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990B1 - 구동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구동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990B1
KR101335990B1 KR1020080115859A KR20080115859A KR101335990B1 KR 101335990 B1 KR101335990 B1 KR 101335990B1 KR 1020080115859 A KR1020080115859 A KR 1020080115859A KR 20080115859 A KR20080115859 A KR 20080115859A KR 101335990 B1 KR101335990 B1 KR 10133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nit
plate
image forming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674A (ko
Inventor
김현호
엄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555,041 priority Critical patent/US8548369B2/en
Publication of KR2010002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674A/ko
Priority to US14/010,740 priority patent/US90428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8Driving control for rotary photosensitive medium, e.g. speed control, stop position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수동급지 시 구동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를 구비하며,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상기 본체의 일면을 개폐하며, 개방 시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 가능한 플레이트와; 정역회전 가능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로부터 동력을 수령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피동기어의 정역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접근 및 이격 이동 가능한 지지프레임를 포함하는 픽업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피동기어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피동기어와 상기 구동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이동된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접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동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A DRIVING NOIS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급지 시 구동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와,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 상기 인쇄매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급지카세트를 갖는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급지카세트에 의한 인쇄매체를 공급방식 외에 상기 본체의 일면을 개폐 가능한 커버를 개방하고, 상기 커버위에 인쇄매체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화상형성유닛으로 상기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소위 수동급지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상기 인쇄매체가 놓여지는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는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상에 놓여진 상기 인쇄매체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가 고정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픽업롤러를 향해 부딪히도록 탄성바이어스 된다.
그런데, 인쇄명령이 없는 경우에는 캠이 상기 탄성바이어스된 플레이트를 상 기 픽업롤러로부터 이격시키고, 인쇄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픽업롤러에 부딪히게 된다. 특히, 상기 픽업롤러와 상기 플레이트가 서로 밀착되어야 픽업성능이 높아지므로 통상 상기 플레이트는 비교적 강하게 탄성 바이어스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픽업롤러에 부딪힘으로써 구동소음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급지 시 구동소음을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상기 본체의 일면을 개폐하며, 개방 시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 가능한 플레이트와; 정역회전 가능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로부터 동력을 수령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피동기어의 정역회전에 연동하 여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접근 및 이격 이동 가능한 지지프레임를 포함하는 픽업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피동기어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피동기어와 상기 구동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이동된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접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 상의 상기 인쇄매체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플레이트에 있는 경우, 인쇄요청에 따라 상기 피동기어를 정회전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플레이트에 접근하고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인쇄매체를 픽업하도록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지기어와 상기 구동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피동기어에 단속적으로 전달하는 픽업클러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트 상의 상기 인쇄매체의 픽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이 상기 피동기어에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픽업클러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상기 인쇄매체가 없는 경우, 상기 피동기어를 역회전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원은 단일 구동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유닛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 를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롤러를 수용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상담지체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현상된 상기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유닛과; 상기 전사된 상기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카트리지 및 상기 전사유닛이 한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현상카트리지 및 상기 전사유닛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현상유닛 클러치와; 상기 정착유닛이 한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정착유닛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정착유닛 클러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부와; 상기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픽업유닛이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이동 시 상기 걸림부와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부와 걸림결합 되는 제1위치 및 상기 걸림부와 걸림해제 되는 제2위치 간을 회동 가능하며, 상기 걸림턱을 상기 제1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턱에 접촉 시 상기 걸림턱을 상기 제2위치로 회동시키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플레이트에 있는 경우, 인쇄요청에 따라 상기 피동기어를 정회전시켜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걸림해제 되도록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회전모멘트는 상기 픽업유닛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보다는 크고 상기 피동기어의 정회전에 의한 회전모멘트보다는 작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착탈을 위해 상기 본체의 일면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픽업유닛은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와 함께 개폐회동 가능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동급지 시 구동소음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수동급지에서부터 인쇄 및 배지까지의 전과정을 단일의 구동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수동급지 시 인쇄매체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수동 급지 시 동력을 단속하는 단속장치로서 작은 부피를 차지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 상기 본체(101)에 착탈 가능한 급지카세트(110);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106); 상기 본체(101)의 일면을 개폐하며 개방 시 인쇄매체를 적재할 수 있는 플레이트(151); 픽업유닛(200); 상기 화상형성유닛(106) 및 상기 픽업유닛(200)을 구동하는 구동원(도 6의 190); 및 상기 플레이트(151)로부터 이격 이동된 상기 픽업유닛(200)이 상기 플레이트(151)를 향해 접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기어(327)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각 롤러(102, 103, 104, 105, 107, 122, 123, 125, 130, 133, 135, 143, 145, 147, 149)의 회전방향은 도 2의 구동피니언(301)이 정회전(A)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 화상형성유닛(106)에 의한 인쇄를 위해, 상기 급지카세트(110)의 인쇄매체와 상기 플레이트(151)의 인쇄매체(P2) 중 어느 한 인쇄매체가 상기 화상형성유닛(106)으로 공급된다. 상기 플레이트(151)의 인쇄매체(P2)가 우선적으로 상기 화상형성유닛(106)으로 공급되고, 상기 플레이트(151)의 인쇄매체(P2)가 없는 경우 상기 급지카세트(110)의 인쇄매체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151) 상에 인쇄매체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도 6 내지 도 8의 163)가 상기 본체(10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지카세트(110)의 녹업플레이트(114)에 적재된 인쇄매체(P1)는 카세트 픽업롤러(103)에 의해 픽업되며, 이송롤러(102, 104)를 경유하여 레지롤러(105)까지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51)에 적재된 인쇄매체(P2)는 상기 픽업유닛(200)에 의해 상기 레지롤러(105)까지 이송된다.
