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096B1 -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096B1
KR100187096B1 KR1019930031614A KR930031614A KR100187096B1 KR 100187096 B1 KR100187096 B1 KR 100187096B1 KR 1019930031614 A KR1019930031614 A KR 1019930031614A KR 930031614 A KR930031614 A KR 930031614A KR 100187096 B1 KR100187096 B1 KR 100187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weight
acid
resin composition
b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297A (ko
Inventor
박봉현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3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096B1/ko
Priority to CA002139302A priority patent/CA2139302C/en
Priority to US08/366,297 priority patent/US5599871A/en
Publication of KR95001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성 및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 열가소성 탄성체, 불소계고분자 및 아미드계 변성왁스로 이루어진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본 발명은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 열가소성 탄성체 및 불소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것이다.
최근들어 자동차용 부품을 비롯한 건축자재, 생활용품 등 외장용 부품의 도장을 위해 도료가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외부환경에 견딜 수 있는 내충격성, 고온의 도장공정에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외관개선을 위한 광택도 향상 및 균일한 강성유지를 위한 분산성 향상 등이 요구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폴리아미드-6 및 폴리아미드-66으로 대표되는 폴리아미드수지는 강도, 강성, 강인성 및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내유성, 내약품성 및 성형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도료조성물로서 애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발명으로서, 영국특허 제387903호, 제327978호 및 독일특허 제3827668호 등에 기술되어 있는 무기충전제가 강화된 결정형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은 내열성, 강성 및 칫수안정성은 우수하나 내충격성, 표면광택 및 성형성이 부족하며 비중이 높기 때문에 경량화 측면에서 미흡한 결점이 있고, 미국특허 제4923924호, 영국특허 제295103호 및 독일특허 제3834912호 등에 기술된 변성폴리페닐렌옥사이드 혹은 변성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조성물은 내충격성 및 내열성은 비교적 우수한 편이나 유동성이 극히 불량할 뿐만 아니라 내광성과 내약품성이 떨어지므로 외장소재로서의 결점을 가지고 있으며 용도가 제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2696482호의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과 이소프탈산에서 축중합된 무정형 폴리아미드와 미국특허 제3597400호의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헥사메틸렌디아민,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으로 구성된 무정형폴리아미드는 용융점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유동거동이 불량하여 성형 특히, 사출성형이 어렵다. 또, 이러한 무정형폴리아미드와 열가소성 탄성체와의 알로이(Alloy)도 마찬가지로 유동성이 불량하므로 성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노력한 결과, 폴리아미드에다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탄성체 및 표면광택과 도장성을 개량하기 위한 불소계 중합체를 배합하게 되면 기존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와 폴리아미드 공중합물 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도장성 등 제반물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55∼90 중량%, 폴리아미드 공중합물 5∼30 중량%, 열가소성 탄성체 3∼30 중량%, 불소계 고분자 1∼5중량% 및 아미드계 변성왁스 0.2∼2.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을 일정비율로 혼합 사용하고 여기에 열가소성 탄성체와 불소계 고분자를 혼합하여 도장성과 표면광택성 등 각종 물성을 개선시킨 새로운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는 이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5∼90 중량% 사용한다. 이 폴리아미드의 사용량이 55 중량% 미만이면 유동성이 증가하여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90 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아미드는 통상적으로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핀산에서 축중합된 것이지만, 유연성, 인성 및 성형성을 높이기위해 ε-카프로락탐을 20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중합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폴리아미드로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폴리아미드-6과 헥사메틸렌 디아민과 같은 몰비의 아디핀산에서 축중합된 폴리아미드-66을 들 수 있으며, 폴리아미드 공중합물로는 폴리아미드-66 성분이 80 중량%를 초과하는 폴리아미드-66/6, 폴리아미드-66/610, 폴리아미드-66/612, 폴리아미드-66/11, 폴리아미드-66/12, 폴리아미드-66/6/610, 폴리아미드-66/6/612 등의 폴리아미드-66계 공중합물과, 폴리아미드-66/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폴리아미드-610, 폴리아미드-66/폴리아미드-612, 폴리아미드-66/폴리아미드-11, 폴리아미드-66/폴리아미드-12, 폴리아미드-66/폴리아미드-69, 폴리아미드-66/폴리아미드-66/6, 폴리아미드-66/폴리아미드-66/612 등의 폴리아미드 혼합물을 열거할 수 있는바,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중의 폴리아미드-66 성분이 80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내열성과 기계적인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디아민류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지방족 디아민류와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디아민류이고, 디카본산류로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지방족디카본산류,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탄소수 6 내지 15의 락탐이나 아미노산 중에서 선택하며 축중합하여 제조된다.
