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367B1 -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367B1
KR100186367B1 KR1019960047429A KR19960047429A KR100186367B1 KR 100186367 B1 KR100186367 B1 KR 100186367B1 KR 1019960047429 A KR1019960047429 A KR 1019960047429A KR 19960047429 A KR19960047429 A KR 19960047429A KR 100186367 B1 KR100186367 B1 KR 10018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escalator
buffer
termina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383A (ko
Inventor
권이석
김성대
서장원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60047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36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곡부(18)와, 단말부(19)와, 상판지지부(20)와, 고정레일부(21)로 이루어지는 상부레일(16)에 완충수단으로서 선단부가 상기 상부레일의 곡부(18)로부터 터미널기어(8)의 원주의 1/8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연장형성한 완충부(23)와, 상부레일의 단말부(19)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하기되는 받침대(26)가 고정되는 고정부(24)와, 스텝전륜롤러(14)의 진입을 유도하는 가이드부(25)로 구성되는 상부 완충수단과, 이와 같은 상부 완충수단과 상부레일(16) 사이에 개재되어 높이를 보상하며, 완충역할을 하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 받침대(26)를 고정시킨 구조로서, 레일에 적용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체인이 결합되는 터미널기어에서 발생되는 충격소음진동을 현저하게 줄이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에 적용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체인이 결합되는 터미널기어에서 발생되는 충격소음진동을 저감하도록 한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드레일부(1)와, 승객이 탑승되어 진행되는 스텝부(2)와, 이러한 핸드레일부(1)와 스텝부(2)를 구동시키는 상부 기계실부(3)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기계실부(3)는 모터(4)와, 감속기(5), 구동체인(6)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동부로서는 구동스프라켓(7), 구동터미널기어(8), 구동축(12) 및 터미널레일(13)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동부로는 스텝체인(10), 스텝(9)과 결합된 스텝전륜롤러(14)와 스텝후륜롤러(15)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6은 상부레일, 17은 상부 제2레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상부레일(1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부(18)와 단말부(19)와, 상판지지부(20) 및 고정레일부(21)로 구성되어 있는데, 곡부(18)는 곡률이 200mm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는 40mm이며 상기 단말부(19)는 16mm의 두께를 갖는 연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판지지부(20)는 스텝전륜롤러(14)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판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정레일부(21)는 브라켓으로 상부레일(16)을 에스컬레이터 프레임에 고정하며 스텝전륜롤러(14)를 가이드해 준다. 이러한 상부레일(16)은 에스컬레이터의 양쪽에 한 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브라켓과 상부레일(16) 사이에는 라이너를 삽입하여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부레일(16)의 폭은 스텝후륜롤러(14)의 폭보다 크다.
한편, 제4도에서와 같이, 상부레일(16)의 높이는 스텝후륜룰러(14)의 반지름 거리의 간격만큼 아래쪽에 위치하며, 상부레일(16)의 곡부(18)는 단부가 터미널기어(8)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 조립된다. 이때, 상부레일(16)의 높이를 소음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조절할 수 있으나 전후방향으로의 위치조정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가 가동되면 스텝(9)은 구동터미널기어(11)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움직여 스텝체인(10)이 움직이고, 스텝체인(10)에 결합된 스텝(9)의 스텝전륜롤러(14)는 상부레일(16)을 따라 이동되며 스텝후륜롤러(15)는 2번 레일(17)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터미널기어(8)와 인접해 있는 상부레일(16)의 단말부(19)와 곡부(18)는 스텝체인(10)이 터미널기어(8)와 취합시에 결합부(22)에서 부드럽게 결합하도록 가이드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스텝전륜롤러(14)가 상부레일(16)의 곡부(18)에서 이탈하거나, 진입할 때마다 상부레일(16)의 단말부(19)에서 약간의 움직임이 발생되어 스텝전륜룰러(14)가 부드럽게 착탈된다.
그런데 상기 터미널기어(8)가 강철 금속인 스텝체인(10)을 회전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스텝체인(10)과 터미널기어(8)가 충돌하는 결합부(22)에서 필연적으로 금속간의 충격진동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충격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결합부(22)에서 충격이 발생하지 않고 스텝체인(10)이 터미널기어(8)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부레일(16)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스텝전륜롤러(14)와 스텝체인(10)의 결합 위치를 보상해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부레일(16)의 위치를 높여주면 제5도에서와 같이 정방향, 운행시 즉, 스텝(9)이 올라가는 경우에는 결합부(22)에서 충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제6도와 같이 역방향 운행시 즉, 스텝(9)이 내려오는 경우에는 스텝전륜롤러(9)가 상부레일(16)의 곡부(18)에 큰 충격을 가하게 되어 이에 따른 상당한 충격음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정상적인 조립기준에 의해 상부레일(16)을 조립한 경우에 터미널기어(8)의 결합부(22)에서 정,역방향 운행시 모두 충격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정상적인 조립 기준보다 높게 상부레일(16)을 조립하더라도 역방향 운행시 스텝전륜롤러(14)가 상부레일(16)의 곡부(18)에 충격을 가하여 충격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컬레이터의 상부레일과 터미널기어와의 조립 관계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도록 한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3도는종래 에스컬레이터의 상부레일의 사시도.
