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189B1 -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189B1
KR100187189B1 KR1019960062489A KR19960062489A KR100187189B1 KR 100187189 B1 KR100187189 B1 KR 100187189B1 KR 1019960062489 A KR1019960062489 A KR 1019960062489A KR 19960062489 A KR19960062489 A KR 19960062489A KR 100187189 B1 KR100187189 B1 KR 10018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weight
propylene
rubber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396A (ko
Inventor
임양수
박봉현
김진동
장성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2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189B1/ko
Priority to JP35422097A priority patent/JP3128644B2/ja
Publication of KR1998004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고무 함량을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하고 여기에 2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 및 극성기가 함유된 변성수지를 첨가함으로써 대형제품의 사출성형시 성형성과 도장성을 개선시킨 연질의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고무 함량을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하고 여기에 2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 극성기가 함유된 변성수지를 첨가함으로써 대형제품의 사출성형시 성형성과 도장성을 개선시킨 연질의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올레핀계 고무를 주원료로 하는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비중이 작고 내충격성, 내열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내외장 부품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시 다량의 올레핀계 고무 성분을 폴리프로필렌에 혼련시키면 조성물의 유동성이 좋지 않으며, 웰드라인(weld-line)이 약하게 되어 대형사출물의 성형성이 나빠지게 되고 사출물의 외관이 불량하게 된다. 또한 조성물의 주원료인 올레핀계 고무와 폴리프로필렌이 모두 비극성 수지이므로 도장성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결정성의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하고, 프로필렌 92∼95 중량%, 에틸렌 5∼8 중량%,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7∼12 중량%이고 용융지수가 20∼40 g/10분 정도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수지를 사용하며, 여기서 올레핀계 고무로는 에틸렌-프로필렌을 사용하고, 프로필렌의 함량이 25∼45 중량%인 고무를 사용하며 강성을 높이기 위해 평균 입자크기 2∼4 ㎛의 미세탈크를 사용하고 있다. 위의 성분을 혼합하기 위해 혼련기나 압출기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용융혼련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조성물의 충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고가의 올레핀계 고무를 다량 사용하게 되고 강성을 높이기 위해 다량의 탈크를 사용하게 되어 성형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유럽특허 0557124A1에는 높은 용융지수와 고결정성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55∼75 중량% 함유하고, 30∼100 ℃ 정도의 용융온도를 갖는 결정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25∼45 중량% 함유하며, 5 ㎛ 이하의 평균 입자크기를 갖는 미세 탈크 1∼25 중량%를 사용한 초고경질의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성물의 경우 연질, 반경질 및 경질의 소재로는 부적당하다.
그밖에도 이와 관련된 특허로는 유럽특허 0531154A2, 059662A1, 0496625A2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성형성, 내충격성, 내열성 및 도장성 등의 물성을 개선한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발명하고자 연구노력한 결과,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제조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함량을 극히 높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함량을 7∼12 중량%로 제조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충격성을 보강하기 위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를 사용하고, 도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극성기가 함유된 변성수지를 사용하며, 내열성과 내후성을 개선하기 위해 적절한 첨가제를 첨가하여 성형성, 내충격성, 내열성 및 도장성 등이 우수한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함량이 7∼12 중량%인 것 22∼26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함량이 20∼30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48∼51 중량%,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 8∼26 중량%,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와 에틸렌-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 1∼3 중량%, 그리고 안료분산제 0.1∼1.0 중량%, 내후성안정제 0.3∼0.5 중량% 및 고분자량 실리콘 1∼2 중량%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2 종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함량이 7∼12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20∼30 중량%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함유하는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함량이 7∼12 중량%인 것을 전체 수지 조성물 중 22∼26 중량%로 함유하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함량이 20∼30 중량%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전체 수지 조성물 중 48∼51 중량%로 함유한다.