상기식에서, R1과 R2는 각각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H 또는 탄소수 1 내지 3개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은 용융점도가 높기 때문에 30 중량% 보다 적게 사용되어야 하며, 만일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유동성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성형성이 불량해지고 재료비가 상승되므로 비경제적이며, 5 중량% 미만이면 목적하는 바의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상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지환족 디아민의 예로는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2-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2-에틸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3-에틸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2-프로필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3-프로필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2-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3-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2-메틸사이클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2-에틸사이클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3-에틸사이클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2-프로필사이클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3-프로필사이클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2-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실)프로판, 비스(4-아미노-3-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실)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지환족 디아민은 방향족환의 수소첨가에 의해 생성되는 사이클로헥산환의 1, 4-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아미노기와 탄소원자간에 형성되는 기하학적 이성질체, 다시 말해서 트랜스-트랜스(t-t)구조, 시스-트랜드(c-t)구조, 시스-시스(c-c)구조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t-t구조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이하, Tg라 함)는 높아지며 내열성이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c-c구조의 함량이 많으면 Tg는 저하되고 내열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성질체의 함유량은 목적이나 요구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지환족 디아민은 독립적으로 혹은 혼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때로는 헥사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헵타메틸렌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 노나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등의 탄소수 6 내지 15의 지방족 디아민계 단량체와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밖에도 Tg, 유동성, 투명성 또는 내약품성 조절등의 목적에 따라서 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2,5-비스(아미노메틸)노보난, 2,6-비스(아미노메틸)노보난, 이소포론디아민, 1,4-디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m-자일렌디아민, p-자일렌디아민 등의 지환족 및 방향족 디아민계 단량체를 소량으로 혼용할 수 있다.
또한, 디아민계 단량체와 같은 몰비로 적용할 수 있는 디카본산계 단량체로서는 아디핀산, 아제라인산, 스베린산, 세바신산, 데카노인산, 운데카노인산, 도데카노인산, 2,2,4-트리메틸아디핀산, 2,4,4-트리메틸아디핀산 등의 탄소수 6 내지 15의 지방족디카본산,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으로 대표되는 방향족 디카본산, ε-카프로락탐, ω-라우로락탐 등으로 대표되는 탄소수 6 내지 15의 락탐이나 아미노산을 열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아디핀산이다. Tg, 유동성, 투명성 또는 내약품성 조절등의 목적에 따라서는 소량의 사이클로헥산-1,3-디카본산 또는 사이클로헥산-1,4-디카본산 등의 지환족 디카본산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소프탈산이나 테레프탈산 또는 상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지환족디아민이 적어도 5몰% 이상 함유되어 있어야 한다.
