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326B1 -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 Google Patents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326B1
KR100187326B1 KR1019930700144A KR930700144A KR100187326B1 KR 100187326 B1 KR100187326 B1 KR 100187326B1 KR 1019930700144 A KR1019930700144 A KR 1019930700144A KR 930700144 A KR930700144 A KR 930700144A KR 100187326 B1 KR100187326 B1 KR 100187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oxy
purine
amino
arabinofuranosyl
m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안토니 크레니트스키
데브론 랜돌프 에버렛트
제프리 더글라스 윌슨
알란 레이 무어맨
조오지 월터 코스잘카
스탠리 다웨스 챔버래인
데이비드 포터
제랄드 월버그
Original Assignee
엘.디.젠킨스
더웰컴화운데이션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디.젠킨스, 더웰컴화운데이션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엘.디.젠킨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16Purin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Earth Drill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양 치료에 유용한 ara G의 6-알콕시 유도체 및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본 발명은 항종양 및 면역 조절 활성을 가진 특정 아라니노푸라노실 퓨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아라비노푸라노실 구아닌(ara G)은 B세포에 비하여 T-세포의 성장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뿐아니라 T-백혈구에 대해 선택적인 세포 독성 활성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보고된 바 있다〔Blood, 61, (1983), 660; J. Clin. Invest., 74, (1984), 951 및 Cancer Research, 45, (1985), 1008〕. ara G 는 인체 푸린 뉴클레오시드 포스포릴라제(PNP)에 의해 유의적으로 분해되지 않아 이상적인 화학 치료제 또는 면역 억제제인 것으로 제안되었다.
유럽 특허 출원 제294114호는 특정의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인체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하기 일반식(Ⅰ)의 화합물 및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도체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식에서, R1은 C1-5알콜시기(예, 메톡시), 또는 C1-5알킬(예,메틸)로 1치환 또는 2 치환된 아미노기이다. 또한, 일반식(Ⅰ)이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도 경구 투여후 일반식(Ⅰ) 화합물을 고농도로 제공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은, R1이 C1-5알콕시기인 일반식(Ⅰ)의 화합물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가 유용한 종양 치료제이며, 특히 T-세포 임파구 증식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는것을 발견한 데 기초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임파구성 백혈병, 악성 임파종, 자가 면역 질환(예,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및 타입 1 당뇨병 또는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의 치료제 및 면역 조절제로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양 치료제의 제조하는 데 있어 R1이 C1-5알콕시기인 일반식(Ⅰ)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은 R1이 C1-5알콜시기인 일반식(Ⅰ)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 유효량을 함유하는 포유 동물의 종양 억제제를 제공한다.
R1운 메톡시 또는 에톡시인 것이 적합하여 메톡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은 R1이 C1-5알콜시기인 일반식(Ⅰ) 화합물의 신규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를 제공한다.
상기 일반식(Ⅰ)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경구 투여후 환자의 혈장내에 높은 레벨의 ara G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숙주 중에서 효소에 의해 ara G 로 전환됨이 밝혀졌다. ara G는 영장류에세 경구 투여하면 낮은 생체 이용률을 보일 뿐 아니라 물에 대한 용해도도 낮아서 비경구 투여도 실시 불가능한 방, 전술한 질환 및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화합물의 유도체에는 상기 잔기의 2'-위치, 3'-위치 및 5'-위치가 치환된 아라노비-당 잔기의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또는 트리에스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에스테르에는 에스테르 기의 비카르보닐 부위가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예, n-프로필, t-부틸, n-부틸), 알콕시아킬(예, 메톡시메틸), 아르알킬(예, 벤질), 아릴옥시알킬(예, 페녹시메틸)과, 할로겐, C1-4알킬 또는 C1-4알콕시로 임의 치환된 아릴(예, 페닐), 니트로 및 아니노 중에서 선택된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알킬설포닐 또는 알칼아릴설포닐(예, 메탄설포닐 또는 토실설포닐)과 같은 설포네이트 에스테르;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예, 석시닐) 또는 그것의 C1-4알킬 에스테르; 아미노산 에스테르(예, L-발릴) 및 모노-, 디- 또는 트리-포스페이트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이들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나트륨, 칼륨, NR4 +(여기서, R=H 또는 C1-6알킬), 할라이드 및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전술한 에스테르기에서, 알킬기(알콕시기 내의 것도 포함)는 탄소수 1내지 12의 것이며, 아릴기는 페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에스테르에는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1)2-아미노-6-메톡시-9-(5-O-프로피오닐-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2)2-아미노-9-(5-O-부티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3)2-아미노-6-메톡시-9-(3-O-피발로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4)2-아미노-6-메톡시-9-(2-O-피발로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5)2-아미노-9-(3-O-벤조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6)2-아미노-6-메톡시-9-(2-0-피발로인-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7)2-아미노-9-(2-O-벤조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8)2-아미노-6-메톡시-9-(5-O-발레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9)9-(5-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10)2-아미노-6-메톡시-9-(5-O-(4-메톡시-4-옥소부틸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11)9-(3,5-디-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12)9-(2,5-디-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13)9-(2-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14)9-(2,3,5-트리-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15)2-아미노-9-(5-O-이소부티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16)9-(2,3-디-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3,5-디-O-아세틸 에스테르(화합물 11), 5-O-(4-메톡시-4-옥시부티릴)에스테르(화합물 10) 및 5-O-아세틸 에스테르(화합물 9)가 특히 바람직한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T-세포 성장의 선택적인 억제제인 ara G의 효율적인 프로드럭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량의 본 발명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T-세포의 복제 및/또는 기능을 억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로 종량 성장을 치료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급성 백혈병에 대하여 골수 이식을 하기게 앞서 다량의 부설판 및 사이클로포스파미드를 투여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백혈병, 임파종, 골수종 또는 기타 악성종양에 대하여 자가유래성 또는 동종의 골수 이식을 하기에 앞서 골수 적출을 야기시키려는 의도의 예비처방법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또는 다른 약물과 함께 배합하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antos, G.W., Bone Marrow Transplant, 1989 Jan; 4 suppl. 1, 236-9).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문헌〔Yeager, A.M. et al., N. Engl. J. Med., July 17 1986, 315 (3), 141-7〕에 4-히드로퍼옥시사이클로포스파미드에 관해 기술된 것과 유사하게 생체외에서 혈액 또는 골수를 치료하기 위해 악성 간(stem) 세포를 제거하는데 사용한다.
T-세포는 류마티스성 관절에서 발견되며 염증 과정에 작용할 수 있다. 모든 인구의 약 1%(여성이 남성보다 2 내지 3배 더욱 많다)가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의해 고통을 받고 있으며, 류마티스성 관절염 환자의 5내지 10%는 완전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고통스럽고 팽창된 관절로 인해 결국 불구가 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T-세포는 근위축증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바, 본 발명은 근위축증을 치료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
R1이 C-15알콜시기인 일반식(Ⅰ)의 화합물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이후, 총칭해서 활성 성분이라 함)는 경우, 직장, 비강, 국소(협측 및 설하 포함), 질내 및 비경우(경피, 근육내, 정맥내, 피내, 초내 및 경막상 포함)를 비롯하여 치료될 상태에 적절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경로는 예컨대 수혜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전술한 질환, 질병 및 징후 각각에 있어, 활성 성분(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의 필요량은 치료될 질환의 정도 및 수혜자의 특징을 비롯하여 다수의 요인에 따라 좌우되며 최종적으로는 담당 의사의 소견에 따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들 각각의 유용성과 지시에 있어, 적합한 유효량은 1일에 수혜자의 체중 1㎏당 0.1 내지 250㎎범위, 바람직하게는 1일에 체중 1㎏당 0.1 내지 10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일제 체중 1㎏당 1 내지 20㎎범위이며; 최적량은 1일에 체중 1㎏당 5 내지 15㎎이다(다르게 명시되지 않는다면, 모든 활성 성분의 중량은 일반식(Ⅰ)의 모체 화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며, 그의 염과 에스테르의 경우 그 수치는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또는 1주에 걸쳐 적절한 간격으로 1,2,3,4 또는 그 이상의 준투여량으로 투여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준투여량은 단위 투여 형태, 예를 들면 5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0㎎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을 함유하는 단위 투여형으로 투여할 수 있다.
자가 면역 질환(예,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치료에 필요한 T-세포 작용에 영향을 주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상기 투여량 범위의 하한치로 이루어진다.
활성 성분은 단독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들을 약제형으로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제는 전술한 활성 성분 1종 이상과 함께 이것의 허용성 담체 1종 이상 및 선택적으로 기타 치료 성분을 함유한다. 담체는 제제의 다른 성분과 상용 가능하다는 의미로 허용성이어야 하며, 수혜자에게 유해하지 않아야 한다.
