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543B1 - 졸음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졸음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543B1
KR0184543B1 KR1019950060569A KR19950060569A KR0184543B1 KR 0184543 B1 KR0184543 B1 KR 0184543B1 KR 1019950060569 A KR1019950060569 A KR 1019950060569A KR 19950060569 A KR19950060569 A KR 19950060569A KR 0184543 B1 KR0184543 B1 KR 0184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otor
driver
seat
drow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0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705A (ko
Inventor
박화용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543B1/ko
Publication of KR97003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76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ssag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 운전이나 장시간 운전시에 흔히 발생되는 졸음 운전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로 모터(M)를 구동토록 하여 이를 통해 회전하는 진동자(11)를 이용하여 졸음 운전 상태의 운전자에게 경고를 함으로써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 졸음 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석 시트(1)의 등받이(2) 내부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이를 증폭부(4)와 제어부(5)를 통해 모터구동부(6)에 전달토록 하고, 시트 쿠션(3)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7)를 형성하여, 이의 내부에 상기 모터구동부(6)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M)와 이에 축설되는 진동자(11)를 형성하엿 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졸음 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절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2 : 등받이
3 : 시트쿠션 4 : 증폭부
5 : 제어부 6 : 모터구동부
7 : 박스 M : 모터
9 : 축 10 : 키
11 : 진동자 12 : 키홈
본 발명은 야간 운전이나 장시간 운전시에 흔히 발생하는 졸음 운전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로 모터를 구동토록 하여 이를 통해 회전하는 진동자를 이용하여 졸음 운전 상태의 운전자에게 경고를 함으로써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 졸음 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졸음 운전은 흔히 야간 운전이나, 장시간 운전으로 피로가 누적되었을 때, 또 고속도로와 같이 바깥 배경에 큰 변화가 없는 단조로운 상태에서 운행할 때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졸음 운전이 정체 구간에서 발생될때에는 차량의 간단한 접촉 사고만을 유발하게 되지만, 고속으로 주행중인 상태에서 발생될 때에는 대형 사고가 발생되게 되어 본인은 물론 타인의 목숨까지 위험하게 되며 이는 원활한 차량 통행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운전중에 졸음이 밀려올때에는 차를 길 한편에 정차시킨 후 잠시 수면을 취한 뒤에 다시 운전을 하는데, 이는 도로의 폭이 좁은 곳에서는 차량 흐름을 저해하게 되어 교통 체증을 유발하였고, 야간에는 차량의 모든 등을 소등한 후 수명을 취함으로써 뒤따라오는 차량이 이를 발견하지 못해 대형 사고가 유발되는 등의 안전 사고의 원인이 되었으며 지정 날짜까지 물건을 납품해야 하는 등의 긴급을 요하는 화물을 운송하는 화물차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길 한편에서 휴식을 취할 수도 없어 대형 사고를 유발케되는 한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금까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차량의 운전석 등받이에 압력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감지, 이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게 되어 졸음 운전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졸음 운전 방지요 좌석 진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석 시트의 등받이 내부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이를 증폭부와 제어부를 통해 모터구동부에 전달토록 하고, 시트 쿠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를 형성하여, 이의 내부에 상기 모터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와 이에 축설되는 진동자를 형성하여서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졸음 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 장치는 모터에 형성되는 축에는 키를 형성하고, 이와 축결합되는 진동자에눈 키홈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졸음 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장치의 계통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졸음 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 장치는 운전석 시트(1)의 등받이(2)의 내부에 압력 센서를 설치하여 여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증폭부(4)와 제어부(5)를 통해 모터구동부(6)에 전달토록 하고, 시트 쿠션(3)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7)를 형성하여 이의 내부에 상기 모터구동부(6)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M)를 설치하되, 모터(M)에 형성되는 축(9)에는 키(10)를 형성하고, 이와 결합되는 진동자(11)에는 키홈(12)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15는 운전자이다.
