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664B1 - 냉각 쇼우 케이스 - Google Patents

냉각 쇼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664B1
KR100186664B1 KR1019960058155A KR19960058155A KR100186664B1 KR 100186664 B1 KR100186664 B1 KR 100186664B1 KR 1019960058155 A KR1019960058155 A KR 1019960058155A KR 19960058155 A KR19960058155 A KR 19960058155A KR 100186664 B1 KR100186664 B1 KR 100186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storage
air
cold ai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303A (ko
Inventor
히로시 다니구찌
호사꾸 하마다
가즈오 가또
마사끼 야노
Original Assignee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 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970028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3Air curtain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간막이판의 착탈이 용이한 냉각 쇼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냉각 쇼우 케이스(1)는 단열 상자체(11)와, 이 단열 상자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냉각되어 있는 저장실(16)을 구비하고 있다. 단열 상자체의 상부벽(8)과 저장실의 천장판(12)은 간격을 갖고, 그 공간에 상부 냉기 유로(41)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단열 상자체의 저부벽(10)과 저장실의 마루판(14a, 14b)은 간격을 갖고, 그 공간에 하부 냉기 유로(23)가 형성되어 있다. 대략 수직한 간막이판(19,20)이 저장실을 복수의 구획(16a, 16b)으로 분할하고 있다. 천장판에는 간막이판의 상단부가 끼워 넣어지는 오목부(57)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마루판은 저장실의 각 구획 마다 착탈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마루판의 적어도 일부에는 일단부에 간막이판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 받침(53)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냉각 쇼우 케이스
본 발명은 저장실의 개구에 공기 커텐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냉각 쇼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냉각 쇼우 케이스는 슈퍼마켓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것이지만, 예를 들어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평3-43580호 공보(F25D17/0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면에 상품 취출용 개구를 구비한 저장실을 마련하고, 이 저장실의 배면에 덕트를 구획 형성하는 동시에, 냉각기와 열교환된 냉기를 이 덕트를 거쳐 상기 개구 상부의 냉기 토출구로부터 개구 하부의 냉기 흡입구로 향해 토출함으로써, 개구에 공기 커텐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공기 커텐은 저장실의 개구로부터 외기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 또는 억제하는 동시에, 그 냉기의 일부를 저장실내로 순환하여, 저장실내에 진열된 식품 등의 상품을 소정의 냉장 또는 냉동 온도로 냉각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냉각 쇼우 케이스가 예를 들어 쇼우 케이스[비냉(非冷)을 포함] 열의 후단, 소위 곤돌라 엔드에 설치되는 경우나, 고립하여 설치되는 경우(아일랜드 설치)등에는 종래와 같이 배면에 덕트를 형성하고, 전면에 공기 커텐을 형성하는 방식에서는 냉각 쇼우 케이스의 후면이 노출해버려, 상품 진열 효과에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점포에 있어서 곤돌라 엔드에 설치되는 경우 등에 상품 진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냉각 쇼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냉각 쇼우 케이스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로서, 제3도의 Ⅱ-Ⅱ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요부 확대도.
제5도는 제2도의 Ⅴ-Ⅴ단면의 요부 확대도.
제6도는 간막이판의 지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7도는 마루판의 착탈 시의 설명도.
제8도는 제2 실시 형태의 종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횡단면도.
제10도는 간막이판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흡입판을 설치한 제2도의 Ⅳ-Ⅳ 단면의 요부 확대도.
제12도는 흡입판을 설치한 제2도 및 제13도의 Ⅰ-Ⅰ 단면도.
제13도는 제2도의 Ⅳ-Ⅳ 단면의 요부 확대도.
제14도는 흡입판의 부착 상태의 설명도로써, (a)가 정규 상태의 도면, (b)가 부착 위치를 달리한 경우의 도면.
제15도는 오설치 방지용의 돌출 부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쇼우 케이스(냉각 쇼우 케이스) 8 : 상부벽(단열 상자체)
9 : 측벽(단열 상자체) 10 : 저부벽(단열 상자체)
11 : 단열재(단열 상자체) 12 : 수납고내 천장판
14 : 수납고내 마루판 16 : 진열실(저장실)
16a : 구획실(구획) 16b : 구획실(구획)
17 : 상품 취출용 개구 19 : 간막이판
20 : 간막이판 23 : 냉각실(하부 냉기 유로)
25 : 송풍기 26 : 냉각실내 덕트
27 : 냉각실내 덕트 28 : 제1 냉각기
32 : 하부 커버 부재(커버) 36 : 수직 덕트
37 : 제2 냉각기 41 : 천장부 수평 덕트(상부 냉기 유로)
46 : 공기 커텐 48 : 흡입구
53 : 지지 받침 55 : 풍량 조정판
7 : 오목홈(오목부) 63 : 돌출 부재
64 : 간막이판내 유로 66 : 토출용 개구(토출구)
청구항 1의 발명의 냉각 쇼우 케이스는, 단열 상자체와, 이 단열 상자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에 상품 취출용의 개구를 구비한 저장실과, 이 저장실과 구획된 덕트를 구비하고, 냉각 장치의 냉각기와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덕트를 거쳐 상기 개구에 토출함으로써, 개구에 공기 커텐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저장실의 측방에 상기 덕트를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의 냉각 쇼우 케이스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장실은 전면 및 후면에 개구를 구비하고, 덕트를 거친 냉기를 상기 각 개구에 분배하고, 양 개구에 공기 커텐을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의 냉각 쇼우 케이스는, 적어도 전면 및 후면에 상품 취출용 개구를 구비한 저장실과, 상기 각 개구의 상부에 형성된 흡기 토출구와, 상기 각 개구의 하부에 형성된 냉기 흡입구와, 상기 저장실의 측방에 구획 형성되고 상기 각 냉기 토출구 및 냉기 흡입구에 연통한 덕트를 구비하고, 냉각 장치의 냉각기와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덕트를 거쳐 상기 각 냉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각 냉기 흡입구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상기 각 개구에 공기 커텐을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의 냉각 쇼우 케이스는, 단열 상자체와, 이 단열 상자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에 상품 취출용의 개구를 구비한 저장실과, 이 저장실과 구획된 덕트를 구비하고, 냉각 장치의 냉각기와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덕트를 거쳐 상기 개구에 토출함으로써, 개구에 공기 커텐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단열 상자체의 상부벽과 상기 저장실의 천장판은 간격을 갖고, 그 공간에 상부 냉기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단열 