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784B1 -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784B1
KR100188784B1 KR1019960066324A KR19960066324A KR100188784B1 KR 100188784 B1 KR100188784 B1 KR 100188784B1 KR 1019960066324 A KR1019960066324 A KR 1019960066324A KR 19960066324 A KR19960066324 A KR 19960066324A KR 100188784 B1 KR100188784 B1 KR 100188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door
bus
open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807A (ko
Inventor
김현남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66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78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스에 갖추어진 승객하차용 도어의 개방조작시 경보를 발생하기 위해 수동조작의 도어개폐레버(50b)에 의해 개폐되는 최소한 1이상의 도어(20)를 갖춘 상태에서 해당하는 버스의 차체패널(32)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20b)의 개방을 광/음향으로 경보하는 발광/음향경보기(30,40)와, 상기 도어개폐레버(50b)에 의한 도어개방시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제어부(80)와, 그 경보제어부(80)의 경보제어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발광/음향경보기(30,40)를 동시적으로 작동시키는 트랜지스터(90)를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
본 발명은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의 승차/하차를 위한 도어에 대해 도어개방경보램프를 설치해서 그 도어의 개방시 경보를 발하여 그 버스의 도어측으로 근접하는 차량에 대해 경고해주도록 된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승객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으로서의 버스에 따르면 탑승한 승객이 목적지에서 하차하기 위해 실내에 구비된 하차요구를 위한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그 조작에 응답하여 버스의 적정한 위치마다 설치된 램프가 점등됨과 더불어 운전석 패널의 '정차'램프도 점등되어 승객의 하차요구를 표시하게 되고, 운전자는 그러한 램프의 점등상태에 의하거나 운행노선에 설정된 정류장마다 정차하여 승객이 하차 및/또는 승차하도록 승차/하차를 위한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대중버스에는 승객의 승차와 하차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승차를 위한 도어와 하차를 위한 도어가 별개로 설계되거나 단일의 도어가 설계되는 바, 운전자는 승객의 승차와 하차상황에 대해 후사경을 통해 관찰하여 도어의 개폐를 실행하게 된다.
그런데,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한 상태에서 승객의 승차/하차를 위해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부저음이 발생되어 도어의 개방상태를 알려주기는 하지만, 그 부저음은 주로 버스에서 하차하는 승객에게 도어개방을 경보하기 위해 발생되기 때문에, 그 버스의 도어측으로 접근하는 예컨대 오토바이라던지 자전거와 같은 차량에 대해서는 도어개방상태에 대한 경보가 불확실하게 되고, 그에 따라 특히 하차하는 승객이 오토바이라던지 자전거와 충돌하는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승객이 승차/하차하는 버스 도어의 근방에 도어개방경보램프를 설치해서 운전자가 도어개방을 조작하는 경우 그 도어개방경보램프도 점등/점멸되도록 해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조작의 도어개폐레버에 의해 개폐되는 최소한 1이상의 도어를 갖춘 버스에 있어서, 해당하는 버스의 차체패널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광/음향으로 경보하는 발광/음향경보기와, 상기 도어개폐레버에 의한 도어개방시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제어부와, 그 경보제어부의 경보제어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발광/음향경보기를 동시적으로 작동시키는 트랜지스터를 갖추어 구성된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경보기는 상기 도어의 상측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음향경보기는 해당하는 버스의 후미부분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에 의하면, 도어개폐레버에 의해 도어개방신호가 출력되면 경보제어부에서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그 경보제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가 작동해서 발광/음향경보기를 동시적으로 작동시켜 광/음향에 의한 경보가 실행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버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경보기의 취부상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향경보기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도어, 20: 제 2도어,
30: 발광경보기, 34: 램프,
40: 음향경보기, 44: 음향발생기,
50a,50b: 제 1 및 제 2도어개폐레버,
60: 유압제어부, 70: 유압구동부,
80: 경보제어부, 90: 트랜지스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중교통수단으로서의 버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 버스에는 그 전방측면측에 주로 탑승객의 승차를 위해 절첩식으로 개폐되는 제 1도어(10)가 갖추어짐과 더불어 그 버스의 중앙부 측면에는 주로 탑승객의 하차를 위한 슬라이드식 제 2도어(10)가 갖추어지게 된다.