상기 레지롤러(105)는 이송된 인쇄매체(P1, P2)의 선단을 정렬시킨 후, 상기 인쇄매체(P1, P2)를 상기 화상형성유닛(120)으로 이송한다.
상기 화상형성유닛(106)은 노광유닛(미도시), 현상카트리지(120); 상기 상담지체(123)에 대향 배치된 전사유닛(130) 및 정착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카트리지(120)는 상담지체(123); 대전롤러(122)및 현상롤러(123)를 수용하며, 현상제를 저장할 수 있다. 대전롤러(122)는 상기 상담지체(123)의 표면을 대전시키며, 상기 대전된 상담지체(123)의 표면은 노광유닛(미도시)에 의해 노광되어 소망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상기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현상롤러(125)는 상기 정전잠상을 상기 현상카트리지(120)에 저장된 상기 현상제로 현상하며, 상기 전사유닛(130)은 상기 현상된 상기 상담지체(123) 표면 위의 상기 현상제를 전기적 인력으로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시킨다.
상기 정착유닛(140)은 히트롤러(145) 및 프레스롤러(143)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된 상기 현상제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킨다.
상기 정착유닛(140)을 통과함으로써 인쇄 완료된 상기 인쇄매체는 배출롤러(153, 155, 156, 157)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상기 구동원(도 6의 190)으로서 단일의 구동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단일의 구동모터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로 동력이 전달 과정을 도시한다.
급지카세트(110) 또는 플레이트(151) 상의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것에서부터 인쇄완료 후 배출되기 까지의 전과정이 상기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축에 연결된 구동피니언(301)이 정회전 하는 경우에 이루어지도록 마련된다.
카세트픽업롤러(103)는 카세트 픽업롤러기어(306)에 동축으로 연결된다. 상기 카세트 픽업롤러기어(306)는 구동피니언(301)에 맞물린 기어(302), 현상유닛 구동기어(310) 및 3개의 기어(303, 304, 305)에 의해서, 상기 구동피니언(30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이송롤러(102)는 이송롤러 기어(307)에 동축으로 연결된다. 구동피니언(301)으로부터 이송롤러 기어(307)까지의 동력전달은, 구동피니언(301) -> 기어(302) -> 현상유닛 구동기어(310) -> 기어(303) -> 레지롤러 전자클러치(330) -> 기어(313, 309, 308) -> 이송롤러 기어(307)의 순서로 이루어 진다.
레지롤러(105)는 상기 레지롤러 전자클러치(330)와 동축으로 연결된다. 레지롤러 전자클러치(330)까지의 동력전달은 상술한 바와 같다.
레지롤러 전자클러치(330)는 후술할 전원공급부(16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ON되는 경우) 상기 구동피니언(301)의 동력을 상기 레지롤러(105)에 전달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OFF되는 경우) 상기 구동피니언(301)의 동력을 상기 레지롤러(105)에 전달하지 않는다. 상기 레지롤러(105)로 동력전달을 차단하여 상기 레지롤러(105)가 정지상태에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송롤러(102, 104) 또는 상기 픽업유닛(200)에 의해 이송된 인쇄매체의 선단이 상기 레지롤러(105)에 부딪혀서 상기 인쇄매체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현상카트리지(120) 및 전사유닛(130)으로의 동력전달은 상기 현상유닛 구동기어(310)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즉, 현상유닛 구동기어(310)는 구동피니 언(301)으로부터 기어(302)를 경유하여 동력을 수령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 구동기어(310)와 분배기어(355) 사이에는 현상유닛 클러치(353)가 배치된다.
상기 현상유닛 구동기어(310)는 상기 분배기어(355) 측으로 돌출된 보스(312)를 가지며, 상기 분배기어(355)는 상기 현상유닛 구동기어(310) 측으로 돌출된 보스(355a)를 갖는다. 상기 현상카트리지(120) 및 상기 전사유닛(130)은 상기 분배기어(355)에 기어(미도시)를 통해서 치합된다.