상자체의 저부벽과 상기 저장실의 마루판은 간격을 갖고, 그 공간에 하부 냉기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장실을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대략 수직한 간막이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천장판에는 상기 간막이판의 상단이 끼워넣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상기 마루판은 저장실의 각 구획 마다에 착탈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마루판의 적어도 일부에는 일단부에 상기 간막이판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 받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의 냉각 쇼우 케이스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받침이 흠통 구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의 냉각 쇼우 케이스는, 상품을 저장하는 저장실과, 이 저장실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품 취출용 개구와, 이 상품 취출용 개구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커텐과, 상기 저장실을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대략 수직한 간막이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고, 상기 간막이판의 내부에는 냉기가 흐르는 간막이판내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간막이판내 유로로부터 상기 구획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상기 간막이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의 냉각 쇼우 케이스는, 단열 상자체와, 이 단열 상자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저장실과, 이 저장실의 마루판과, 상기 단열 상자체의 저부벽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냉각기를 구비한 것이고, 상기 냉각기와 상기 저부벽 사이에 커버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커버는 상기 냉각기 및 상기 저부벽과 각각 간격을 갖고 있는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의 냉각 쇼우 케이스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마푸판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저장실로부터 상기 냉각기로의 공기 유로로 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의 냉각 쇼우 케이스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냉각기와는 별도로, 제2 냉각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와 상기 저부벽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저장실로부터 상기 제2 냉각기로의 공기 유로로 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의 냉각 쇼우 케이스는, 적어도 전면에 상품 수납 및 취출용 개구를 구비하고 있는 저장실과, 상기 상품 수납 및 취출용 개구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커텐과, 상기 저장실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냉각실과, 상기 공기 커텐의 냉기를 상기 냉각실로 흡입하는 흡입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실의 전단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설최되어 있는 흡입판을 구비한 것이고, 상기 냉각실에는 좌우 방향의 한쪽에 치우쳐서 송풍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또 상기 냉각실의 좌우 방향의 다른쪽 단부에는 수직 덕트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와 상기 수직 덕트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공기류를 상기 수직 덕트로 인도하는 냉각실내 덕트가 설치되고, 이 냉각실내 덕트에는 냉각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좌우 방향의 상기 다른쪽으로부터 한쪽으로 갈수록 상기 흡입판에서의 냉기 흐름의 단면을 감소시키고 있는 풍량 조정판이 상기 흡입판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11의 발명의 냉각 쇼우 케이스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은 상기 냉각실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흡입판에 상기 풍량 조정판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12의 발명의 냉각 쇼우 케이스는, 적어도 전후 양면에 각각 상품 수납 및 취출용 개구를 구비하고 있는 저장실과, 상기 전후의 상품 수납 및 취출용 개구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공기 커텐과, 상기 저장실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냉각실과, 이 냉각실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각각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설치되어 있는 흡입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후의 흡입판은 각각 상기 공기 커텐의 냉기를 상기 냉각실로 흡입하는 냉기 흡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고, 상기 냉각실에는 좌우 방향의 한쪽에 치우쳐서 송풍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또 상기 냉각실의 좌우 방향의 다른쪽 단부에는 수직 턱트가 항하 방향을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와 상기 수직 덕트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공기류를 상기 수직 덕트로 인도하는 냉각실내 덕트가 설치되고, 이 냉각실내 덕트에는 냉각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좌우 방향의 상기 다른쪽으로부터 한쪽으로 갈수록 상기 흡입관에서의 냉기 흐름의 단면을 감소시키고 있는 풍량 조정판이 상기 각 흡입판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후의 흡입판이 상기 냉각실의 정규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풍량 조정판의 설치는 저지하지 않고, 상기 전후의 흡입판이 전후 틀리게 하여 설치되는 경우네는 상기 풍량 조정판에 맞닿아서, 그 설치를 저지하는 오설치 방지용 돌출부재가 설치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냉각 쇼우 케이스 제1실시 형태를 제1도 내지 제11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냉각 쇼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로서, 제3도의 Ⅱ-Ⅱ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Ⅲ-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2도의 요부 확대도이다. 제5도는 제2도의 Ⅴ-Ⅴ단면의 요부 확대도이다. 제6도는 간막이판의 지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7도는 마루판의 착탈 시의 설명도이다.
먼저 처음에, 냉각 쇼우 케이스의 개요를 설명한다.
청량 음료, 도시락, 햄, 과일 등의 각종 상품을 진열하는 냉각 쇼우 케이스로서의 냉장이나 냉각 오픈 쇼우 케이스(1)의 하부에는 기계실(3)이 배치되어 있다. 이 기계실(3)에는 응축기(4), 응축기용의 송풍기(5) 및 압축기(도시되지 않음)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쇼우 케이스(1)의 상부벽(8), 우측이 측벽(9) 및 기계실(3)과의 격벽인 저부벽(10)은 세 측면이 개방된 단열 상자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발포 합성 수지, 예를 들어 결질의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단열재(11)로 되어 있다.