그러한 버스의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식 제 2도어(10)가 개방되는 상태를 경보하기 위해 그 제 2도어(20)의 상측에는 그 운전자가 도어개방레버(도시 생략)를 조작하는 경우에 점등 또는 점멸되는 발광경보기(30)가 취부되고, 그 버스의 후미부분에는 상기 램프(30)와 동기적으로 작동되어 음향신호를 출력해서 상기 제 2도어(20)의 개방상태를 경보하기 위한 음향경보기(40)가 설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경보기(30)의 취부상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해당하는 버스의 차체패널(32)의 절개부분에는 발광작동하는 램프(34)가 내측에 수납된 램프고정브라켓(36)이 예컨대 용접에 의해 취부되고, 그 램프(34)의 전면에는 상기 램프고정브라켓(36)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투명한 글래스 또는 합성수지제의 램프커버(38)가 제공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향경보기(40)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 음향경보기(40)는 대체로 원주형상의 고정프레임(42)의 소정위치에는 상호 대향하면서 종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레그부(42a,42b)가 갖추어지고, 그 고정프레임(42)의 내측에는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예컨대 압전스피커에 의한 음향발생기(44)가 상기 고정레그부(42a, 42b)의 지지턱(46a,46b)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프레임(42)의 고정레그부(42a, 44b)는 그 종단의 걸림턱이 해당하는 버스의 차체패널(32)이 요부형상으로 몰입되어 형성된 수납공간에서 상기 차체패널(3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32a)에 대응적으로 탄성결합되고, 상기 음향발생기(44)의 저면에서 돌출연설되는 신호단자(44a)는 상기 수납공간에서 상기 차체패널(32)에 형성된 관통공(32b)을 통과해서 차체패널(32)의 내측에 배설되는 전원선(도시 생략)에 접속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참조부호 50a와 50b는 각기 운전석의 제어패널상에 갖추어져 탑승객의 승차 및 하차를 위해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제 1 및 제 2도어개폐레버를 나타내고, 60은 그 제 1 및 제 2도어개폐레버(50a,50b)의 조작시 해당하는 제 1 및/또는 제 2도어(10,20)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제어부를 나타내며, 70은 그 유압제어부(60)의 제어하에 제 1 및/또는 제 2도어(10,20)의 개폐구동을 실행하는 유압구동부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80은 상기 제 2도어개폐레버(50b)의 조작상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방경보를 제어하기 위한 경보제어부를 나타내고, 90은 그 경보제어부(80)에 저항(R1)을 통해 베이스가 접속되고 그 에미터측에 상기 램프(34)와 음향발생기(44)가 병렬적으로 접속된 트랜지스터를 나타내며, R2와 R3는 저항을 나타낸다.
이어,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해당하는 버스의 차체패널(32)에서 제 2도어(20)의 상측부분과 후미부분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구조로 발광경보기(30)가 설치됨과 더불어 음향경보기(40)가 설치된다.
