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6152B1 - 모노랄 신호판정회로 - Google Patents

모노랄 신호판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6152B1
KR0186152B1 KR1019950068674A KR19950068674A KR0186152B1 KR 0186152 B1 KR0186152 B1 KR 0186152B1 KR 1019950068674 A KR1019950068674 A KR 1019950068674A KR 19950068674 A KR19950068674 A KR 19950068674A KR 0186152 B1 KR0186152 B1 KR 018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control
outpu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882A (ko
Inventor
요시시게 오또구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ublication of KR960038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6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랄 신호판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확실하게 모노랄 신호를 판정하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입력된 좌신호(L) 및 우신호(R)를 각각 별개로 파형정형하는 파형정형수단(1)과, 파형정형된 우신호 및 좌신호의 신호레벨 차이를 산출하는 연산수단(2)과, 연산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제어신호를 작성하는 제어신호 작성수단(3)과, 연산수단의 입력쪽과 제어신호 작성수단의 출력쪽의 사이에 접속되고,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연산수단의 한편의 입력쪽의 신호레벨을 조정하여 연산수단의 출력쪽에 있어서의 신호레벨차를 소정의 범위내로 하도록 제어하는 입력 제어수단(4)과, 연산수단의 출력신호가 소정의 범위인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모노랄 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신호검출수단(5)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노랄 신호판정회로
제 1도는 본 발명의 원리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 구성도.
제3도는 종래의 모노랄 신호판정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형 정형회로(波形 整形回路) 2,10 : 연산회로
3 : 제어신호 작성회로 4 : 입력제어회로
5,11 : 신호검출회로
본 발명은 모노랄 신호판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된 TV, 비디오 테이프 리코더, 오디오 테이프 리코더, CD 등의 신호를 입력했을 때에, 그 입력이 모노랄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모노랄신호이면 의사(擬似) 스테레오 등의 펑션(function)으로 전환하는 모노랄 신호판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 3도는 종래의 모노랄 신호판정회로도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판정회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연산회로(10)와 신호 검출부(11)로 구성되어 있다. L은 좌신호, R은 우신호이다. 또 Ra=Rb=Rc=Rd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오피 앰프(operation amplifier)(Q)의 출력쪽의 p점에서는, L 신호 및 R 신호의 레벨이 완전히 동일(즉, 모노랄 신호)하며, 동시에 Ra=Rb=Rc=Rd이면, 이론적으로 p점에서의 출력은 「제로」가 되며, 이 「제로」가 신호 검출부(11)로 검출되어 「모노랄 신호」라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노랄 신호에서는, L/R 신호가 완전히 동일 레벨이 아니면 감산회로(10)로부터의 출력이 「제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사용에 있어서, 상술한 종래 회로에서는 저항치의 산란(散亂)에 의하여 L 신호 및 R 신호에 출력차가 있으며, 또 L/R 신호 사이에서 주파수 특성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광대역이 되면 될수록 L/R 신호가 동일 레벨로 되기 어렵다. 그 결과, 연산회로(10)의 출력쪽 p 점에 레벨차 신호가 나타나, 스테레오 등의 위상차(位相差)에 의한 출력과 구별할 수 없게 되어, 잘못된 판정(모노랄 신호판정)을 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확실하게 모노랄 신호를 판정하는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원리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모노랄 신호 판정회로는, 입력된 좌신호(L) 및 우신호(R)를 각각 별개로 파형정형하는 파형정형수단(1)과, 상기 파형정형된 상기 우신호 및 좌신호의 신호 레벨차를 산출하는 연산수단(2)과, 상기 연산수단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작성하는 제어신호 작성수단(3)과, 상기 연산수단의 입력쪽과 상기 제어신호 작성수단의 출력쪽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연산수단의 한편의 입력쪽의 신호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연산수단의 출력쪽에 있어서의 신호레벨 차이를 소정의 범위내(예컨대,「제로」)로 하도록 제어하는 입력제어수단(4)과, 상기 연산수단의 출력신호가 소정의 범위 이내인가 아닌가를 검출하여, 모노랄 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신호검출수단(5)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입력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의 