이 단열재(11)의 내면으로부터 적당한 간격을 갖고, 도장 강판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녹이 없는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진 수납고내 천장판(12), 수납고내 벽판(13) 및 수납고내 마루판(14)이 배치되어 있다. 또, 오픈 쇼우 케이스(1)의 좌측면에는 투명한 이중 유리판으로 된 측판(15)이 배치되어 있다. 이 수납고내 천장판(12), 수납고내 벽판(13), 수납고내 마루판(14) 및 측판(15)으로 둘러싸인 저장실로서의 진열실(16)에는 전면 및 후면에 상품 수납 및 취출용 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진열실(16)에는 좌우 한쌍의 지주(18)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 이 지주(18)사이에는 투명한 주 간막이판(19)이, 또 좌측 지주(18)의 좌측에는 투명한 보조 간막이판(20)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간막이판(19, 20)이 진열실(16)을 한쌍의 구획, 즉 전면쪽 구획실(16a) 및 안쪽 구획실(16b)로 대략 등분하여 분할하고 있다. 이 전면쪽 구획실(16a) 및 구획실(16b)에는 각각 상품 진열 선반(21)이 좌우 한쌍의 지지 브래킷(22)에 지지되어, 다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납고내 마루판(14)과 저부벽(10) 사이의 공간은 냉각실(23)이며, 이하부 냉기 유로인 냉각실(23)의 세 방향의 주위는 키가 낮은 단열벽(24)으로 덮혀있고, 나머지 우측면은 전술한 측벽(9)이 폐쇄하고 있다. 이 냉각실(23)의 좌측 부분에는 전후 한쌍의 냉각기용 송풍기(25)기 배치되어 있으며, 이 송풍기(25)의 우측에는 상하 2단의 덕트(26, 27)가 우단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상부측의 덕트(26)에는 제1 냉각실(28)가 배치되어 있고, 제1 냉각기(28)의 전후에는 한쌍의 관판(29)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측 덕트(26)의 위쪽에는 상부 커버 부재(31)가, 한편 상부측 덕트(26)와 하부측 덕트(27) 사이에는 하부 커버 부재(3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상부 커버 부재(31) 및 하부 커버 부재(32)는 각각 우측 상방으로부터 좌측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하부 커버 부재(32)는 제1 냉각기(28) 및 저부벽(10)과는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또, 수납고내 벽판(13)과 측벽(9)사이에는 수직 덕트(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 냉기 통로인 수직 덕트(36)에는 제2 냉각기(3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냉각기(37)는 하부측 덕트(27)에 연통하고 있고, 하부측 덕트(27)로부터의 공기가 제2 냉각기(37)에 유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측 덕트(26)는 제2 냉각기(37)주위의 공간에 연통하고 있으며, 상부측 덕트(26)로부터의 공기는 제2 냉각기(37)주위를 상방으로 흐른다. 즉 제2 냉각기(37)의 전후의 측면은 관판으로, 좌측면은 도시하지 않은 좌측 커버 부재로, 우측면은 측벽(9)으로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냉각기(37) 내의 공기의 흐름과 제2 냉각기(37) 주위의 공기의 흐름은 수직 덕트(36)의 상부에서 합류하고 있다.
수납고내 천장판(12)과 상부벽(8) 사이에는 천장부 수평 덕트(4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상부 냉기 유로인 천장부 수평 덕트(41)의 일단부인 우측 단부는 수직 덕트(36)에 연통하고 있다.
전술한 냉각기(28, 37)는 기계실(3)에 배치되어 있는 응축기(4)나 압축기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 냉동 사이클이 가동하면, 냉각기(28, 37)는 저온으로 된다. 그리고, 냉각기용 송풍기(25)가 구동하면, 상부측 덕트(26) 및 하부측 덕트(27)에 공기가 유입한다. 상부측 덕트(26)에 유입한 공기는 제1 냉각기(38)에서 냉각되고, 한편 하부측 덕트(27)에 유입한 공기는 제2 냉각기(37)에서 냉각되어, 냉기로 된다. 이들 냉기는 수직 덕트(36)의 상부에서 합류하고, 천장부 수평 덕트(41)로 흘러 들어간다. 그리고, 천장부 수평 덕트(41)의 냉기는 오픈 쇼우 케이스(1)의 천장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는 토출구(44)로부터 토출하고, 상품 수납 및 취출용 개구(17)에 공기 커텐(46)을 형성하고 있다. 또, 수납고내 마루판(14)의 상품 수납 및 취출용 개구(17) 측에는 흡입구(48)가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커텐(46)을 형성한 냉기는 이 흡입구(48)로부터 냉각실(23)로 유입하여, 송풍기(25)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공기는 강제 순환되면서 진열실(16)을 냉각하고 있다.
다음에, 수납고내 마루판(14) 및 간막이판(19, 20)의 부착 구조를 제4도 내지 제7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냉각실(23)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지지보(51)가 단열벽(24)에 부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 우측의 지지보(51)의 중앙부에 좌우의 지주(18)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고내 마루판(14)은 전면쪽 구획실(16a)용의 전면쪽 마루판(14a) 및 안쪽 구획실(16b)용의 안쪽 마루판(14b)의 2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마루판(14a, 14b)의 양단부는 지지보(51)에 올려 놓여져서 지지되어 있다.
전면쪽 마루판(14a)의 간막이판(19, 20)측의 단부에는지지 받침(5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 받침(53)은 간막이판(19, 20)의 한 면에 대향하는 대략 수직한 대향부(53a)와, 간막이판(19, 20)의 하단을 지지하는 대략 수평인 지지부(53b), 이 지지부(53b)의 단부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경사져있는 경사부(53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입상부(立上部)인 경사부(53c)와 지지부(53b)가 이루는 각도는 둔각이다. 그리고, 대향부(53a)와 지지부(53b) 및 경사부(53c)로 홉 형상의 이슬받이용 홈통 구조가 구성되어 있으며, 경사부(53c)는 외측의 홈통벽으로 된다. 또, 안쪽 마루판(14b)의 간막이판(19, 20)측의 단부에는 간막이판 보유지지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간막이판 보유지지 부재(55)는 간막이판(19, 20)의 다른 면에 대향하는 대략 수직한 대향부(55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지 받침(53) 및 간막이판 보유지지 부재(55)는 수납고내 마루판(14a, 14b)의 단부를 따라 가늘고 길게 설치되어 있으나, 지주(18)에 대응하는 부분은 절결되어 있다.
한편, 수납고내 천장판(12)의 전후 방향의 대략 한 가운데에는 오목홈(57)이 좌우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홈(57)에 간막이판(19, 20)의 상단부가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간막이판(19, 20)을 쇼우 케이스(1)에 부착할 때에는 쇼우 케이스(1)를 전면쪽 마루판(14a)이 떼어져 있는 상태로 한다. 안쪽 마루판(14b)은 쇼우 케이스(1)에 올려 놓여져 있어도, 또는 떼어져 있어도 좋다. 다음에, 간막이판(19, 20)의 상단을 수납고내 천장판(12)의 오목홈(57)에 끼워 넣고, 하단을 지지보(51)에 올려 놓는다. 이렇게 해서 소정 위치에 배치된 간막이판(19, 20)의 하단을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쪽 마루판(14a)을 경사시켜서, 전면쪽 마루판(14b)의 지지 받침(53)으로 떠올린다. 그리고, 간막이판(19, 20)의 하단을 지지 받침(53)의 지지부(53b)로 지지하여, 전면쪽 마루판(14a)을 쇼우 케이스(1)에 설치하고, 제6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한다. 이렇게 해서, 수납고내 마루판(14) 및 간막이판(19, 20)은 쇼우 케이스(1)에 설치된다. 떼어낼 때에는, 전면쪽 마루판(14a)에 있어서의 지지 받침(53)이 배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들어 올려서 전면쪽 마루판(14a)을 경사지게 하고 ,지지 받침(53)을 간막이판(19, 20)으로부터 이탈시켜서 전면쪽 마루판(14a)을 떼어낸다. 다음에, 간막이판(19, 20)의 상단부를 수납고내 천장판(12)의 오목홈(57)으로부터 벗겨서 간막이판(19, 20)을 떼어낸다.
