 밸브체를 내포 하는 구멍을 밸브 시트로부터 소정 길이 만큼 밸브체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도록 일정 내경으로 형성하고, 그 선단을 상기 내경 보다 크게 형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정상인 상태에서의 폐로 조작 시에 쇄정 밸브의 파일럿실 내에 압력 변동이 발생하고 밸브체가 그 동작 방향으로 미소 구동되어도 쇄정 밸브가 개방 동작 하는 일이 없어지며, 개로용 제어 밸브가 잘못 개방 동작, 즉 접촉자의 개로 조작을 행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 상기 쇄정 밸브는 상기 유체압 실린더의 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운동하게 설치해도 좋다. 이로써, 유체압 실린더와 쇄정 밸브의 동작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에 의해 접촉자를 개로 및 폐로함으로써 차단기를 구성할 수가 있다.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에서는 접촉자의 폐로 동작 보다도 개로 동작을 우선하여 실행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폐로 조작계 밸브류가 폐로 조작 상태에 있고 개로 조작 밸브류가 개로 조작을 행하는 경우, 개로 조작계 밸브류의 개로 조작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그 이후의 폐로 동작을 불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이로써, 접촉자가 개로 동작 후에 멋대로 폐로 동작해버리는 오동작(펌핑 동작)을 방지 할 수 있다.
또, 구체적인 수단으로서는, 접촉자의 폐로 지령을 받으면 폐로용 파일럿 밸브가 개방 동작하고, 폐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함으로써 밸브체를 이동(개방 동작)시키고, 주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공급 포트에 접속한다. 또, 접촉자의 개로 지령을 받으면 개로용 파일럿 밸브가 개방 동작하고,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함으로써 밸브체를 이동(개방 동작)시키고, 주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한다.
주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이 공급 포트에 접속되면 주 제어 밸브의 밸브체는 유체압 실린더에 작동 유체를 공급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유체압 실린더는 접촉자의 폐로 조작을 행한다. 또, 주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이 복귀 포트에 접속되면 주 제어 밸브의 밸브체는 유체압 실린더로부터 작동 유체가 배출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유체압 실린더는 접촉자의 개로 조작을 행한다.
이 때, 쇄정 밸브는 폐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이 복귀 포트에 접속된 상태(폐로 조작 상태)에서,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이 복귀 포트에 접속(개로 조작)된 경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하는 오동작 방지용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개로용 파일럿 밸브가 복귀하여 폐쇄된 후에도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의 복귀 포트에의 접속을 유지한다. 이로써, 폐로용 제어 밸브에 의한 접촉자의 폐로 조작이 무효로 되며, 접촉자가 개로 동작후에 멋대로 폐로 조작해 버리는 오동작(펌핑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이 채용하는 쇄정 밸브, 멈춤 밸브 등의 오동작 방지 수단(펌핑 동작 방지 수단)은 제어 밸브류가 개로 조작 상태 또는 폐로 조작 상태의 어느 한 쪽의 상태를 취하는 정상적인 조작 상태에 있어서는 동작하지 않는 구조이다. 그 때문에, 이들 오동작 방지 수단의 동작 특성이 정상적인 접촉자의 개로 또는 폐로 조작을 저해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쇄정 밸브의 동작 특성, 특히 제어 밸브류를 구성하는 다른 밸브와의 동작 타이밍의 교축부 등에 의한 조정이나, 온도나 사용 빈도 등에 의한 특성 변화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높은 신뢰성을 갖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또는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떤 이상이 생겨서 폐로 조작 계통이 폐로 조작 상태 그대로 되었다고 해도 개로 동작 후에 멋대로 폐로 동작하는 오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이를 위한 오동작 방지 수단 또는 쇄정 밸브의 동작 특성의 조정도 불필요한 데다가, 특성 변화도 없고, 신뢰성 높은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오동작 방지 기구의 일실시 예를 제1도 내지 제6도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접촉자(1)를 개폐하는 피스톤(2)을 갖는 유체압 실린더(3)의 소수압면적측(4a)에는 공급 포트(5)를 거쳐서 유체압원을 이루는 유체압 펌프(6) 및 축압기(7)로부터 항상 고압이 공급되는 한 편, 조작실(4b)을 이루는 대수압면적측에는 주 제어 밸브(8)의 제어 포트(9)가 접속되어 있고, 대수압면적측(4b)에의 작동 유체의 공급 배출이 행해진다. 이 때, 대수압면적측(4b)에 작동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접촉자(1)가 폐로 동작하고, 작동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접촉자(1)를 개로 동작시킨다.
주 제어 밸브(8)는 공급 포트(5)에 이어지는 공급 포트(10) 측의 포펫의 배면에 항상 고압을 작용시켜 두고,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에 작동 유체를 공급, 배출함으로써, 제어 포트(9)를 공급 포트(10) 또는 복귀 포트(11)에 선택적으로 접속한다. 주 제어 밸브(8)는, 폐로용 제어 밸브(13) 및 폐로용 파일럿 밸브(14)로 이루어지는 폐로 조작계 밸브류에 의해 폐로 조작 위치로 절환하고, 개로용 제어 밸브(15) 및 개로용 파일럿 밸브(16)로 이루어지는 개로 조작계 밸브류에 의해 개로 조작 위치로 절환하고, 개로용 제어 밸브(15) 및 개로용 파일럿 밸브(16)로 이루어지는 개로 조작계 밸브류에 의해 개로 조작 위치로 절환한다. 또,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은 교축부(17)를 거쳐서 유체압 실린더(3)의 조작실(4b)로 통하는 제어 포트(9)에 접속되 어 있다.
폐로용 제어 밸브(13)와 개로용 제어 밸브(15)는 모두 대경부, 중경부, 소경부로 이루어지며, 중경부의 선단에는 포펫 밸브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는 교축부(18, 19)를 거쳐서 공급 포트에 접속하는 동시에, 폐로용 파일럿 밸브(14),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0, 21)에 접속하는 제1 파일럿실(22, 23)로서, 고압이 작용하면 각 제어 밸브를 닫는 힘을 발생한다. 대경부와 중경부 사이에는 공급 포트에 접속하여 항상 고압이 작용하고, 각 제어 밸브를 개방하는 힘을 발생하는 제2 파일럿실(24, 25)을 형성하고 있다.
