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154B1 -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154B1
KR100187154B1 KR1019960056221A KR19960056221A KR100187154B1 KR 100187154 B1 KR100187154 B1 KR 100187154B1 KR 1019960056221 A KR1019960056221 A KR 1019960056221A KR 19960056221 A KR19960056221 A KR 19960056221A KR 100187154 B1 KR100187154 B1 KR 100187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at
cushion
tension wire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471A (ko
Inventor
홍순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56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154B1/ko
Publication of KR1998003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1Seat suspension devices actively controlled suspension, e.g. electronic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4Vib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시트에 별도의 텐션와이어 및 상기 텐션와이어를 확대내지는 축소시킴으로써 차체로부터 상기 자동차 시트에 가해지는 진동을 완화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의 시트쿠션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주행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자동차 시트에서도 일정량 흡수함으로써, 자동차의 승차감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시트에 바이브레이션 센서 및 텐션와이어를 설치하여 자동차 시트의 진동이 있을 경우 상기 텐션와이어를 확장시킴으로써 진동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시트 내부에 쿠션을 설치하여 차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시트는 단지 시트 쿠션만을 설치한 수동적 충격흡수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승차감을 개선할 수 없는 곤란함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 시트에 별도의 텐션와이어 및 상기 텐션와이어를 확대내지는 축소시킴으로써 차체로부터 상기 자동차 시트에 가해지는 진동을 완화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의 시트쿠션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의 시트쿠션 구동부의 세부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시트의 측면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제어장치의 동작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제어장치11 : 시트쿠션구동부
12 : 시트쿠션13 : 지지대
14 : 모터15 : 로울러
16 : 텐션와이어17 : 진동센서
18 : 스프링19 : 플라스틱플레이트
S1 : 차체가속도센서S2 : 바이브레이션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쿠션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자제어장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차체가속도센서와 ;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차체로부터 자동차 시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쿠션프레임에 설치된 바이브레이션센서와 ; 상기 차체가속도센서 및 바이브레이션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치가 사전에 입력된 기준 설정치를 넘어서는 경우 출력단에 연결된 시트쿠션구동부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트 쿠션 제어장치에 있어서, 시트쿠션구동부는 쿠션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쿠션 소자를 지지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두 개의 지지막대와 ; 상기 지지막대 아래로 플라스틱플레이트를 사이에두고 접촉되되, 쿠션프레임 내부에 차체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텐션와이어와 ; 상기 쿠션프레임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지지막대의 외측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과 ; 상기 텐션와이어의 일끝단이 축에 감겨져서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텐션와이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모터와 ; 상기 모터의 회전축으로 사용되는 모터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차체가속도센서(S1) 및 차체로부터 자동차 시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한 바이브레이션센서(S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차체가속도센서(S1)로부터 측정된 가속도와, 상기 바이브레이션센서(S2)로부터 측정된 진동치가 사전에 저장된 기준 설정치를 넘어설 경우 그 출력단에 연결된 시트쿠션구동부(11)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장치(10)가 설치된다.
여기서, 차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은 자동차의 승차감에 매우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고, 이와같은 승차감은 스프링의 쳐짐 즉,에 영향을 받는바, 본 발명에서는 길이 ℓ을 변화시켜 차체로부터의 진동을 자동차 시트부분에서 상쇄시키려는데 인식의 기초를 두고 있다.
여기서, 상기 P는 하중, E는 종탄성계수, T는 단면계수이다.
이와같은 시트쿠션구동부(11)의 세부적인 구성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자동차 시트 내부에서 차체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쿠션프레임(12)과, 상기 쿠션프레임(12) 내부의 모서리부분에 일측이 연결되되, 타측이 지지막대(16a)와 연결된 스프링(18)과, 일측이 상기 쿠션프레임(12)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그 타측이 모터(14)의 축(14a)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로울러(15)에 감긴 텐션와이어(1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텐션와이어(16)는 상기 지지막대(16a)와 접촉되어 손상되지 않도록 플라스틱플레이트(19)가 그 접촉면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쿠션프레임(12) 외측에 설치된 지지대(13) 상에는 모터(14)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모터축(14a)에 로울러(15)가 설치되되, 도 3에서와 같이 그 위에 상기 텐션와이어(16)가 감겨져 텐션와이어(16)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같은 모터(14)에 의하여 텐션와이어(16)의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전자제어장치(10)이고, 상기 전자제어장치(10)의 동작프로그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제어장치의 동작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첫 번째 스텝으로서 상기 바이브레이션센서(S2)를 통하여 검출된 진동값이 미리 설정된 입력치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두 번째 스텝으로서 상기 차체 가속도센서(S1)를 통하여 검출된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입력치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세 번째 스텝으로서 상기 첫 번째 스텝 및 두 번째 스텝을 만족할 경우 상기 모터(14)를 동작시켜 텐션와이어(16)의 길이를 연장시키고, 상기 첫 번째 스텝을 만족하지만 두 번째 스텝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모터(14)를 역회전시켜 상기 텐션와이어(16)를 축소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터(14)를 정회전/역회전시키는 수치는 자동차 제조회사의 설계룰에 따른 변동가능한 수치이고, 차체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에 따라 상기 텐션와이어(16)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수치이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주행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자동차 시트에서도 일정량 흡수함으로써, 자동차의 승차감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Claims (2)