그런데, 간막이판(19, 20)에는 결로(結露)가 발생하고, 이 결로수가 낙하하여 지지 받침(53)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 지지 받침(53)은 홈통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결로수는 지지 받침(53)으로 인도되어 흐른다. 그리고, 좌측의 지주(18)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지지 받침(53)이 절결되어 있으므로, 이 지주(18)를 통하여 결로수는 저부벽(10)으로 흘러 떨어지고, 저부벽(10)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배수관을 거쳐 기계실(3)로 배수된다. 따라서, 간막이판(19, 20)의 하단으로부터 결로수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 결과, 결로수가 간막이판(19, 20) 하방의 송풍기(25)의 고장 원인으로 된다든지, 냉각기(28)를 오염시키는 일이 감소한다. 또, 냉각기(28)로 낙하하여 결빙하는 것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냉각 쇼우 케이스의 간막이판에 관한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제8도 내지 제10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8도는 제2실시 형태의 종단면도이다. 제9도는 제8도의 횡단면도이다. 제10도는 간막이판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간막이판(19, 20)은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한 이중 판(61, 6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양 판(61, 62) 사이의 공간은 냉기가 흐르는 간막이판내 유로(64)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판(61, 62)에는 토출용 개구(66)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 수납고내 천장판(12)의 오목홈(57)에는 냉기 공급용 개구(68)가 형성되어 있고, 이 냉기 공급용 개구(68)를 거쳐 천장부 수평 덕트(41)의 냉기가 간막이판내 유로(64)로 공급된다. 공급된 간막이판내 유로(64)내의 냉기는 판(61, 62)의 토출용 개구(66)를 통해 진열실(16)로 토출한다.
토출용 개구(66)는 각 상품 진열 선반(21) 상의 공간으로 냉기가 토출하도록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상품 진열 선반(21)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판(61, 62)의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다수 배열되어 있다. 그런데, 공기 커텐(46)의 냉각에서는 간막이판(19, 20)의 상부 보다도 하부 쪽이 냉각되기 어려우므로, 간막이판(19, 20)의 하방 쪽에 토출용 개구(66)를 다수 설치한다든지, 토출용 개구(66)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한다든지 할 수가 있다. 또, 마찬가지로, 간막이판(19, 20)의 폭 방향으로는 중앙부 보다도 양 단부 쪽이 냉각되기 어려우므로, 간막이판(19, 20)의 양 단부 측에 토출용 개구(66)를 다수 설치한다든지, 토출용 개구(66)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한다든지 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진열실(16)에는 전후 양면에 상품 취출용 개구(17)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상품 취출용 개구(17)에는 공기 커텐(4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진열실(16)은 간막이판(19, 20)에 의해 전후 구획, 즉 전면쪽 구획실(16a) 및 안쪽 구획실(16b)로 분할되어 있다. 그런데, 각 구획실(16a, 16b)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커텐(46)의 영향으로 각 구획실(16a, 16b) 내의 압력이 다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간막이판(19, 20)이 없는 경우에는 공기 커텐(46) 끼리 상호 영향을 미쳐 공기 커텐의 흐름이 교란되고, 외기가 진열실(16)내로 침입해 가는 일이 있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간막이판(19, 2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기 커텐(46)끼리 상호 영향을 미치는 일이 감소한다.
또, 이 간막이판(19, 20)은 투명한 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한쪽 구획실뿐 아니라 진열실(16) 전체를 볼 수가 있다. 따라서, 쇼우 케이스(1)의 진열실(16)이 깊이감이 있는 것 같이 느껴지고, 보기가 좋게 된다.
게다가, 간막이판(19, 20)의 하단 및 한 면은 한쪽 마루판(14a)의 지지 받침(53)으로 지지되고, 다른 면은 다른쪽 마루판(14b)의 간막이판 보유지지 부재(55)로 보유지지되어 있으므로, 간막이판(19, 20)의 하단이 흔들리는 일이 감소한다.
그리고, 지지 받침(53) 및 간막이판 보유지지 부재(55)는 각 마루판(14a, 14b)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간막이판(19, 20)이 쇼우 케이스(1)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간단히 각 마루판(19, 20)을 떼어낼 수가 있다. 그러나, 마루판의 두변을 따라 간막이판이 있는 경우에 마루판의 두 개의 단부에 지지 받침을 설치하면, 두 개의 지지 받침(53)에 각각 간막이판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마루판을 경사지게 할 수가 없어, 마루판을 떼어내기가 곤란하게 된다. 또, 한 개의 마루판을 저장실의 두 개의 구획에 걸쳐 설치하면, 마루판의 중앙부에 지지 받침을 설치할 필요가 있어, 마찬가지로 간막이판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마루판을 떼어내기가 곤란하게 된다.
또, 간막이판은 지지 받침의 대향부 및 지지부와, 간막이판 보유지지 부재의 대향부로 위치 결정되어 지지되고 있으므로, 나사 고정 등의 부착 작업은 불필요하다.
게다가, 지지 받침(53)은 외측의 홈통벽이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는 홈통 구조이므로, 지지 받침(53)을 간막이판(19, 20)의 하단에 간단히 착탈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냉각 쇼우 케이스에 관한 제3실시 형태에 대해 제1도 내지 제3도 및 제11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1도는 제2도의 Ⅳ-Ⅳ단면의 요부 확대도이다.