상기 현상유닛 클러치(353)는 현상유닛 구동기어(310) 및 상기 분배기어(355)의 보스(312, 355a)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스프링 클러치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피니언(301)이 정회전(A)함에 따라 상기 현상유닛 구동기어(310)도 정회전 한다. 이 경우, 상기 현상유닛 클러치(353)는 상기 현상유닛 구동기어(310) 및 상기 분배기어(355)의 보스(312, 355a)의 외주면을 동시에 압착함으로써 상기 현상유닛 구동기어(310)으로부터 상기 분배기어(355)측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반대로, 상기 구동피니언(301)이 역회전 하는 경우, 상기 현상유닛 구동기어(310)도 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현상유닛 클러치(353)는 상기 분배기어(355)의 보스(355a)의 외주면을 헛돌게 됨으로써 상기 현상유닛 구동기어(310)의 동력이 상기 분배기어(355)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구동피니언(301)이 정회전(A)하는 경우에만 상기 현상카트리지(120)내의 상담지체(123), 대전롤러(122), 현상롤러(125)와; 상기 전사유닛(130)이 도 1에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피니언(301)이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현상유닛 클러치(353)로서 스프링클러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전자클러치, 허브클러치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클러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정착유닛(140)은 정착유닛 구동기어(340)를 통해서 상기 구동피니언(301)의 동력을 수령한다. 상기 구동피니언(301)에 치합된 기어(333)를 경유하여 상기 정착유닛 구동기어(340)로 동력이 전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착유닛 구동기어(340)의 동력은 다시 분배기어(345)로 전달되며, 상기 정착유닛 구동기어(340) 및 상기 분배기어(345) 사이에는 커플러(343)가 배치된다. 또한, 정착유닛 구동기어(340)는 상기 커플러(343)측으로 돌출된 돌출된 보스(340a)를 갖는다. 상기 상기 분배기어(345)는 상기 커플러(343)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커플러(343)에 대응하는 형상이 그 내부에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정착유닛(140)의 히트롤러(145) 및 프레스롤러(143)는 상기 분배기어(345)에 기어 연결됨으로써 회전 구동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정착유닛 구동기어(340)의 회전방향 즉, 상기 구동피니언(30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분배기어(345), 즉 상기 정착유닛(140)으로 상기 동력을 단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정착유닛 클러치(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착유닛 클러치(360)는 상기 정착유닛 구동기어(340)의 보스(340a)의 상부에 형성된 제1클러치부(361)와; 상기 커플러(343)의 상기 정착유닛 구동기어(340)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제2클러치부(363)를 포함한다. 정착유닛 구동기어(340)가 정회전 하는 경우, 즉, 상기 구동피니언(301)이 정회전(A)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클러치부(361) 및 상기 제2클러치부(363)가 서로 치합되어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플러(343) 및 상기 분배기어(345)를 통해 상기 정착유닛(140)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착유닛(140)의 히트롤러(145) 및 프레스롤러(143)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반면, 정착유닛 구동기어(340)가 역회전 하는 경우, 즉, 상기 구동피니언(301)이 역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클러치부(361) 및 상기 제2클러치부(363)가 서로 헛돌게 됨으로써 상기 커플러(343) 및 상기 분배기어(345)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정착유닛(140)은 도 1에 도시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역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배출롤러(153, 155, 156, 157)로의 동력전달은 구동피니언(301), 기어(333, 335, 336, 337)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롤러(155)는 기어(33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회전하고 그에 접촉하는 다른 배출롤러(153)는 종동 회전한다. 또한, 배출롤러(15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337)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구동회전하며, 그에 접촉하는 다른 배출롤러(156)는 종동 회전한다.
한편, 상기 픽업유닛(200)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유닛회전축(201); 상기 회전축(201)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피니언(30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피동기어(210); 상기 피동기어(210)로부터 동력을 수령하여 상기 플레이트(151)에 있는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제1 및 제2픽업롤러(220, 230); 상기 제1 및 제2픽업롤러(220, 2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피동기어(210)의 정역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플레이트(151)에 접근 및 이격 이동 가능한 지지프레임(203)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01)은 본체(1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에 마련된, 일측이 개방된 회전축 지지부(101a)에 삽입되며, 삽입 후 상기 회전축(20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101b)가 상기 개방된 부분을 폐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픽업유닛(200)을 용이하게 상기 본체(101)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픽업롤러(220)는 상기 회전축(21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제2픽업롤러(230)는 상기 회전축(210)에 나란한 롤러축(204)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축(204)은 상기 지지프레임(20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3) 내에는 상기 회전축(201)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픽업기어(205)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축(204)에는 제2픽업기어(207)가 설치된다. 상기 제1픽업기어(205)와 상기 제2픽업기어(207) 사이에는 기어(206)가 설치되어 상기 제1픽업기어(205)의 회전력을 상기 제2픽업기어(207)로 전달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픽업롤러(220) 및 상기 제2픽업롤러(23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회전축(201)에는 상기 회전축(201)과 일체로 회전하는 디스크(202)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202)와 상기 지지프레임(203) 사이에는 토션스프링(208)이 설치된다. 상기 디스크(202)가 정회전(B)하는 경우, 상기 토션스프 링(208)에 의해 회전력이 상기 지지프레임(203)으로 전달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3)도 정회전(D)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03)이 상기 플레이트(15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상기 플레이트(151)로 접근하는 방향(D)으로 회동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3)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2픽업롤러(230)도 상기 플레이트(151)로 접근하여 상기 플레이트(151) 상의 인쇄매체를 픽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토션스프링(208)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203)이 계속 상기 접근방향(D)으로 회동하는 힘을 받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151)에과도하게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203)이 상기 플레이트(151)로부터 반발력을 받는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208)이 상기 회전축(201) 내에서 헛돌게 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3)으로 상기 회전축(201)의 회전모멘트가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회전축(201)이 역회전(C)하는 경우,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션스프링(208)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203)도 함께 상기 플레이트(1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E)으로 회동한다.
