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593B1 - 한개의 봉과 두개의 판을 동시에 고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한개의 봉과 두개의 판을 동시에 고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593B1
KR100186593B1 KR1019960013882A KR19960013882A KR100186593B1 KR 100186593 B1 KR100186593 B1 KR 100186593B1 KR 1019960013882 A KR1019960013882 A KR 1019960013882A KR 19960013882 A KR19960013882 A KR 19960013882A KR 100186593 B1 KR100186593 B1 KR 100186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resent
plates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2942A (ko
Inventor
윤영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1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593B1/ko
Publication of KR97007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한개의 봉을 두개의 판에 동시적으로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량생산에 적합한 지그금형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공공정을 최소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며,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체에 해로운 유독가스를 발생하는 용접공정을 삭제하는 것이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판과 봉을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개의 봉의 양단에 자동절삭가공을 통해 소경부와 일정한 깊이의 구멍을 형성하는 제1과정과, 상기 봉에 결합되는 두개의 판에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 봉삽입홀을 프레스가공을 통해 형성하는 제2과정과, 상기 봉과 양판을 상·하 및 좌·우에서 각각 홀더가 잡아주는 제3과정과, 단부가 다각형상을 한 펀치가 상기 판과 봉을 양방에서 강제로 압입시키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반자동화를 이룰 수 있으며, 도금공정을 삭제함으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제조공정의 감소와 반자동화에 따라서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잇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한개의 봉과 두개의 판을 동시에 고정하는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과 판을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종래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봉과 판을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한개의 봉과 두개의 판을 동시에 고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펀치로 봉을 압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펀치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과 판의 가공정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된 로커의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펀치가 압입된 후의 봉의 단형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커에 봉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2b,8,10 : 홀더 4,6 : 판(로커)
12,14 : 펀치 20 : 봉
22 : 소경부 23 : 구멍
본 발명은 봉을 판에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기기의 로커(locker)에 봉(bar)을 결합할 시에 한개의 봉과 두개의 로커를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고의 데이타를 전송하거나 상대방의 원고를 수신하는 팩시밀리에 있어서 상대방의 원고를 수신할 때, 다수번 권취되어 있는 감열기록지를 사용한다.
상기 감열기록지는 다수번 권취로어 기기세트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감겨진 방향의 역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하여 편평해진 상태로 나오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감열기록지가 위치하는 커버를 열기 위하여 개폐스위치와 로커가 설치되고, 상기 로커에 봉이 고정된다. 상기 봉은 감열기록지의 역방향으로 힘을 받게 하여 편평해진 상태로 나오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커와 봉의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두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의 봉에 하나의 판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스터드 받침대(32)상에 놓여진 판(30)에 구멍을 형성하여 그 안에 단이진 스터드(36)를 판(30)보다 약간 튀어나오게 한 다음에 일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스핀들(34)을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어서, 상기 회전시킨 스핀들(34)을 B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강제로 변형시켜 결합하는 방법이다 당해분야에서 이를 코킹(caulking)이라 한다.
이때, 스터드(36)를 강제로 압입변형하는 방법에는 지그(JIG)를 사용하는데, 그중 하나는 전용 코킹 지그를 사용하기도 하며, 다른 하나는 전용 압입 금형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킹하는 방법은 하나의 스터드에 하나의 판을 결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두개의 판에 하나의 봉을 결합하는 방법은 제조방법상 불가능하다. 더욱이, 또하나 방향성을 가진 판과 판이 일정한 구속방향을 가지고 결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상기 스터드를 받치는 스터드 받침대가 있어서, 스터드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조공정에 있어서, 선반에 봉을 세팅하고, 선반가공을 하며, 이어서 밀링에 봉세팅을 하고, 밀링가공을 해야하는 공정상의 과다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봉(58)과 판(42,44)을 고정하는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하나의 봉(58)에 두개의 판(42,44)을 결합시키는 방법이다.
판(42,44)에 구멍을 형성하여 그 안에 단이진 봉(58)을 판보다 약간 튀어나오게 한다음 우측판(42)을 우측판홀더(46)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좌측판(44)은 좌측판홀더(48)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이어서, 상기 봉(58)은 봉홀더(40,46,48)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판(42,44)과 봉(58)에 용접을 하는 것이다. (E와 F방향으로 용접을 실시함). 당해분야에서 이를 웰딩(welding)이라 말한다.