제4도는 종래 에스컬레이터 상부레일의 조립상태도.
제5도 및 제6도는 종래 에스컬레이터 상부레일의 동작 상태도로서, 제5도는 정방향 운행시의 동작도.
제6도는 역방향 운행시의 동작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수단이 결합된 상태의 상부레일의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완충수단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레일의 조립상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레일의 정,역방향 운행시의 동작 상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레일에 적용되는 완충수단의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수단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터미널기어 9 : 스텝
14 : 스텝전륜롤러 16 : 상부레일
18 : 곡부 19 : 단말부
20 : 상판지지부 21 : 고정레일부
23, 23', 23'' : 완충부 24,24' ; 고정부
25, 25' : 가이드부 25'' : 직선부
26, 26', 26'' : 받침대
이러한 본 발명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텝이 결합된 스텝체인이 레일에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텝의 스텝전륜롤러를 가이드하는 완충수단을 레일에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례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는 곡부(18)와 단말부(19)와 상판지지부(20)와 고정레일부(21)로 이루어지는 상부레일(16)에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완충수단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수단은 선단부가 상기 상부레일의 곡부(18)로부터 터미널기어(8)의 원주의 1/8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연장형성한 완충부(23)와, 상부레일의 단말부(19)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하기되는 받침대(26)가 고정부(24)와, 스텝전륜롤러(14)의 진입을 유도하는 가이드부(25)로 구성되는 상부 완충수단과, 이와 같은 상부 완충수단과 상부레일(16) 사이에 개재되어 높이를 보상하며, 완충역할을 하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 받침대(26)를 고정시킨 구조이다.
상기 완충부(23)는 스텝전륜롤러(14)의 터미널기어부에서의 회전궤적과 일치시켜주기 위하여 터미널기어(8)의 지름과 같거나 작은 곡률로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24)의 후단부는 상판지지부(20)의 전단부와 맞닿아 전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하고, 상부레일의 단말부(19)를 둘러싸도록 볼트나 와이어에 의해 상부 완충수단을 상부레일(16)에 결합시킴으로써 상부 완충수단 전체가 상부레일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부(25)는 상부레일의 고정레일부(21)와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상기 받침대(26)는 스텝전륜롤러(14)가 부드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테이퍼져 있으며, 전단부가 상부레일의 단말부(19)와 일치하도록 고정하며, 받침대(26)는 상부레일(16)의 하면에 접착제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에서 에스컬레이터가 가동되면, 스텝(9)은 구동터미널기어(8)에 결합된 스텝전륜롤러(14)가 상부레일(16)을 따라 이동될 때, 제10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텝(9)이 B부를 통과하는 상태에서 스텝전륜롤러(14)의 피로파괴를 줄여주기 위하여 체인을 지지해주는 체인가이드레일(27)에 의해서 스텝전륜롤러(14)는 약 4∼5mm정도 허공에 떠서 전진하다가 B부를 통과한 후에 다시 스텝전륜롤러(14)가 상부레일(16)에 닿으면서 진행된다. 역방향으로 운행되는 경우에는 역순으로 진행된다. 이때, 완충수단의 가이드부(25)의 후단부가 B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이드부(25)의 후단부의 두께로 인해 스텝전륜롤러(14)가 튀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완충수단의 상면에서 스텝전륜롤러(14)가 3개 이상이 균일하게 접촉되기 때문에 스텝전륜롤러(14)가 완충부(23)에 힘을 가하여도 완충수단의 일부분이 들리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터미널기어(8)와 인접한 완충수단의 완충부(23)는 스텝체인(10)이 터미널기어(8)의 결합부(22)에서 결합되지 않고 충격이 발생되지 않는 A부분의 터미널기어(8)의 이(齒 )에서부터 부드럽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하게 되며, 스텝전륜롤러(14)가 완충부(23)에서 이탈하거나 진입할 때마다 완충부(23)와 받침대(26)가 댐퍼의 역할을 수행하여 완충수단이 상하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인해 스텝(9)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운행시 스텝전륜롤러(14)가 부드럽게 완충부(23)에서 착탈된다. 즉, 정방향으로 운행시 완충수단이 높게 결합되어 있어 결합부(22)에서 충격이 발생되지 않고 터미널기어(8)에 결합되는 것이며, 역방향으로 운행시도 완충부(23)의 완만한 곡률로 인해 스텝전륜롤러(14)가 완충부(23)에서 충돌하지 않고 부드럽게 진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 역방향으로 에스컬레이터가 운행시 터미널기어(8)와 스텝체인(10)과의 충격음과 진동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의 하부레일은 상부레일과는 다르게 B부에 해당되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제11도와 같이, 완충수단은 선단부가 하부레일의 곡부로부터 터미널기어의 원주의 1/8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연장형성이 완충부(23')와, 상기 완충부와 연결되어 짧게 형성되는 가이드(25')와, 하부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부(24')로 구성되는 상부 완충수단과, 이 상부 완충수단과 하부레일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받침대(26')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완충수단의 다른 실시례로서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부(23'')와 직선부(25'')로만 이루어진 상부 완충수단과, 받침대(26'')로 구성되는 완충수단이 제공가능한 바 이는 완충수단의 상면에서 스텝전륜롤러(14)가 3개 이상이 균일하게 접촉되기 때문에 