여기서, 상기 토션스프링(208)에 의한 동력전달은 일례에 불과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피니언(301)으로부터 상기 픽업유닛(200)으로의 동력전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피니언(301)에서, 기어(302), 현상유닛 구동기어(310), 기어(303), 레지롤러 전자클러치(330) 및 기어(313, 309, 308, 315, 316, 317, 318)의 순서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픽업클러치(370)까지 동력이 전달된다. 다 시 픽업클러치(370)로부터 본체(101) 의 뒷면에 설치된 기어(324, 326, 328), 기어(323, 325) 및 상기 저지기어(327)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피동기어(210)까지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픽업클러치(370)는 상기 구동피니언(301)으로부터 상기 피동기어(210)까지의 동력전달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피니언(301)의 동력을 상기 피동기어(210)로 단속적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픽업클러치(370)는 전자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피니언(301)이 정회전(A)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동기어(210) 및 픽업유닛 회전축(201)은 상기 구동피니언(301)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도 3의 B)으로, 즉 정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픽업유닛(200)의 관점에서 정회전은 상기 플레이트(151)상의 인쇄매체를 상기 화상형성유닛(106)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구동피니언(301)이 정회전(A)하는 경우, 상기 픽업유닛(200)의 피동기어(210), 회전축(201) 및 제1 및 제2픽업롤러(220, 230)도 모두 정회전(도 3의 B)하고 상기 픽업유닛(200)의 상기 지지프레임(201)은 상기 플레이트(151)로 접근하는 방향(D)으로 회동한다.
반면, 상기 구동피니언(301)이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것과 반대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3)은 상기 플레이트(1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E)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저지기어(327)는 상기 플레이트(151)로부터 이격 회동된 상기 지지프레임(203)이 상기 플레이트(151)로 접근 회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보다 상세 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구동피니언(301)이 정지하더라도 상기 저지기어(327)가 상기 구동피니언(301)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325)에 치합되어 있는 바, 상기 저지기어(327)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지기어(327)에 치합된 상기 피동기어(210)의 회전도 저지되고 상기 픽업유닛(200)의 회전도 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클러치(370), 상기 레지롤러 전자클러치(330) 및 상기 구동원(19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 상기 플레이트(151)상의 인쇄매체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163); 상기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인쇄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원(190)의 상기 구동피니언(301)이 정회전(A)하도록 상기 구동원(19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서(163)의 감지결과 상기 플레이트(151) 상에 인쇄매체가 있는 경우, 상기 픽업클러치(37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픽업유닛(200)이 정회전(도 1 및 도 3의 B)하여 상기 플레이트(151) 상의 인쇄매체가 픽업되어 상기 화상형성유닛(106)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픽업유닛(200)에 의한 픽업 후, 상기 레지롤러 전자클러치(3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레지롤러(도 1의 105)는 정지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인쇄매체가 정 렬된다. 상기 인쇄매체 정렬 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레지롤러 전자클러치(33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정렬된 인쇄매체가 상기 화상형성유닛(106)로 이송된다.