그 상태에서, 운전자가 제 1 및/또는 제 2도어개폐레버(50a,50b)를 개방조작하게 되면 유압제어부(60)는 유압구동부(70)를 제어하여 주지의 유압구동방식으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도어(10,20)의 개방이 행해지도록 하게 되는 반면, 그 제 1 및/또는 제 2도어개폐레버(50a,50b)를 폐쇄조작하게 되면 상기 유압제어부(60)는 유압구동부(70)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및/또는 제 2도어(10,20)가 폐쇄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도어개폐레버(50b)가 개방조작되는 경우 상기 경보제어부(80)는 예컨대 하이레벨의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그 경보제어신호가 저항(R1)을 매개하여 상기 트랜지스터(90)의 베이스측에 인가된다. 따라서, 그 트랜지스터(90)가 도통상태로 되어 그 에미터측에 병렬접속된 상기 발광경보기(30)의 램프(34)와 음향경보기(40)의 음향발생기(44)가 동시적으로 작동되게 된다. 따라서, 해당하는 버스의 탑승객 승차/하차측으로 접근하는 차량이라던지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 등의 교통수단과 보행자에 대해 버스의 도어개방상태에 대한 경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2-도어를 갖춘 대중교통버스에 적용된 상태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1-도어방식의 버스라던지 승용차 또는 승합차등에도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에 의하면 탑승객의 하차를 위해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발광경보기와 음향경보기가 동시적으로 작동되어 경보하게 되므로, 도어개방시 하차하는 승객과 예컨대 오토바이라던지 자전거 등의 교통수단과의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의 방지가 상당한 정도로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수동조작의 도어개폐레버(50b)에 의해 개폐되는 최소한 1이상의 도어(20)를 갖춘 버스에 있어서,
    해당하는 버스의 차체패널(32)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20b)의 개방을 광/음향으로 경보하는 발광/음향경보기(30,40)와,
    상기 도어개폐레버(50b)에 의한 도어개방시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제어부(80)와,
    상기 경보제어부(80)의 경보제어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발광/음향경보기(30,40)를 동시적으로 작동시키는 트랜지스터(90)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경보기(30)는 상기 도어(20)의 상측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음향경보기(40)는 해당하는 버스의 후미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
KR1019960066324A 1996-12-16 1996-12-16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 KR100188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324A KR100188784B1 (ko) 1996-12-16 1996-12-16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324A KR100188784B1 (ko) 1996-12-16 1996-12-16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807A KR19980047807A (ko) 1998-09-15
KR100188784B1 true KR100188784B1 (ko) 1999-06-01

Family

ID=1948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324A KR100188784B1 (ko) 1996-12-16 1996-12-16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6923A (zh) * 2013-07-05 2013-11-13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公交车门铃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6923A (zh) * 2013-07-05 2013-11-13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公交车门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80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5546A (en) Warning device to alert passers-by before opening an automobile door
WO1998048499A1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s
US4833448A (en) Warning device to alert passers-by before opening an automobile door
WO2008065870A1 (fr) Alarme d'état de l'air
KR100188784B1 (ko) 버스의 도어개방경보장치
JPH11105547A (ja) 車室側ドアハンドル表示照明装置
US20200223353A1 (en) Specific signalling system to warn road users of the imminent opening of vehicle doors
US10780820B1 (en) Vehicle door pillar light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227955Y1 (ko) 탑승자 하차 사전 예고장치
KR200213496Y1 (ko) 차량의 도어개방 경고장치
KR20030009002A (ko) 차량문 안전경보시스템
JP2880432B2 (ja) 車両走行中における安全運転チェック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14820B1 (ko) 차량의 램프 점등 확인장치
KR200291424Y1 (ko) 차량의 도어 오픈 경보 장치
KR0150921B1 (ko)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411142B1 (ko) 버스의 후문 개방 경고장치
KR200320936Y1 (ko) 도어 개폐를 알려주는 버스용 알림장치
KR200222524Y1 (ko) 자동차 도어 열림 경보장치
JPS6264647A (ja) 車両用室内灯変調装置
KR200349241Y1 (ko) 자동차 후방범퍼 비상등
KR0138159Y1 (ko)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
KR0160022B1 (ko) 자동차 도어 레버 표시 장치
JPH06107069A (ja) ドア開放事前警告灯
KR970069618A (ko) 자동차의 밧데리방전 예방장치
JPS61151387A (ja) 自動車ドア開閉装置における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