개로용 제어 밸브(13)의 포펫 밸브부의 1차측(26)은 공급 포트에 접속하고, 2차측(27)은 역지 밸브(28)를 거쳐서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에 접속하는 한 편, 교축부(29)를 거쳐서 복귀 포트(30)에 접속되어 있다.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1차측(31)은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에 접속하고, 2차측(32)은 복귀 포트(30)에 접속 되어 있다. 폐로용 파일럿 밸브(14) 및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2차측(33, 34)은 복귀 포트(35)에 접속되어 있으며, 각각 폐로용 구동 수단(36) 및 개로용 구동 수단(37)에 의해 밀려서 개방 동작하고, 각각 스프링(38 및 39)에 의해 밀려서 폐쇄 동작한다.
한 편,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연통하는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과 복귀 포트(40)를 잇는 유로상에는 쇄정 밸브(41)가 설치되어 있다. 쇄정 밸브(41)는 대경부, 중경부, 소경부로 이루어지며, 중경부의 선단에는 포펫 밸브가 형성되어 있고, 1차측이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연통하는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에, 2차측이 복귀 포트(40)에 접속되어 있다.
쇄정 밸브(41)는 소경부에 압력을 작용시키는 제1 파일럿실(42)과,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에 압력을 작용시키는 제2 파일럿실(43), 및 대경부와 중경부 사이에 압력을 작용시켜서 제1 및 제2 파일럿실과 대향하는 힘을 발생하는 제3 파일럿실(44)을 갖는다. 제1 파일럿실(42)은 폐로용 파일럿 밸브(14)의 1차측(20)에 접속되고, 제2 파일럿실(43)은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연통하는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에 접속되고, 제3 파일럿실(44)은 공급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제3 파일럿실(44)은 고압으로 유지되고 쇄정 밸브(41)를 도면 중 상방으로 밀어 올려서 이 밸브를 개방하는 힘을 발생하고 있지만, 제1 파일럿실(42)과 제2 파일럿실(43)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고압이 작용하면, 쇄정 밸브(41)를 도면 중 하방으로 밀어 내려서 이 밸브를 닫는 힘을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3 파일럿실(44)의 수압면적은 제1 파실럿실(42), 제2 파일럿실(43)의 어느 것 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또, 유체압 펌프(6)는 축압기(7)에 고압 작동 유체를 축적하기 위한 것이며, 축압기(7) 내에 축적된 작동 유체의 양이 감소하여 소정의 하한치 보다 압력이 저하 되면 운전을 개시하고, 압력이 회복하여 소정 상한치에 달하면 운전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밸브류 및 유체압 실린더가 동작할 때는 주로 축압기(7)로부터 공급 포트(5)를 거쳐서 공급된다.
또, 개로 동작을 우선하여 실행하도록 하기 위해, 폐로용 제어 밸브와 개로용 제어 밸브가 함께 열린 경우에는 개로용 제어 밸브로부터 유입하는 유량 보다 개로용 제어 밸브로부터 유출하는 유량 쪽이 커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계로용 제어 밸브(13), 개로용 제어 밸브(15), 및 쇄정 밸브(41)에 설치한 스프링은, 모든 압력을 개방한 상태로부터 유체압 펌프(6)를 기동하여 장치를 세울 때 복귀 포트측으로 작동 유체가 빠져 버리지 않도록 이들 밸브를 닫아 두기 위해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제1도 내지 제4도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폐로 유지 상태에 있어서 개로 지령이 발생되면, 개로용 구동 수단(37)이 개로용 파일럿 밸브(16)를 밀어서 열고, 1차측(21)으로부터 2차측(34)으로 작동 유체가 유출한다. 이 때, 교축부(19)를 거쳐서 공급 포트로부터 유입하지만, 유입측 보다 유출측 쪽이 개구가 크므로 1차측(21) 및 이에 연통하는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은 저압이 되며 개로용 제어 밸브(15)는 제2 파일럿실(25)로부터 작용하는 조작력에 의해 개방된다.
개로용 제어 밸브(15)가 개방되면, 1차측(31)으로부터 2차측(32)을 거쳐서 주제어 밸브 파일럿실(12) 내의 작동 유체가 복귀 포트(30)로 배출되어 저압이 되므로, 주 제어 밸브(8)가 개로 조작 위치로 절환되고, 유체압 실린더(3)의 조작실(4b)로부터 작동 유체가 배출되어 피스톤(2)은 소수압면적측(4a)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개로 동작을 개시하고, 제2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개로 지령이 해제되고, 개로용 구동 수단(37)의 구동력이 소멸하면, 개로용 파일럿 밸브(16)는 스프링(39)에 밀려서 닫힌다. 그러면 교축부(19)를 거쳐서 작동 유체가 공급되어 1차측(21)이 고압이 되므로 개로용 파일럿 밸브(16)를 보다 강하게 폐쇄 유지하는 동시에,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도 고압으로 되므로 제2 파일럿실(25)의 조작력을 이겨서 개로용 제어 밸브(15)를 닫는다, 그러나,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은 교축부(17)를 거쳐서 이미 저압으로 된 제어 포트(9)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주 제어 밸브(8)는 개로 조작 위치에 유지되고, 피스톤(2)은 개로 동작을 속행하여 제3도에 도시한 개로 유지 상태에 이른다.
상기 일련의 개로 동작에 있어서, 폐로용 파일럿 밸브(14)의 1차측(20)에 접속하는 쇄정 밸브(41)의 제1 파일럿실(42)은 항상 고압으로 유지되므로,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에 접속하는 제2 파일럿실(43)이 저압으로 되어도 수압면적이 작은 제3 파일럿실(44)의 조작력에 미치지 못하는 일은 없으므로, 쇄정 밸브(41)는 개방되지 않는다. 또, 피스톤(2)의 한쪽이 저압이고 다른 쪽이 고압으로 되어 큰 구동력을 발생하는 데다가, 축압기(7)내에는 충분한 양의 작동 유체가 축적되어 있으므로, 피스톤(2)은 접촉자(1)를 극히 고속으로 개방하고, 전력을 순간적으로 차단한다.
제3도에 도시한 개로 유지 상태에 있어서 개로 지령이 발생되면, 개로용 구동 수단(36)이 폐로용 파일럿 밸브(14)를 밀어 열고, 1차측(20)으로부터 2차측(33)으로 작동 유체가 유출된다. 이 때, 교축부(18)를 거쳐서 공급 포트로부터 유입되지만, 유입측 보다 유출측 쪽이 개구가 크므로 1차측(20) 및 이에 연통하는 폐로용 제어 밸브(13)는 제2 파일럿실(24)로부터 작용하는 조작력에 의해 개방된다.