상기 화상형성유닛(106)에 의한 화상형성 후, 상기 배출롤러(153, 155, 156, 157)를 통해 상기 인쇄매체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인쇄완료 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구동피니언(301)이 역회전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원(190)에 반대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구동피니언(301)을 역회전 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피니언(301)이 역회전 함에 따라 상기 피동기어(210)가 역회전(도 3의 C)하며 상기 지지프레임(203)은 상기 플레이트(1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E)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픽업유닛(200)과 상기 플레이트(151) 사이에 인쇄매체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공간이 마련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인쇄완료 후 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투입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즉, 상기 구동피니언(301)이 역회전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센서(163)의 감지결과 상기 플레이트(151)상에 인쇄매체가 없는 경우에, 상기 투입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피니언(301)이 역회전 하더라도 상기 현상유닛 클러치(353) 및 상기 정착유닛 클러치(360)에 의해 상기 화상형성유닛(106)으로는 동력전달이 차단된 다. 이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유닛(106)을 구성하는 상기 현상롤러(125) 또는 상기 상담지체(123)의 역회전으로 말미암아 현상제가 누설되거나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a)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 외에도 걸림부(171) 및 걸림턱(1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73)은 본체(101)에 설치된 힌지축(174)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상기 걸림턱(173)은 상기 힌지축(174)을 중심으로 상기 걸림부(171)와 걸림결합 되는 제1위치(F)와; 상기 걸림부(171)와의 상기 걸림결합이 해제 가능한 제2위치(H)간을 회동한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100a)는 상기 걸림턱(173)을 상기 제1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5)는 상기 힌지축(174)에 설치된 토션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7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턱(173)에 가해지는 회전모멘트는 상기 픽업유닛(200)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보다는 크고, 상기 피동기어(210)의 정회전(B)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203)이 받는 회전모멘트 보다는 작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턱(173)과 상기 걸림부(171)가 걸림결합을 유지하되, 상기 피동기어(210)가 정회전(B)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도 9는 플레이트(151) 상의 인쇄매체를 픽업하기 위해 상기 피동기어(210)가 정회전(B)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03)이 상기 플레이트(151) 측으로 접근 회동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걸림부(171)는 상기 지지프레임(203)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71)는, 상기 지지프레임(203)이 상기 플레이트(151)로부터 이격되는 이격방향(E)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걸림턱(173)을 상기 제2위치(H)로 회동시키는 상부 경사면(171a)과, 상기 지지프레임(203)이 상기 플레이트(151)로 접근하는 접근방향(D)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걸림턱(173)을 상기 제2위치(H)로 회동시키는 하부 경사면(171b)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매체의 인쇄완료 후 또는 상기 센서(163)에 의해 인쇄매체가 없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피동기어(21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역회전(C)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3)이 상기 이격방향(E)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3)에 설치된 상기 걸림부(171)도 상기 이격방향(E)으로 회동하고 상기 걸림부(171)의 상기 상부 경사면(171a)이 상기 걸림턱(173)에 접촉하면서 상기 걸림턱(173)은 상기 제2위치(H)로 회동한다. 상기 걸림턱(173)과 상기 걸림부(171) 간의 접촉이 해제되는 순간 상기 걸림턱(173)은 상기 탄성부재(175)에 의해 상기 제1위치(F)로 회동하게 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71)가 상기 걸림턱(173)에 걸림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203)이 상기 접근방향(D)으로 회동하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저지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71)가 상기 걸림턱(173)에 결림결합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피동기어(210)가 정회전(도 9의 B)하면, 상기 지지프레 임(203)이 상기 접근방향(D)으로 회동하는 회전모멘트를 받게 되어 상기 걸림부(171)의 상기 하부 경사면(171b)이 상기 걸림턱(173)을 밀어내면서 상기 걸림턱(173)의 상기 제2위치(H)로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171)가 상기 걸림턱(17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b)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유닛(200a)이 커버(112)에 설치된다.
상기 픽업유닛(200a)의 상기 피동기어(210)는 상기 커버(112)가 폐쇄회동되면 상기 저지기어(도 2의 327)에 치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에서는 편의상 상기 저지기어(도 2의 327) 및 동력전달을 위한 기어들은 도시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픽업유닛(200a)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그것(200)과 동일하다. 상기 픽업유닛(200a)의 회전축(201)의 일단은 상기 커버(112)의 내측에 지지되며, 상기 픽업유닛(200a)의 상기 지지프레임(203)과 상기 커버(112)는 서로 코일스프링(114)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114)은 상기 픽업유닛(200a)의 상기 지지프레임(203)과 상기 플레이트(151) 사이에 인쇄매체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공간(K)이 존재하도록 상기 픽업유닛(200a)을 탄성바이어스 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114)의 탄성력은 상기 피동기어(210)가 정회전하여 상기 픽업유닛(200a)이 정회전하면 상기 지지프레임(203)이 상기 플레이트(151)에 접근회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일단 상기 픽업유닛(200a)이 상기 플레이트(151)에 접근회동 한 이상 상기 피동기어(210)가 역회전하기 전까지는 상기 코일스프링(114)의 탄성력만으로는 상기 지지프레임(203)이 상기 플레이 트(151)로부터 이격될 수 없다. 상기 피동기어(210)가 역회전하는 경우 상기 픽업유닛(200a)은, 상기 코일스프링(11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51)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격회동 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114)은 상기 이격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제1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의 경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픽업유닛(200)이 상기 본체(101)에 설치되는 반면,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픽업유닛(200a)이 상기 커버(112)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커버(112)는 상기 현상카트리지(120)의 착탈을 위해 상기 화상형성장치(100b)의 전면(前面)을 개폐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현상카트리지(120)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서 상기 커버(11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112)는 본체(10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플레이트(153)는 상기 커버(1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112)에는 상기 플레이트(153)가 접힐 때 상기 플레이트(153)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3)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수동급지를 원할 경우, 상기 커버(112)가 상기 본체(101)의 전면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153)를 상기 커버(112)에 대해 하향 회동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53)에 상기 인쇄매체를 적재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단일의 구동모터를 전체 화상형성장치(100)를 구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픽업유닛(200)만을 구동하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a)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픽업클러치(370) 대신에 픽업유닛 동력단속장치(400)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동력단속장치(400)의 선기어(430), 지지기어(440) 및 링기어(450)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3의 M-M선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픽업유닛 동력단속장치(400)는 도 13, 도 14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구동부(410), 레버(420), 선기어(430), 지지기어(440), 링기어(450)를 포함한다.