만일, 상기 일반식(I)의 지환족디아민이나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이 5몰% 이상 함유되어 있지 않을 경우 만족스러운 내열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에는 상기된 디아민계 단량체나 디카본산계 단량체외에 ε-카프로락탐, ω-라우로락탐, 6-아미노카프론산, 11-아미노운데칸산 또는 12-아미노도데칸산 등의 락탐게 단량체나 아미노산계 다량체를 혼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30∼-40℃ 정도의 저온에서의 물리적 충돌 또는 자갈등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내충격성을 부여하기 위해 α, β-불포화산무수물 또는 그 유도체를 그라프트시킨 에틸렌계 열가소성탄성체 즉,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8의 올레핀류 또는 아크릴계 산이나 그 유도체, 비닐계 단량체 또는 통상 10 몰% 이하의 저비율의 디엔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성분이 부가중합된 것을 3∼30 중량% 사용하는데, 만일 이 열가소성 탄성체의 사용량이 3 중량% 미만이면 저온내충격성이 저하되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급격히 저하되고 유동성이 저하되어 성형성, 특히 사출성형성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탄소수 3 내지 8의 올레핀의 종류로서는 프로필렌, 부틸렌, 부타디엔, 1-펜텐, 이소부틸렌, 4-메틸-1-펜텐, 이소프렌, 1-헥센, 1,3-헥사디엔, 1,4-헥사디엔 또는 1-헵텐 등을 열거할 수 있으며, 아크릴계 산 및 그 유도체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그리시딜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그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금속염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비닐계 단량체로서는 스틸렌, α-메틸스틸렌,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염화비닐 등을 열거할 수 있으며, 디엔계 단량체로서는 1,3-사이클로헥사디엔, 1,4-사이클로헥사디엔, 부타디엔, 사이클로펜타디엔, 1,3-펜타디엔, 2,4-헥사디엔, 2,5-노보나디엔, 2-에틸-2,5-노보나디엔 또는 2-(1'-프로페닐)-2-노보넨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이러한 범주에 드는 열가소성 탄성체로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이 공지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계 단량체에서 부가중합된 공중합 탄성체에 α,β-불포화산무수물을 그라프트시킨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상기한 열가소성 탄성체에 그라프트되는 α,β-불포화무수물 또는 α,β-불포화산이나 그 유도체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콘산, 무수시트라콘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메틸말레인산, 푸말산, 메틸푸말산, 에틸푸말산, 말레인산디메틸 또는 말레인산 디에틸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불소계 고분자로는 표면광택과 도장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다음 일반식(Ⅱ)에서 표시된 화합물군에서 선정된 1종 이상의 불소화합물 40∼100 중량%와 탄소수 2 내지 8의 올레핀, 즉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부타디엔, 1-펜텐, 이소부틸렌, 4-메틸-1-펜텐, 이소프렌, 1-헥센, 1,3-헥사디엔, 1,4-헥사디엔 또는 1-헵텐 중에서 선정된 1종 이상의 올레핀 60∼0 중량%에서부터 부가중합된 불소계 고분자를 용융 혼련시킨 것을 1∼5 중량% 사용하였는데, 이 불소계 고분자는 그 자체의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 수지조성물의 내열성을 높여주는 효과도 있다.
여기서, 불소계 고분자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목적하는 바의 효과를 얻기 어렵고 5 중량%를 초과하면 그 효과향상에 비해 고가이어서 경제적이지 못하고, 또한 유동성이 불량해지므로 가공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여기서, R1, R2및 R3는 H 또는 F 이고, R4는 F, Cl, CF3또는 CF2CF3이고, R1, R2, R3또는 R4중 적어도 하나는 플루오르기이다.