스텝전륜롤러(14)가 완충부(23'')에 힘을 가하더라도 완충수단이 들려올라가지 않는다는 것과, 체인가이드레일(27)에 의해서 B부에 간격이 있다는 사실에 근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는 레일에 적용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체인이 결합되는 터미널기어에서 발생되는 충격소음 진동을 현저하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스텝이 결합된 스텝체인이 레일에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텝의 스텝전륜롤러를 가이드하는 완충수단을 레일에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레일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레일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완충수단과, 상기 완충수단과 레일 사이에 결합되어 높이를 보상하는 하부 받침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레일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이 상부레일과 결합되는 상부 완충수단은 선단부가 상기 상부레일의 곡부로부터 터미널기어의 원주의 1/8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연장형성된 완충부와, 상부레일의 단말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받침대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스텝전륜롤러의 진입을 유도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레일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곡률은 터미널기어의 반지름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길이는 상기 상부레일의 단말부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고, 후단부가 상부레일의 상판지지부와 맞닿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레일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중에 스텝전륜롤러가 적어도 3개 이상 걸릴 수 있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대는 상부레일의 단말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결합부분인 선단부의 두께가 스텝체인과 터미널기어가 닿지 않는 높이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이 하부레일과 결합되는 상부 완충수단은 선단부가 상기 하부레일의 곡부로부터 터미널기어의 원주에 대하여 소정 길이만큼 연장형성된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와 연결되어 짧게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하부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의 상부레일과 결합되는 상부 완충수단은 선단부가 상기 상부레일의 곡부로부터 터미널기어의 원주에 대하여 소정 길이만큼 연장형성된 완충부와, 상부레일의 스텝전륜롤러의 진입을 유도하는 직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
KR1019960047429A 1996-10-22 1996-10-22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 KR100186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429A KR100186367B1 (ko) 1996-10-22 1996-10-22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429A KR100186367B1 (ko) 1996-10-22 1996-10-22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383A KR19980028383A (ko) 1998-07-15
KR100186367B1 true KR100186367B1 (ko) 1999-04-15

Family

ID=1947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429A KR100186367B1 (ko) 1996-10-22 1996-10-22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6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744A (ko) 2017-12-01 2019-06-11 도득수 안경 다리 길이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679A (ko) * 1999-11-29 2001-06-15 장병우 승객 수송장치의 진동 저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744A (ko) 2017-12-01 2019-06-11 도득수 안경 다리 길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383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3007689A (es) Instalacion de ascensores y procedimiento para la disposicion de una maquina motriz de una instalacion de ascensores.
KR19980028385A (ko) 에스컬레이터의 상부레일 구조
RU2007105073A (ru) Лифт
KR100186368B1 (ko) 에스컬레이터의 터미널레일 구조
KR100186367B1 (ko) 에스컬레이터의 레일 구조
WO2003080491A3 (en) Elevator and guide fixing bracket for an elevator
ES2161634A1 (es) "contrapeso de ascensor de subida por carril con maquinas planas"
US10214387B2 (en) Magnetic elevator drive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e
HK1030201A1 (en) Elevator guide shoe.
KR20060084637A (ko) 로봇 이송 시스템
JP4709833B2 (ja) 乗客コンベヤ用緩衝装置
JP2004224567A (ja) コンベア装置
US5924544A (en) Terminal rail system for escalator
JP2851275B2 (ja) エスカレータのターミナルレールの構造
KR100246739B1 (ko) 에스컬레이터의터미널레일
JP2004115211A (ja) 乗客コンベア
KR100358495B1 (ko) 이동보도의 레일길이 보상장치
JP3450925B2 (ja) 乗客コンベア
KR200280667Y1 (ko) 워킹머신의 롤러 고정구조
JP2000095466A (ja) 乗客コンベアの本体枠
JP2010120541A (ja) 車両用ドア
JP3456126B2 (ja) 乗客コンベア
JP4472370B2 (ja) スライド式駐輪装置
JPH1059671A (ja) 乗客コンベア
EP1727761B1 (e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