폐로용 제어 밸브(13)가 개방되면, 1차측(26)으로부터 2차측(27) 및 역지 밸브(28)를 거쳐서 공급 포트로부터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 내로 작동 유체가 공급 되어 고압으로 되므로 주 제어 밸브(8)가 폐로 조작 위치로 절환되고, 유체압 실린더(3)의 조작실(4b)로 작동 유체가 공급되어 고압으로 되므로 소수압면적측(4a)이 발생하는 힘을 이겨서 피스톤(2)은 폐로 동작을 개시하고, 제4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폐로 지령이 해제되고, 폐로용 구동 수단(36)의 구동력이 소멸되면, 폐로용 파일럿 밸브(14)는 스프링(38)에 밀려 닫힌다. 그러면, 교축부(18)를 거쳐서 작동 유체가 공급되어 1차측(20)이 고압으로 되므로 폐로용 파일럿 밸브(14)를 보다 강하게 폐쇄 유지하는 동시에, 폐로용 제어 밸브(13)의 제1 파일럿실(22)도 고압으로 되므로 제2 파일럿실(24)의 조작력을 이겨서 폐로용 제어 밸브(13)를 닫는다. 그러나,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은 교축부(17)를 거쳐서 이미 고압으로 된 제어 포트(9)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주 제어 밸브(8)는 폐로 조작 위치에 유지되고, 피스톤(2)은 폐로 동작을 속행한다.
또, 역지 밸브(28)는 주 제어 밸브(8)가 폐로 조작 위치로의 절환을 완료하여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이 공급압과 거의 같아진 때에 스프링으로 밀려 닫히기 때문에, 폐로용 제어 밸브(13)가 닫혀도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은 고압으로 유지되는 한 편, 1차측(26)으로부터의 유입이 정지되면, 2차측(27)으로부터 교축부(29)를 거쳐서 복귀 포트(30)로 유출하고, 2차측(27)은 저압이 된다. 이리하여 제1도에 도시한 폐로 유지 상태로 되며, 전력이 투입된다.
상기 일련의 폐로 동작에 있어서,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에 접속하는 쇄정 밸브(41)의 제2 파일럿실(43)은 항상 고압으로 유지되므로, 폐로용 파일럿 밸브(14)의 1차측(20)에 접속하는 제1 파일럿실(42)이 저압으로 되어도 수압면적이 작은 제3 파일럿실(44)의 조작력에 미치지 못하는 일은 없으므로, 쇄정 밸브(41)는 열리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쇄정 밸브(41)는 정상인 상태에서는 개방 동작하지 않는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쇄정 밸브의 동작과 작용을 설명한다.
이제, 폐로 조작 계통에 어떤 이상이 발생하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로 유지 상태에 있어서, 폐로 조작계 밸브류가 폐로 조작 상태 그대로 되어 있다고 하자. 즉, 폐로용 파일럿 밸브(14)가 개방된 채로 되어 있기 때문에, 1차측(20) 및 이와 연통하는 폐로용 제어 밸브(13)의 제1 파일럿실(22)이 저압으로 되며, 폐로용 제어 밸브(13)가 개방된 채로 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때는 폐로용 파일럿 밸브(14)의 1차측(20)에 접속하는 쇄정 밸브(41)의 제1 파일럿실(42)도 저압이 된다. 그러나,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에 접속하는 제2 파일럿실(43)은 고압으로 유지되므로 수압면적이 작은 제3 파일럿실(44)의 조작력을 못이겨 열리는 일이 없고, 쇄정 밸브(41)는 닫힌 상태 그대로이다.
한 편, 이미 역지 밸브(28)가 닫혀 있는 데다가,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은 교축부(17)를 거쳐서 고압인 제어 포트(9)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주 제어 밸브(8)는 폐로 조작 위치로 유지된다. 따라서, 교축부(18)로부터 폐로용 파일럿 밸브(14)를 거쳐서 복귀 포트(35)로, 그리고 폐로용 제어 밸브(13)로부터 교축부(29)를 거쳐서 복귀 포트(30)로 각각 작동 유체가 계속 누설하는 점 만이 정상 상태와 다를 뿐, 폐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개로 지령이 발생되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로 조작계 밸브류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개로 동작이 행해지는 한 편, 개로용 파일럿 밸브(16)가 열린 때에,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 및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과 함께, 이들에 접속하는 쇄정 밸브(41)의 제2 파일럿실(43)도 저압이 되므로, 쇄정 밸브(4l)는 제1 파일럿실(42), 제2 파일럿실(43) 모두 저압이 되며, 제3 파일럿실(44)의 조작력에 의해 개방되고,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을 복귀 포트(40)에 접속하여 저압으로 한다.
이 때문에, 개로 지령이 해제되어 개로용 파일럿 밸브(16)가 닫혀도 교축부(19)로부터 유입하는 작동 규체는 복귀 포트(40)로 유출되어 버리고, 1차측(21)과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은 고압이 되지 않으므로 개로 동작이 완료 되어도 개로용 제어 밸브(23)는 열린 상태 그대로 된다. 따라서, 개로 동작이 완료 되어도 또 이상이 해소되지 않고, 폐로 조작계 밸브류가 폐로 조작 상태 그대로였다고 해도, 폐로용 제어 밸브(13)로부터 유입하는 유량 보다 개로용 제어 밸브(15)로부터 유출하는 유량 쪽이 크므로, 폐로 동작하기 시작하는 일은 없고, 폐로 동작 불능 상태로 되며, 개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폐로 조작 계통이 폐로 조작 상태 그대로 되었다고 해도, 개로 지령이 발생될 때 까지의 사이에는 폐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동시에, 일단 개로 지령이 발생되어 개로 동작을 실행하면, 그 이후에는 폐로 동작 불능으로 하여 개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개로 동작 후에 멋대로 폐로 동작해 버리는 오동작 사고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폐로 조작 계통의 이상이 해소되어 폐로용 파일럿 밸브(14)가 정상으로 닫히면 1차측(20)에 접속하는 쇄정 밸브(41)의 제1 파일럿실(42)이 고압으로 되며, 제3 파일럿실(44)의 조작력을 이겨서 쇄정 밸브(41)를 닫으므로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과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은 복귀 포트(40)와 떨어져서 고압이 되며, 개로용 제어 밸브(15)도 닫혀서 제3도에 도시한 정상인 개로 유지 상태로 복귀되고, 다음의 폐로 동작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제7도 내지 제8도에 의애 쇄정 밸브의 다른 실시에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쇄정 밸브(41)의 중경부의 선단에 설치된 포펫 밸브의 구성과,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연통하는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을 복귀 포트(40)로 잇는 유로를 쇄정 밸브(41)의 밸브체 내에 형성하고 있는 점만이 다르며, 그 밖에는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다.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는 극히 고속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유압이 변동 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는 일이 있다. 상기 실시예의 쇄정 밸브(41)에 있어서, 제1 파일럿실(42)과 제2 파일럿실(43) 및 제3 파일럿실(44)은 모두 공급 포트에 접속되어 있지만, 제3 파일럿실 만은 교축부를 거치지 않고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작시에 공급압이 변동하면 제1 파일럿실(42)이나 제2 파일럿실(43) 보다도 제3 파일럿실(44) 쪽이 압력 변동이 빨리 전달된다.
