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853B1 -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 Google Patents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853B1
KR100188853B1 KR1019950071050A KR19950071050A KR100188853B1 KR 100188853 B1 KR100188853 B1 KR 100188853B1 KR 1019950071050 A KR1019950071050 A KR 1019950071050A KR 19950071050 A KR19950071050 A KR 19950071050A KR 100188853 B1 KR100188853 B1 KR 100188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power
drive gea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7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116A (ko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71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853B1/ko
Publication of KR97004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17Apparatus for continuous web copy material of plain paper, e.g. supply rolls; Roll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기어의 외주를 이동가능한 구조로 맞물리는 유성기어를 급지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동시켜 일측에 이격되게 설치된 급지롤러의 피동기어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도록 한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 동력클러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조는 구동기어(50)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급지롤러(42)가 설치된 회전축(40)에 설치된 피동기어(44)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50)에 맞물리면서 구동기어(50)를 회동하는 유성기어(60)와, 상기 구동기어축(52)에 축착되어 일단은 유성기어축(62)을 고정하고, 타단은 고리(72)가 형성되어 본체에 고정된 스프링(80)과 연결설치되는 아암(70)과, 상기 스프링(80)이 설치된 아암(70)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급지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아암(70)을 회전시켜 유성기어(60)를 피동기어(44)와 맞물리도록 하는 솔레노이드(9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구조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회전축 42 : 급지롤러
44 : 피동기어 46 : 축공
50 : 구동기어 52 : 구동기어축
60 : 유성기어 62 : 유성기어축
70 : 아암 72 : 고리
74 : 핀구멍 80 : 스프링
90 : 솔레노이드 92 : 돌출핀
94 : 연결핀
본 발명은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 동력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기어의 외주를 이동가능한 구조로 맞물리는 유성기어를 급지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동시켜 일측에 이격되게 설치된 급지롤러의 피동기어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도록 한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 동력클러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기기에는 일측에 카셋트가 설치되어 많은 양의 용지가 적재되고 적재된 용지를 자동으로 낱장씩 공급하기 위한 자동급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동급지장치는 구동기어와 동력클러치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에 설치된 반달형의 급지롤러에 의해 용지를 낱장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낱장으로 공급되는 용지는 복사기 또는 프린터의 출력속도에 따라 용지의 공급시기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지의 공급시기에 따라 동력을 끊어주고 전달하는 작동을 하는 장치가 동력클러치이다.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미설명부호 52는 구동기어축이다.
상기 동력클러치의 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롤러(42)가 설치되고 일측단부에 핀구멍이 형성된 회전축(40)과, 상기 핀구멍(44)이 형성된 회전축(40)단부로 회전축(4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 축관(32)이 끼워지고, 상기 삽입되는 쪽의 축관(32)의 일측 외주에 구동기어(50)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피동기어(30)와, 상기 일측에 핀삽입부(15)를 구비하고 외주 일측에 걸림턱(18)과 스프링고정공(17)을 다수개 설치한 원판(12)이 구비되며, 상기 원판에는 피동기어(30)와 마주보는 면으로 축관(32)의 외주와 동일한 지름을 가진 압착관(14)을 가진 동력전달풀리(10)와, 일측단은 수평절곡단부(24)가 형성되어 상기 동력전달풀리(10)의 스프링고정홈(17)에 고정되면서 압착관(14)의 외주와 소정의 압착력으로 감겨지면서 타단은 외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단부(22)를 형성하면서 축관(32)에 소정의 압착력으로 감겨진 클러치스프링(20)과, 힌지(72a)결합에 의해 회동되면서 일측단은 상기 클러치스프링(20)의 돌출단부(22)에 위치하고, 타단은 본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80a)에 연결된 스토퍼(70a)와, 상기 스토퍼(70a)를 해지시키는 솔레노이드(90a)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한 종래의 동력클러치구조의 작동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지신호에 관계없이 구동기어(50)는 회전하게 되고, 이와 맞물린 피동기어(30)는 클러치스프링(20)의 코일링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급지신호가 떨어지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90a)가 작동하여 클러치스프링(20)의 돌출단부(22)를 차단하고 있던 스토퍼(70a)를 전자력에 의해 흡인하게 되고, 상기 클러치스프링(70a)은 축관(32)과 소정의 압착력으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마찰력에 의해 축관(32)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스프링(20)은 코일링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여지게 되므로 내경이 작아져 압착관(14)의 외주를 조이게 된다. 이 작동에 의해 압착관(14)은 클러치스프링(20)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핀(16)결합된 회전축(40)을 회전시켜 회전축(40)에 설치된 급지롤러(42)가 회전하여 급지가 이루어진다.