제제에는 경우, 직장, 비구, 국소(협측 및 설하투여 포함), 질내 또는 비경구(경피, 근육내, 정맥내, 피내, 초내 및 경막상 투여 포함)투여에 적합한 것을 포함한다. 제제는 편리하게는 단위 투여형으로 제공하며 약학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중 어느 1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1종 이상의 보조 성분을 함유하는 담체를 활성 성분과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제는 액상 담체 또는 미분된 고형 담체 또는 두가지 모두와 활성 성분을 균질하게 충분히 배합한 후, 필요에 따라 제품으로 성형 제조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제는 각각 소정의 활성 성분 양을 함유하는 캅셀제, 카세제 또는 정제와 같은 분리 단위로서, 분말 또는 과립으로서 수용액 또는 비수용액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또는 수중유형 유탁액 또는 유중수형 유탁액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성분은 환괴, 지제 또는 페이스트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정제는 선택적으로 1종 이상의 보조 성분과 함께 압착 또는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압착 정제는 접합한 기계 내에서, 선택적으로 결합제(예, 포비돈, 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방부제, 붕괴제(예,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가교 결합된 포비돈, 가교 결합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계면 활성제 또는 분산제와 혼합한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자유 유동형의 할성 성분을 압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성형된 정제는 불활성 액상 희석제로 습윤시킨 분말형 화합물의 혼합물을 적합한 기계내에서 성형시켜 제조할 수 있다. 정제는 임의로 피복하거나 각인할 수 있으며, 원하는 방출 특성을 갖도록,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우스를 다양한 비율로 이용하여 활성 성분의 방출을 느리게 하거나 조절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
외부 조직, 예를 들면 구강 및 피부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0.075 내지 20% w/w,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 w/w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w/w의 양으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국소투여용 연고제 또는 크림 형태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고제로 제형화할 경우, 활성 성분은 파라핀계 또는 수-혼화성 연고제 기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활성 성분은 수중유형 크림 기제와 함께 크림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
필요에 따라서, 크림의 수성상에는 예를 들면 적어도 30% w/w의 다가 알코올, 즉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1,3-디올, 만니톨, 소르비톨,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것의 혼합물과 같이 2이상의 히드로시기를 가진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국소용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피부 또는 상처 부위를 통한 활성 성분의 흡수 또는 침투를 향상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침투 증강제의 예로는 디메틸설폭시드 및 관련 유사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유탁액의 오일상은 공지의 방법을 통해 공지된 성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오일 상은 유화제〔다르게는 에멀전트(Emulgent)라고도 함〕만을 함유할 수 있지만 1종 이상의 유화제와 함께 지방이나 오일 또는 지방과 오일 둘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안정화제로 작용하는 친지성 유화제와 함께 친수성 유화제를 함유한다. 또한, 오일과 지방 둘다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유화제는 소위 유화 왁스를 구성하고, 오일 및/또는 지방을 함유하는 왁스는 크림제의 오일 분산 상을 형성하는 소위 유화 연고 기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제에 사용하는 데 적합한 에멀전트 및 유화 안정화제에는 트윈 60, 스판 80, 세토스테아일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가 포함된다.
제제에 적합한 오일 또는 지방의 선택은 목적하는 심미적 특성의 성취를 기준으로하는데, 이는 유탁액 약제에 사용가능한 대부분 오일 중에서의 활성 화합물의 용해도가 매우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크림은 튜브나 다른 용기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적당한 점조도를 가지면 번들거리지 않고 염색되지 않는 세척가능한 제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쇄 또는 측쇄의 1가 또는 2가의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디이소아디페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코코낫 지방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스테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데실 올레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또는 크로다몰 CAP 로 공지된 측쇄 에트테르의 배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마지막 3종이 바람직한 에스테르이다. 이것들은 필요로 하는 특성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배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백색 연성 파라핀 및/또는 액상 파라핀 또는 기타 광유 같은 고융점 지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강에 국소 투여하기에 적합한 제제에는 향료 기제, 통상 슈크로오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라가칸트 중에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로젠지, 젤라틴과 글리세린 또는 슈크로오스 및 아카시아와 같은 불활성 기제 중에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파스틸 및 적합한 액상 담체 중에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구강 세정제가 포함된다.
직장 투여용 제제는 예를 들면 코코아 버터 또는 살리실레이트를 함유하는 적합한 지제와 함께 좌제로서 제공할 수 있다. 담체가 고체인 비강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제로는 비강제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코밑에 들이 댄 분말 용기로부터 비강을 통해 급속 흡입으로 투여되는, 예를 들면 입도가 20 내지 500 마니크론 범위인 조분말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비강용 스프레이 또는 비강용 점적제로서 투여하기에 적합한, 담체가 액상인 제제는 활성 성분의 수용액 또는 유성 용액이 포함된다.
질내 투여에 적합한 제재는 활성 성분 외에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적합한 담체를 함유하는 페라리제, 탐폰제, 겔제, 페이스트제, 포옴제(foam)또는 분무제로 제공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제에는 산화 방지제, 완충제, 정균제 및 제제가 수혜자의 혈액과 등장이 되도록 하는 용질을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주사 용액, 및 현탁제와 농조화제를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현탁액이 포함된다. 제제는 단위 용량 용기 및 복수 투여 용량 용기, 예를 들면 밀봉된 앰풀 및 바이알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 직전에 멸균 액상 담체, 예를 들면 주사용수를 첨가하기만 하면 되는 동결 건조된(냉동 건조된) 상태로 보관될 수도 있다. 즉석 주사 용액 및 현탁액은 전술한 종류의 멸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단위 용량 제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1주일분 용량, 1일분 용량 또는 1일분 소단위 용량 또는그것의 적절한 분획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다.
특히 전술한 성분외에, 본 발명의 제제에는 목적 제제 형태에 대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적인 기타 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투여에 적합한 것은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1이 C1-5알콜시기인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일반식(Ⅰ)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에스테르화 반응은 비보호된 히드록시기를 적당한 온도, -30℃ 내지 100℃ 및 적합하게는 -5내지 30℃로, 염기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극성 용매, 편리하게는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아실화제, 편리하게는 아실 할라이드 또는 아실 무수물을 사용하여 에스테르화시킨 후, 통상의 방법으로 보호기를 제거하는 식으로,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다.
대안의 방법으로, 반응 개시제로서 적합한 트리클로로에틸 에스테르와, 섭틸리신을 사용하여 효소적 에스테르화시켜 본 발명의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 반응은 적당한 온도, 편리하게는 10℃ 내지 50℃ 하에 피리딘과 같은 염기성 용매 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효소를 여과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반응을 급냉한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유럽 특허 출원 제294114호(R1이 C1-5알콕시일 경우)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하기의 일실시예는 일반식(Ⅰ) 화합물의 에스테르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의 효소적 제조 방법
a) 2-아미노-6-메톡시-9-(5-O-프로피오닐-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2-아미노-6-메톡시-9-(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1.0 g, 3.3mmol)(유럽 특허 출원 제294 11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을 H2O 300㎕와 트리클로로에틸 프로피오네이트 2㎖가 함유된 피리딘 40㎖중에 현탁시켰다(트리클로로에틸 프로피오네이트는 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Aldrich) 19㎖를 0℃에서 30분에 걸쳐 피리딘 40㎖ 중의 트리클로로에탄올(Aldrich) 19.1㎖에 첨가하여 합성하였다). 2 × 100㎖ 분취량의 H2O, 5% NaHCO3및 H2O로 연속 세척하여 생성물을 정제했다.1H NMR(200 MHz, CDCl3, 4.74(s, 2H, Cl3CH2-), 2.49(q, 2H, J-7.6 Hz, CH3CH2CO2-), 1.21(t, 3H, J-7.6Hz, CH3CH2Co2-). 반응은 섭틸리신(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P-5380, lot No. 38F-0356) 0.100g으로 개시하였는데, 이 효소는 pH 7.8에서 0.1M 인산 칼륨 20㎖중에 효소 1g을 용해시키고 냉동건조시켜 활성화시켰다. 40℃에서 23시간 동안 교반한 후, 효소를 여거하여 반응을 퀀하고 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용출제로서 CH2Cl2:CH3OH(9:1)를 사용하여 4.5 × 25㎝실리카겔 컬럼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조 생성물을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수거하고 물로부터 냉동 건조시켜 백색 분말로서 목적 생성물을 0.76g을 얻었다. m.p. 124℃. TLC Rf=0.43(실리카겔; CH2Cl2:CH3OH(9:1)); pH 7.0에서의 UV λmax(ε% mM-1-1), 278㎚(9.5).
C14H19N5O6·0.46 H2O 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C, 46.49; H, 5.55; N, 19.36
실측치: C, 46.46; H, 5.52; N, 19.45.
b) 9-(5-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2-아미노-6-메톡시-9-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1.0g, 3.3 mmol)을 H2O 300㎕와 트리클로로에틸 아세테이트 1㎖를 포함하는 파라딘 40㎖ 중에 현탁시켰다(트리클로로에틸 아세트테이트는 다음과 같이 합성하였다: 2,2,2-트리클로로에탄올(19.1㎖, 197.1 mmole)과 무수 피리딘(40㎖)을 아르곤 유입 밸브, 온도계, 적하 깔때기, 자석 교반기 및 빙수조가 장착된 둥근 바닥 3구 플라스크에 넣었다. 아세틸 클로라이드(14.5㎖, 199.8 mmole)를 적하 깔때기에 넣고 아르곤하에서 교반하면서 온도를 25℃이하로 유지하며 10분 동안 첨가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H2O(2 × 100㎖), 5% NaHCO3(2 × 100㎖) 및 H2O(2 × 100㎖)로 세척하엿다. 유기층은 MgSO4로 건조시킨 후, 와트만 No.1 종이에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증류시켰다. 중간 분획물 5.18g이 불순물로 소량의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목적 물질이었다.