이 때문에, 정상인 상태에서 작동할 때에도 쇄정 밸브(41)가 열려 버릴 가능성이 있다. 개로 동작시에 쇄정 밸브(41)가 열려도 동작은 정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문제는 없지만, 폐로 동작시에 쇄정 밸브(41)가 열려버리면,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로부터 쇄정 밸브(41)를 통하여 작동 유체가 유출하여 개로용 제어 밸브(15)가 열리고, 주 제어 밸브(8)가 폐로 조작 위치로 절환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폐로 동작이 실행될 수 없게 되어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쇄정 밸브(41) 선단의 포펫 외주부(45)를 구멍(46)에 소정 간극을 두고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시키고, 제7에 도시한 착좌 위치로부터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해도 곧 개구되지는 않고, 제8도에 도시한 소정 위치 까지 이동하고 나서 개구되도록, 구멍(46)의 내경을 이 위치로부터 확대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구멍(46)의 내경이 확대된 곳을 1차측으로 하고, 여기를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일(23)과 연통하는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폐로 동작시에 쇄정 밸브(41)가 개방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였다고 해도 곧 개구되지는 않으므로,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의 압력은 곧바로 상실되지 않는다. 또, 밸브 시트가 열림과 동시에 밸브 시트로부터 외주측에서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던 고압이 저압으로 되므로 닫는 힘이 증가하여 밸브체를 밀어 복귀시킨다. 따라서, 쇄정 밸브(41)가 제8도에 도시한 위치 까지 이동하기 전에 폐로용 제어 밸브(13)가 열려서 주 제어 밸브(8)의 절환을 완료하고, 압력 변동 등의 오동작 요인도 소멸하므로, 쇄정 밸브는 개구되는 일이 없고 다시 폐쇄 상태로 복귀되는 동시에, 폐로 동작이 확실하게 실행되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예의 쇄정 밸브는 교축부 등을 이용하여 동작의 시기나 속도를 늦추는 방법이 아니라 구멍(46)의 내경을 쇄정 밸브가 압력 변동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는 거리 보다 떨어진 위치로부터 확대되는 형상으로 해두면 되므로, 교축부 등에 의해 쇄정 밸브의 동작 특성을 조정할 필요도 없는 데다가, 온도에 의한 작동 유체의 점도 변화나 사용 빈도 등에 의한 마모 등에 의해 특성이 변화되는 일도 거의 없고, 신뢰성이 높은 유체압 구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와 같이,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연통하는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과 복귀 포트(40)를 잇는 유로를 쇄정 밸브(41)의 밸브체 내에 형성하면 번잡한 구멍 가공을 간소화할 수 있는 데다가, 자주 동작 불량의 원인이 되는 버어 등의 발생 부위도 감소되므로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9도 내지 제10도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쇄정 밸브(41)의 2차측 접속처와, 포펫 밸브의 선단에 밸브 시트와 같은 직경의 원통부(47)를 설치한 점 만이 다르며, 그 밖에는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쇄정 밸브(41)의 중경부 선단에 형성된 포펫 밸브의 2차측은 복귀 포트(40)에 접속되어 있었는 데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에 이어지는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1차측(3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원통부(47)의 반 포펫측은 고압이 작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제, 개로 조작 계통에 어떤 이상이 발생하고,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로 유지 상태에 있어서 폐로 조작계 밸브류가 폐로 조작 상태 그대로 되어 있다고 하자. 이 상태에서는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에 접속하는 제2 파일럿실(43)은 고압으로 유지되므로, 수압면적이 작은 제3 파일럿실(44)의 조작력에 못이겨 개방되는 일이 없고, 쇄정 밸브(41)는 닫힌 채 그대로이다. 한 편, 이미 역지 밸브(28)가 닫혀 있는 데다가,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은 교축부(17)를 거쳐서 고압인 제어 포트(9)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주 제어 밸브(8)는 폐로 조작 위치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동 유체가 계속 누설되는 점만이 정상인 상태와 다를 뿐, 폐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개로 지령이 발생되면,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로 조작계 밸브류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개로 동작이 행해지는 한 편, 개로용 파일럿 밸브(16)가 열린 때에,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과 함께, 이들에 접속하는 쇄정 밸브(41)의 제2 파일럿실(43)도 저압으로 되기 때문에, 쇄정 밸브(41)는 제1 파일럿실(42), 제2 파일럿실(43) 모두 저압이 되며, 제3 파일럿실(44)의 조작력에 의해 개방되고,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을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1차측(31)에 접속한다.