  1. 자동차 시트의 쿠션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차체가속도센서(S1)와 ; 상기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차체로부터 자동차 시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쿠션프레임(12)에 설치된 바이브레이션센서(S2)와 ; 상기 차체가속도센서(S1) 및 바이브레이션센서(S2)로부터 측정된 수치가 사전에 입력된 기준 설정치를 넘어서는 경우 출력단에 연결된 시트쿠션구동부(11)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장치(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쿠션구동부(11)는 쿠션프레임(12) 내부에 설치되어 쿠션 소자를 지지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두 개의 지지막대(16a)와 ; 상기 지지막대(16a) 아래로 플라스틱플레이트(19)를 사이에두고 접촉되되, 쿠션프레임(12) 내부에 차체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텐션와이어(16)와 ; 상기 쿠션프레임(12)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지지막대(16a)의 외측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18)과 ; 상기 텐션와이어(16)의 일끝단이 축에 감겨져서 상기 전자제어장치(10)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텐션와이어(16)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모터(14)와 ; 상기 모터(14)의 회전축으로 사용되는 모터축(14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
KR1019960056221A 1996-11-21 1996-11-21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 KR100187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221A KR100187154B1 (ko) 1996-11-21 1996-11-21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221A KR100187154B1 (ko) 1996-11-21 1996-11-21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471A KR19980037471A (ko) 1998-08-05
KR100187154B1 true KR100187154B1 (ko) 1999-04-01

Family

ID=1948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221A KR100187154B1 (ko) 1996-11-21 1996-11-21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840B1 (ko) * 2011-12-29 2013-07-03 현대다이모스(주) 쿠션이 가변하는 차량용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840B1 (ko) * 2011-12-29 2013-07-03 현대다이모스(주) 쿠션이 가변하는 차량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471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861B1 (ko) 서스펜션제어장치
KR970005696A (ko) 자동차 현가 장치 제어 시스템
KR100187154B1 (ko) 자동차의 시트쿠션 제어장치
KR0160577B1 (ko) 차량 현가 제어 시스템
JPH0688522B2 (ja) 自動車のダッシュボード上部における助手席同乗者用エアバッグユニットの取付け装置
JP4330456B2 (ja)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及びその制御装置
JPS61112839A (ja) 弾性支持装置
KR101000150B1 (ko) 스티어링 휠의 시미 저감장치
JP3712953B2 (ja) 電動車両の走行制御装置
KR200261933Y1 (ko) 차량의소음제거장치
JPH0672119A (ja) 車両懸架装置
JP2506221Y2 (ja) 車両制御装置
JP2003194844A (ja) 車両制御装置
JP2007024550A (ja) 車両の輪荷重検出装置
KR0154040B1 (ko) 자동차 시트의 자기 부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21255557A1 (ja) 制御装置、車両及び制御方法
KR100229737B1 (ko)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상대 속도 측정 센서
JPH0253622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
JP2949709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減衰力制御装置
KR19980015655A (ko) 도로 조건 예측이 가능한 자동 서스펜션
JPH0495634A (ja) 車両振動低減装置
CN111954601A (zh) 用于确定车辆的期望速度的方法
JP3122573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20040087634A (ko) 트럭캡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53728U (ko) 전기유동유체를 이용한 엔진 진동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