한편, 급지가 이루어지면 상기 솔레노이드(90a)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스토퍼(70a)를 당기고 있는 압축스프링(80a)에 의해 회전하여 그 단부는 클러치스프링(20)의 돌출단부(22)를 차단하여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하며, 상기 클러치스프링(20)은 스토퍼(70a)에 의해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여 상기 피동기어(30)의 축관(32)의 외주에서 헛돌게 되므로 동력전달이 차단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의 동력클러치는 피동기어(30)의 축관(32)과, 동력전달풀리(10)의 압착관(14)과, 이들을 연계하는 클러치스프링(20)의 지름을 정확한 동력전달시점을 이루지 못하게 되면 예를 들어 클러치스프링(20)의 지름이 작을 경우에는 축관(32)과 클러치스프링(20)의 마찰력이 심하게 상기 스토퍼(70a)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구동기어(50)를 회전시키는 모터(도면에 미도시됨)의 작동에도 무리가 가게 되며, 또한 상기 클러치스프링(20)의 지름이 축관의 외경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90a)가 작동하여 스토퍼(70a)가 클러치스프링(20)의 돌출단부(22)를 해지시키더라도 클러치스프링(20)을 돌려줄 마찰력이 부족하게 되므로 상기 클러치스프링(20)은 피동기어(30)의 축관(32)과 슬립(Sleep)현상이 발생하여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는 폐단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클러치를 다수회 사용하다보면 상기 클러치스프링(20)과, 압착관(14) 그리고 축관(32)의 마찰면이 마손되어 헐거워지게 되어 헛돌게 됨에 따라 동력을 전달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시에도 상기 클러치스프링(20)의 지름에 따라 상기 클러치스프링(20)의 일단을 동력전달풀리(10)의 스프링고정홈(17)에 고정위치를 찾기 위한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친 후에 조립되게 되므로 조립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급지롤러가 설치된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동기어에 접면되어 회동되면서 급지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과 결합된 피동기어와 맞물리도록 하여 동력을 전달토록 함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정확하고 확실한 동력전달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기어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급지롤러가 설치된 회전축에 설치된 피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면서 구동기어를 회동하는 유성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축에 축착되어 일단은 유성기어축(62)을 고정하고, 타단은 고리가 형성되어 본체에 고정된 스프링과 연결설치되는 아암과, 상기 스프링이 설치된 아암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급지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아암을 회전시켜 유성기어를 피동기어와 맞물리도록 하는 솔레노이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딸느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지장치의 동력콜러치구조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회전축(40)상에는 반달형의 급지롤러(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40)의 일단에는 피동기어(44)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회전축(40)의 일측단부를 절개하여 반원구조를 형성하며, 이에 결합되는 피동기어(44)의 축공(46) 또한 상기 회전축(40)의 반달형 단부와 동일한 형태의 축공(46)이 형성되어 결합되어 있어 상기 피동기어(44)는 회전축(40)과 헛돌지 않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피동기어(44)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동기어(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기어(50)의 외주에는 유성기어(60)가 맞물려 있다.