이 때, 이미 개로용 제어 밸브(15)는 열려 있으므로, 1차측(31)은 2차측(32)을 거쳐서 복귀 포트(30)에 접속되어 있고, 1차측(31)은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로부터 교축부(17)를 거쳐서 이미 저압으로 된 제어 포트(9)로도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로 지령이 해제되어 개로용 파일럿 밸브(16)가 닫혀도 교축부(19)로부터 유입하는 작동 유체는 개로용 제어 챌브(15)의 1차측(31)과 2차측(32)을 거쳐서 복귀 포트(30)로 유출되어 버리고,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과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은 고압으로 되지 않으므로, 개로 동작이 종료해도 개로용 제어 밸브(23)는 열린 상태 그대로 된다. 따라서, 개로 동작이 종료되어도 또 이상이 해소되지 않고, 폐로 조작계 밸브류가 폐로 조작 상태 그대로 였다고 해도, 폐로용 제어 밸브(13)로부터 유입하는 유량 보다 개로용 제어 밸브(15)로부터 유출하는 유량 쪽이 크므로, 폐로 동작하기 시작하는 일은 없고, 폐로 동작 불능 상태로 되며, 개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폐로 조작 계통이 폐로 조작 상태 그대로 되었다고 해도 개로 지령이 발생될 때 까지의 사이에는 폐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동시에, 일단 개로 지령이 발생되어 개로 동작을 실행하면, 그 이후에는 폐로 동작 불능으로 하여 개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개로 동작 후에 멋대로 폐로 동작해 버리는 오동작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폐로 조작 계통의 이상이 해소되어 폐로용 파일럿 밸브(14)가 정상으로 닫이면, 1차측(20)에 접속하는 쇄정 밸브(41)의 제1 파일럿실(42)이 고압이 되며, 제3 파일럿실(44)의 조작력을 이겨서 쇄정 밸브(41)를 닫으므로,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과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은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1차측(31), 2차측(32), 및 복귀 포트(30)와 떨어져서 고압이 되며, 개로용 제어 밸브(15)도 닫아서, 제3도와 마찬가지 정상인 개로 유지 상태로 복귀되고, 다음의 폐로 동작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쇄정 밸브(41)의 포펫 밸브부는 폐지측 종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이동한 후에 개구되는 제7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구성으로 해도 좋고, 이와 같이 하는 편이 동작시의 압력 변동 등에 의해 쇄정 밸브가 오동작 하는 일이 없고, 보다 신뢰성 높은 유체압 구동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 도시한 실시예의 쇄정 밸브(41)의 제3 파일럿실(44)은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한 기구 등으로 구성되는 제3 조작 기구로 치환해도 좋다. 단, 상기와 같은 유체압 파일럿 기구를 이용하는 편이 큰 조작력이 얻어지는 데다가, 밸브체의 변위에 따라서 조작력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어떤 저항력이 발생하여도 확실히 조작 할 수 있는 데다가, 동작이 빨라지며, 보다 높은 신뢰성이 얻어진다.
또, 이상에 도시한 실시예의 쇄정 밸브에서는 파일럿실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는 것은 극히 단시간의 동작 중과 이상이 생긴 때 뿐이며, 시간이 긴 폐로 유지 상태와 개로 유지 상태에서는 쇄정 밸브의 모든 파일럿실이 고압으로 되도록 구성 하고 있다. 따라서, 장시간에 걸쳐서 쇄정 밸브의 밸브체 외주의 환상 간극에서 고압측으로부터 저압측으로 누설되는 흐름은 없으므로, 작동 유체가 쓸데 없이 소실되는 일은 없고, 실팅이나 하이드로릭 로크를 위해 쇄정 밸브의 동작이 저해받는 일도 없다.
또, 이상에 도시한 실시예의 쇄정 밸브에서는 소경부를 폐로용 파일럿 밸브(14)의 1차측(20)에 접속하는 제1 파일럿실(42)로 하고,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를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에 연통하는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에 접속하는 제2 파일럿실(43)로 하였지만, 이들을 반대로 접속하여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를 제1 파일럿실(42), 소경부를 제2 파일럿실(B3)로 해도 마찬가지 오동작 방지 기구로 해서 기능한다. 단, 이 구성의 경우에는 폐로 조작 계통에 이상이 생겨서 폐로용 파일럿 밸브(14)의 1차측(20)과 함께 제1 파일럿실(42)인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가 저압으로 되면, 폐로 유지 상태에서 제2 파일럿실(43)과 제3 파일럿실(44)의 양측으로부터 제1 파일럿실로 누설되므로 누설량이 커지며, 차단 동작에 충분한 만큼의 작동 유체를 축압기(7) 내에 축적시키지 않게 되어 다음 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없어질 가능성이 있다. 혹은, 이 때문에 유체압 펌프(6)의 토출량을 크게 해야된다.
이에 반해,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소경부를 제1 파일럿실,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를 제2 파일럿실이라 하면, 폐로 조작 계통에 이상이 생긴 때에 개로 유지하고 있어도, 제3 파일럿실과 제2 파일럿실은 모두 고압이므로 이들 사이에는 누설 흐름 은 발생하지 않고, 제2 파일럿실로부터 제1 파일럿실로만 누설되므로 이와 같은 결점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으로 하는 편이 좋다.
또, 예를 들면 폐로용 파일럿 밸브(14)의 볼과 밸브 시트 사이에 이물을 물어서 착좌가 불완전해지거나, 볼이나 밸브 시트에 마모나 결손이 생겨 착좌하여도 완 전하게는 닫히지 않게 되거나 하게 되면 정상인 유지 상태에서의 폐로용 제어 밸브(13)의 제1 파일럿실(22)의 압력은 공급압으로 되는 데 대해, 이 보다는 저하되어 있기는 하지만 동작 개시 압력에는 달하지 않고 있으므로 폐로용 제어 밸브(13)가 열린 채로 되기에는 이르지 않은 상태로 된다. 이 상태 그대로라면 오동작 사고는 발생하지 않지만, 이대로 방치해 두면 진전 하여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따라서, 폐로용 제어 밸브(13)가 열린 상태로 되기 전에 쇄정 밸브(41)가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해야 한다.
그래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쇄정 밸브(41)의 제2 파일럿실(43)이 저압으로 되어 개방 동작하기 시작한 때의 제1 파일 럿실(42)의 압력, 즉 쇄정 밸브(41)의 동작 개시 압력을, 폐로용 제어 밸브(13)가 개방 동작하기 시작할 때의 폐로용 제어 밸브(13)의 제1 파일럿실(22)의 압력, 즉 폐로용 제어 밸브(13)의 동작 개시 압력 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해 둔다.