냉각기(28, 37)는 때때로 제상(除霜)을 행하며, 그 제상수가 냉각기(28,37)의 하방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제1 냉각기(28)의 제상수는 하부 커버 부재(32)로 낙하하고, 하부 커버 부재(32)의 경사를 따라 좌측으로 흐르며, 하부 커버 부재(32)의 좌측단으로부터 저부벽(10)으로 낙하하여, 저부벽(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관(51)(11도 참조)으로부터 냉각실(23)의 밖으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냉각기(28)는 단열성을 구비하고 있는 저부벽(10)과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냉각기(28)와 저부벽(10) 사이에는 하부 커버 부재(32)가 배수관(51)쪽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고, 제1 냉각기(28)로부터 낙하해 온 제상수 등은 이 경사를 따라 배수관(51)을 행해 인도된다. 또, 하부 커버 부재(32)에 생성되는 서리도 제상시 등에 녹아서, 배수관(51)으로 행해 인도된다. 이 하부 커버 부재(32)는 저부벽(10)과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저부벽(10)의 표면의 형상이나 요철에 관계없이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하부 커버 부재(32)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일이 간단히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사에 의해 제상수의 배수가 신속하게 행해진다.
또, 하부 커버 부재(32)의 하방은 저부벽(10)과 간격을 갖고 있으며, 그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고 있다. 이 공기층은 저부벽(10)보다도 단열 효율이 나쁘므로, 저부벽(10) 보다도 하부 커버 부재(32)는 제상수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한다든지, 냉각하는 작용이 적다. 따라서, 제상수가 동결한다든지, 동결한 상태를 유지한다든지 하는 일이 적고, 그 결과, 제상수의 배수가 확실히 행해진다.
특히,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부 커버 부재(32)의 하방에는 제2 냉각기(37)로 유입하는 공기가 흐르고 있다. 이 공기는 제1 냉각기(28)의 온도 보다도 상당히 따뜻하므로, 하부 커버 부재(32)는 제2 냉각기(37)로의 공기로 따뜻해지게 되어, 낙하해 온 얼음 등을 녹일 수 있는 동시에, 제상수 등이 동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냉각 쇼우 케이스에 관한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제1도 내지 제3도 및 제12도 내지 제15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2도는 냉각 쇼우 케이스에 후술하는 흡입판을 설치한 제2도 및 제13도의 Ⅰ-Ⅰ 단면도이다. 제13도는 냉각 쇼우 케이스에 후술하는 흡입판을 설치한 제2도의 Ⅳ-Ⅳ 단면의 요부 확대도이다. 제14도는 흡입판의 부착 상태의 설명도로써, (a)가 정규 상태의 도면, (b)가 부착 위치를 달리한 경우의 도면이다. 제15도는 오설치 방지용의 돌출 부재의 사시도이다.
흡입구(48)는 흡입판(53')에 다수의 개구(48a)(제14도 참조)를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흡입판(53')은 진열실(16)의 상품 수납 및 취출용 개구(17)를 따라 좌우 방향에 걸쳐 가늘고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소위 데크판인 수납고내 마루판(14)과 단열벽(24)상단에 배치된 핸드 레일(54) 사이, 즉 냉각실(23)의 전후 양단부에 가늘고 길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48a)는 가늘고 길게 흡입판(53')의 길이 방향으로 개구 면적이 대략 균등해지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구성되어 있는 흡입구(48)로부터의 냉기를 흡입하는 송풍기(25)는 제2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송풍기(25)에 가까운 개구(48a)는 냉기를 다량으로 흡입하고, 송풍기(25)로부터 떨어진 개구(48a)는 냉기의 흡입량이 적게 된다. 그 결과, 공기 커텐(46)이 불균일하게 된다.
그래서, 흡입판(53')의 하부에 제12도 및 제14도에 도시하는 풍량 조정판(55')이 설치되어 있다. 이 풍량 조정판(55')은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흡입판(53')하부에서의 간극을 감소시켜서, 냉기가 흐르는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있다. 이 풍량 조정판(55')과 둘출량, 즉 돌출폭을 송풍기(25)에 가까운 쪽을 크게 하고, 송풍기(25)에 먼 쪽을 작게 함으로써, 개구(48a)에서 흡입하는 냉기의 유량을 대략 균일하게 하고 있다. 즉, 풍량 조정판(55')은 좌측의 돌출폭을 우측의 돌출폭 보다도 크게 하여, 대략 삼각 형상을 하고 있다.
이 풍량 조정판(55')은 흡입판(53')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흡입판(53')과 일체로 오픈 쇼우 케이스(1) 본체에 착탈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흡입판(53')은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쪽의 흡입판(53')과 안쪽의 흡입판(53')에서 풍량 조정판(55')의 부착 위치가 다르며, 호환성이 없다. 즉, 제12도에 있어서, 전면쪽의 흡입판(53')의 좌우를 180도 반전(좌측을 우측으로 위치시킴)시켜서 안쪽에 부착하면, 풍량 조정판(55')의 돌출폭이 작은 쪽이 송풍기(25) 쪽으로 되어, 점점 공기 커텐(46)의 유량이 불균일하게 된다. 그래서, 흡입판(53')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61)에 제15도에 도시하는 L자형의 돌출 부재(63)를 부착 구멍(63a)에서 나사 고정하여 부착하고 있다. 흡입판(53')이 정규의 위치에올려 놓여진 때에는 제14(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풍량 조정판(55')은 이 돌출 부재(63)에 맞닿지 않고 올려 놓여질 수 있다. 한편, 흡입판(53')의 부착 위치를 전후 달리한 경우에는 제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량 조정판(55')이 돌출 부재(63)에 맞닿아서, 돌출 부재(63)가 흡입판(53')의 설치를 저지한다.
또,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라이스 레일(65)을 흡입판(53')의 상면에 흡입판(53')의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일체로 부착할 수가 있어, 이 프라이스 레일(65)은 흡입판(53')과 일체로 착탈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다수의 개구(48a)가 흡입판(53')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균등하게 배열되어 있고, 개구(48a)의 크기나 수량은 흡입판(5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대략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흡입판(53')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풍량 조정판(55')의 돌출폭은 흡입판(53')의 길이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이것을 풍량 조정판(55')을 잘라낼 때에 절단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풍량 조정판(55')은 그 돌출폭을 송풍기(25)가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부터 수직 덕트(36)쪽으로 향해 단계적으로 작게 하고 있을 뿐이므로, 풍량 조정 수단인 풍량 조정판(55')은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또, 프라이스 레일(65)이 흡입판(53')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서, 수납고내 마루판(14)에 올려 놓여져 있는 상품의 가까이에서 가격 등의 표시를 할 수가 있고, 표시를 알기가 쉽다. 이 프라이스 레일(65)은 종전에는 핸드 레일(54)에 부착되어 있었다. 그러나, 오픈 쇼우 케이스(1)의 설치 장소에 공간이 없는 경우 등에는 고객이 핸드 레일(54)의 바로 옆에 선다든지, 보행한다든지 한다. 따라서, 고객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프라에스 레일(65)은 보기가 어려운 동시에, 프라이스 레일(65)이 보행의 장애로 되고 있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핸드 레일(54) 보다는 수납고 내측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보기가 쉬운 동시에 보행의 장애로 되는 일이 적어진다.