상기 구동기어축(52)과 유성기어축(62)이 하나의 아암(70)으로 연결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70)의 일측단은 고리(72)가 형성되어 본체에 고정된 인장스프링(80)에 걸려 있다. 또한 상기 인장스프링(80)이 결합된 아암(70)의 일단은 급지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솔레노이드(90)의 돌출핀(92)과 연결핀(94)으로 연결되어 상기 아암(70)은 솔레노이드(90)에 의해 회동하게 되며 회동에 따라 유성기어(60)도 구동기어(50)의 외주를 공전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 및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지신호가 떨어지게 되면 솔레노이드(90)가 작동하여 돌출핀(92)이 흡인되게 되고, 이와 연결핀(94)으로 연결된 아암(70)의 일단이 하강하게 되고 타단은 반대로 작동하여 상기 유성기어(60)는 회전하여 피동기어(44)에 물리게 되므로 동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피동기어(44)와 일체로 회전축(40)이 회전되게 되며, 상기 회전축(40)상에 형성된 급지롤러(42)가 작동하여 급지가 이루어진다.
급지가 완료되면 상기 솔레노이드(90)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상기 본체에 연결된 인장스프링(80)의 탄력에 의해 상기 아암(70)은 상승하게 되고, 타단은 이와 반대로 하강하여 피동기어(44)와 맞물려있는 유성기어(60)를 하강시켜 구동기어(50)의 동력이 끊어지게 되므로 급지롤러(42)는 정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력의 전달을 구동기어의 외주를 공전하는 유성기어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확실한 동력 전달을 이룰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종래의 클러치 스프링과 피동기어의 축관의 사이에 발생되는 슬립현상이 방지되므로 확실한 동력전달을 이룰 수가 있고, 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정확한 동력전달을 이룰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불량률이 저하되며, 아울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구동기어(50)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급지롤러(42)가 설치된 회전축(40)에 설치된 피동기어(44)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50)에 맞물리면서 구동기어(50)를 회동하는 유성기어(60)와, 상기 구동기어축(52)에 축착되어 일단은 유성기어축(62)을 고정하고, 타단은 고리(72)가 형성되어 본체에 고정된 스프링(80)과 연결설치되는 아암(70)과, 상기 스프링(80)이 설치된 아암(70)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급지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아암(70)을 회전시켜 유성기어(60)를 피동기어(44)와 맞물리도록 하는 솔레노이드(9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KR1019950071050A 1995-12-31 1995-12-31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KR100188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71050A KR100188853B1 (ko) 1995-12-31 1995-12-31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71050A KR100188853B1 (ko) 1995-12-31 1995-12-31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116A KR970049116A (ko) 1997-07-29
KR100188853B1 true KR100188853B1 (ko) 1999-06-01

Family

ID=1944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71050A KR100188853B1 (ko) 1995-12-31 1995-12-31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8369B2 (en) 2008-09-08 2013-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reducing driving noise
KR101335990B1 (ko) 2008-09-08 201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8369B2 (en) 2008-09-08 2013-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reducing driving noise
KR101335990B1 (ko) 2008-09-08 201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US9042804B2 (en) 2008-09-08 2015-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reducing driving noi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116A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92107B2 (ja) トルクリミッタ
EP0627542A1 (en) Roll screen apparatus
JPS6367684B2 (ko)
KR100188853B1 (ko)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JP2911614B2 (ja) 回転制御装置及び回転制御装置を有する給紙装置
US4147070A (en) Automatic belt tightener
JP2744244B2 (ja) 記録装置
JPH0346272Y2 (ko)
KR100231884B1 (ko) 급지롤러의 일방향 동력전달장치
JPH04282031A (ja) 駆動力伝達装置
JPH0138341Y2 (ko)
JPH0348371B2 (ko)
KR0172150B1 (ko)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
JPH084945Y2 (ja) サイクルミシンにおける送りカムのオーバーラン防止装置
KR100214809B1 (ko) 팩시밀리의 급지롤러 동력전달장치
JPS59226337A (ja) フイルムの自動巻上げ装置
JPS588987Y2 (ja) 伝達機構
KR20050058936A (ko) 화상형성장치의 픽업장치
KR200214055Y1 (ko) 프린터의 피드롤러 구동 단속장치
KR900004301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릴구동용 클러치장치
JP2003113864A (ja) クラッチ装置
JPH0227217Y2 (ko)
JPH0428646Y2 (ko)
KR0120923Y1 (ko) 1모터 1로울러 팩시밀리 구동장치
JPH05338829A (ja) 原稿送出しローラの駆動伝達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