이와같은 불소계 고분자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에서 공중합된 것(FEP),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PVD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과 에틸렌에서 공중합된 것(ETF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과 에틸렌에서 공중합된 것(ECTFE),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VDF)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에서 공중합된 것(VDF/HFP), VDF 및 펜타플루오로프로필렌(PFP)에서 공중합된 것(VDF/PFP), VDF 및 HFP와 PFP에서 공중합된 것(VDF/HFP/PFP), VDF 및 HFP 와 TFE에서 공중합된 것(VDF/HFP/TFE), VDF 및 PFP와 TFE에서 공중합된 것(VDF/PTF/TFE), VDF 및 CTFE에서 공중합된 것(VDF/CTFE) 또는 TFE와 프로필렌과의 공중합물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는 여타의 특성을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아미드계 변성왁스, 가공안정제, 열안정제, 광안정제와 노화안정제로서 아로마틱아민계안정제, 니켈계 안정제, 힌더드페놀릭계 안정제, 인계 안정제 또는 유황계 안정제등을 첨가할 수 있고 안료, 염료, 결정핵제, 무기충전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활제, 이형제, 가소제 또는 광택제 등과 같은 플라스틱 첨가제들이 첨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미드계 변성왁스는 본 발명에서 0.2∼2.5 중량% 첨가되는데 그 첨가량이 0.2 중량% 미만이면 표면광택성이 저하되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위와같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면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특히 도장성, 분산성, 가공성, 성형성 및 표면광택성이 뛰어나 외장용 플라스틱 부품에 아주 유용하게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 및 열가소성 탄성체는 다음과 같다.
(1) 폴리아미드
① 폴리아미드 I(C-PAⅠ) : 헥사메틸렌디아민과 동몰비의 아디핀산으로 구성된 폴리아미드로서 상대점도(95% 황산, 25℃) 2.6이고 융점이 260℃였다.
② 폴리아미드 Ⅱ(C-PAⅡ) : 헥사메틸렌디아민과 동몰비의 아더핀산이 90 중량%이고, ε-카프로락탐이 10 중량%로 구성된 폴리아미드로서 상대점도(95% 황산, 25℃) 2.7이고 융점이 240℃였다.
(2) 폴리아미드 공중합물
① 폴리아미드 공중합물 Ⅰ(A-PAⅠ) :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프로판 40몰%와 헥사메틸렌디아민 10 몰%와 이소프탈산 15 몰%와 테레프탈산 5 몰%와 아제라인산 30 몰%로 구성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로서 용융점도(280℃, 5000 1/sec) 5600포이즈이고 유리전이온도 180℃이였다.
② 폴리아미드 공중합물 Ⅱ(A-PAⅡ) :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 40 몰%와 아디핀산 40 몰%와 ω-라우로락탐 20 몰%로서 구성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로서 용융점도(280℃, 5000 1/sec) 7500포이즈이고 유리전이온도 146℃였다.
③ 폴리아미드 공중합물 Ⅲ(A-PAⅢ) : 2,2,4- 및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1:1) 혼합물 35 몰%와 헥사메틸렌디아민 15 몰%와 테레프탈산 50 몰%로 구성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로서 용융점도(280℃, 5000 1/sec) 6000포이즈이고 유리전이온도 155℃였다.
(3) 열가소성 탄성체
① 열가소성 탄성체(TPE Ⅰ) : 1.0 중량%의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 및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인 엑슬러 1801, 1803(벨기에 엑손케미칼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② 열가소성 탄성체(TPE Ⅱ) : 에틸렌 및 1-부텐으로 구성된 공중합체 72 중량%와 폴리스틸렌 28 중량%로 구성된 블록공중합체에 2.0 중량%의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크레이톤 FG 1901 X(미국 쉘케미칼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 13, 비교예 14 ∼ 22]
다음 표 1의 배합비율에 따라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공중합물, 열가소성 탄성체 및 불소계 고분자를 헨셀믹서에서 건식 혼합하고 이축 압출기(내경 30mm, L/D=30)에서 용융혼련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때의 용융온도는 270∼300℃였으며 스크류 회전속도는 250회/분, 토출속도는 25kg/시간으로 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펠렛은 120℃의 질소실링 오븐에서 6시간 이상 건조하여 함수율이 0.1% 이하가 되게한 후 사출방법에 의하여 시편을 제작하여 각종 물성측정을 하여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주) (1) ETFE - 에틸렌과 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TFE)의 중합체로서 미국 오시몬트(AUSIMONT)사 제품 HALON ET101을 사용함.