링기어(450)는 도 1에 도시된 기어(315)에 맞물려서 상기 구동원(도 6의 190)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수령한다.
링기어(450)는, 도 14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상기 기어(315)와 맞물리는 링기어 외주치열(451)을 가지며, 그 내부에도 내주치열이 형성되어 후술할 유성기어(463, 465)와 치합된다.
지지기어(440)는, 도 14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성기어(463, 46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터드(44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기어(440)의 외주면에는 상기 기어(323)에 치합되는 치열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력을 상기 픽업유닛(200)의 피동기어(210)로 전달 가능하다. 상기 스터드(443)는 상기 지지기어(440)의 내부에 상기 유성기어(463, 465)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기어(440) 내의 내부공간(S)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선기어(430), 상기 지지기어(440) 및 상기 링기어(450)를 합친 두께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mm가 된다. 따라서, 상기 픽업유닛 동력단속유닛(400)이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서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기어(440)는 상기 링기어(450) 측으로 돌출된 링기어 보스(445)를 가지며, 링기어 보스(445)에 상기 링기어(45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지지기어(440)는 상기 선기어(430) 방향으로 돌출된 선기어 보스(441)를 가지며, 상기 선기어 보스(441)에는 상기 선기어(430)가 삽입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선기어(430) 및 상기 링기어(450)는 상기 지지기어(4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링기어보스(445) 및 상기 선기어보스(441)는 상기 지지기어(440)의 회전중심축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선기어(430), 상기 지지기어(440) 및 상기 링기어(340)는 동일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선기어(430)는 상기 선기어보스(441)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432)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432)의 외주면에는 선기어치열(435)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32)는, 상기 선기어보스(441)에 삽입되는 때, 상기 지지기어(440)의 내부공간(S)에 수용되며, 상기 한 쌍의 유성기어(463, 465)들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432)의 외주면에 형성된 선기어치열(435)이 상기 한 쌍의 유성기어(463, 465)에 치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선기어(43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레버(420)와 접촉 가능한 레버접촉치열(433)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420)는, 도 13,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40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레버(420)의 단부에는 상기 레버접촉치열(433)과 맞물리는 돌기(423)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420)는, 상기 돌기(423)와 상기 레버접촉치열(433)이 서로 맞물리는 제1위치(도 16에 도시된 레버(420) 위치)와; 상기 돌기(423)와 상기 레버접촉치열(433)간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제2위치(도 15에 도시된 레버(420)의 위치)간을 회동 가능하다.
즉,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1위치 위치하는 경우 상기 돌기(423)와 상기 레버접촉치열(433)이 맞물려서 상기 선기어(430)의 자유회전이 저지되고,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2위치 위치하는 경우 상기 돌기(423)와 상기 레버접촉치열(433)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선기어(430)의 자유회전이 가능해 진다.
여기서, 상기 레버(420)는 회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간을 이동할 수 있는 한, 반드시 회전이동이 아닌 슬라이딩 이동과 같이 다른 방식의 이동 메카니즘이 채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레버구동부(410)는 솔레노이드(41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레버(420)를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간을 이동시킬 수 있는 공지된 다른 구동부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410)는 상기 레버(420)를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간을 회동 하도록 상기 레버(420)를 구동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픽업유닛 동력단속장치(400)는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중 어느 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버(420)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도 17의 4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의 구성을 갖는 동력단속장치(400)의 동력단속과정을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a)는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화상형성유닛(106)으로 공급할 필요가 없는 경우, 즉 상기 픽업유닛(200)을 구동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4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원공급부(160a)를 제어한다. 상기 솔레노이드(410)가 상기 레버(420)에 외력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470)의 탄성력(N)에 의해 상기 레버(420)는 제2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선기어(430)가 자유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상기 선기어(430) 및 상기 링기어(450)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지지기어(440)는 상기 픽업유닛(200)에 기어(323, 325, 327)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픽업유닛(200)에 의한 부하 때문에 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픽업유닛(200)으로 상기 구동원(도 6의 190)의 구동력이 상기 픽업유닛(200)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선기어(430)의 자유회전 가능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력이 상기 링기어(450)로부터 상기 지지기어(440)로 전달되는 과정을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상기 선기어(430) 및 상기 링기어(450)가 상기 지지기어(440)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참고로, 상기 링기어(450)는 점선 으로 도시하기로 한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기어(450)는 기어(도 15의 315)로부터 동력을 수령한다. 상기 구동피니언(301)이 정회전 하는 경우, 상기 링기어(450)는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L)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선기어(430)가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 즉,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링기어(4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기어(450)의 상기 내주치열(452)과 맞물려 있는 상기 유성기어(463, 465)가 상기 스터드(443)를 중심으로 자전한다.