게다가, 프라이스 레일(65)은 흡입판(5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청소등을 할 때에는 흡입판(53')을 오픈 쇼우 케이스(1)로부터 떼어내는 작업만으로, 프라이스 레일(65)도 오픈 쇼우 케이스(1)로부터 분리될 수가 있다. 그 결과, 쇼우 케이스에 있어서 빈번하게 행해지는 청소 작업 등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를 예시한다.
(1)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쇼우 케이스(1)는 전후 양면에 상품 취출용 개구(17)를 구비하고 있으나, 전면에만 상품 취출용 개구(17)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진열실(16)은 전후로 구획되어 있으나, 좌우로 구획하는 것도 가능하다.
(3)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 받침(53) 및 간막이판 보유지지 부재(55)는 수납고내 마루판(14)의 단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단속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 받침(53)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면, 홈통 구조로 되어, 결로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행해진다.
(4)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 받침(53)에는 경사부(53c)가 설치되어 있으나, 결로수의 배수를 그 대로 낙하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경사부(53c)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외측의 홈통벽인 경사부(53c) 는 수납고내 마루판(14)을 간막이판(19, 20)의 하단에 끼워넣기 쉽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대략 수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외측의 홈통벽과 지지부(53b)가 이루는 각도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5)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진열실(16)의 구획인 전면쪽 구획실(16a) 및 안쪽 구획실(16b)에 각각 한장의 마루판(14a, 14b)이 배치되어 있으나, 마루판은 각 구획 마다 적어도 한 장이 배치되어 있다면, 복수 장의 마루판을 각 구획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구획 마다 한 장의 마루판을 배치하면, 지지 받침(53)의 홈통 구조의 연속성을 간단히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배수가 도중에서 흘러 내리는 일이 감소한다.
(6)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오목부인 오목홈(57)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간막이판(19, 20)의 상단을 걸어 고정할 수 있다고 하면, 간막이판(19, 20)의 상단의 형상에 맞추어 오목부를 단속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7)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간막이판내 유로(64)는 양 구획실(16a, 16b)에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간막이판내 유로(64)를 2개 설치하여 각 구획실(16a, 16b)마다 전용의 간막이판내 유로(64)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상품 진열 선반(21)마다 전용의 간막이판내 유로(64)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8)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간막이판내 유로(64)에는 간막이판의 상방으로부터, 즉 천장부 수평 덕트(41)로부터 냉기가 공급되고 있으나, 간막이판의 측면쪽이나 하방으로부터 냉기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9)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부 커버 부재(32)의 하방에는 제2 냉각기(37)로의 공기가 흐르고 있으나, 제1 냉각기(28)로 유입하는 공기를 흐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냉각기(37)는 수직 덕트(36)에 배치되어 있으나, 냉각실(23)에 배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11)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송풍기(25)는 제1 냉각기(28)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으나,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12)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냉각기(28)는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나, 수평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13)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냉각실(23)의 한쪽인 우측의 단부에 수직 덕트(36)가, 또 냉각실(23)의 다른쪽, 즉 좌측의 부분에 송풍기(25)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한쪽을 좌측으로 하여, 수직 덕트(36)를 냉각실(23)의 좌측에, 또 송풍기(25)를 냉각실(23)의 우측의 부분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14)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품 수납 및 취출용 개구(17)는 전후 양면에 설치되어 있으나, 전면만이라도 가능하다. 또, 측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5)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풍량 조정판(55')은 흡입판(5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나, 흡입판(53')과는 별도의 부재, 예를 들어 단열벽(24) 등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흡입관(53')과 일체로 설치하면, 흡입판(53')의 착탈과 동시에 떼어낼 수 있어 편리한다.
(16)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풍량 조정판(55')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냉기가 통과하는 간극을 조정할 수 있으면, 그 배치 방향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17)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돌출 부재(63)는 지지 부재(61)에 부착되어 있으나, 다른 부재, 예를 들어 단열벽(24)등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돌출부재(63)는 L자형을 하고 있으나, 설치 위치를 틀리게 한 흡입판과 맞닿을 수가 있다면, 그 형상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18)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냉각실내 덕트(26,27)는 상하 2층으로 되어 있으나, 1층의 덕트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부측 덕트(26)에는 냉각기(28)가 설치되어 있으나, 하부측 덕트(27)에도 냉각기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19)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직 덕트(36)는 우측에 설치되어 있으나, 수직 덕트(36)를 좌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전면에 상품 취출용의 개구를 구비한 저장실의 측방에 덕트를 구획 형성하고, 이 덕트를 거쳐 상기 개구에 냉기를 토출함으로써 공기 커텐을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전면의 개구에 부가해서 후변이나 다른 측면 등에도 개구를 형성하고, 각 개구로부터 상품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소위 곤돌라 엔드에 설치되는 경우나 고립하여 아일랜드형으로 설치되는 경우 등에 상품 진열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장실이 전면 및 후면에 개구를 구비하고, 덕트를 거친 냉기를 각 개구에 분배하여 양 개구에 공기 커텐을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전후로부터 상품을 취출할 수 있게 되어, 마찬가지로 상품 진열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의 의하면, 적어도 전면 및 후면에 상품 취출용 개구를 구비한 저장실의 측방에 덕트를 형성하고, 이 덕트를 거쳐 가 개구의 상부에 형성한 냉기 토출구로부터 하부에 형성한 냉기 흡입구를 향해 냉기를 토출함으로써 공기 커텐을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저장실의 적어도 전후로부터 상품을 취출할 수 있게 되어, 소위 곤돌라 엔드에 설치되는 경우나 고립하여 아일랜드형으로 설치되는 경우등에 상품 진열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천장판에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간막이판의 상단부는 이 천장판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지는 것만으로, 소정 위치에 간단히 부착할 수가 있다. 