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522B1 - 차량용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522B1
KR100188522B1 KR1019960046892A KR19960046892A KR100188522B1 KR 100188522 B1 KR100188522 B1 KR 100188522B1 KR 1019960046892 A KR1019960046892 A KR 1019960046892A KR 19960046892 A KR19960046892 A KR 19960046892A KR 100188522 B1 KR100188522 B1 KR 10018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ame
coupled
load
sens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966A (ko
Inventor
김태운
Original Assignee
류종열
아시아자동차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종열, 아시아자동차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종열
Priority to KR1019960046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522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 B60T8/1837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weight or load, e.g. load distribution characterised by the load-detecting arrangements
    • B60T8/1856Arrangements for detecting suspension spring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독립현가장치가 장착된 차량에서는 하중변화를 감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종래에는 제동력분배장치인 하중감지밸브가 사용되지 못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브라켓(50)에서의 어퍼암(62) 회전을 감지하도록 차량 프레임(10)에 배치되는 회전감지센서(70)와, 상기 회전감지센서(70)의 회전감지상태가 입력되는 전자제어유닛(80)과, 상기 전자제어유닛(80)과 연결되고 차량의 프레임(10) 내측면에 장착되는 스테핑모터(90)와, 상기 스테핑모터(90)의 회전단에 결합된 회전암(92)과, 상기 회전암(92)에 메인스프링(36)으로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 내측면에 결합되는 하중감지밸브(30)로 구성된 제동력배분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제동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독립현가장치가 구비된 차량에서 하중감지밸브(로드센싱 프로포셔닝밸브 : LOAD SENSING PROPORTIONING VALVE)를 사용하여 각 바퀴에서의 제동력 배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제동장치가 구비되어 주행중의 차량을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제동장치와 함께 하중감지밸브가 사용되는데, 상기 하중감지밸브는 유압에 의해 바퀴의 제동력을 달리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하중감지밸브는 차량에 부가되는 하중을 파악하여 각 바퀴마다 제동력의 크기를 다르게 줌으로써, 전체적인 제동력 평형을 이루어 안전한 제동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차량의 현가장치는 크게 차축식 현가장치와 독립현가장치로 나눌 수 있는데, 상기 차축식 현가장치는 일체로 된 차축에 양바퀴가 설치되고 다시 상기 차축이 스프링을 거쳐 차체에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독립현가장치는 차축을 분할하여 양쪽바퀴가 서로 관계없이 움직이게 독립시킨 것이다.
도 1은 차축식 현가장치에 설치된 종래의 차량용 제동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 프레임(10)에는 판스프링(12)이 양 사이드 하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판스프링(12)에는 일체차축(14)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 측면에는 하중감지밸브(30)가 장착되어 있는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중감지밸브(30)는 일측에 지지대(3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31)와 조정스프링(32)으로 연결되는 작동레버(33)가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중감지밸브(30) 상측면에 유압주입구(34) 및 유압배출구(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레버(33)의 상단에 결합된 메인스프링(36)은 하부 상기 판스프링(12)에 결합된 케이싱(37)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종래 차량용 제동장치의 유압로를 나타낸 것으로서, 운전자가 제동할 경우에 조작하는 브레이크(40)가 배치되고, 상기 브레이크(40)의 작동에 따라 마스터실린더(42)에서 유압이 발생된다.
발생된 유압은 상기 유압로(44)를 통해 상기 마스터실린더(42)에서 하중감지밸브의 유압주입구(34)로 전달되고, 상기 하중감지밸브(30)에서 하중변화에 따라 달라진 유압이 유압배출구(35)를 통해 브레이크작동부(46)로 전달된다.
상술한 종래의 차량용 제동장치는 운전자가 제동을 목적으로 브레이크(40)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브레이크(40) 작동에 의해 마스터실린더(42)에서 발생된 유압이 하중감지밸브(30)로 전달된다.
한편, 차체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일체차축(14)이 상승하고, 이때 상기 일체차축(14)과 결합된 판스프링(12) 또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2)에 결합된 케이싱(37)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케이싱(37)과 연결된 메인스프링(36)에 의해 하중감지밸브의 작동레버(33)가 작동된다.
상기 작동레버(33)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하중감지밸브(30)는 유압주입구(34)에 전달된 유압의 세기를 하중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고, 그리고 유압배출구(35)를 통해 브레이크작동부(46)에 유압이 전달됨으로써 차량의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제동장치는 하중감지밸브(30)를 독립현가장치에 설치하여 하중변화에 따라 제동력분배를 이루고자 할 경우에, 양쪽 바퀴가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그 때의 하중변화를 파악하기가 어려워 상기 하중감지밸브(30)가 사용되지 못했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츨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독립현가장치에서 제동력을 분배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차축식 현가장치에서 사용되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에 대해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종래 차량용 제동장치의 유압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주요부분에 대해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의 작동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하중감지밸브70 : 회전감지센서
80 : 전자제어유닛(ECU)90 : 스테핑모터
92 : 회전암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고자 본 발명은 상부브라켓에서의 어퍼암 회전을 감지하도록 차량 프레임에 배치되는 회전감지센서와, 상기 회전감지센서의 회전감지상태가 입력되는 전자제어유닛과,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연결되고 차량의 프레임 내측면에 장착되는 스테핑모터와, 상기 스테핑모터의 회전단에 결합된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에 메인스프링으로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내측면에 결합되는 하중감지밸브로 구성된 제동력배분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제동장치는 독립현가장치에서도 하중감지밸브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독립현가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차량의 프레임(10)에 지지프레임(20)이 가로지르며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10) 외측면에는 상부브라켓(50)이 부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 외측면에 또한 하부브라켓(52)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브라켓(50)에는 어퍼암(62)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하부브라켓(52)에는 로우암(64)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어퍼암(62)과 로우암(64)은 너클(60)의 상 하부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어퍼암(62)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70)가 상부브라켓(50)을 마주보며 상기 프레임(10) 외측면에 장착된다.