C4H5Cl3O2+ 0.054 몰 CH3COOH 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25.35; H, 2.70; Cl, 54.62
실측치 : C, 25.57; H, 2.72; Cl, 54.66.
반응은 섭틸리신(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P-5380, Lot No. 38F-0356) 0.050g 으로 개시하였는데, 이 효소는 pH 7.8에서 0.1M 인산칼륨 20㎖ 중에 효소 1g을 용해시키고 냉동 건조시켜 활성화시켰다. 40℃에서 23시간 동안 교반한후, 추가의 섭틸리신 50㎎ 및 트리클로로에틸 아세테이트 2㎖를 반응에 첨가하였다. 40℃에서 이후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효소를 여거하여 반응을 퀀칭하고 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용출제로서 CH2Cl2:CH3OH(9:1)로 4.5 × 25㎝ 실리카젤 컬럼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수거하고 물로부터 냉동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0.28g 을 백색 분말로서 얻었다. TLC Rf= 0.35(실리카겔; CH2Cl2:CH3OH(9:1)); pH 7.0에서의 UV λmax(ε% mM-1-1), 279㎚(8.8).
C14H19N5O6·0.52 H2O 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44.77; H, 5.22; N, 20.12
실측치 : C, 44.79; H, 5.21; N, 20.09.
적절한 트리클로로에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c) 2-아미노-9-(5-O-부티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d) 2-아미노-6-메톡시-9-(5-O-바레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e) 2-아미노-6-메톡시-9-(5-O-(4-메톡시-4-옥소부티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출발 물질 트리클로로에틸 메틸 석시네이트)
C14H21N5O8·0.40 H2O 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45.64; H, 5.28; N, 16.63
실측치 : C, 45.62; H, 5.21; N, 16.67.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의 화학적 합성
a(i) 2-아미노-9-(2.5-디-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0g, 34 mmol)을 500㎖ 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피리딘(2 × 50㎖)과 공증발시켜 건조시켰다. 이미다졸(11g, 160 mmol)을 첨가한 후,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11g, 74 mmol)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하고 격막을 장치하였다.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40㎖)를 첨가하고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리카겔 상에서 아세톤:CHCl3(1:10)로 TLC한 결과, 출발 물질중 약 20%가 남아 있었고(Rf=0.05), 0.18, 0.41 및 0.75에서 3개의 높은 Rf스포트가 형성되었다. 추가로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1.0g, 6.6 mmol)를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동일 용매중에서 TLC한 결과, 모든 출발 물질이 소모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후, 감압하에서 DMF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50㎖)와 H2O(100㎖ 및 3 × 50㎖)간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100㎖)로 역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시킨 후(Mg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CHCl3중의 아세톤을 단계 구배(1:20 내지 1:2)식으로 용출시키는 실리카겔 플래시 컬럼(5×25㎝)상에서 조생성물을 정제하였다. TLC에 의해 관측된 3개의 스포트에 대응하는 3개의 생성물 분획을 얻었다. Rf=0.18 분획에서 2.5-디실릴화된 생성물로 확인된 백색 고체 4.0g(23%)을 얻었다.
m.p. : 180∼182℃(보정하지 않음).
C23H43N5O5Si2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52.54; H, 8.24; N, 13.32
실측치 : C, 52.28; H, 8.20; N, 13.17.
a(ⅱ) 2-아미노-9-(2.5-O-tert-부틸디메틸실릴-3-O-피발로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2.5-디-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2.0g, 3.8 mmol)을 화염 건조된 250㎖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0.05g, 0.4mmol)을 첨가하고 플러스크 알르곤으로 세정한 후, 격막으로 밀폐하였다. 무수 아세토니트릴(50㎖), 트리에틸아미(8.0㎖) 및 피발산 무수물(3㎖, 14.8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158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0㎖)중에 용해시키며 H2O(3×50㎖)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건조(MgSO4) 및 여과한 후, 농축시켜 황색 오일 3.8g 을 얻었다. 이 물질 300㎎ 부를 4㎜ 실리카겔 로터가 장착된 크로마토트론(Harrison Sciectific)상에서 아세톤:CHCl3(1:10)으로 용출시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투명한 검(0.176g)상태로 단리하였다. MS(EI):m/z 609
C28H51N5O6Si2·0.75C3H6O·0.05 CHCl3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55.19; H, 8.49; N,10.62
실측치 : C, 55.32; H, 8.61; N, 10.53.
b) 2-아미노-6-메톡시-9-(3-O-피발로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2-아미노-6-메톡시-9-〔(3-O-피발로일-2.5-디 -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2.1g, 3.4mmol)을 THF(40㎖)중에 용해시키고 얼음 조(槽) 중에서 5℃로 냉각시켰다. H2O(2㎖)을 첨가한 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를 THF(10㎖, 10mmol)중의 1M 용액으로 첨가하였다. 5℃에서 2 시간 후, 추가의 TBAF 10㎖를 첨가하였다. 2시간 후, 추가의 TBAF 5㎖로 반응츨 처리하고 이후 18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CHCl3(40㎖)로 희석시키고 1:1의 아세톤:CHCl3(500㎖)을 사용하여 실리카겔(230∼400 메쉬, 5×5㎝)패드로 통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230∼400 메쉬, 5×18㎝)에 첨가하였다. 컬럼을 CHCl3중 아세톤의 단계 구배(1:10 내지 1:1의 아세톤:CHCl3)로 용출하였다. 컬럼으로부터 아세톤:CHCl3(1:1) 중에서 Rf=0.74 및 0.50인 물질에 해당하는 2개의 주요 분획을 얻었다. 낮은 Rf물질 0.77g(53%)을 백색 분말로서 단리하였는데 이는 목적하는 3'-O-피발로일 유도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m.;. : 241∼243℃(보정하지 않음)
C16H23N5O6·0.40 CHCl3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45.90; H, 5.50; N, 16.32
실측치 : C, 45.72; H, 5.43; N, 16.04.
c(i) 2-아미노-9-(3.5-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0g, 34mmol)을 500㎖ 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피리딘(2×50㎖)과 공증발시켜 건조시켰다. 이미다졸(11g, 160mmol)을 첨가한 후,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11g, 74mmol)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하고 격막을 장치하였다.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40 ㎖)를 첨가하고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리카겔 상에서 아세톤:CHCl3(1:10)로 TLC한 결과, 출발 물질 중 약 20%가 남아 있었고(Rf=0.05), 0.18, 0.41 및 0.75 에서 3개의 높은 Rf스포트가 형성되었다. 추가로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1.0g, 6.6mmol)를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동일 용매중에서 TLC 한 결과, 모든 출발 물질이 소모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후, 감압 하에서 DMF 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50㎖)와 H2O(100㎖ 및 3 × 50㎖)간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100㎖)로 역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MgSO4)시킨 후,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CHCl3중 아세톤(1:20 내지 1:2)의 단계 구배로 용출되는 실리카겔 플래시 컬럼(5×25㎝)상에서 조생성물을 정제하였다. TLC에 의해 관측된 3개의 스포트에 대응하는 3개의 생성물 분획을 얻었다. Rf=0.41 분획에서 3,5-디실릴화된 생성물로 확인된 백색 고체 8.0g(45%)이 제공되었다.
m.p. : 88∼90℃(보정하지 않음)
C23H43N5O5Si2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52.54; H, 8.24; N, 13.32
실측치 : C, 52.32; H, 8.24; N, 13.25
c(ⅱ) 2-아미노-9-(3.5-O-tert-부틸디메틸실릴-2-O-발레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3.5-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3g, 2.5mmol)을 화염 건조된 250㎖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0.05g, 0.4mmol)을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한 후, 격막으로 밀폐하였다. 무수 아세토니트릴(30㎖)및 트리에틸아민(5.0㎖)을 첨가하고 용액을 얼음 조 중에서 냉각시켰다. 발레트산 무수물(0.6㎖, 3.0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0.5℃에서 18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200㎖)중에 용해시키며 H2O(3×50㎖)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MgSO4)시키고, 여과한 후, 농축시켜 황색 오일 1.7g을 얻었다. 이 물질 270㎎부를 2㎜ 실리카겔 로터가 장착된 크로마토트론(Harrison Scientific) 상에서 정제하였다. 로터는 아세톤:CHCl3(1:10)으로 용출시켰다. 크로마토트론으로부터 분리한 생성물은 백색 고체(0.21g, 0.34mmol)이었다.
m.p. : 105∼107℃(보정하지 않음).