여기서, 쇄정 밸브(4l)의 동작 개시 압력이라 함은 쇄정 밸브(41)의 제2 파일럿실(43)을 저압으로 한 상태에서 제1 파일럿실(42)의 압력을 낮추어가고, 제1 파일럿실(42)의 폐쇄 방향의 조작력과 제3 파일럿실의 개방 방향의 조작력이 균형을 이룰 때의 제1 파일럿실(42)의 압력이다. 한 편, 폐로용 제어 밸브(13)의 동작 개시 압력이라 함은, 폐로용 제어 밸브(13)의 제1 파일럿실(22)의 압력을 낮추어가고, 제1 파일럿실(22)의 폐쇄 방향의 조작력과 제2 파일럿실(24)의 개방 방향의 조작력이 균형을 이룰 때의 제1 파일럿실(22)의 압력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상 때문에 폐로용 제어 밸브(13)가 열린 채로 되었다고 해도 이 상태에서 개로 조작하면 반드시 쇄정 밸브(41)가 작동하므로 개로 동작 종료 후에 멋대로 폐로 동작하는 오동작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쇄정 밸브(41)의 포펫 밸브부를 착좌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이동한 후에 개구되는 제7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구성으로 하고, 포펫 밸브부 선단의 원통부(47)를 제외한 제12도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에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폐로 동작시에도 쇄정 밸브가 개방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쇄정 한 바와 같이, 통상의 폐로 동작시에도 쇄정 밸브가 개방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쇄정 밸브(41)가 개구 위치에 이르기 전에 폐로용 제어 밸브(13)가 개방 동작하여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을 이미 고압으로 하므로, 쇄정 밸브(41)가 개구되어도 유출하지 않으므로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 및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은 고압 그대로 유지되고, 폐로용 파일럿 밸브(14)가 닫히면 쇄정 밸브(41)도 닫혀서 폐로 유지 상태에 이른다.
또, 이상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쇄정 밸브(41)를 피스톤(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는 편이 피스톤(2)이 동작할 때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 등의 외란에 의해 쇄정 밸브(41)가 잘못하여 열리는 일이 없으므로 보다 높은 신뢰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13도 내지 제14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9도 내지 제10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쇄정 밸브(41)를 멈춤 밸브(50)로 치환한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다. 즉,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연통하는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과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1차측(31)을 잇는 유로 상에는 멈춤 밸브(50)가 설치되어 있다.
이제, 개로 조작 계통에 어떤 이상이 발생하고,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로 유지 상태에 있어서 폐로 조작계 밸브류가 폐로 조작 상태 그대로 되어 있다고하자.
멈춤 밸브(50)를 닫고 있으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교축부(18)로부터 폐로용 파일럿 밸브(14)를 거쳐서 복귀 포트(35)로, 또 폐로용 제어 밸브(13)로부터 교축부(29)를 거쳐서 복귀 포트(30)로 작동 유체가 계속 누설되는 점 만이 정상인 상태와 다를 뿐, 폐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멈춤 밸브(50)를 열면,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은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1차측(31)에 접속되지만, 폐로 유지 상태에서는 개로용 제어 밸브(15)가 닫혀 있어서, 주 제어 밸브 파일럿실(12)에 연통하는 1차측(31)은 고압으로 되어 있으므로, 고압의 부분 끼리를 연결한 것 뿐, 아무런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 개로 지령이 발생되면,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로 조작계 밸브류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로 동작이 행해지는 한 편,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과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이 멈춤 밸브(50)를 거쳐서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1차측(31)으로부터 2차측(32)을 거쳐서 복귀 포트(30)에 덥속한다. 게다가,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1차측(31)은 주 제어 밸브 파일럿 밸브(12)로부터 교축부(17)를 거쳐서 이미 저압으로 된 제어 포트(9)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로 지령이 해제되어 개로용 파일럿 밸브(16)가 닫혀도, 교축부(19)로부터 유입하는 작동 유체는 멈춤 밸브(50)와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1차측(31)과 2차측(32)을 거쳐서 복귀 포트(30)로 유출되어 버리고,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과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은 고압으로 되지 않으므로, 개로 동작이 종료되어도 개로용 제어 밸브(23)는 열린채로 된다.
따라서, 개로 동작이 종료되어도 역시 이상이 해소되지 않고, 폐로 조작계 밸브류가 폐로 조작 상태 그대로였다고 해도 폐로용 제어 밸브(13)로부터 유십하는 유량 보다 개로용 제어 밸브(15)로부터 유출하는 유량 쪽이 크므로, 폐로 동작 개시하는 일은 없고, 폐로 동작 불능 상태로 되며, 개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폐로 조작 계통이 폐로 조작 상태 그대로 되었다고 해도, 개로 지령이 발생될 때 까지 사이에는 폐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동시에, 일단 개로 지령이 발생되어 개로 동작을 실행하면, 그 이후에는 폐로 동작 불능하게하여 개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개로 동작 후에 멋대로 폐로 동작해 버리는 오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폐로 조작 계통의 이상이 해소된 후에 멈춤 밸브(50)를 닫아서, 개로용 파일럿 밸브(16)의 1차측(21) 및 이와 연통하는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을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2차측(32) 및 복귀 포트(30)와 떨어지면, 개로용 조작 밸브(15)의 제1 파일럿실(23)이 고압으로 되어 개로용 제어 밸브(15)가 닫히고, 제3도와 마찬가지의 정상인 개로 유지 상태로 복귀되고, 다음의 폐로 동작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멈춤 밸브(50)는 수동식이나 전동식의 멈춤 밸브이면 되며, 또는 외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개방 동작하는 원격 조작식의 밸브로 해도 좋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15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3도 내지 제1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압 펌프(6)의 운전 시간 또는 운전 횟수를 감시하여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 경보를 발하는 감시 수단(51)을 설치한 점과, 멈춤 밸브(50)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 장치(52)를 설치한 점만이 다르며, 다른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로 조작 계통에 어떤 이상이 발생하고, 폐로 유지 상태에 있어서 폐로 조작계 밸브류가 폐로 조작 상태 그대로 된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폐로 상태는 유지되지만, 교측부(18)로부터 폐로용 파일럿 밸브(14)를 거쳐서 복귀 포트(35)로, 그리고 폐로용 제어 밸브(13)로부터 교축부(29)를 거쳐서 복귀 포트(30)로, 각각 작동 유체가 계속 누설된다. 이 때문에, 축압기(7)내의 고압 작동 유체는 정상인 상태 보다 빨리 감소되므로 유체압 펌프(6)의 운전 횟수가 증가되는 데다가, 운전 중에도 누설되므로, 운전 시간도 길어진다. 최악의 경우에는 운전한 채로 되거나, 운전 시간의 상한치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보호 회로 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정지되고, 압력을 상실하기에 이르러 버리거나 한다.