이때, 봉(58)과 좌·우측 판(42,44)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용접 전·후의 변형을 방지하여 원하는 판과 봉의 조립방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은 작업방법이 매우 까다롭다. 즉, 작업성이 떨어져 생산단가가 높으며, 또한 새로운 가공공정이 필요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봉과 판을 결합공정과, 포장을 하는 공정과, 도금공장으로 이동하여 도금하는 공정 및 포장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으로서 공정수의 번거로움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그에 봉과 판을 세팅하여 용접을 진행하는 경우에 자동화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흔히 사용하는 판의 재질은 전기아연도금 강판을 사용하는데, 이는 표면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아연도금을 하는 것이다. 이는 용접에 의해서 검은 자국과 부식방지용 도금을 태워 표면이 깨끗하지 못하므로, 더욱이, 이로 인하여 부식이 진행되어 기기의 수명에도 지장을 주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금을 용접후에도 한다. 따라서, 도금공정이 반제품에 추가되므로 취급상 어려움이 많으며, 생산원가가 높아진다.
또한, 자동화가 어려워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용접과정이 진행될 시, 용접은 인체에 해로운 유독가스를 발생하며, 도금은 환경에 해로운 공해물질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생산에 적합한 지그금형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가공공정을 최소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해물질을 배출하는 도금공정을 제품가공시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다른 목적은 인체에 해로운 유독가스를 발생하는 용접공정을 삭제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과 봉을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개의 봉의 양단에 자동절삭가공을 통해 소경부와 일정한 깊이의 구멍을 형성하는 제1과정과, 상기 봉에 결합되는 두개의 판에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 봉삽입홀을 프레스가공을 통해 형성하는 제2과정과, 상기 봉과 양판을 상·하 및 좌·우에서 각각 홀더가 잡아주는 제3과정과, 단부가 다각형상을 한 펀치가 상기 판과 봉을 양방에서 강제로 압입시키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를 지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로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제1과정으로 봉은 절삭가공을 통해 봉(20)의 양단에 소경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소경부(22)가 일정한 깊이의 구멍(23)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2과정으로 상기 봉(20)에 결합되는 두개의 판(4,6)에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 봉삽입홈(4a,6a)을 프레스가공을 통해 형성한다. 상기 봉삽입홈(4a,6a)은 별모양을 천공함으로서 펀치(12,14)의 모양(제5도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도록 한다.
제3과정으로 상기 봉(20)에 좌·우측 판(4,6)을 제6도의 형태로 끼워 봉홀더의 가이드에 봉(20)과 좌·우측 판(4,6)을 동시에 올려놓고, 상·하측 홀더(2a,2b)를 작동시켜 상기 봉(20)과 상기 좌·우측 판(4,6)을 단단하게 잡아준다.
이때, 상기 봉(20)은 양단에서 중심으로 힘을 받게되므로 휘어지게 될 우려가 있음으로 상기 상·하측 홀더(2a,2b)와 좌·우측 홀더(8,10)로 전체 부위를 눌러 봉(20)의 휨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좌측판(6)과 우측판(4)은 서로의 각도가 일치해야 함으로 각도가 틀어지지 않도록 해야하고, 벌어지는 방향(K와 L의 방향)의 힘도 발생함으로 좌·우측 (8,10)가 잡아주도록 한다.
제4과정으로 좌·우측에서 중심으로 좌·우측 펀치(12,14)가 동시에 강제적으로 압입된다. 이때, 상기 펀치(12,14)의 단부는 별형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둥근 테이퍼형상보다 힘을 적게 주면서,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상으로 만들어 줌으로서 봉(20)과 좌·우측 판(4,6)의 비틀림을 없도록 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양로커(4,6:판)에 봉삽입홈(4a,6a)을 별형상으로 하고, 펀치(12,14)의 단부(12a,14a)도 별형상으로 하는 것은 종래처럼 봉의 단면을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터드를 가공할 경우, 가공공정이 원형단을 선반에서 가공하고, 두번째면을 밀링에서 가공해야 하며, 좌·우양측을 동일한 평면상에 가공하기가 어렵다.