(2) AMW - 아미드계 변성왁스(Amid Modified Wax)로서 미국 오시몬트사 제품을 사용함.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대하여 50 × 80mm(두께 3mm) 크기의 시편을 만들어 도장성등 제반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주) (1) 도장성 :
① 내열사이클(CYCLE)성 : 80℃ x 3시간→실온 x 1시간→-30℃ x 3시간→실온 x 1시간→50℃, 98%RH x 15시간→실온 x 1시간을 1사이클로 하여 5사이클 실시후 도막결함(도막의 변색, 광택저하, 갈라짐, 부품음, 박리, 용출, 경도변화, 부착성 저하등)이 없을 것
② 내알칼리성 : 0.lN 규정의 수산화나트륨을 0.2㎖ 시험편에 떨어트리고, 온도 20 ± 2℃, 습도 0.5 ± 5% 중에 24시간 방치한 후, 꺼내어 물로 씻어내고 공기를 씐(AIR BLOW)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다음, 도막의 외관 변화를 조사하여 도막결함이 없어야 함
③ 내왁스(WAX) 리무버(REMOVER)성 : 시험편의 약 ½을 다음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시험을 행하고, 꺼낸 후 즉시 외관 변화를 조사하여 도막결함이 없어야 함
④ 내도막오염성 : 뚜껑이 부착되어 있고, 입구가 넓은 3ℓ용량의 병속에 시트(SHEET)재로 사용되고 있는 우레탄(URETHANE)재 약 25g을 1cm 크기의 조각으로 절단하여 넣고, 40 × 50mm크기의 시험편을 우레탄재에 접촉하지 않도록 도막면을 위로하여 넣는다. 뚜껑을 닫고, 80℃의 분위기하에서 22시간 방치한 후 꺼내서 도막외관을 조사하고, 물에 적신 자제로 도막면을 약 500g의 힘으로 10왕복 문질러서 도막의 상태를 조사한다.
(2) 내광성(또는 내후성) : 미국 아틀라스사 제품인 촉진내후시험기를 이용하여 카본(CARBON), 아크(ARC) 63 ± 3℃ 챔버(CHAMBER)에서 48분동안 폭로 후, 12분간 물을 분산하는 사이클(CYCLE) 조건에서 1200 시간 경과시킨후 변색, 표면크랙 및 변형상태를 관찰함.
(3) 도장후 내수성 : 40℃ 물속에 240시간 (또는 500시간) 침지후 꺼내어 물기를 닦아내고 1차 도막상태를 조사하고, 칼로 도막에 바둑판 눈금(1mm × 1mm, 100개)을 만들어 그 위에 비닐테이프로 완전하게 밀착시켜 붙인다음, 떼어낸 후 박리 유무를 조사함.
(4) 표면광택 : 60°그로스메터(GLOSS METER)로 측정함.

Claims (1)

  1.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지방족 디아민과 아디핀산으로 이루어진 폴리아미드 55∼90 중량%,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지방족 디아민과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아젤라인산 중에서 선택된 디카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아미드 공중합물 5∼30 중량%,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되어 있는 에틸렌계 열가소성 탄성체 3∼30 중량%, 다음 일반식(II)로 표시되는 불소화합물 또는 탄소수 2 내지 8의 올레핀이 부가중합된 불소계 고분자 1∼5 중량%, 및 아미드계 변성왁스 0.2∼2.5 중량%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상기 일반식(I)에서 R1과 R2는 각각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H 또는 탄소수 1 내지 3개의 알킬기이다.
    상기 일반식(II) R1, R2및 R3은 H 또는 F이고, R4는 F, Cl, CF3또는 CF2CF3이고, R1, R2, R3및 R4중 적어도 하나는 F이다.