입력쪽에 접속되는 제 1의 저항(R13), 제 2의 저항(R14) 및 트랜지스터(Q5)를 보유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하므로서 온/오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의 저항을 선택하므로써 입력쪽의 신호레벨을 조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산수단의 입력에 L/R 신호의 레벨이 상위(相違)하는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한쪽의 입력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한쪽의 입력 레벨을 동일하게 하도록, 후단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단의 저항군(群)의 저항치의 분배를 조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모노랄 신호이면, 항상 L/R 신호의 차 신호를 「제로」로 할 수 있다.
[실시례]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요컨대, 오피 앰프(Q5)의 출력쪽의 e점의 신호레벨로 모노랄 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즉, 오피 앰프(Q5)의 입력쪽의 d점의 신호 레벨을, 같은 입력쪽의 c 점에 의거한 e점의 신호 레벨과 동일 레벨이고 또한 역상(逆相)이 되도록 맞추면, 모노랄 신호는 위상이 동일하므로, 동시 입력시는 e점의 신호 레벨은 「제로」가 된다. 한편, 스테레오 신호의 경우는 좌우의 신호에 위상차가 있으므로, e 점에 있어서의 신호레벨은 「제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e 점의 신호 레벨이 「제로」이면, 모노랄 신호라고 판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중, 1은 파형정형회로이며, 판정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입력신호를 파형정형(정류)하는 것이다. 2 는 연산회로이며, 파형정형회로(1)의 출력쪽의 a 점 및 b 점에 있어서의 신호의 레벨 및 위상을 판정하는 것이다. 즉, 좌(L)신호 및 우(R)신호가 동일 레벨인가 또 동일 위상인가를 판정하는 것이다. 3은 제어신호 작성회로이며, 좌우의 레벨차이를 없애기 위한 제어신호를 작성한다. 4 는 입력제어회로이며, a 점 및 b 점의 입력차에 관하여 a 점에 대하여 b 점의 신호레벨을 ±x(dB)의 범위내에서 제어하도록 설정한다. 5는 신호검출회로이며, 연산회로(2)의 e 점에서의 출력의 유무(즉, 제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에 따라,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파형정형회로(1)는, 도시한 바와 같이, L 쪽 및 R 쪽 모두 동일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채널은 2 단의 오피 앰프(Q1,Q2,(Q3,Q4))로 구성되어 있다. L/R 신호는 오피 앰프(Q1(Q3))의 출력쪽의 다이오드(D1,D2(D3,D4))에 의하여 전파 정류(全波整流)된다. 따라서, 이 전파정류에 의하여 부(負)의 입력신호도 정(正)의 입력신호로 전환되어 판정감도를 올릴 수 있다. 전파정류하여 얻어진 a 점 b 점의 출력은 연산회로(2)에 송출된다.
연산회로(2)는 오피 앰프(Q5)에 의하여 구성되며, 입력제어회로(4)는 트랜지스터(Q7)에 의하여 구성되며, 제어신호 작성회로(3)는 오피 앰프(Q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연산회로(2)의 출력은 신호검출회로(5)에 송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a 점의 신호는 저항(R11)을 거쳐 c점으로, b점의 신호는 저항(R12)을 거쳐 d 점으로 보내진다. 이 경우, b 점의 신호레벨은 a 점의 신호레벨에 대하여, 미리 ±x(dB)의 범위내에서 동일 레벨에 설정되도록, 입력제어회로(4)의 저항(R13,R14)로 조정되고 있다.
즉, 트랜지스터(Q7)가 오프인 때에는,
d점의 신호레벨=(R13×b)/(R12+R13)… (1)
이 되며, d 점의 신호레벨에 의한 e 점으로의 출력이, a 점의 신호레벨에 의한 e 점으로의 출력보다도, x(dB) 높아지도록 각 저항을 설정한다.
한편, 트랜지스터(Q7)가 온일 때에는,
d 점의 신호레벨=[(R13∥R14)×b]/[R12-(R13∥R14)]… (2)
로 되며, s 점에 의한 e 점으로의 출력보다도, x(dB)낮아진다. 단 ∥은 패러렐(parallel) 기호를 표시한다.
따라서, 최초에 오피 앰프(5)에 가하여지는 신호는, 트랜지스터(Q7)가 오프이므로, a 점에 있어서의 모노랄 신호레벨이 b 점에서의 신호레벨보다도 x(dB) 높으면, e 점에서의 신호 레벨은 「제로」로 되지만, a 점의 신호 레벨이 +x(dB)(b-a)-x(dB)이면, a 점 및 b 점의 신호는 정신호이므로, 항상 e 점에는 정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오피 앰프(Q6)의 출력은 e 점으로부터, 제어신호 작성회로(3)에 입력되며, 오피 앰프(Q6)로 증폭되며, 그 출력의 f 점에 있어서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이 제어신호는 다이오드(D5)를 거쳐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 다이오드(D5)의 출력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7)가 온되고, d 점의 신호레벨은 내려가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모노랄 신호이면 c 점 및 d 점의 신호는 같은 위상이므로, e 점에서의 신호 레벨이 「제로」가 되도록, 트랜지스터(Q7)로서 평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모노랄 신호 이외라면, a 점 및 b 점간에서 위상이 상이하므로, e 점에서는 출력차가 나타나, 트랜지스터(Q7)에 의한 평형은 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신호검출회로(5)는 그 입력쪽의 h 점에서의 입력이 「제로」일 때에는, L/R 의 위상이 동일하며, L/R 신호의 레벨차가 ±x(dB)내의 모노랄 신호라 판정하고, i 점에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TV, 스테레오 장치 등에 있어서, 용이하고 확실하게 모노랄 신호를 판정할 수 있다.