그래서, 감시 장치(51)에 의해 유체압 펌프(6)의 운전 횟수와 운전 시간의 한쪽 또는 양쪽을 감시하고, 정상인 상태에서의 운전 횟수나 운전 시간과 비교하여 이 상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경보를 발생하도록 구성하고, 이 이상 경보를 받아서 원격 조작 장치(52) 신호를 발하여 멈춤 밸브(50)를 열도록 구성하면, 이상이 해소되기 전에 개로 지령이 발생되어도 개로 동작 후에 멋대로 폐로 동작해 버리는 오동 작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감시 장치(51)가 발한 이상 경보를 받아서 원격 조작 장치(52)가 자동적으로 멈춤 밸브(50)를 개방 동작시키려 하면 멈춤 밸브(50)가 보다 신속하게 개방되므로 상기 오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상 서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2차측(32)은 항상 저압이므로 소경부를 제외한 형상으로 해도 좋다. 단, 소경부를 설치해 두면 개로용 제어 밸브(15)의 동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폐로용 제어 밸브가 접촉자를 개로 조작시키는 상태에 있어서 개로용 제어 밸브가 개로 조작을 행하는 경우, 이 개로용 제어 밸브의 조작 후에 이 개로 조작 상태를 유지하도록 쇄정 밸브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각 밸브의 개방 동작/폐쇄 동작은 각 실시예와는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접촉자를 개폐하는 유체압 실린더와, 작동 유체를 가압 공급하는 유체압원과, 이 유체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유체압 실린더를 구동하는 제어 밸브류를 구비한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류는 접촉자를 폐로 상태로 유도하는 폐로 조작계 밸브류와, 접촉자를 개로 상태로 유도하는 개로 조작계 밸브류를 구비하고, 폐로 조작계 밸브류가 폐로 조작 상태에 있어서, 개로 조작계 밸브류가 개로 조작을 행하는 경우, 이 개로 조작 후에는 상기 개로 조작계 밸브류의 개로 조작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폐로 조작계 밸브류의 폐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개로 조작계 밸브류의 개로 조작 상태를 유지하여 폐로 조작계 밸브류의 폐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상기 수단이 쇄정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3. 접촉가를 개폐하는 유체압 실린더와, 작동 유체를 가압 공급하는 유체압원과, 이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유체압 실린더를 구동하는 제어 밸브류를 구비한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류는, 유체압 실린더에의 작동 유체의 공급 배출을 제어하는 주 제어 밸브와, 접촉자의 폐로 지령을 받아서 이 주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공급 포트에 접속하는 폐로용 제어 밸브 및 이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폐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하는 폐로용 파일럿 밸브와, 접촉자의 개로 지령을 받아서 상기 주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하는 개로용 제어 밸브 및 이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하는 개로용 파일럿 밸브와,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하는 유로와, 이 유로에 배치된 쇄정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이 복귀 포트에 접슥된 상태에서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이 복귀 포트에 접속된 경우, 상기 쇄정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의 복귀 포트에의 접속을 유지하여 상기 폐로용 제어 밸브의 폐로 조작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 밸브의 2차측을 복귀 포트에 접속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실럿을 상기 쇄정 밸브의 1차측에 접속함으로써,상기 쇄정 밸브의 개방 동작에 의해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하는 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상기 쇄정 밸브의 1차측에 접속하는 동비에, 이 쇄정 밸브의 2차측과 상기 개로용 제어 밸 브의 1차측을 접속하고, 상기 쇄정 밸브 및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개방 동작에 의해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하는 유로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 밸브를 멈춤 밸브로 한 것을 특징으조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밸브는 외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개방 동작하는 밸브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유체압원은 작동 유체를 가압 토출하는 유체압 펌프와, 가압된 작동 유체를 축적하는 축압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압 펌프는 상기 축압기 내에 축적된 고압 작동 유체가 소정량 보다 감소되면 운전을 개시하고, 소정량에 달하면 운전을 정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유체압 펌프의 운전 시간 또는 운전 횟수를 감시하고, 이 운전 시간 또는 운전 횟수가 소정 시간 또는 횟수 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 경보를 발하는 감시 수단을 구비하고, 이 감시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경보를 받아서 상기 멈춤 밸브를 개방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9.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 밸브는 폐로용 파일럿 밸브가 폐로 조작 상태에 있어서 개로용 파일럿 밸브가 개로 조작을 행하는 경우, 이 개로용 파일럿 밸브의 동작을 받아서 자동적으로 개방 동작하는 밸브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10.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로용 파일럿 밸브 및 개로용 파일럿 밸브는 그 1차측을 교축부를 거쳐서 공급 포트에, 2차측을 복귀 포트에, 2차측을 복귀 포트에 각각 접속하고, 상기 쇄정 밸브는 상기 폐로용 파일럿 밸브의 1차측에 접속되는 제1 파일럿실과, 상기 개로용 파일럿 밸브의 1차측에 접속되는 제2 파일럿실과, 상기 제1 및 제2 파일럿실과 밸브체를 격리시켜 대향하고, 그 어느 것 보다 작은 수압면적을 갖고 공급 포트에 접속된 제3 파일럿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11.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 밸브는 포펫 밸브이며, 저부에 밸브 시트를 갖고 밸브체를 내포하는 구멍이, 상기 쇄정 밸브의 밸브체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도록 상기 밸브체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소정 길이 만큼 일정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정 길이로부터 끝을 상기 내경 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12.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 밸브는 상기 유체압 실린더의 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13. 접촉자의 개로 조작을 그 개로 조작 보다 우선하여 실행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에 있어서, 접촉자가 폐로 조작 상태에 있을 때의 개로 지령을 받아서 폐로 조작 상태가 해제될 때 까지 이 개로 조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14. 