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889B1 - 차량용 전동식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동식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889B1
KR0185889B1 KR1019960049711A KR19960049711A KR0185889B1 KR 0185889 B1 KR0185889 B1 KR 0185889B1 KR 1019960049711 A KR1019960049711 A KR 1019960049711A KR 19960049711 A KR19960049711 A KR 19960049711A KR 0185889 B1 KR0185889 B1 KR 0185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mirror
support
ang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330A (ko
Inventor
문형준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49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889B1/ko
Publication of KR1998003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동식 백미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미러홀더(103)를 지지하는 지지대(107)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지지대(107)를 회동시켜주는 제1,2전동기구(2,3)가 함체(1) 내부에 소정 높이차를 이루면서 설치되고, 전원에 제1스위치(4)를 통해 배선된 모우터(5)가 승하강되면서 상기 제1,2전동기구(2,3)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전원에 제2스위치(6)를 통해 배선된 솔레노이드(7)가 상기 모우터(5)와 함체(1)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2스위치(4,6)을 조작하여 하나의 모우터(4)와 솔레노이드를 이용해 운전에 필요한 미러각도를 얻을 수 있음으로써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동식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 An apparatus for adjusting angle of back-mirror for an automobile )
본 발명은 차량에서 사용되는 전동식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모우터를 통해 미러각도를 조절하여 관측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전동식 백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백미러는 차량의 좌/우측 전방도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운전자가 이를 통해 후방의 진행차량을 관측하므로써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관측각도를 적절히 변경하여 후방 진행차량을 적절히 관측하므로써 차량의 차선 변경 및 곡선 주행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적절한 후방 관측을 위해서 백미러의 각도를 변화시켜 미러의 관측 각도를 미세하게 변화시키기도 하는 바, 이와 같이 백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구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수동식과 전기적 신호에 의해 조작되는 전동식으로 구분되어진다.
이러한 전동식 백미러는 통상 도 3a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패널(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설치되는 설치용브라켓트(101)를 매개로하여 설치되면서 미러(102)가 구비된 미러홀더(103)와 이 미러홀더(103)의 케이스를 이루는 미러하우징(104)이 구비되어 있고, 이 미러하우징(104) 내부에 베이스플레이트(105)가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이 베이스플레이트(105)위에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미러각도를 조절시키는 미러각도조절장치(106)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미러홀더(103)를 지지하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10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107)가 구비되어, 이 미러각도조절장치(106)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시켜 작동시키므로써 미러(102)를 수평축 혹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적절한 후방 관측각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미러(102)를 수직축 혹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이 회동의 조합에 의해 적절한 미러각도를 얻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미러각도를 조절시키는 수단인 상기 미러각도조절장치(106)는 수평축 혹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두 개의 모우터로 이루어진 회동수단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써, 제작비가 비싸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백미러 각도조절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5)에 고정되는 하부판(108)과 이 하부판(108)에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대(107)를 받쳐주는 상부판(109)으로 이루어진 함체(110)와, 이 함체(110)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지지대(107)를 수평축 혹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수평회동수단(111)과 수직회동수단(112)을 갖춰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회동수단(111)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모우터(113)와, 이 제1모우터(113)에 결합되어 모우터(11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지지대(107)에 전달시키는 제1전동기구(115)로 되고, 상기 수직회동수단(112)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모우터(115)와, 이 제2모우터(115)에 결합되어 모우터(115)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지지대(107)에 전달시키는 제2전동기구(116)로 이루어져, 상기 제1,2모우터(113,115)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에 전기적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시키면, 상기 미러홀더(103)를 지지하는 지지대(107)가 회동되어 미러홀더(103)에 고정된 미러(102)를 회동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이루어진 종래의 미러각도 조절장치는 공간상에서 미러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제작비가 비싼 2개의 모우터(113,115)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제작비가 비싸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모우터를 통해 미러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써 제작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미러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차량의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에서, 상기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제1,2전동기구가 함체 내부에 소정 높이차를 이루면서 설치되고, 전원과 제1스위치를 통해 배선된 모우터가 승하강되면서 상기 제1,2전동기구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전원에 제2스위치를 통해 배선된 솔레노이드가 상기 모우터와 함체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미러각도 조절장치에 따라 상기 모우터를 작동시키면, 이 모우터에 결합된 제1,2전동기구중 어느 하나가 연동되면서 상기 지지대에 장착된 미러홀더를 수평 혹은 수직축 중 어느 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미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나머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려면 상기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모우터를 상승 혹은 하강시켜 분리되어 있던 작동기구에 결합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개의 모우터를 사용치 않고, 하나의 모우터에 의해서 미러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작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a는 일반적인 차량용 전동식 백미러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3b는 일반적인 전동식 백미러의 일부절결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를 도 1과 같이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함체 2 : 제1전동기구
