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366B1 -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366B1
KR100189366B1 KR1019960016719A KR19960016719A KR100189366B1 KR 100189366 B1 KR100189366 B1 KR 100189366B1 KR 1019960016719 A KR1019960016719 A KR 1019960016719A KR 19960016719 A KR19960016719 A KR 19960016719A KR 100189366 B1 KR100189366 B1 KR 100189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eat
body panel
vehicle body
mounting structure
fi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200A (ko
Inventor
유지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16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9366B1/ko
Publication of KR970074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3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60N2/0152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with locking elements expanding inside or under the vehicle floor or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시트를 장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리어 시트가 차체 패널에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하기 위하여, 리어 시트(50)의 하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삽입부(52)와, 상기 삽입부(52)가 수용되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벽부에 박판 스프링(54)이 장착되어 있으며, 차체 패널(56)의 관통 구멍(58)에 끼워지는 상자 모양의 끼움부(60)로 구성되어, 조립 작업자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 구조
제1도의 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 장착 구조의 분리사시도,
제1도의 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 장착 구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생략 단면도,
제2도의 a)도는 본 발명에 따라 리어 시트가 차체 패널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생략 단면도,
제2도의 b)도는 본 발명에 따라 리어 시트가 차체 패널에서 탈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생략 단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 리어 시트가 차체 패널에 장착되기 이전의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리어 시트 52 : 삽입부
54 : 박판 스프링 56 : 차체 패널
60 : 끼움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시트를 장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시트가 차체 패널에 용이하게 조립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된 시트 중, 주로 승객이 앉는 리어 시트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 차체 패널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종래 자동차의 리어 시트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시트(1)의 하부면 앞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걸림 후크(2a, 2b)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걸림 후크(2a, 2b)와 대응되는 차체 패널(3)에는 각 걸림 후크(2a, 2b)에 상응하는 구멍(3a, 3b)이 형성되어, 자동차의 조립 라인에서 작업자가 상기 차체 패널(3)의 구멍(3a, 3b)에 상기 걸림 후크(2a, 2b)를 끼워 넣어서 리어 시트(1)를 차체 패널(3)에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리어 시트(1)가 차체 패널에 장착된 후, 리어 시트(1)가 차체 패널(3)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 후크(2a, 2b)는 가운데 부분이 절곡되어 있는 바, 작업자가 상기한 형태의 걸림 후크(2a, 2b)를 차체 패널(3)의 각 구멍(3a, 3b)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걸림 후크(2a, 2b)의 선단부를 상기 구멍(3a, 3b)에 끼워 넣은 다음, 걸림 후크(2a, 2b)의 절곡된 부분이 구멍(3a, 3b)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리어 시트(1)를 자동차의 앞으로 밀어내는 작업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차체 패널(3)의 구멍(3a, 3b)은 차체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어, 상기 구멍(3a, 3b)에 리어 시트(2)의 후크(2a, 2b)가 끼워 들어가고 난 상태에서 장시간 지나가게 되면, 상기 구멍(3a, 3b)을 통해 먼지 및 수분 등이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 공기가 오염되고 탑승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리어 시트 장착 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리어 시트를 차체 패널에 극히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자동차 실내에 먼지가 유입되지 않게 하여 실내 공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어 시트의 하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벽부에 박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으며,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끼워지는 상자 모양의 끼움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 구성에 의해, 리어 시트를 차체 패널에 장착시키거나 탈거시키기 위해서는 단지 상기 삽입부를 상기 끼움부의 공간에 밀어넣거나 잡아 당기면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어 시트 장착 구조는, 리어 시트(50)의 하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삽입부(52)와, 상기 삽입부(52)가 수용되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벽부에 박판 스프링(54)이 장착되어 있으며, 차체 패널(56)의 관통 구멍(58)에 끼워지는 상자 모양의 끼움부(6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삽입부(52)는 ㄷ 자 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강봉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부 시트(50)의 하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박판 스프링(54)의 하단부는 상기 끼움부(60)의 내측벽부에 뚫려진 고정 구멍(60a)에 끼워져 있으며, 그 상단부는 상기 차체 패널(56)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박판 스프링(54)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측방향으로 둔각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턱(54a)과, 상기 걸림턱(54a)이 형성된 후, 다시 하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형성된 돌출부(54b)가 갖추어져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54b)는 상기 끼움부(60)의 내측벽부에 뚫려진 개구부(60b)에 끼워지며, 상기 개구부(60b)는 상기 고정 구멍(60a)의 맞은 편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차체 패널(56)의 관통 구멍(58)에 끼워지는 상기 끼움부(6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플랜지(62)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의 양측에는 탄성력있는 후크(64)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끼움부(60)가 상기 관통 구멍(58)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후크(64)는 상기 관통 구멍(58)의 가장 자리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54a)에 걸리게 되고, 상기 플랜지(62)의 하부면은 상기 관통 구멍(58)의 주위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차체 패널(56)의 관통 구멍(58)은 상기 끼움부(60)의 플랜지(62)의 의해 밀폐되어 상기 관통 구멍(58)을 통해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먼지 등은 근본적으로 차폐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 구성에 의해, 상기 리어 시트(50)의 삽입부(52)는 다음과 같이 상기 끼움부(60)의 공간(s)에 삽입된 후 고정된다.