한편, 마루판은 저장실의 각 구획 마다에 착탈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이 마루판의 적어도 일부에는 일단부에 상기 간막이판의 하단을 지지하는지지 받침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간막이판의 상단부를 천장판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지지 받침을 하방으로 하여 이 지지 받침으로 간막이판의 하단을 끌어올리도록 한 형태로 마루판을 설치한다. 이 마루판의 설치와 동시에, 이 마루판으로 간막이판의 하단을 지지할 수가 있다. 또, 마루판을 분리할 때에는 간막이판을 소정 위치에 배치한 채로 지지 받침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들어 올려,지지 받침을 간막이판의 하단으로부터 이탈시켜서, 마루판을 떼어낼 수가 있다. 그 결과, 간막이판 및 마루핀의 착탈을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청소 작업 등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지지 받침이 홈통 구조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간막이판에 발생하는 결로수가 지지 받침을 거쳐 소정의 장소로 배수된다. 따라서, 마루판의 하방의 전장품이나 냉각기 등의 기기에 결로수 등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 결과, 기기의 오염 훼손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냉각기에 물방울이 흘러 내려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홈통 구조의 지지 받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마루판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마루판과 함께 간단히 배치 또는 분리를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홈통 구조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간막이판의 내부에는 냉기가 흐르는 간막이판내 유로가 형성되어 잇고, 이 간막이판내 유로로부터 저장실의 구획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간막이판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공기 커텐만으로는 저장실을 균일하게 냉각할 수 없을 때에도, 냉기를 간막이판의 토출구로부터 보충하고 있으므로, 저장실내의 냉각 얼룩을 개선할 수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냉각기와 단열 상자체의 저부벽 사이에는 커버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커버는 상기 저부벽과 간격을 갖고 있으므로, 커버는 저부벽에 관계없이 배수에 필요한 각도로 경사져서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단열 상자체의 저부벽에 요철이 형성되더 있다든지, 저부벽의 경사가 배수하기 위해 필요한 각도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다든지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커버로 배수를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커버는 냉각기와도 간격을 갖고 있으므로, 냉각기에 의해 커버가 냉각되어 서리나 제상수가 얼어붙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커버와 저부벽 사이의 공기층은 단열성을 구비하고 있는 저부벽 보다도 단열 효율이 나쁘므로, 제상수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한다든지, 냉각하는 작용이 적다. 따라서, 제상수가 동결한다든지, 동결한 상태를 유지한다든지 하는 일이 적어진다. 그 결과, 제상수의 배수가 확실하게 행해질 수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와 상기 저부벽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저장실로부터 상기 냉각기로의 공기 유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버와 저부벽 사이에는 저장실로부터 냉각기로 유입하는 공기가 흐르고 있다. 이 공기는 냉각기의 온도 보다도 상당히 따뜻하므로, 커버는 냉각기로의 공기로 따뜻해질 수 있게 되어, 제상수가 동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냉각기와는 별도로, 제2 냉각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와 상기 저부벽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저장실로부터 상기 제2 냉각기로의 공기 유로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커버는 냉각기로의 공기로 따뜻해진다. 그리고, 이 냉각기는 커버 상방의 냉각기와는 별도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냉각기로의 공기 유로의 배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공기 유로를 그다지 굴곡시키지 않고 배치할 수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냉각실의 좌우 방향의 단부에 수직 덕트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직 덕트는 냉각 쇼우 케이스의 후면이 아니라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냉각 쇼우 케이스의 전후의 안쪽 깊이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냉각실의 좌우 방향의 한쪽에 치우쳐서 송풍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송풍기와 상기 수직 덕트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공기류를 상기 수직 덕트로 인도하는 냉각실내 덕트가 설치되고, 이 냉각실내 덕트에는 냉각기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실의 내부를 냉각기의 설치 장소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풍량 조정판이 흡입판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이 흡입판에서의 냉기 흐름의 단면을 좌우 방향의 상기 다른쪽으로부터 한쪽으로 갈수로 감소시키고 있다. 따라서, 송풍기에 가까울수록, 즉 흡입력이 강해질수록, 냉기가 흐르는 단면이 감소한다. 그 결과, 흡입판의 어떤 장소에서도 흡입 유량이 대략 일정하게 되고, 대략 균일한 공기 커텐을 얻을 수가 있어, 공기 커텐이 교란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흡입판이 냉각실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흡입판에 풍량 조정판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입판을 착탈하면, 동시에 풍량 조정판도 일체로 착탈된다. 따라서, 흡입판 하방에 존재하는 배수관 등을 청소할 때에 흡입판이나 풍량 조정판을 냉각 쇼우 케이스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있으나, 흡입판의 분리 작업으로, 동시에 풍량 조정판도 분리되므로, 풍량 조정판을 분리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그 결과, 청소 작업 등을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풍량 조정판을 일체로 설치한 흡입판이 냉각 쇼우 케이스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오설치 방지용의 돌출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런데, 풍량 조정판은 설치 방향이 정해져 있으므로, 이 흡입판에는 냉각 쇼우 케이스의 전방측에 설치하는 것과, 후방측에 설치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오설치 방지용의 돌출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입판이 잘못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게다가, 오설치 방지용의 수단이 돌출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오설치 방지 구조가 대단히 간단한 구조로 된다.

Claims (12)

  1. 단열 상자체와, 이 단열 상자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에 상품 취출용의 개구를 구비한 저장실과, 이 저장실과 구획된 덕트를 구비하고, 냉각 장치의 냉각기와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덕트를 거쳐 상기 개구에 토출함으로써, 개구에 공기 커텐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냉각 쇼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측방에 상기 덕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쇼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저장실은 전면 및 후면에 개구를 구비하고, 덕트를 거친 냉기를 상기 각 개구에 분배하고, 양 개구에 공기 커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쇼우 케이스.
  3. 적어도 전면 및 후면에 상품 취출용 개구를 구비한 저장실과, 상기 각 개구의 상부에 형성된 흡기 토출구와, 상기 각 개구의 하부에 형성된 냉기 흡입구와, 상기 저장실의 측방에 구획 형성되고 상기 각 냉각 토출구 및 냉기 흡입구에 연통한 덕트를 구비하고, 냉각 장치의 냉가긱와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덕트를 거쳐 상기 각 냉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각 냉기 흡입구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상기 각 개구에 공기 커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쇼우 케이스.