Claims (2)

  1. 입력된 좌신호(L) 및 우신호(R)를 각각 별개로 파형정형하는 파형정형수단(1)과, 상기 파형정형된 상기 우신호 및 좌신호의 신호 레벨차를 산출하는 연산수단(2)과, 상기 연산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제어신호를 작성하는 제어신호 작성수단(3)과, 상기 연산수단의 입력쪽과 상기 제어신호 작성수단의 출력쪽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연산수단의 한편의 입력쪽의 신호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연산수단의 출력쪽에서의 신호레벨차를 소정의 범위내로 하도록 제어하는 입력제어수단(4)과, 상기 연산수단의 출력신호가 소정의 범위인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모노랄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신호검출수단(5)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랄 신호판정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제어수단은 상기 연산수단의 입력쪽에 접속되는 제 1 저항(R13), 제 2 저항(R14) 및 트랜지스터(Q5)를 보유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하므로서 온/오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을 선택하므로서 입력쪽의 신호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랄 신호판정회로.
KR1019950068674A 1995-04-07 1995-12-30 모노랄 신호판정회로 KR0186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2865/1995 1995-04-07
JP82865/1995 1995-04-07
JP08286595A JP3730281B2 (ja) 1995-04-07 1995-04-07 モノラル信号判定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882A KR960038882A (ko) 1996-11-21
KR0186152B1 true KR0186152B1 (ko) 1999-04-15

Family

ID=1378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8674A KR0186152B1 (ko) 1995-04-07 1995-12-30 모노랄 신호판정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03953A (ko)
JP (1) JP3730281B2 (ko)
KR (1) KR0186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09108329A (ru) * 2006-08-10 2010-09-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Nl)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аудиосигнал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6041A (en) * 1979-04-13 1980-11-25 H. H. Scott, Inc. Stereophonic signal indicating apparatus
JPS5750145A (en) * 1980-09-10 1982-03-24 Toshiba Corp Detection circuit for stereo identifying signal
DE3267678D1 (en) * 1981-07-25 1986-01-09 Thorn Emi Ferguson Stereo indicating circuit
JP3099892B2 (ja) * 1990-10-19 2000-10-16 リーダー電子株式会社 ステレオ信号の位相関係判定に使用する方法及び装置
JPH04176279A (ja) * 1990-11-09 1992-06-23 Sony Corp ステレオ/モノラル判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89400A (ja) 1996-11-01
US5703953A (en) 1997-12-30
KR960038882A (ko) 1996-11-21
JP3730281B2 (ja)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8501A (en) Dual loudness meter and method
CA1173510A (en) Muting circuit
US5426702A (en) System for deriving a center channel signal from an adapted weighted combination of the left and right channels in a stereophonic audio signal
US4333118A (en) Load indicators for alternating-current motors
KR0186152B1 (ko) 모노랄 신호판정회로
KR970078666A (ko) 자동 빔 전류 제한 장치 및 그 방법
KR980007773A (ko) 살색 재현장치 및 방법
US5047667A (en) Voltage difference detector
US5589877A (en) Automatic amplitude control circuit for a vector scope
US20040010389A1 (en) Physical quantity detection equipment
GB2249915A (en) Signal discriminating circuit and active filter using same
US4737730A (en) Peak detector circuit for FM measuring apparatus
US5166559A (en) Servo circuit having variable gain amplifier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characteristics
KR850007356A (ko) 비데오 신호 처리기
JPH0723414A (ja) 色温度補正回路
JP2943713B2 (ja) 疑似ステレオ機能付きサラウンド回路
CA1093202A (en) Signal-handling circuit
US4720628A (en) Optical process for determining the endpoint of a process via analog multiplication of photocell signals
JP2906797B2 (ja) 光ビーム追尾受信器
JPH07115328A (ja) Fm信号の復調回路
KR970003249Y1 (ko) 고충실도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오토 트랙킹 입력회로
JPH0213188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910006348Y1 (ko) 브이씨알의 헤드스위칭신호 발생장치
JPH03198429A (ja) A/d変換器の入力レベル判定回路
JPH05118924A (ja) カラーセンサの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