C28H51N5O6Si2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55.14; H, 8.43; N, 11.48
실측치 : C, 55.09; H, 8.45; N, 11.46.
c(ⅲ) 2-아미노-6-메톡시-9-(2-O-발레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2-아미노-9-(3,5-디-tert-부틸디메틸실릴-2-O-발레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4g, 2.3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THF, 40㎖) 중에 용해시키고 얼음 조 중에서 5℃로 냉각시켰다. 아세트산(0.06㎖, 10 mmol)을 첨가한 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를 THF(10㎖, 10mmol)중의 1M 용액으로 첨가하였다. 5℃에서 18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CHCl3(40㎖)로 희석시키고 1:1 의 아세톤:CHCl3(500㎖)을 사용하여 실리카겔(230∼400 메쉬, 5×5㎝) 패드로 통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4㎜로터가 장착된 크로마토트론상에서 정제한 후,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하였다. 건조 후, 컬럼으로부터 순수한 생성물을 백색 포옴 0.72g(78%)으로서 얻었는데, 이것은 목적하는 2'-O-발레릴 유도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m.p. : 83∼86℃(보정하지 않음).
C16H23N5O6·0.15 C15H10O3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50.41; H, 6.22; N, 17.29
실측치 : C, 50.41; H, 6.59; N, 17.40,
d(ⅰ) 2-아미노-9-(3-O-벤조일-2,5-디-O-tert-부틸디메틸실린-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푸린
2-아미노-9-[(2,5-디-O-tert-부틸디메틸실린)-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푸린(1.5g, 2.9 mmol)을 화염 건조된 250㎖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4-N, N-디메틸아미노피리딘(0.05g, 0.4mmol)을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한 후, 격막으로 밀폐하였다. 무수 아세토니티릴(50㎖), 트리에틸아민(5.0㎖) 및 벤조산 무수물(0.77g, 3.4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5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50㎖)중에 용해시킨 후 H2O(2×50㎖)로 추출하엿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건조(MgSO4)시키고, 여과한 후, 농축시켜 황색 오일 3.8g을 얻었다.
이 물질 270㎎ 부를 4㎜ 실리카겔 로터가 장착된 크로마토트론(Harrison Scientific)상에서 정제하였다. 로터를 아세톤:CHCl3(1:10)으로 용출하였다. 크로마ㅓ토트론으로 부터 정제한 생성물은 백색 고체(0.18g, 0.29mmol)이었다.
m.p. : 73∼75℃(보정하지 않음).
C30H47N5O6Si2에 대한 원소 분석 :
계산치 : C, 57.20; H, 7.52; N, 11.12
실측치 : C, 57.08; H, 7.59; N, 11.05.
d(ⅱ) 2-아미노-9-(3-O-벤조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3-O-벤조일-2,5-디-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97g, 2.6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THF, 40㎖)중에 용해시키고 얼음 조 중에서 5℃로 냉각시켰다. 아세트산(0.6㎖, 10mmol)을 첨가한 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로오라이드(TBAF)를 THF(10㎖, 10mmol) 중의 1M 용액으로 첨가하였다. 5℃에서 18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CHCl3(40㎖)로 희석시키고 1:1의 아세톤:CHCl3(500㎖)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230∼400 메쉬, 5×5㎝)패드로 통과시켰다. 여과액을 백색 고체로 농축시키고 이를 실리카겔 10g 상에 흡착시켜 실리카겔 컬럼(230∼400 메쉬, 5×18㎝)에 충전하였다. 컬럼을 아세톤:CHCl3(1:2)로 용출하였다. 컬럼으로부터 아세톤:CHCl3(1:1)중에서 Rf=0.56인 물질에 해당하는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건조 후, 이 물질은 백색 분말 0.77g(1.9mmol)이었으며, 목적하는 3'-O-벤조일 유도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m.p. : 155∼157℃(보정하지 않음).
C18H19N5O6·0.60 C3H6O·0.05 CHCl3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53.92; H, 5.16; N, 15.84
실측치 : C, 53.81; H, 5.10; N, 15.76.
e(ⅰ) 2-아미노-9-(3,5-디-O-tert-부틸디메틸실릴-2-O-피발로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3,5-디-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3g, 2.5mmol)을 화염 건조된 250㎖ 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4-N, N-디메틸아미노피리딘(0.05g, 0.4mmol)을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한 후, 격막으로 밀폐하였다. 무수 아세토니트릴(30㎖), 트리에틸아민(5.0㎖) 및 피발산 무수물 (0.6㎖, 3.0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60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50㎖)중에 용해시키며 H2O(3×50㎖)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수거하여 건조(MgSO4)시키고, 여과한 후, 농축시켜 황색 오일 2.0g을 얻어었다. 이 물질 250㎎ 부를 2mm실리카겔 로터가 장착된 크로마토트론(Harriosn Scientific)상에서 아세톤:CHCl3(1:10)으로 용출하여 정제하였다. 크로마토크론으로부터 분리한 생성물은 투명한 검(0.176g)이었다.
MS (EI):m/z 609
C28H51N5O6Si2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C, 55.14; H, 8.43; N, 11.48
실측치 :C, 54.97; H, 8.42; N, 11.10.
e(ⅱ) 2-아미노-6-메톡시-9-(2-O-피발로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2-아미노-메톡시-9-(3,5-디-O-tert-부틸디메틸실릴-2-O-피발로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1.3g, 2.0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THF, 40 ㎖)중에 용해시키고 얼음 조 중에서 5℃로 냉각시켰다. 아세트산(0.06㎖, 10 mmol)을 첨가한 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를 THF(10 ㎖, 10 mmol)중의 1M 용액으로 첨가하였다. 5℃에서 24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CHCl3(40㎖)로 희석시키고 1:1의 아세톤:CHCl3(500㎖)을 사용하여 실리카겔(230∼400 메쉬, 5×5㎝) 패드로 통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230∼400 메쉬, 5×18㎝)에 장입시켜 아세톤:CHCl3(1:2, 1.5ℓ)으로 용출한후, 다시 아세톤:CHCl3(1:1, 1.5ℓ)로 용출하였다. 건조 후, 순수한 생성물을 컬럼으로부터 백색 분말 0.76g(100%)로서 얻었는데, 이는 목적하는 2'-O-피발로일 유도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m.p. : 83∼85℃(보정하지 않음)
C16H23N5O6·0.40 CHCl3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45.90; H, 5.50; N, 16.32
측정치 : C, 46/03; H, 5.69; N, 16.03.
f(ⅰ) 2-아미노-9-(2-O-벤조일-3,5-디-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3,5-디-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3g, 2.5 mmol)을 화염 건조된 250㎖ 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4-N, N-디메틸아미노피리딘(0.05g, 0.4mmol)과 벤조산 무수물(0.67g, 3.0mmol)을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한 후, 격막으로 밀폐하였다. 무수 아세토니트릴(30㎖)및 트레에틸아민(5.0㎖)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8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50㎖)중에 용해시킨 후, H2O(3×50㎖)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건조(MgSO4)시키고, 여과한 후, 농축시켜 황색 오일 1.76g을 얻었다. 이 물질 250㎎ 부를 2㎜ 실리카겔 로터가 장착된 크로마토트론(Harrison Scientific)상에서 정제하였다. 이 로터를 아세톤:CHCl3(1:10)으로 용출하였다. 크로마토트론으로부터 분리한 생성물은 백색 고체(0.21g)이었다.
m.p. : 129∼131℃(보정하지 않음).
C30H47N5O6Si2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57.20; H, 7.52; N, 11.12
실측치 : C, 57.42; H, 7.57; N, 11.12.
f(ⅱ) 2-아미노-9-(2-O-벤조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2-O-벤조일-3,5-디-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26g, 2.0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THT, 40㎖)중에 용해시키고 얼음 조 중에서 5℃로 냉각시켰다. 아세트산(0.06㎖, 10㎖)를 첨가한 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를 THF(10㎖, 10mmol) 중의 1M 용액으로 첨가하였다. 5℃에서 24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CHCl3(40㎖)로 희석시키고 1:1의 아세톤:CHCl3(500㎖)를 사용하여 실리카겔(230∼400 메쉬, 5×5㎝) 패드로 통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230∼400 메쉬, 5×18㎝)에 장입시켰다. 컬럼을 아세톤:CHCl3(1:2, 1ℓ)으로 용출한 후 다시 아세톤:CHCl3(1:1, 1.5ℓ)로 용출하였다. 컬럼으로부터 아세톤:CHCl3(1:1)중에서 Rf=0.33인 물질에 대응하는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건조 후, 이 물질은 백색 분말 0.74g(90%)이었으며, 목적하는 2'-O-벤조일 유도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m.p. : 82∼84℃(보정하지 않음).