  4. 단열 상자체와, 이 단열 상자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에 상품 취출용의 개구를 구비한 저장실과, 이 저장실과 구획된 덕트를 구비하고, 냉각 장치의 냉각기와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덕트를 거쳐 상기 개구에 토출함으로써, 개구에 공기 커텐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냉각 쇼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단열 상자체의 상부벽과 상기 저장실의 천장판은 간격을 갖고, 그 공간에 상부 냉기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단열 상자체의 저부벽과 상기 저장실의 마루판은 간격을 갖고, 그 공간에 하부 냉기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장실을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대략 수직한 간막이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마루판의 적어도 일부에는 일단부에 상기 간막이판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 받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쇼우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지지 받침이 홈통 구조를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쇼우 케이스.
  6. 상품을 저장하는 저장실과, 이 저장실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품 취출용 개구와, 이 상품 취출용 개구에 형성되어 있는 겅기 커텐과, 상기 저장실을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대략 수직한 간막이판을 구비하고 있는 냉각 쇼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판의 내부에는 냉기가 흐르는 간막이판내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간막이판내 요로로부터 상기 구획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상기 간막이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쇼우 케이스.
  7. 단열 상자체와, 이 단열 상자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저장실과, 이 저장실의 마루판과 상기 단열 상자체의 저부벽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냉각기를 구비한 냉각 쇼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와 상기 저부벽 상이에 커버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커버는 상기 냉각기 및 상기 저부벽과 각각 간격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쇼우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마루판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저장실로부터 상기 냉각기로의 공기 유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쇼우 케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냉각기와는 별도로, 제2 냉각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와 상기 저부벽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저장 실로부터 상기 제2 냉각기로의 공기 유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쇼우 케이스.
  10. 적어도 전면에 상품 수납 및 취출용 개구를 구비하고 있는 저장실과, 상기 상품 수납 및 취출용 개구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커텐과, 상기 저장실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냉각실과, 상기 공기 커텐의 냉기를 상기 냉각실로 흡입하는 흡입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냉각실의 전단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설치되어 있는 흡입판을 구비한 냉각 쇼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에는 좌우 방향의 한쪽에 치우쳐서 송풍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또 상기 냉각실의 좌우 방향의 다른쪽 단부에는 수직 덕트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와 상기 수직 덕트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공기류를 상기 수직 덕트로 인도하는 냉각실내 덕트가 설치되고, 이 냉각실내 덕트에는 냉각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좌우 방향의 상기 다른쪽으로부터 한쪽으로 갈수록 상기 흐입판에서의 냉기 유량을 감소시키고 있는 풍량 조정판이 상기 흡입판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쇼우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은 상기 냉각실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흡입판에 상기 풍량 조정판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쇼우 케이스.
  12. 적어도 전후 양면에 각각 상품 수납 및 취출용 개구를 구비하고 있는 저장실과, 상기 전후의 상품 수납 및 취출용 개구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공기 커텐과, 사익 저장실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냉각실과, 이 냉각실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각각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설치되어 있는 흡입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후의 흡입판은 각각 상기 공기 커텐의 냉기를 상기 냉각실로 흡입하는 냉기 흡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냉각 쇼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에는 좌우 방향의 한쪽에 치우쳐서 송풍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또 상기 냉각실의 좌우 방향의 다른쪽 단부에는 수직 덕트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와 상기 수직 덕트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공기류를 상기 수직 덕트로 인도하는 냉각실내 덕트가 설치되고, 이 냉각실내 덕트에는 냉각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좌우 방향의 상기 다른쪽으로부터 한쪽으로 갈수록 상기 흡입판에서의 냉기 흐름의 단면을 감소시키고 있는 풍량 조정판이 상기 각 흡입판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후의 흡입판이 상기 냉각실의 정규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풍량 조정판의 설치를 저지하지 않고, 상기 전후의 흡입판이 전후 위치를 틀리게 하여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풍량 조정판에 맞닿아서, 그 설치를 저지하는 오설치 방지용의 돌출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쇼우 케이스.
KR1019960058155A 1995-11-28 1996-11-27 냉각 쇼우 케이스 KR100186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116995A JP3291427B2 (ja) 1995-11-28 1995-11-28 冷却ショーケース
JP95-331169 1995-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303A KR970028303A (ko) 1997-06-24
KR100186664B1 true KR100186664B1 (ko) 1999-10-01

Family

ID=1824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155A KR100186664B1 (ko) 1995-11-28 1996-11-27 냉각 쇼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91427B2 (ko)
KR (1) KR1001866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52263A (ja) 1997-06-10
KR970028303A (ko) 1997-06-24
JP3291427B2 (ja) 200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506B2 (en) Air blanketed food preparation table
KR20130010000A (ko)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
JP6448619B2 (ja) 冷蔵展示器械における又は関する改良
NO312006B1 (no) Hylleskap for kjölevarer og fremgangsmåte til kontrollert/styrt sirkulasjon av luft i hylleskapet
EP0709046B1 (en) Open showcase
US20160069606A1 (en) Refrigerator with two storage chambers
US8387403B2 (en) Goods presentation refrigerator with air flow provisio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n door
ES2342112T3 (es) Placa de estante para un aparato frigorifico.
US5046328A (en) Refrigeration apparatus with article preserving and displaying chamber
KR100186664B1 (ko) 냉각 쇼우 케이스
KR0133212B1 (ko) 프리패브 냉각 저장고 부착 오픈 쇼케이스
JPH11325695A (ja) 間接冷却式の冷蔵庫
JP3096627B2 (ja) 冷却ショーケース
JP3942455B2 (ja) 冷却庫
GB2198030A (en) An optionally refrigerated display unit
KR0169137B1 (ko) 냉장진열대 및 그의 냉장방법
JPH06265255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通風路構造
JP3983565B2 (ja) 冷却庫
JPH02192573A (ja) 低温ショーケースの棚板装置及びその露処理装置
JPH09145233A (ja) 冷却ショーケース
JP3119469B2 (ja) 低温ショーケース
JPS5842847Y2 (ja) レイトウ レイゾウタダン オ−プンシヨ−ケ−ス
JPH04187978A (ja) 恒温高湿度庫
KR20040017969A (ko) 오픈 쇼케이스의 냉기 순환 구조
JPH11190579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