상기 유성기어(463, 465)가 자전함에 따라, 상기 유성기어(463, 465)에 치합된 상기 선기어(430)의 상기 돌출부(432)가 회전하여 상기 선기어(430)도 함께 회전한다.
반면,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기어(430)가 자유회전이 저지된 상태에 있는 경우, 즉,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링기어(450)가 상기 시계방향(L)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유성기어(463, 465)가 자전하지 않고 상기 선기어(430)의 상기 돌출부(432)를 중심으로 공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성기어(463, 465)가 설치된 상기 지지기어(44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링기어(450)의 구동력이 상기 지지기어(440)로 전달된다.
한편, 인쇄요청 시, 상기 픽업유닛(200)을 구동하여 인쇄매체를 픽업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원(도 6 의 190)의 구동력이 상기 픽업유닛(200)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410)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솔레노이드(410)를 제어하여, 상기 레버(420)가 상기 선기어(430)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상기 레버(420)를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부(160a)로 하여금 상기 솔레노이드(410)에 전원을 공급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410)는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레버(420)의 타단을 J방향으로 당겨 상기 레버(420)의 돌기(423)를 상기 선기어(430)의 레버접촉치열(433)에 맞물리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선기어(430)의 자유회전이 저지된다.
상기 선기어(430)의 자유회전이 저지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기어(45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저지기어(440)도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원(도 6의 190)의 구동력이 상기 픽업유닛(200)에 전달되고 상기 픽업유닛(200)이 상기 접근방향(D)로 회동하게 되어 인쇄매체를 픽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420)의 돌기(423)와 상기 선기어(430)의 상기 레버접촉치열(433) 사이에 원활한 구동 단속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건식>: θ2 ≤ θ1
여기서, 상기 레버(420)의 힌지축(401)의 중심점에서 상기 레버접촉치열(433)의 단부를 연결한 수평선(L4)과 상기 선기어(430)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레버접촉치열(433)의 상기 단부까지 연결한 직교선(L1)은 서로 직교한다.
여기서, θ1은 상기 직교선(L1)과 상기 레버접촉치열(433)에서 상기 돌기(423)와 접촉되는 접촉면의 제1연장선(L2) 사이의 사잇각이다. θ1은 0도에서 45도사이의 값일 수 있다.
그리고, θ2는 상기 제1연장선(L2)과 상기 돌기(423)에서 상기 레버접촉치열(433)과 접촉되는 접촉면의 제2연장선(L3) 사이의 사잇각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측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클러치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클러치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블록도,
도 7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원이 정회전하는 때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8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원이 역회전 하는 때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화상형성장치의 구동원이 역회전 하는 때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현상카트리지 착탈용 커버를 닫고 플레이트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도 13의 화상형성장치의 동력단속유닛의 동력단속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
도 17은 도 13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18은 도 13의 확대 평면도,
도 19a는 도 13의 선기어가 자유회전 가능한 상태에서의 동력전달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9b는 도 13의 선기어의 자유회전이 저지된 상태에서의 동력전달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3의 M-M 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a: 화상형성장치 101: 본체
151: 플레이트 105: 레지롤러
106: 화상형성유닛 120: 현상카트리지
130: 전사유닛 140: 정착유닛
163: 센서 171: 걸림부
171a: 상부경사면 171b: 하부경사면
173: 걸림턱 174: 힌지축
175: 탄성부재
200: 픽업유닛 201: 픽업유닛 회전축
203: 지지프레임 210: 피동기어
220: 제1픽업롤러 230: 제2픽업롤러
301: 구동피니언 310: 현상유닛 구동기어
327: 저지기어 330: 레지롤러 전자클러치
340: 정착유닛 구동기어 353: 현상유닛 클러치
360: 정착유닛 클러치 370: 픽업클러치
327: 저지기어 400: 픽업유닛 동력단속유닛
410: 레버구동부 420: 레버
430: 선기어 432: 돌출부
435: 선기어치열 433: 레버접촉치열
440: 지지기어 443: 스터드
441: 선기어보스 445: 링기어보스
450: 링기어 451: 링기어 외측치열
452: 내주치열 463, 465: 유성기어

Claims (22)

  1. 본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상기 본체의 일면을 개폐하며, 개방 시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 가능한 플레이트와;
    정역회전 가능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로부터 동력을 수령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피동기어의 정역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접근 및 이격 이동 가능한 지지프레임를 포함하는 픽업유닛과;
    상기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피동기어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피동기어와 상기 구동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이동된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접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의 상기 인쇄매체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플레이트에 있는 경우, 인쇄요청에 따라 상기 피동기어를 정회전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플레이트에 접근하고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인쇄매체를 픽업하도록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기어와 상기 구동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피동기어에 단속적으로 전달하는 픽업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트 상의 상기 인쇄매체의 픽업이 완료된 경우,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이 상기 피동기어에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픽업클러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상기 인쇄매체가 없는 경우, 상기 피동기어를 역회전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단일 구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롤러를 수용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상담지체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현상된 상기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유닛과;
    상기 전사된 상기 현상제를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 및 상기 전사유닛이 한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현상카트리지 및 상기 전사유닛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현상유닛 클러치와;
    상기 정착유닛이 한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정착유닛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정착유닛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부와;