C18H19N5O6·0.20 C3H6O·0.50 CHCl3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48.53; H, 4.41; N, 14.82
실측치 : C, 48.68; H, 4.54; N, 14.96.
g(ⅰ) 2-아미노-9-(5-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9-(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2.0 g, 6.7 mmol)을 500㎖ 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피리딘(2×50㎖)과 공증발시켜 건조시켰다.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1.2g, 8mmol)를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한 후, 격막을 장치하였다. 무수 아세토니트릴(20㎖)과 무수 프리딘(20㎖)을 주사기 바늘을 통해 첨가했다. 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리카겔 상에서 메탄올:CHCl3(1:10)로 TLC 한 결과 모든 출발 물질(Rf=0.05)이 소모되었고, 1개의 높은 Rf스포트가 형성되었다(Rf=0.31). 반응을 에탄올(2㎖)로 처리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용출 용매로서 메탄올 CHCl3(1:20)을 사용하여 황색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230∼400 메쉬, 5×18㎝)상에서 정제하였다. 건조후, 컬럼으로부터 백색 고체 1.6g(3.9 mmol)을 얻었다.
m.p. : 101∼103℃(보정하지 않음).
C17H29N5O5Si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49.62; H, 7.10; N, 17.02
실측치 : C, 49.36; H, 7.06; N, 16.88.
g(ⅱ) 9-(2,3-디-O-아세틸-5-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5-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5g, 3.5mmol)을 교반 막대가 장착되어 있는 화염 건조된 100㎖ 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무수 아세토니트릴(25㎖)을 첨가한 후, 트리에틸아민(5㎖)을 첨가하였다. 4-N, N-디메틸아미노피리딘(0.05g, 0.4mmol)을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한 후, 격막으로 밀폐하였다. 아세트산 무수물(0.8㎖, 8.5mmol, 증류된 순수물)을 주사기 바늘을 통해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20℃)에서 교반하고 1:20의 메탄올:CHCl3로 실리카겔 상에서 TLC 하여 검색하였다. 18시간 후에는 모든 출발 물질(Rf=0.34)이 소모되었으며 하나의 큰 생성물 스포트(Rf=0.77)가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50㎖) 중에 용해시키며 H2O(3×50㎖)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무수)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농축시켜 황색 오일 1.7g을 얻었다 .이 물질 210㎎ 부를 2㎜실리카겔 로터가 장착된 크로마토트론(Harrison Scientific)상에서 정제하였다. 로터를 아세톤:CHCl3(1:10)으로 용출하였다. 건조 후, 순수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0.16g, 0.33 mmol)로서 얻었다.
m.p. : 58∼60℃(보정하지 않음)
C21H33N5O7Si에 대한 원소 분석 :
계산치 : C, 50.89; H,6.71; N, 14.13
실측치 : C, 50.70; H,6.75; N, 13.91
g(ⅲ) 9-(2,3-디-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실릴화된 중간체인 9-(2,3-디-O-아세틸-5-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1.4g, 2.9mmol)을 THF(40㎖)중에 용해시키고 얼음 조 중에서 5℃로 냉각시켰다. 아세트산(0.25 ㎖, 16mmol)을 첨가한 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를 THF(9㎖, 9mmol)중의 1M 용액으로 첨가하였다. 5℃에서 28시간 후, 아세톤:CHCl3(1:10) 중에서 TLC 한 결과, 출발 물질(Rf=0.77)이 소모되었으며 하나의 주된 낮은 Rf스포트(Rf=0.32)가 형성되었다. 메탄올:CHCl3(1:10)중에서 TLC한 결과, Rf=0.41에서 한 스포트가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1:1의 아세톤:CHCl3(500㎖)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230∼400 메쉬, 3×5㎝)패드로 통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4㎜회전기가 장착괸 크로마토트로상에서 정제한 후, 아세톤:CHCl3(1:1)으로 용출하였다. 불순물로 테트라부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포함하는 생성물(0.95g)을 얻었다. 동일한 용매로 4㎜크로마토트론 로터상에서 생성물을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 0.877g(2.3mmol)을 얻었다.
m.p. : 100∼102℃(보정하지 않음)
C15H19N5O70.40 CHCl3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43.11; H, 4.56; N, 16.32
실측치 : C, 43.16; H, 4.69; N. 16.21.
h(i) 2-아미노-9-(2,3,5-트리-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0g, 34mmol)을 500㎖ 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피리딘(2×50㎖)과 공증발시켜 건조시켰다. 이미다졸(11g, 160mmol)을 첨가한 후,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11g, 74mmol)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하고 격막을 장치하였다.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40㎖)를 주사기 바늘을 통해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리카겔 상에서 아세톤:CHCl3(1:10)로 TLC 한 결과, 출발 물질 중 약 20%가 남아 있었고(Rf=0.05), 0.18, 0.41 및 0.75에서 3개의 높은 Rf스포트가 형성되었다. 추가로 tert-부틸 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1.0g, 6.6mmol)를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동일 용매 중에서 TLC 한 결과, 모든 출발 물질이 소모된 것으로 나타났다. 감압하에서 DMF를 제거한 후,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50㎖)와 H2O(100㎖ 및 3×50㎖)간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100㎖)로 역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건조(MgSO4)시킨 후,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CHCl3중 아세톤(1:20 내지 1:2)의 단계 구배로 용출되는 실리카겔 플래시 컬럼(5×25㎝)상에서 조생성물을 정제하였다. TLC에 의해 관측된 3개의 스포트에 대응하는 3개의 생성물 분획을 얻었다. Rf=0.75분획에서 트리실릴화된 생성물로 확인된 백색 고체 4.0g(6.2 mmol, 19%)을 얻었다.
m.p. : 63∼65℃(보정하지 않음)
C29H57N5O5Si3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54.42; H, 8.98; N, 10.94
실측치 : C, 54.36; H, 8.86; N, 10.87.
h(ⅱ) 2-아미노-9-(2,3-디-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2,3,5-트리-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2.0g. 3.1 mmol)을 250㎖ 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80% 수성 아세트산으로 처리하였다. 용액을 50℃에서 20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아세톤:CHCl3(1:10) 중에서 TLC 한 결과, 모든 출발 물질은 소모되었으며 (Rf=0.59), 생성물만이 남아있었다(Rf=0.19). 반응 혼합물에 H2O(5㎖)를 수회 첨가하면서 회전 증발기상에서 농축시켜 마지막 미량의 아세트산을 제거하고 2 시간 동안 진공 펌프상에 위치시켰다. 잔류물을 용출 용매로서 메탄올:CHCl3(1:30)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5×18㎝, 230∼400 메쉬)상에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에서 2,3-디실릴화된 유도체로 확인된 백색 고체 1.2g(2.3 mmol)을 얻었다.
m.p. : 93∼95℃(보정하지 않음).
C23H43N5O5Si2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52.54; H, 8.24; N, 13.32
실측치 : C, 52.37; H, 8.29; N, 13.22.
h(ⅲ) 2-아미노-9-(2,3-디-O-tert-부틸디메틸실릴-5-O-이소부티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2,3-디-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3g, 2.5mmol)을 화염 건조된 250㎖ 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4-N, N-디메틸아미노피리딘(0.05g, 0.4mmol)을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한 후, 격막으로 밀폐하였다. 무수 아세토니트릴(25㎖)및 트리에틸아민(5㎖)을 첨가하였다. 플라시크를 얼음 조 중에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물에 이소부티르산 무수물(0.5㎖, 3.0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상온(20℃)으로 서서히 가온하였다. 22시간 후, 메탄올:CHCl3(1:20)로 실리카겔상에서 TLC하여 반응을 검색하였다. 출발 물질(Rf=0.27)은 남아있지 않았으며 1개의 큰 생성물 스포트(Rf=0.63)가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50㎖)중에 용해시킨 후, H2O(3×50㎖)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MgSO4(무수)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농축시켜 황색 오일 1.5g을 얻었다. 이 물질 200㎎ 부를 2㎜ 실리카겔 로터가 장착된 크로마토트론(Harrison Scientific)상에서 정제하였다. 로터를 아세톤:CHCl3(1:10)으로 용출하여 건조후, 백색 고체 0.16g(0.27 mmol)을 얻었다.
m.p. : 56∼58℃(보정하지 않음)
C27H49N5O6Si2·0.05 C3H6O·0.10CHCl3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53.59; H, 8.15; N, 11.47
실측치 : C, 53.58; H, 8.23; N, 11.40
h(ⅳ) 2-아미노-9-(5-O-이소부티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실릴화된 중간체인 2-아미노-9-(2,3-디-O-tert-부틸디메틸실릴-5-O-이소부티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2g, 2.1mmol)을 THF(40 ㎖)중에 용해시키고 얼음 조 중에서 5℃로 냉각시켰다. 이세트산(0.25㎖, 16 mmol)을 첨가한 후, 트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를 THF(6㎖, 16mmol)중의 1M 용액으로 첨가하였다. 0∼5℃에서 70 시간 후, 아세톤:CHCl3(1:1) 중에서 TLC한 결과, 출발 물질이 남아 있지 않았으며(Rf=0.91) 1개의 새로운 낮은 Rf스포트가 형성되었다(Rf=0.17).