KR1019930031614A 1993-12-30 1993-12-30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187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614A KR100187096B1 (ko) 1993-12-30 1993-12-30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CA002139302A CA2139302C (en) 1993-12-30 1994-12-29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painting and surface-polishing properties
US08/366,297 US5599871A (en) 1993-12-30 1994-12-29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painting and surface-polishing proper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614A KR100187096B1 (ko) 1993-12-30 1993-12-30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297A KR950018297A (ko) 1995-07-22
KR100187096B1 true KR100187096B1 (ko) 1999-05-15

Family

ID=1937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614A KR100187096B1 (ko) 1993-12-30 1993-12-30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99871A (ko)
KR (1) KR100187096B1 (ko)
CA (1) CA213930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3734A (en) * 1995-10-19 1998-06-09 Nachtman; Thomas J. Method for containing 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substrate
US6127478A (en) * 1997-07-25 2000-10-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lends of grafted fluoropolymer and polyamide
DE69826379T2 (de) * 1997-07-25 2005-09-2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 Wilmington Zusammensetzungen aus gepfropftem Fluorpolymer und Polyamid oder Polyester
US5959015A (en) * 1998-06-23 1999-09-2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Conductive modification of paintable mold-in color capable, thermoplastic olefin formulation
US20080132636A1 (en) * 2004-06-03 2008-06-05 Gilbert Ross Nylon monofilaments and process for preparing nylon monofilaments for the production of spiral fabrics and seam wires
JP4661205B2 (ja) * 2004-12-16 2011-03-30 旭硝子株式会社 含フッ素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US20080182938A1 (en) * 2007-01-25 2008-07-31 Heping Zhang Toughened monofilaments
EP2423263A1 (de) 2010-08-27 2012-02-29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und daraus hergestellte Gegenstände
CN116157475A (zh) * 2020-09-01 2023-05-23 索尔维特殊聚合物意大利有限公司 氟聚合物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7476A1 (de) * 1984-05-11 1985-11-14 Bayer Ag, 5090 Leverkusen Polyamid-formmassen mit hohen zaehigkeiten
US4923924A (en) * 1985-12-06 1990-05-08 Borg-Warner Chemicals, Inc. Thermoplastic impact modified polyamide-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
US4732938A (en) * 1985-12-06 1988-03-22 Borg-Warner Chemicals, Inc. Thermoplastic polyamide--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s
US4798865A (en) * 1985-12-06 1989-01-17 Borg-Warner Chemicals, Inc. Thermoplastic polyamide--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s
US4966941A (en) * 1987-07-14 1990-10-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ylon compositions for blowmolding
DE4102104A1 (de) * 1991-01-25 1992-07-30 Bayer Ag Flammgeschuetzte, nicht tropfende polyamidformmas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99871A (en) 1997-02-04
KR950018297A (ko) 1995-07-22
CA2139302A1 (en) 1995-07-01
CA2139302C (en) 199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5432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US4404317A (en) Polyamide blends
US5436294A (en) Polyphthalamide blends
JPS6354308B2 (ko)
EP0070001A1 (en) Polyamide blends
GB2060649A (en) Co-grafted polymers
KR20020058165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제품
KR100187096B1 (ko) 도장성과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US20040116579A1 (en) Aromatic polyamid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balance of toughness and stiffness
AU663704B2 (en) Flexible thermoplastic compositions comprising nylon
EP0386110B1 (en) Polyamide compositions having nitrile rubber and copolymer of ethylene and alpha-olefin therein
US6077906A (en) Nylon modifiers hauling enhanced flow properties
KR0133357B1 (ko) 자동차외장용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CS234028B2 (en) Thermoplastic moulding material
JPH07304948A (ja) 熱可塑性成形材料
JPS59126461A (ja) ポリアミド組成物
EP1106652A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U631939B2 (en) Thermoplastic composition based on a vinyl aromatic copolymer and a polyamide resin
CN1714124A (zh) 热塑性树脂组合物、车辆外装饰用成型品用热塑性树脂组合物、车辆外装饰用成型品、及车辆外装饰用成型品的制造方法
KR100604743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7343312B2 (ja) 繊維強化半芳香族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20030027219A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0648806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3170306B2 (ja) ポリアミド・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H04270758A (ja) 強化ポリアミド・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