상기 회전감지센서(50)는 전자제어유닛(ECU)(80)과 연결되며, 상기 전자제어유닛(80)은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스테핑모터(90)와 연결된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테핑모터(90)의 회전단에는 일정한 각도 내에서만 회전 가능한 회전암(92)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암(92)의 단부에 메인스프링(36)에 의해 연결된 하중감지밸브(30)는 상기 프레임(10) 내측면에 결합된다.
도 6은 차량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바퀴를 지지하는 어퍼암(62)이 회전함을 나타내고 있다.
상부브라켓(50)에는 어퍼암(62)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어퍼암(62)의 원주면에 부센서(72)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부센서(72)에 대응되어 회전감지센서(7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에서 차량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어퍼암(62)은 힌지결합에 의해 회전하고, 이때 상기 어퍼암(62)의 회전각도를 회전감지센서(70)가 감지하여 전자제어유닛(80)에 전류로써 하중변화량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제어유닛(80)에서는 상기 하중변화량 신호를 받아 스테핑모터(90)에 작동신호를 보냄으로써 상기 스테핑모터(90)는 회전암(92)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회전암(92)의 단부에 연결된 메인스프링(36)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상기 메인스프링(36)의 인장력으로 하중감지밸브(30)가 마스터실린더에서 전달된 유압을 조절하여 브레이크작동부에 전달함으로써 바퀴를 제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동장치는 하중의 변화가 많고 독립현가장치가 설치된 차량에서도 하중감지밸브를 사용하여, 하중에 따른 제동력을 분배시킬 수 있게 되어 제동력 향상 및 안전운전에 효과를 가져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상부브라켓(50)에서의 어퍼암(62) 회전을 감지하도록 차량 프레임(10)에 배치되는 회전감지센서(70)와, 상기 회전감지센서(70)의 회전감지상태가 입력되는 전자제어유닛(80)과, 상기 전자제어유닛(80)과 연결되고 차량의 프레임(10) 내측면에 장착되는 스테핑모터(90)와, 상기 스테핑모터(90)의 회전단에 결합된 회전암(92)과, 상기 회전암(92)에 메인스프링(36)으로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 내측면에 결합되는 하중감지밸브(30)로 구성된 제동력배분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동장치.
KR1019960046892A 1996-10-18 1996-10-18 차량용 제동장치 KR100188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892A KR100188522B1 (ko) 1996-10-18 1996-10-18 차량용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892A KR100188522B1 (ko) 1996-10-18 1996-10-18 차량용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966A KR19980027966A (ko) 1998-07-15
KR100188522B1 true KR100188522B1 (ko) 1999-06-01

Family

ID=1947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892A KR100188522B1 (ko) 1996-10-18 1996-10-18 차량용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2383A (zh) * 2010-11-03 2012-05-16 中国第一汽车集团公司 独立悬架车辆感载阀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285B1 (ko) * 1999-12-16 2002-04-25 이계안 대형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2383A (zh) * 2010-11-03 2012-05-16 中国第一汽车集团公司 独立悬架车辆感载阀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966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9264A (en) Adjustable steering wheel
CA2295761A1 (en) Anti-rollover brake system
KR100188522B1 (ko) 차량용 제동장치
JP3115052B2 (ja) 車体状態検出方法および装置
MXPA06007332A (es) Dispositivo sensor de aceleracion de propositos multiples montado en el extremo de la rueda.
JPS63275458A (ja) 車両の制動装置
US5992945A (en) Hydraulic brake force regulating system
JP7486493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操作量検出装置
JPS6315083Y2 (ko)
GB2057377A (en) Anti jack-knifing coupling system
JPH0717609Y2 (ja) 自動2輪車のアンチロツク制動装置
JPS6225550B2 (ko)
JPH0733967Y2 (ja) 自動2輪車のアンチロツク制動装置
KR100250052B1 (ko) 사판을 이용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200152332Y1 (ko) 로킹 방지 브레이크 시스템
KR100267651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KR100199797B1 (ko) 로드 센싱 밸브 작동장치
KR0144512B1 (ko) 브레이크 유압조절밸브의 작동구조
KR19990040235A (ko) 보조 브레이크 장치
JP4331352B2 (ja) 荷重応動型ブレーキ液圧制御弁の取付け方法
KR200189157Y1 (ko) 자동차용 로드 센싱 프로포셔닝 밸브
KR0174220B1 (ko) 자동차 브레이크 기능강화장치
JPH0241101Y2 (ko)
KR100267648B1 (ko)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용 제동장치
JPH06344874A (ja) 車速センサ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