반응 혼합물을 1:1의 아세톤:CH2Cl2(1.1ℓ)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230∼400 메쉬, 2×8㎝)패드로 통과시켰다. 여과액을 황금색 잔류물로 농축시켰다. 이 잔류물을 용출제로서 아세톤:CH2Cl2(1:1)을 사용하여 4㎜ 로터가 장착된 크로마토트론상에서 정제하였다.1H-NMR 결과, 불순물로 테트라부틸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포함하는 백색 고체(0.67g)가 얻어졌다. 동일한 용매 시스템으로 재정제한 결과, 여전히 소량의 테트라부틸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함유하는 생성물(0.57g)이 얻어졌다. 순수 에틸 아세티이트로 4㎜ 크로마토트론상에서 최종 재정제한 결과, 건조후 순수한 생성물 0.44g(1.2 mmol)을 얻었다.
m.p. : 113∼115℃(보정하지 않음).
C15H21N5O6·0.20 C4H8O2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49.29; H, 5.92; N, 18.19
실측치 : C, 49.09; H, 5.97; N, 18.16.
(i) 9-(2,3,5-트리-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2.5g, 8.4 mmol)을 250㎖ 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피리딘(2×25㎖)과 공증발시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진공 펌프상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4-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0.10g, 0.8mmol)을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하며 격막을 장치하였다. 무수 아세토니트릴(50㎖)을 첨가한 후, 트리에틸아민(8.5㎖)과 아세트산 무수물(2.6㎖, 27.7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리카겔상에서 아세톤:CHCl3(1:10)로 TLC한 결과, 모든 출발 물질(Rf=0.05)이 반응하였고 1개의 높은 Rf스포트가 Rf=0.18에서 형성되었다.
반응물을 에탄올(2㎖)로 퀀칭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0㎖)와, 5% NaCO3(50㎖)간에 분해하였다. 유기층을 H2O(2×50㎖)로 세척하고 수성층을 합하여 에틸 아세테이트(100㎖)로 역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건조(MgSO4)시키고 여과한 후 농축시켰다. 조생성물을 아세톤:CHCl3(1:1)로 용출하는 실리카겔 컬럼(5×18㎝)상에서 정제하였다. 건조 후, 생성물을 백색 고체 3.38g(7.98mmol)으로 얻었다. 이 물질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헵탄으로 재결정하여 건조 후 2.97g(7.0 mmol)을 얻었다.
m.p. : 178∼180℃(보정하지 않음).
C17H21N5O8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48.23; H, 5.00; N, 16.54
실측치 : C, 48.32; H, 4.93; N, 16.24.
(j) 9-(3,5-디-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2,3,5-트리-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2.0g, 4.72mmol)을 나트륨 아세테이트(1.2g, 14.2 mmol)및 히드록실 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0.98g, 14.2 mmol)와 함께 250㎖ 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했다.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하고 교반 막대와 격막을 장치하였다. 무수 피리딘(25㎖)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7시간 동안 용액을 교반하였다. 아세톤:CHCl3(1:10)으로 실리카겔상에서 TLC한 결과, 출발 물질(Rf=0.68)은 반응했으며 1개의 낮은 스포트가 Rf=0.47에서 형성됨이 밝혀졌다. 반응물을 아세톤(20㎖)으로 처리하고 농축 건조한 후, 아세톤(10㎖)의 중에 다시 용해시킨 다음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톤(100㎖)중에 용해시키고 여과시켰다. 침전물을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여과액을 황색 오일로 농축시켰다. 조생성물을 아세톤:CH2Cl2(1:1)로 용출하는 실리카겔 컬럼(5×18㎝)상에 정제하였다. 건조 후, 생성물을 백색 고체 1.46g(3.83mmol)으로 얻었다.1H NMR 결과, 이 물질은 3,5-디아세테이트와 2,5-디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두 생성물은 디클로로메탄과 헵탄으로 재결정하면 우선 2,5-디아세테이트가 침전하면서 분리되었다. 3,5-디아세테이트는 2차 재결정화 후, 백색 결정 0.796g(2.08 mmol)으로 얻었다.
m. p. : 109∼110℃(보정하지 않음)
C15H19N5O7·0.10 CH2Cl2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46.52; H. 4.96; N, 17.96
실측치 : C, 46.31; H, 5.13; N, 17.70.
(k) 9-(2,5-디-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2,3,5-트리-O-아세틸)-β-D-6-메톡시-9H-퓨린(2.0g, 4.72 mmol)을 나트륨 아세테이트(1.2g, 14.2mmol)및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0.98g, 14.2mmol)와 함께 250㎖ 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했다.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하고 교반 막대와 격막을 장치하였다. 무수 피리딘(25㎖)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7시간 동안 용액을 교반하였다. 아세톤:CH2Cl2(1:1)으로 실리카겔 상에서 TLC 한 결과, 출발 물질(Rf=0.68)이 반응하여 1개의 낮은 스포트가 Rf=0.47에서 형성됨이 밝혀졌다. 반응물을 아세톤(20㎖)으로 처리하고 농축 건조한 후, 아세톤(100㎖)중에 다시 용해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톤(100㎖)중에 용해시키고 여과시켰다. 침전물을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여과액을 황색 오일로 농축시켰다. 조생성물을 아세톤:CH2Cl2(1:1)으로 용출하는 실리카겔 컬럼(5×18㎝)상에서 정제하였다. 건조 후, 생성물을 백색 고체 1.46g(3.83mmol)으로 얻었다.1H NMR 결과, 이 물질은 3,5-디아세테이트와 2,5-디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두 생성물은 디클로로메탄과 헵탄으로 재결정하면 우선 2,5-디아세테이트가 침전하면서 분리되었다. 2,5-디아세테이트는 2차 재결정화후 백색 결정 0.256g(0.67 mmol)으로 얻어졌다.
m.p. : 210∼212℃(보정하지 않음)
C15H19N5O7·0.40 CH2Cl2. 0.05C7H16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45.01; H, 4.94; N, 16.66
실측치 : C, 44.92; H, 4.92; N, 16.51.
l(i) 9-(2-O-아세틸-3,5-디-O-tert -부틸디에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3,5-디-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0.5g, 0.95mmol)을 화염 건조된 100㎖ 용량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4-N, N-디메틸아미노피리딘(0.01g, 0.09mmol)을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아르곤으로 세정한 후, 격막으로 밀폐하였다. 무수 아세토니트릴(25㎖) 및 트리에틸아민(5.0㎖)을 첨가하고 용액을 얼음 조 중에서 냉각시켰다. 아세트산 무수물(0.11㎖, 1.1mmol)을 주사기 바늘을 통해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1:10의 아세톤:CHCl3으로 실리카겔 상에서 TLC 하여 반응을 검색하였다. 상온에서 18시간 후, 모든 출발 물질(Rf=0.20)은 소모되었으며 하나의 큰 생성물 스포트(Rf=0.51)가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75㎖)중에 용해시켜 NaHCO3(25㎖)로 추출한 후, H2O(2×25㎖)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무수)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농축시켜 연황색 오일을 얻었다. 잔류물을 아세톤:CHCl3(1:4)로 용출하는 실리카겔 컬럼(1.25×14㎝, 230∼400 메쉬)상에서 정제하였다. 순수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0.58g, 1.0mmol)로서 단리하였다.
m.p. : 74∼76℃(보정하지 않음).
C25H45N5O6Si2에 대한 원소 분석 :
계산치 : C, 52.88; H, 7.99; N, 12.33
실측치 : C, 52.67; H, 7.90; N, 12.33.
l(ⅱ) 9-(2-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실릴화된 중간체인 2-아미노-9-〔(2-O-아세틸-3,5-디-O-tert-부틸디메틸실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0.46g, 0.8mmol)을 교반 막대와 고무 격판이 장착된 RBF에 넣었다. 테트라에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0.48g, 3.24 mmol)fm 첨가한 후, THF(40㎖)와 아세트산(0.18㎖, 3.2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얼음 조 중에서 0∼5℃로 냉각시켰다. 0∼5℃에서 48시간 후, 아세톤:CHCl3(1:10)중에서 TLC 한 결과, 출발 물질은 소모되었으며 (Rf=0.37) 1개의 주된 낮은 Rf스포트가 형성되었다(Rf=0.07).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컬럼(230∼400메쉬, 5×12㎝)상에 직접 통과시키고 1:1의 아세톤:CHCl3(300㎖)으로 용출시킨 후, 다시 5:4의 아세톤:CHCl3(900㎖)으로 용출시켰다. 건조 후, 컬럼으로부터 순순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0.21g, 0.63mmol)로서 얻었는데, 이것은 목적하는 2'-O-아세틸 유도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m.p. : 66∼68℃(보정하지 않음)
C13H17N5O6·0.40 CHCl3·0.25C3H6O 에 대한 원소 분석:
계산치 : C, 44.36; H, 4.99; N, 18.54
실측치 : C, 44.38; H. 5.27; N, 18.28.
m(i) 2-아미노-9-(2,3,5-트리-O-아세틸 -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5g, 5.05 mmol), 트리에틸아민(3.06g, 30.3mmol)및 아세트산 무수물( 2.06g, 20.2 mmol)을 실온에서 질소 대기 하에 무수 DMF 15㎖ 중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100㎖)로 희석한 후, 유기상을 10% NaHCO32×100㎖부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최전 증발시켜 제거하여 오일 2.05g(96%)을 얻었으며 이를 결정화하여 하룻밤 방치하였다.