그런데,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중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함량이 20∼30 중량%인 것은 반응기내에서 직접 제조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반응기내에서 다량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직접 제조함으로 인해 결정성의 프로필렌 메트릭스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균일한 입자로 분산되어 있어 우수한 충격강도를 갖고 있으며, 충격보강을 위해 부가로 첨부하는 고무의 함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서 제품의 로트별 편차를 줄여 균일한 제품의 제조가 용이하다.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내에 함유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함량은 20∼30 중량%이며, 고무의 조성은 에틸렌의 함량이 40∼50 중량% 정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함량이 7∼12 중량%인 공중합체의 함량이 전체 수지 조성물 중 22 중량% 미만이면 사출성형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26 중량%를 초과하면 성형성은 증가하나 물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함량이 20∼30 중량%인 공중합체의 함량이 전체 수지 조성물 중 48 중량%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의 저온충격강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5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 조성물내의 고무 함량이 과다 증가하여 사출성형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충격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부가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를 사용하고 있으며, α-올레핀으로는 1-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을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에틸렌-α-올레핀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중 8∼26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와 에틸렌-옥텐 고무를 혼합하여 사용한 것이다. 이 중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프로필렌의 함량이 25∼45 중량% 정도이고, 용융지수는 0.5∼3 g/10분(230 ℃)인 고무를 사용하며, 그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중 8∼13 중량%이다. 또한 에틸렌-옥텐 고무는 옥텐의 함량이 20∼30 중량% 정도이고, 용융지수 0.5∼2 g/10분(230 ℃)인 고무를 사용하며 그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중 8∼13 중량%이다.
만일, 상기와 같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함량이 전체 수지 조성물 중 8 중량% 미만이면 저온충격강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13 중량%를 초과하면 사출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에틸렌-옥텐 고무의 함량이 전체 수지 조성물 중 8 중량%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의 치수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3 중량%를 초과하면 성형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의 점도를 조절하여 조성물의 사출시 고무를 표면으로 많이 돌출시키거나 상기 조성물에 변성수지를 첨가할 수 있다. 이때, 변성수지로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와 에틸렌-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을 전체 수지 조성물 중 1∼3 중량% 첨가한다.
이때, 변성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수지 조성물의 도장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그밖에 내열성 및 내후성의 향상을 위하여 첨가제로는 1차 산화방지제, 2차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UV 안정제 및 활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조성물의 도장성이 영향을 받게 되므로 적절한 첨가제를 선정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각 첨가제의 함량을 1차 산화방지제의 경우 2,000∼3,000 ppm, 2차 산화방지제 1,000∼1,500 ppm, 대전방지제 4,000∼5,000 ppm, UV 안정제 2,000∼4,000 ppm, 금속염 및 유기활제 500∼1,000 ppm 및 핵제의 경우는 2,000∼3,000 ppm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용융지수, 인장강도, 신율, 굴곡탄성율, 아이조드충격강도 및 도장접착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각각의 물성은 ASTM 측정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도장접착성의 비교는 50 × 100 × 2의 시편에 염소화폴리프로필렌 프라이머를 5∼7 ㎛로 도장한 다음 우레탄계 페인트를 20∼30 ㎛로 도장하고 85 ℃의 오븐에서 30 분간 경화후 상온에서 24 시간 방치한 다음 2 ㎜의 격자를 100개 만들어 테이프로 도장접착성을 비교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연질의 수지 조성물이므로 인장강도 및 굴곡탄성율에서 비교예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대형제품의 사출성형시 성형성과 도장성을 향상시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함량이 7∼12 중량%인 것 22∼26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함량이 20∼30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48∼51 중량%,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 8∼26 중량%,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와 에틸렌-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 1∼3 중량%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또는 에틸렌-옥텐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19960062489A 1996-12-06 1996-12-06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0187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489A KR100187189B1 (ko) 1996-12-06 1996-12-06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JP35422097A JP3128644B2 (ja) 1996-12-06 1997-12-08 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489A KR100187189B1 (ko) 1996-12-06 1996-12-06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396A KR19980044396A (ko) 1998-09-05
KR100187189B1 true KR100187189B1 (ko) 1999-05-15

Family

ID=1948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489A KR100187189B1 (ko) 1996-12-06 1996-12-06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1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123A (ko) * 1999-12-31 2001-07-06 이계안 연질의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396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8020A (en) Thermoplastic elastomers comprising ethylene-α-olefin copolymer, polypropylene and polybutene
US3562790A (en) Tri-component poly-propylene blend and method
KR100387649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EP1294803B1 (en) Polyolefin materials having enhanced surface durability
GB2206886A (en) Impact resistant olefin polymer compositions
AU619577B2 (en) Paintable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flexural properties
EP0069479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9990063394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66123A (ko)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714194B1 (ko) 고유동 고내충격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20060079247A (ko) 도장성, 반응기내 혼합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KR100187189B1 (ko)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0187190B1 (ko)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0187191B1 (ko)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0187188B1 (ko)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JP3485756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KR100187192B1 (ko) 반경질의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0187185B1 (ko)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0187187B1 (ko)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0246138B1 (ko) 자동차 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0143997B1 (ko)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노르보르넨 기재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EP0346148A2 (en) Polyethylene composition
GB2085452A (en) Olefin copolymer resin compositions
KR100439798B1 (ko)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20010060123A (ko) 연질의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