또한, 가공을 하더라도 본 발명의 좌·우 펀치처럼 눌러주려면 많은 힘을 필요로 하고, 그렇게 하면 봉이 휘어져 사용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적은 힘으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구멍(23)과 봉삽입홈(4a,6a) 사이를 체적으로 채워져야 하는데,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별모양의 테이퍼진 형상을 해야 효율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봉의 가공공정도 간단하고, 자동선반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판의 별모양은 프레스금형에서 간단하게 만들어질 수 있는 형상이다.
더욱이, 펀치가 일정량의 힘으로 봉에 가해지면 둥근형태의 봉을 전체적으로 판사이에 밀착시키는 것보다 별모양의 펀치가 전체적으로 힘을 가하지 않고, 날카로운 부분만 밀어내어 원하는 곳에 봉의 변형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봉과 판사이의 밀착도를 증가시켜 원하는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반자동화를 이룰 수 있으며, 도금공정을 삭제함으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제조공정의 감소와 반자동화에 따라서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잇점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판과 봉을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개의 봉(20)의 양단에 자동절삭가공을 통해 소경부(22)와 일정한 깊이의 구멍(23)을 형성하는 제1과정과, 상기 봉(20)에 결합되는 두개의 판(4,6)에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 봉삽입홀(4a,6a)을 프레스가공을 통해 형성하는 제2과정과, 상기 봉(20)과 양판(4,6)을 상·하 및 좌·우에서 각각 홀더(2a,2b,8,10)가 잡아주는 제3과정과, 단부(12a,14a)가 다각형상을 한 펀치(12,14)가 상기 판(4,6)과 봉(20)을 강제로 압입시키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개의 봉과 두개의 판을 동시에 고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가 다각형상이 별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개의 봉과 두개의 판을 동시에 고정하는 방법.
KR1019960013882A 1996-04-30 1996-04-30 한개의 봉과 두개의 판을 동시에 고정하는 방법 KR100186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882A KR100186593B1 (ko) 1996-04-30 1996-04-30 한개의 봉과 두개의 판을 동시에 고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882A KR100186593B1 (ko) 1996-04-30 1996-04-30 한개의 봉과 두개의 판을 동시에 고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942A KR970072942A (ko) 1997-11-07
KR100186593B1 true KR100186593B1 (ko) 1999-05-01

Family

ID=1945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882A KR100186593B1 (ko) 1996-04-30 1996-04-30 한개의 봉과 두개의 판을 동시에 고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65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942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3487B2 (en) Method for forming hollow shaft with a flange and product with hollow shaft formed by the same
US448470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ox-shaped door
JP2010099772A (ja) ステンレス鋼板製溶接ナット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使用する打抜きパンチ
KR100186593B1 (ko) 한개의 봉과 두개의 판을 동시에 고정하는 방법
US6334571B1 (en) Thin interlayer friction welding
JP2002219517A (ja) 金型支持装置
JPH06277887A (ja) ナット溶着位置決め工具およびその方法
US5872348A (en) Method for forming a projection for projection welding
JPH08142013A (ja) ベニヤレースの切削刃保持装置
JP2007007703A (ja) プレス金型のダイブッシュ及びプレス金型のダイブッシュのダイプレートにおける固定構造
JP5061655B2 (ja) 金属製板状体と柱状体とのカシメ組付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JPS60213321A (ja) プレス型
KR920002197Y1 (ko) 박판의 오토지니어스레이져용 접용 지그
JPH09253757A (ja) 中空角パイプを用いた三次元立方体形のフレーム筐体工法
CN220846242U (zh) 一种掩膜框架及掩膜装置
JP3138958U (ja) ローレット工具
JP2005144477A (ja) パイプ部材の貫通穴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JP2570380B2 (ja) 棒材の折曲げ、接合方法
US301660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razed tubular bicycle steering fork assembly
JP4393101B2 (ja) アンテナ素子の固定方法とアームに固定されたアンテナ素子
CN110614437B (zh) 金属件激光点焊治具及点焊方法
CN211305373U (zh) 一种钣金件焊接的精密定位装置
CN211707869U (zh) 一种钣金冲孔刀具
JP3221572B2 (ja) アークスタッド溶接機
JP3352175B2 (ja) 接合孔の面取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