TLC(실리카겔) 클로로포름:메탄올(90:10) Rf=0.63.
m(ⅱ)2-아미노-9-(5-O-에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2,3,5-트리-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10.0g, 23.6mmol), 무수 나트륨 아세테이트(19.4g, 236mmol) 및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16.4g, 236mmol)을 상온하에 피리딘 200㎖중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아세톤 50㎖로 희석한 후, 회전 증발에 의해 대부분의 용매를 제거하였다. 남아있는 잔류 오일을 용출제로서 CHCl3:에세톤(1:1)을 사용하여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0×75㎝, 230∼400 메쉬)하여 정제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회전 증발에 의해 농축하니 검 상태의 반 고체가 남았다. 이 반고체를 물 100㎖로 냉동건조시켜 백색 분말을 얻었다.
m.p. : 138∼140℃(보정하지 않음).
TLC(실리카겔) 클로로포름:메탄올(90:10)Rf=0.27.
C13H17N5O6·H2O에 대한 원소 분석:
실측치 : C, 43.70; H, 5.34; N,19.52,
[정제]
하기 제제 A 및 B는 각 성분을 포비돈 용액으로 습윤 과립화시킨 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고 압착시켜 제조한다.
[제제 A]
[제제 B]
[제제 C]
상기 성분(C)을 습윤 과립화시킨 후, 압착시켜 정제를 제조하였다. 또 다른 제조법에서는 포비돈 B.P.를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하기 제제 D 및 E는 부가혼합된 성분을 직접 압착하여 제조한다. 제제 E 의 락토오스는 직접 압착형(Dairy Crest-Zeparox)이다.
[제제 D]
[제제 E]
[제제 F](조절 방출성 제제)
성분(하기)을 포비돈 용액으로 습윤 과립화시킨 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고 압착시켜 제제를 제조한다.
약 6∼8시간에 걸쳐 약물 방출이 일어나며 12시간 후 완결된다.
[캅셀제]
[제제A]
캅셀제는 상기 제제 D 의 성분을 부가혼합하고 2부분으로 된 경질 젤라틴 캅셀에 충전시켜 제조한다. 제제 B(하기)는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한다.
[제제 B]
[제제 C]
Macrogol 4000 BP를 용융시키고, 활성 성분을 용융물 중에 분산시킨 후, 용융물을 2부분으로 된 경질 젤라틴 캅셀에 충전시켜 캅셀제를 제조한다.
[제제 D]
활성 성분을 레시틴과 아라키스유 중에 분산시키고 분산액을 연질의 탄성 젤라틴 캅셀내로 충전시켜 캅셀제를 제조한다.
[제제 E](조절 방출성 캅셀)
하기 조절 방출성 캅셀제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성분(a), (b) 및 (c)를 압출시킨 후, 압출물을 구상화(spheronzation)하고 건조시켜 제조한다. 건조된 펠릿을 방출 조절막(d)으로 피복한 후, 2부분으로 된 경질 젤라틴 캅셀내로 충전시킨다.
[안구용 용액]
[주사제]
멸균, 피로겐 제거된 포스페이트 완충액(pH 7.2)이 10㎖가 되도록 활성 성분을 상당량의 포스페이트 완충액(35℃∼40℃)중에 용해시킨 후 최대 부피로 만든 다음, 멸균 미세공 필터를 통해 멸균 10㎖ 용량의 황갈색 유리 바이알(타입 1)중으로 여과한 후, 멸균 뚜껑으로 밀봉하고 재밀봉하였다.
[근육내 주사제]
활성 성분을 글르코푸롤 중에 용해시킨다. 벤질 알코올을 첨가한 후, 용해 시키고 3㎖까지 물을 첨가한다. 혼합물을 멸균 미세공 필터를 통해 여과시킨 후, 멸균 3㎖용량의 황갈색 바이알(타입1)에 넣어 밀봉한다.
[시럽 현탁액]
나트륨 벤조에이트를 정제수 일부분 중에 용해시키고 소르비톨 용액을 첨가한다. 활성 성분을 첨가하고 분산시킨다. 클리세롤에 농조화제(분산성 셀롤로오스)를 첨가한다. 두 분산액을 혼합하고 정제수를 사용하여 필요한 용적으로 만든다. 현탁액을 추가로 전단하여 요구된 대로 더욱 농밀하게 한다.
[좌제]
위텝솔 H15중 15dmf 최고 45℃에서 스팀 자켓형 팬에서 용융시킨다. 활성성분을 200㎛체를 통해 체질하고 커팅 헤드가 정착된 실버손을 이용하여 연질의 분산액이 얻어질 때까지 혼합하면서 용융 기제에 첨가한다. 혼합물을 45℃로 유지시키면서, 잔여분의 위텝솔 H25 를 현탁액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균질한 혼합액을 얻는다. 전체 현탁액을 250㎛ 스테인레스 스틸 스크린을 통해 통과시키고, 계속 교반하여 45℃로 냉각시킨다. 38℃내지 40℃의 온도에서, 혼합물 2.02g을 적합한 플라시틱 주형에 충전시킨다. 좌제를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활성 성분은 적어도 입자의 90%가 63㎛ 직경 이하인 분말로서 사용된다.
상기 성분을 직접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직접 압착시켜 페사리를 제조한다.
[T 세포 성장의 선별 억제]
문헌〔Averett, D., Journal of Virological Methods, 23,(1998), 263-276〕의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B 세포(IM9)와 T 세포(Molt 4)의 성장 억제율을 시험하였다.
2-아미노--6-메톡시-9-(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화합물 1)은 인체 B-세포주(IM9)에 비하여 인체 T-세포주(Molt 4)의 성장을 선별적으로 억제한다. 이 데이타를 ara G의 선별 억제율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I50μM(성장 억제율%)]
[arg G의 생체 이용성]
ara G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8시간 동안 단식시킨 시노물거스 원숭이에게 경구 투여하였다. 각 화합물을 두 마리의 원숭이에게 제공하였다. 투여량은 27㎎/㎏의 ara G에 해당하는 양인 94μmol/㎏이었다. 이후 24시간에 걸쳐 혈액 샘플을 취하고 동일한 24시간 동안 요(尿)를 수거하였다. 혈장 추출물 중의 ara G와 요의 농도는 역사 HPLC로 측정하였다.
[ara G의 용해도 및 생체 이용성]

Claims (8)

  1. 하기 일반식(Ⅰ)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T-세포 임파구 증식성 질환 치료제.
    상기 식에서, R1은 C1-5알콕시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메톡시인 것은 T-세포 임파구 증식성 질환 치료제.
  3. 하기 일반식(Ⅰ)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 및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상기 식에서, R1은 C1-5알콕시기이고, 상기 에스테르는 그 에스테르기의 비카르보닐 부위가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 알콕시알킬 및 아르알킬 중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이다.
  4. 2-아미노-6-메톡시-9-(5-O-프로피오닐-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2-아미노-9-(5-O-부티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6-메톡시-9-(3-O-피발로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2-아미노-6-메톡시-9-(2-O-발레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2-아미노-9-(3-O-벤조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6-메톡시-9-(2-O-피발로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2-아미노-9-(2-O-벤조일-β-D-아라비노푸라노실)-6-메톡시-9H-퓨린, 2-아미노-6-메톡시-9-(5-O-발레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9-(5-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2-아미노-6-메톡시-9-(5-O-(4-메톡시-4-옥소부티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9H-퓨린, 9-(3,5-디-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9-(2,5-디-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9-(2-디-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9-(2,3,5-트리-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2-아미노-9-(5-O-이소부티릴-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및9-(2,3-디-O-아세틸-β-D-아라비노푸라노실)-2-아미노-6-메톡시-9H-퓨린 중에서 선택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
  5.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에스테르화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제3항에 따른 일반식(Ⅰ)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아실화제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효소에 의해 에스테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세포 임파구 증식성 질환 치료제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것인 T-세포 임파구 증식성 질환 치료제.