    상기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픽업유닛이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이동 시 상기 걸림부와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부와 걸림결합 되는 제1위치 및 상기 걸림부와 걸림해제 되는 제2위치 간을 회동 가능하며,
    상기 걸림턱을 상기 제1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턱에 접촉 시 상기 걸림턱을 상기 제2위치로 회동시키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플레이트에 있는 경우, 인쇄요청에 따라 상기 피동기어를 정회전시켜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걸림해제 되도록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회전모멘트는 상기 픽업유닛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보다는 크고 상기 피동기어의 정회전에 의한 회전모멘트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착탈을 위해 상기 본체의 일면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픽업유닛은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와 함께 개폐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기어와 상기 구동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픽업유닛으로 단속적으로 전달하는 픽업유닛 동력단속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유닛 동력단속유닛은,
    상기 구동원의 상기 구동력을 수령하여 정역회전 가능한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대향 배치된 선기어와;
    상기 링기어 및 상기 선기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링기어의 회전중심축을 따라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링기어를 지지하는 링기어보스 및 상기 회전중심축을 따라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선기어를 지지하는 선기어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유닛의 상기 피동기어로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는 지지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어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유성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기어는 상기 선기어보스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는, 상기 선기어보스에 삽입되는 때,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 가능한 선기어치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는 상기 링기어보스에 삽입되는 때,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 가능하도록 그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치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기어의 자유회전을 허락 및 저지하도록 이동 가능한 레버와;
    상기 레버를 구동하는 레버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인쇄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레버가 상기 선기어의 자유회전을 저지하도록 상기 레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의 픽업이 필요 없는 경우, 상기 레버가 상기 선기어의 자유회전을 허락하도록 상기 레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115859A 2008-09-08 2008-11-20 구동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KR101335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55,041 US8548369B2 (en) 2008-09-08 2009-09-08 Image forming apparatus reducing driving noise
US14/010,740 US9042804B2 (en) 2008-09-08 2013-08-27 Image forming apparatus reducing driving no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8462 2008-09-08
KR1020080088462 2008-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674A KR20100029674A (ko) 2010-03-17
KR101335990B1 true KR101335990B1 (ko) 2013-12-04

Family

ID=4217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859A KR101335990B1 (ko) 2008-09-08 2008-11-20 구동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9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0475A (ja) * 1993-02-26 1994-09-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882002A (en) 1995-09-12 1999-03-16 Fuji Xerox Co., Ltd. Paper feeding device
KR100188853B1 (ko) 1995-12-31 1999-06-01 유기범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KR20050091847A (ko)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프릭스 화상복합기의 동력단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0475A (ja) * 1993-02-26 1994-09-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882002A (en) 1995-09-12 1999-03-16 Fuji Xerox Co., Ltd. Paper feeding device
KR100188853B1 (ko) 1995-12-31 1999-06-01 유기범 사무기기의 자동급지장치의 동력클러치
KR20050091847A (ko)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프릭스 화상복합기의 동력단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674A (ko)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093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gear arrangement for resist roller and cover
US7689146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9448505B2 (en) Developing cartridge
US10996617B2 (en) Developing cartridge having a coupling member and a rotatable lever with a contact portion capable of moving the coupling member
KR102459128B1 (ko) 카트리지
TWI509373B (zh) 處理匣、電子照相成像設備、和電子照相光敏鼓單元
US7971872B2 (en) Drive joint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175283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Conveyance Apparatus for Improving Jam-Handling Capability
BR122018006692B1 (pt) Recipiente de suprimento de revelador e sistema de suprimento de revelador
KR20110037302A (ko) 화상형성장치
KR101369315B1 (ko) 화상형성장치
EP192599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transmission unit thereof
JP5832154B2 (ja) 画像形成装置
US90428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reducing driving noise
KR101335990B1 (ko) 구동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EP1640812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double-sided printing unit
AU2020202771B2 (en)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uses cartridge
JP2003140528A (ja) カバー開閉機構及び画像記録装置
JP200324161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0650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614086B2 (ja) 画像形成装置
AU2013200114A1 (en) Cartridge, and electrophot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uses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