3 : 제2전동기구 4 : 제1스위치
5 : 모우터 5a,5b: 모우터축
6 : 제2스위치 7 : 솔레노이드
8 : 가이드포스트 9 : 부쉬
101 : 설치용브라켓트 102 : 미러
103 : 미러홀더 104 : 미러하우징
105 : 베이스플레이트 106 : 지지대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로서, 도 3a 및 도 3b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분해조립이 가능한 상부판(1a)와 하부판(1b)으로 이루어져 케이싱을 이루는 함체(1)에 내장되면서 상기 지지대(107)를 회동시켜주는 제1,2전동기구(2,3)가 소정 높이차를 이루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이 제1,2전동기구(2,3)의 어느 하나에 결합되면서 전원과 운전석에 가까운 곳에 설치된 제1스위치(4)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접속된 모우터(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모우터(5)의 양측면에 기어이빨이 형성된 형성된 2개의 축(5a,5b)이 각각 구비됨과 더불어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우터(5)의 아래쪽에 운전석에 가까운 곳에 설치된 제2스위치(6)를 통하여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의 인가받음 여부에 따라 상기 모우터(5)를 승하강시켜 상기 제1,2전동기구(2,3)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솔레노이드(7)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7)가 승하강될 때 모우터(5)의 이동을 안내시키면서 모우터(5)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모우터(5) 하부 양쪽에 가이드포스트(8)가 설치되어 있고, 함체(1) 내부저면에 상기 가이드포스트(8)가 삽입되어 상하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부쉬(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미러 각도 조절장치에 따라 미러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높은 곳에 위치한 제1전동기구(2)에 모우터(5)가 결합되어 있고, 제1전동기구(2)가 궁극적으로 미러각도를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킨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서 먼저 상기 제1스위치(4)를 온시켜 모우터(5)를 작동시키면, 이 모우터(5)에 결합된 제1전동기구(2)는 연동되어 상기 지지대(107)의 한쪽을 잡아당기든지 아니면 밀어부쳐 밀어 지지대(107)와 이 지지대(107)에 장착된 미러홀더(103)를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미러홀더(103)에 몰딩처리된 미러(102)는 그 각도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축의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우터(5)의 회전방향에 따라 결정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미러홀더(103)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우터(5)를 제2전동기구(3)에 연결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제1전동기구(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전동기구(3)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2스위치(6)를 조작하여 솔레노이드(7)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시키면, 상기 솔레노이드(7)의 가동철심에 고정된 상기 모우터(5)는 하강되면서 상기 제2전동기구(3)에 연결되게 되고, 이와 같이 제2전동기구(3)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4)를 조작하여 모우터(5)에 전기적신호를 인가시키게 된다.
이 전기적 신호가 모우터(5)에 인가됨에 따라 모우터(5)에 결합된 제2전동기구(3)는 연동되어, 상기 지지대(107)의 한쪽을 잡아당기든지 아니면 밀어부쳐 밀어 지지대(107)와 이 지지대(107)에 장착된 미러홀더(103)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미러홀더(103)에 몰딩처리된 미러(102)는 수직축에 대해 그 각도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직축의 중심으로 지지대(107)를 회전시키는 방향은 정역회전가능한 모우터(5)의 회전방향에 따라 결정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와 같이 제1,2스위치(4,6)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작하여 상기 미러홀더(103)를 회동시키면, 운전하기에 적합한 관측각도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에 의하면, 두 개의 모우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하나의 모우터에 의해서 자유자재로 미러각도 조절을 할 수가 있으므로써 제작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상부에 미러홀더(103)를 지지하는 지지대(107)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차량의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7)를 회동시켜주는 제1,2전동기구(2,3)가 함체(1) 내부에 소정 높이차를 이루면서 설치되고, 외부전원에 제1스위치(4)를 통해 배선된 모우터(5)가 승하강되면서 상기 제1,2전동기구(2,3)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외부전원에 제2스위치(6)를 통해 배선된 솔레노이드(7)가 상기 모우터(5)와 함체(1)사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 각도조절장치.
KR1019960049711A 1996-10-29 1996-10-29 차량용 전동식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 KR0185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711A KR0185889B1 (ko) 1996-10-29 1996-10-29 차량용 전동식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711A KR0185889B1 (ko) 1996-10-29 1996-10-29 차량용 전동식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330A KR19980030330A (ko) 1998-07-25
KR0185889B1 true KR0185889B1 (ko) 1999-05-01

Family

ID=1947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711A KR0185889B1 (ko) 1996-10-29 1996-10-29 차량용 전동식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71B1 (ko) * 2007-12-13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룸미러 안테나의 각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330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4685B1 (en) Power window apparatus
KR100198321B1 (ko) 차량용 후시경의 위치결정장치
US6244954B1 (en) Air conditioner
US4807934A (en) Device for moving up and down and tilting a headrest of a vehicle seat
JPH10119793A (ja) 自動車ステアリングコラムユニット
JP2877566B2 (ja) 車両の可動部材の駆動装置
US4403829A (en) Angle adjusting arrangement for adjusting an element about two axes
KR0185889B1 (ko) 차량용 전동식 백미러 각도 조절장치
JP4713402B2 (ja) 形状記憶駆動手段を持つ自動車用外部バックミラーユニット
USRE27653E (en) Electric adjusting means for azimuth and elevation adjustment
KR0157262B1 (ko) 차량용 파워 시트에서의 콘솔 박스의 무빙 시스템
KR200270710Y1 (ko) 자동차용 모니터 조립체
KR101490771B1 (ko) 자동차용 전동식 미러 틸팅장치
KR200264504Y1 (ko) 자동차용 윈도우 리프팅 장치
JP2535844B2 (ja) 自動車用ドアミラ―装置
FR2454935A1 (fr) Dispositif de commande electrique de retroviseur exterieur, notamment pour poids lourds
JPH0717262A (ja) 電動式可動ルーフの手動駆動装置の取付構造
KR200175103Y1 (ko) 차량용 자동백미러 액튜에이터 장치
KR970006713Y1 (ko) 자동차용 파워시이트 트랙(power seat track)의 동시 높이조절장치
KR20240058302A (ko) 차랑용 시트의 롱 슬라이딩 장치
JPH0329620B2 (ko)
KR19990019647U (ko) 자동차의 영상표시기기 구동장치
KR19990002942U (ko) 차량용 사이드미러 각도 조절장치
KR0140620B1 (ko)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모니터 장착 구조
JP2002160683A (ja) 可動式ウインドスクリーン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