한편,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동을 켠 상태에서 압력 센서의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작동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시트(1)의 등받이(2)에 등을 기댄채 정상적인 상태로 운전시에는 운전자의 등이 시트(1)의 등받이(2)에 밀착되게 되어 등받이(2) 내부에 형성된 압력센서를 가압하는 상태이므로 시트(1)저면에 형성된 모터(M)가 구동하지 않게 되어 운전자는 정상적인 상태로 운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운전자가 졸음 운전으로 인해 시트(1) 등받이(2)에서 상체가 이탈되어 등받이(2) 내부에 형성된 압력 센서의 가압이 해제되게 되면 압력 센서에서 압력값의 차이를 판단하여 신호를 증폭부(4)로 보내게 된다. 이어 증폭부(4)를 통해 증폭된 신호는 제어부(5)를 거쳐 모터구동부(6)로 전달되게 된다. 이렇게 모터 구동부(6)에 전달된 신호에 의해 모터(M)가 구동함에 따라 모터(M)에 축설되는 진동자(11)가 회전하면서 시트(1)에 진동을 주게 되고, 이에 다라 졸음 운전 상태인 운전자의 다리부분에서 자극을 느끼게 되어 졸음 운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졸음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 장치에 의하여, 운전시 센서를 통해 이를 졸음 운전을 감지토록 하여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게 됨으로써 졸음 운전으로 이한 대형 사고 및 인명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운전석 시트(1)의 등받이(2) 내부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압력에 의거하여 운전자의 졸음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 상기 압력 센서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4); 운전석 시트 쿠션(3)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박스(7)에 내장되는 모터(M); 상기 모터(M)에 축설되는 진동자(11); 상기 모터(M)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6); 및 상기 증폭부(4)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운전자의 졸음 운전 여부를 판단한 후에 운전자가 졸음 운전을 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 구동부(6)를 통해 모터(M)를 구동시켜 운전석 시트를 진동시키는 제어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졸음 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모터(M)에 형성되는 축(9)에는 키(10)를 형성하고, 이와 축결합되는 진동자(11)에는 키홈(12)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 장치.
KR1019950060569A 1995-12-28 1995-12-28 졸음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장치 KR0184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0569A KR0184543B1 (ko) 1995-12-28 1995-12-28 졸음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0569A KR0184543B1 (ko) 1995-12-28 1995-12-28 졸음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705A KR970036705A (ko) 1997-07-22
KR0184543B1 true KR0184543B1 (ko) 1999-04-01

Family

ID=1944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0569A KR0184543B1 (ko) 1995-12-28 1995-12-28 졸음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5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376A (ko) * 2001-05-23 200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졸음 방지용 안마 시트
US20200114791A1 (en) * 2012-03-15 2020-04-16 Ts Tech Co., Ltd. Vehicle se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053A (ko) * 1999-09-02 2001-04-06 이계안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376A (ko) * 2001-05-23 200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졸음 방지용 안마 시트
US20200114791A1 (en) * 2012-03-15 2020-04-16 Ts Tech Co., Ltd. Vehicle seat
US11951888B2 (en) * 2012-03-15 2024-04-09 Ts Tech Co., Ltd.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705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1321A (en) Method and apparatus of a vibratory indicator for use in vehicles
US6246313B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braking device in motor vehicles
KR0184543B1 (ko) 졸음운전 방지용 좌석 진동장치
CN107953886A (zh) 车辆以及车辆的安全行驶方法
JPH058656A (ja) 車両の居眠り運転防止装置
US5675313A (en) Alertness detecting and warning system for automobile
JP2005204829A (ja) 乗り物の事故防止方法及び事故防止装置
JP4114105B2 (ja) 保守用車の安全走行装置
JPH11321562A (ja) シートベルト着用表示装置
JPH11189066A (ja) 車両用警報装置
KR100283321B1 (ko) 졸음 운전 방지 장치
JPS6225387Y2 (ko)
KR100193924B1 (ko) 차량의 졸음운전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267288B1 (ko) 자동차의 흥분 운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69956B1 (ko) 차량용 졸음 운전 방지 장치
JP2001287674A (ja) 建設機械の安全確認装置
KR20040098704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자동제어장치
KR100216700B1 (ko)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50007329Y1 (ko) 자동차의 음주운전 방지장치
KR0124803Y1 (ko) 페달작동을 방해하는 장애물 감지장치
KR20030096806A (ko) 음주운전 방지장치
JP2543584Y2 (ja) A.t車用シートベルト非着用警報装置
JPH0575044U (ja) 駐車ブレーキの戻し忘れ警報装置
JP2002114054A (ja) 居眠り運転防止装置
KR19980030211A (ko) 운전자 졸음방지 시트진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