접촉자를 개폐하는 유체압 실린더와, 작동 유체를 가압 공급하는 유체압원과, 이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유체압 실린더를 구동하는 제어 밸브류를 구비한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압 실린더는 한 쪽 조작실이 공급 포트에 접속되고, 작동 유체를 다른 쪽 조작실에 공급함으로써 폐로 동작하고, 배출함으로써 개로 동작하는 실린더이며, 상기 제어 밸브류는, 상기 유체압 실린더에 작동 유체를 공급 배출하는 주 제어 밸브와, 1차측이 공급 포트에, 2차측이 상기 주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에 접속되는 동시에 폐로용 파일럿 밸브의 1차측에 접속되는 제1 파일럿실과, 공급 포트에 접속되고 제1 파일럿실과 밸브를 거쳐서 대향하고, 제1 파일럿실 보다 작은 수압면적을 갖는 제2 파일럿실 을 갖고, 개방 동작에 의해 상기 주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공급 포트에 접속하여 고압으로 함으로써 상기 주 제어 밸브를 폐로 조작 위치로 절환하는 폐로용 제어 밸브와, 1차측이 상기 주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에, 2차측이 복귀 포트에 접속되는 동시에, 개로용 파일럿 밸브의 1차측에 접속되는 제1 파일럿실과, 공급 포트에 접속되고 제1 파일럿실과 밸브체를 거쳐서 대향하고 제1 파일럿실 보다 작은 수압면적을 갖는 제2 파일럿실을 갖고, 개방 동작에 의해 상기 주 제어 밸브의 파일럿실을 복귀 포트에 접속하여 저압으로 함으로써 상기 주 제어 밸브를 개로 조작 위치로 절환하는 개로용 제어 밸브와, 1차측이 상기 폐로용 제어 밸브의 제1 파일럿실 및 교축부를 거쳐서 공급 포트에 접속되는 동시에, 2차측이 복귀 포트에 접속되고, 폐로 지령을 받아서 개방 동작함으로써 상기 폐로용 제어 밸브를 개방 동작시키는 폐로용 파일럿 밸브와, 1차측이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제1 파일럿실 및 교축부를 거쳐서 공급 포트에 접속되는 동시에, 2차측이 복귀 포트에 접속되고, 개로 지령을 받아서 개방 동작함으로써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를 개방 동작시키는 개로용 파일럿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개로용 제어 밸브의 제1 파일럿실 및 상기 개로용 파일럿 밸브의 1차측과 복귀 포트를 잇는 유로와 이 유로를 개폐하는 쇄정 밸브를 설치하고, 이 쇄정 밸브는 상기 폐로용 파일럿 밸브의 1차측에 접속되는 제1 파일럿실과 상기 개로용 파일럿 밸브의 1차측에 접속되는 제2 파일럿실과, 공급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파일럿실의 어느 것 보다 작은 수압면적을 갖고 상기 양 파일럿실과 밸브체를 거쳐서 대향하는 제3 파일럿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15. 제10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로용 파일럿 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쇄정 밸브의 제2 파일럿실이 저압으로 된 상태에서 이 쇄정 밸브가 개방 동작을 개시할 때의 그 제1 파일럿실의 압력을 폐로용 제어 밸브가 개방 동작을 개시할 때의 이 폐로용 제어 밸브의 제1 파일럿실의 압력 보다 높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에 의해 접촉자를 개로 및 폐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KR1019960038187A 1995-09-20 1996-09-04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KR100190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124795A JP3183120B2 (ja) 1995-09-20 1995-09-20 遮断器の流体圧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遮断器
JP95-241247 1995-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750A KR970017750A (ko) 1997-04-30
KR100190153B1 true KR100190153B1 (ko) 1999-06-01

Family

ID=1707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187A KR100190153B1 (ko) 1995-09-20 1996-09-04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50950A (ko)
JP (1) JP3183120B2 (ko)
KR (1) KR100190153B1 (ko)
CN (1) CN107732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3437B2 (ja) * 1998-09-17 2003-1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遮断器の流体圧駆動装置
JP4322399B2 (ja) * 2000-05-31 2009-08-26 株式会社東芝 液圧操作装置
JP3861834B2 (ja) * 2002-05-17 2006-12-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遮断器の流体圧駆動装置
JP3881314B2 (ja) * 2003-01-10 2007-02-14 株式会社日本Aeパワーシステムズ 開閉装置用油圧操作装置
JP2004247179A (ja) * 2003-02-14 2004-09-02 Hitachi Ltd 遮断器の流体圧駆動装置
CN100463093C (zh) * 2006-12-31 2009-02-18 中国西电电气股份有限公司 高压断路器操动机构用控制阀
DE102008004063A1 (de) * 2008-01-12 2009-07-16 Abb Technology Ag Hydraulischer Antrieb
KR101763451B1 (ko) * 2014-04-09 2017-08-01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아크열을 재이용하는 복합소호형 차단기
CN105003478A (zh) * 2015-06-30 2015-10-28 河南平高电气股份有限公司 控制阀及使用该控制阀的断路器液压操动机构
CN105719856B (zh) * 2015-12-15 2017-12-01 中国西电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弹簧操动机构用泄压控制系统及方法
CN106024442A (zh) * 2016-06-20 2016-10-12 山东泰开高压开关有限公司 一种特高压断路器用超大操作功的液压弹簧操动机构
CN108302223A (zh) * 2018-02-26 2018-07-20 天津海辰华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先导型流体分配器
EP4006938A1 (en) * 2020-11-25 2022-06-01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Monitor for switchgear or circuit break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56725A (de) * 1967-03-17 1968-07-31 Oerlikon Maschf Flüssigkeitsarmer Leistungsschalter
DE2063093C3 (de) * 1970-12-11 1976-01-0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Hochspannungsschalter
JPS598224A (ja) * 1982-07-06 1984-01-17 株式会社東芝 しや断器用液圧電磁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92096A (ja) 1997-04-04
US5750950A (en) 1998-05-12
CN1077326C (zh) 2002-01-02
CN1155744A (zh) 1997-07-30
KR970017750A (ko) 1997-04-30
JP3183120B2 (ja) 200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153B1 (ko)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CA1122880A (en) Hydraulic control valve unit
KR100344511B1 (ko) 내연기관용연료분사장치
RU2133889C1 (ru) Управляющий каскад для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х клапанов, регулируемый вручную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непрямого действия и пропорциональный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непрямого действия
US4590968A (en) Pilot valve operated pressure reducing valve
US6098647A (en) Load-holding brake valve
US66514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a valve arrangement forming part of a fuelling system
US4129141A (en) Scram valve
JP3250626B2 (ja) 二系統油圧機構のための供給回路
US4119016A (en) Hydraulic control device
US4471797A (en) Hydraulic circuit breaker reset device
RU2215223C2 (ru) 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го клапана
US5285643A (en) Hydraulic drive system for civil-engineering and construction machine
JPH06500383A (ja) 流量制御弁
US6173734B1 (en) Leak arresting mechanical flow control valve
CN111894948B (zh) 高油压设备保护装置及液压操动机构
JP3402024B2 (ja) ガス遮断器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流体圧駆動装置
KR100346091B1 (ko)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장치
CN215486908U (zh) 先导缓冲阀、先导控制回路及工程机械
US5450872A (en) Constant pressure valve and method
JPH02163458A (ja) 蓄圧式燃料噴射装置の安全弁
KR100263144B1 (ko) 유체 유동 분리기
JPH0419207Y2 (ko)
JPS5932724Y2 (ja) シリンダ制御装置
CA2065963C (en) Engine protector with non-override re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