KR1019930700144A 1990-07-19 1991-07-18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KR100187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09015914A GB9015914D0 (en) 1990-07-19 1990-07-19 Heterocyclic compounds
GB9015914.6 1990-07-19
PCT/GB1991/001196 WO1992001456A1 (en) 1990-07-19 1991-07-18 Heterocyclic compou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87326B1 true KR100187326B1 (ko) 1999-05-01

Family

ID=1067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144A KR100187326B1 (ko) 1990-07-19 1991-07-18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3) US5492897A (ko)
EP (1) EP0539479B1 (ko)
JP (1) JP2873086B2 (ko)
KR (1) KR100187326B1 (ko)
AT (1) ATE151637T1 (ko)
CA (1) CA2087543C (ko)
CY (1) CY2165B1 (ko)
DE (1) DE69125715T2 (ko)
DK (1) DK0539479T3 (ko)
ES (1) ES2103311T3 (ko)
GB (1) GB9015914D0 (ko)
GR (1) GR3023776T3 (ko)
HU (2) HU9300115D0 (ko)
IE (1) IE912513A1 (ko)
IL (1) IL98881A (ko)
MC (1) MC2289A1 (ko)
MY (1) MY111871A (ko)
NZ (1) NZ239025A (ko)
PT (1) PT98371B (ko)
RU (1) RU2114860C1 (ko)
TW (1) TW208655B (ko)
WO (1) WO1992001456A1 (ko)
ZA (1) ZA9156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5914D0 (en) * 1990-07-19 1990-09-05 Wellcome Found Heterocyclic compounds
AU6771198A (en) * 1997-03-24 1998-10-20 Glaxo Group Limited Method for treating b-cell tumors with ara-g nucleoside derivatives
US6489331B1 (en) * 1998-07-02 2002-12-03 Kyowa Hakko Kogyo Co., Ltd. Remedies for diabetes
US6753322B2 (en) * 2000-06-06 2004-06-22 Pfizer Inc 2-aminocarbonyl-9H-purine derivatives
CN1300165C (zh) * 2001-11-27 2007-02-14 安那迪斯药品股份有限公司 3-β-呋喃核糖基噻唑并[4,5-d]嘧啶核苷及其应用
US7321033B2 (en) * 2001-11-27 2008-01-22 Anadys Pharmaceuticals, Inc. 3-B-D-ribofuranosylthiazolo [4,5-d] pyrimidine nucleosides and uses thereof
US20040127435A1 (en) * 2002-08-02 2004-07-0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Uses for inhibitors of inosine monophosphate dehydrogenase
AP2006003542A0 (en) * 2003-09-05 2006-04-30 Anadys Pharmaceuticals Inc Administration of TLR7 ligands and prodrugs for treatment of infection by hepatitis C virus.
GB0321613D0 (en) * 2003-09-15 2003-10-15 Drug Discovery Lab As Compounds
US20080103110A1 (en) * 2004-09-15 2008-05-01 Drug Discovery Laboratory As Compounds
JP2008519854A (ja) * 2004-11-12 2008-06-12 ノースウェスタン ユニバーシティ ヌクレオシドアナログ剤を用いて血液悪性疾患を治療する方法
JP5303149B2 (ja) 2004-12-17 2013-10-02 アナディ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ク 3,5−二置換及び3,5,7−三置換−3H−オキサゾロ及び3H−チアゾロ[4,5−d]ピリミジン−2−オン化合物及びそのプロドラッグ
US20060189543A1 (en) * 2005-02-23 2006-08-24 Rosenbloom Richard 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leukemia
ES2345904T3 (es) 2005-11-21 2010-10-05 Anadys Pharmaceuticals, Inc. Proceso para preparar 5-amino-3h-tiazolo(4,5-d)pirimidin-2-ona.
KR101461604B1 (ko) * 2006-06-22 2014-11-18 애나디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5-아미노-3-(3''-데옥시-β-D-리보퓨라노실)-티아졸로[4,5-d]파이리미딘-2,7-다이온의 프로드럭
JP5225991B2 (ja) 2006-07-18 2013-07-03 アナディ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ク チアゾロ[4,5−d]ピリミジンのカーボネート及びカルバメートプロドラッグ
CN101768197A (zh) * 2008-12-29 2010-07-07 北京德众万全药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奈拉滨的制备方法
WO2012092484A2 (en) * 2010-12-29 2012-07-05 Inhibitex, Inc. Substituted purine nucleosides, phosphoroamidate and phosphorodiamidate derivatives for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8230479A1 (ja) * 2017-06-13 2018-12-20 大原薬品工業株式会社 ヌクレオシド系抗がん剤又は抗ウィルス剤の5'位シリルエーテル誘導体
CN116370479B (zh) * 2020-12-30 2024-02-13 南方科技大学 化合物atv014在制备用于治疗新冠病毒感染的产品中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52486A1 (de) * 1970-11-20 1972-06-29 Akad Wissenschaften Dd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5'-Desoxy-5'-fluor-6-methyl-mercaptopurinribosid
US3872084A (en) * 1972-10-10 1975-03-18 Syntex Inc Purine nucleoside 3,5-cyclicphosphate compounds
US4081534A (en) * 1973-09-11 1978-03-28 Burroughs Wellcome Co. Amino purine nucleosides as autoimmune suppressant agents
GB1573777A (en) * 1977-11-03 1980-08-28 Wellcome Found 9-d-arabinonucleosides and an enzymatic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S61233696A (ja) * 1985-04-08 1986-10-1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7−ヒドロキシグアニ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腫瘍剤
GB8712745D0 (en) * 1987-05-30 1987-07-01 Wellcome Found Antiviral compounds
CA1317291C (en) * 1987-12-14 1993-05-04 Naeem Botros Hanna Antitumor 6-sulfenamide, 6-sulfinamide and 6-sulfonamide purines, purine nucleosides, purine nucleotides and related compounds
US5352669A (en) * 1990-03-13 1994-10-04 Th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6 -benzylated guanine, guanosine and 2'-deoxyguanosine compounds possessing O6 -alkylguanine-DNA alkyltransferase depleting activity
GB9015914D0 (en) * 1990-07-19 1990-09-05 Wellcome Found Heterocyclic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196091A (en) 1992-02-18
US5747472A (en) 1998-05-05
US5821236A (en) 1998-10-13
DK0539479T3 (da) 1997-08-25
US5492897A (en) 1996-02-20
MC2289A1 (fr) 1993-07-14
WO1992001456A1 (en) 1992-02-06
IE912513A1 (en) 1992-01-29
CA2087543A1 (en) 1992-01-20
DE69125715D1 (de) 1997-05-22
RU2114860C1 (ru) 1998-07-10
EP0539479A1 (en) 1993-05-05
CA2087543C (en) 1998-08-25
PT98371B (pt) 1999-01-29
JP2873086B2 (ja) 1999-03-24
ES2103311T3 (es) 1997-09-16
IL98881A0 (en) 1992-07-15
ZA915656B (en) 1993-03-31
AU641533B2 (en) 1993-09-23
GB9015914D0 (en) 1990-09-05
GR3023776T3 (en) 1997-09-30
NZ239025A (en) 1993-08-26
IL98881A (en) 1996-01-19
HUT62911A (en) 1993-06-28
EP0539479B1 (en) 1997-04-16
HU9300115D0 (en) 1993-04-28
JPH05508649A (ja) 1993-12-02
PT98371A (pt) 1992-06-30
DE69125715T2 (de) 1997-08-07
TW208655B (ko) 1993-07-01
ATE151637T1 (de) 1997-05-15
CY2165B1 (en) 2002-08-23
MY111871A (en) 200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7326B1 (ko)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US4757139A (en) 5-fluoro-2'-deoxyuridine derivative,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and antitumor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S275402B6 (en) Method of pyrimidine nucleosides preparation
JP2008523082A (ja) 抗菌活性および抗癌活性を有するヌクレオチド
GB2257704A (en) Cyclic oligonucleotides phosphorothioates
EP0173624B1 (en) 4-(guanin-9-yl) butanals and antivir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RU2194511C2 (ru) Применение 5-этинилурацила в качестве инактиватора урацилредуктазы,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силения действия или снижения токсичности 5-фторурацила
EP0497001B1 (en) Oxidized-type glutathione alkyl ester
HU211135A9 (en) Heteroatoms-containing tricyclic compounds
RU2731385C1 (ru) Макро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ие нуклеозид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и их аналоги, получение и применение
EP0180190B1 (en) 3,4-dihydrobenzopyran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2001515900A (ja) 抗ウイルス薬
EP0061283A1 (en) Antiviral agents, their preparation and use
EP0226753B1 (en) Alpha-tocopherol (halo) uridine phosphoric acid diester, salts thereof,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US4755516A (en) Antiviral compounds
EP0104857A1 (en) Deoxyuridine compounds, methods for preparing them and their use in medicine
AU641533C (en) Heterocyclic compounds
US5516921A (en) Thiono-lactone inhibitors of protein trafficking and uses therefor
IE921872A1 (en) Thioxanthenone antitumor agents
EP0080305A1 (en) Antiviral 2'-deoxyuridines, their preparation and use
JPH0686476B2 (ja) アルコキシメチリデンエピポドフィロトキシングルコシド
EP0060099A1 (en) Antiviral agents, their preparation and use
JPH04505920A (ja) 治療用ヌクレオシド
KR0180566B1 (ko) 2-아미노-6-플루오로-9-(2-하이드록시에톡시메틸)퓨린 에스테르 유도체
US5730157A (en) Method for treating viral 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