즉, 제2도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52)를 상기 끼움부(60)의 공간(s)에 끼우게 되면, 먼저 상기 삽입부(52)의 하단면이 상기 박판 스프링(54)의 상부면에 닿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52)가 더욱 밑으로 내려오게 되면, 상기 박판 스프링(54)의 하부가 휘어지게 되고, 상기 돌출부(54b)는 상기 개구부(60b)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52)가 완전히 상기 끼움부(60)내에 수용되면, 상기 돌출부(54b)는 상기 삽입부(52)의 수평봉(52a)과 양 수직봉(52b)의 사이로 들어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휘어진 상기 박판 스프링(54)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돌출부(54b)는 상기 개구부(60b)에 다시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리어 시트(50)의 삽입부(52)는 상기 박판 스프링(54)에 의해 상기 끼움부(60)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2도의 b)도에는 상기 리어 시트(50)가 상기 차체 패널(56)로부터 탈거되는 상태가 있는 바, 즉, 상기 삽입부(52)의 수평봉(52a)이 위로 올려지는 힘에 의해 상기 박판 스프링(54)이 휘어져 상기 돌출부(54b)가 상기 개구부(60b)에서 빠져 나오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술 구성에 의해, 리어 시트(50)를 차체 패널(56)에 장착시키거나 탈거시키기 위해서는 단지 상기 삽입부(52)를 상기 끼움부(60)의 공간(s)에 밀어넣거나 잡아 당기면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 장착 구조에 의하면 리어 시트를 차체 패널에 극히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자동차 실내에 먼지가 유입되지 않게 하여 실내 공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한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자동차의 리어 시트(50)를 차체 패널(56)에 장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시트(50)의 하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삽입부(52)와, 상기 삽입부(52)가 수용되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벽부에 박판 스프링(54)이 장착되어 있으며, 차체 패널(56)의 관통 구멍(58)에 끼워지는 상자 모양의 끼움부(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52)는 ㄷ자 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강봉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부 시트(50)의 하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스프링(54)의 하단부는 상기 끼움부(60)의 내측벽부에 뚫려진 고정 구멍(60a)에 끼워져 있고, 그 상단부는 상기 차체 패널(56)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박판 스프링(54)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측방향으로 둔각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턱(54a)과, 하측 방향으로 휘어져 형성된 돌출부(54b)가 갖추어져 있고, 상기 돌출부(54b)는 상기 끼움부(60)의 내측벽부에 뚫려진 개구부(60b)에 끼워지며, 상기 개구부(60b)는 상기 고정 구멍(60a)의 맞은 편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6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플랜지(62)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의 양측에는 탄성력있는 후크(6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 구조.
KR1019960016719A 1996-05-17 1996-05-17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구조 KR100189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719A KR100189366B1 (ko) 1996-05-17 1996-05-17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719A KR100189366B1 (ko) 1996-05-17 1996-05-17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200A KR970074200A (ko) 1997-12-10
KR100189366B1 true KR100189366B1 (ko) 1999-06-01

Family

ID=1945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719A KR100189366B1 (ko) 1996-05-17 1996-05-17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9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673A (ko) * 2000-12-13 2002-06-22 이계안 자동차용 착탈식 시트의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200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9366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구조
KR100189367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장착 구조
JPS6323827Y2 (ko)
KR200154505Y1 (ko) 버스 창문의 열림방지장치
KR200227503Y1 (ko) 공기조화기의필터교환장치
JP3227636B2 (ja) 引戸における戸車取付装置
JP4234641B2 (ja) 車両部品の取付構造
KR200147194Y1 (ko) 자동차의 릴레이 장착용 홀더
JPH0617615Y2 (ja) 自動車のラジエータ用目詰り防止装置
KR0181460B1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패널 고정구조
KR0118185Y1 (ko) 자동차용 재떨이 안내장치
JPH0343588Y2 (ko)
JPH10315776A (ja) スライドドアの組付け構造
KR100192763B1 (ko) 차량용 시트의 취부구조
JPH0986234A (ja)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930005354Y1 (ko) 자동차의 후드 케이블(hood cable)지지구
KR0132584Y1 (ko) 자동차의 보조매트 고정장치
KR100251846B1 (ko) 테일 게이트 글래스 장착용 구조물
JP3463829B2 (ja) バックドアの換気構造
KR910008232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방진장치
KR970005198Y1 (ko) 트럭용 리어 콤비램프의 취부구조
KR0133479Y1 (ko) 자동차의 소화기 보관구조
JPH09140607A (ja) 浴槽用排水栓
JPH0789381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レールの端部カバー
JPH072833U (ja) 換気扇等のグリル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