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819B1 - 모니터 겸용의 텔레비젼 수상기 - Google Patents

모니터 겸용의 텔레비젼 수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819B1
KR0183819B1 KR1019960002786A KR19960002786A KR0183819B1 KR 0183819 B1 KR0183819 B1 KR 0183819B1 KR 1019960002786 A KR1019960002786 A KR 1019960002786A KR 19960002786 A KR19960002786 A KR 19960002786A KR 0183819 B1 KR0183819 B1 KR 0183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nitor
television
digital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174A (ko
Inventor
윤흥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819B1/ko
Publication of KR970064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퍼스널 컴퓨터에서 출력된 모니터용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는 텔레비젼 신호로부터 복조된 RGB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제1디지털 RGB신호로서 출력하는 디지털 변환부; 컴퓨터에서 출력된 RGB신호 및 모니터 동기 신호를 유입하고, RGB신호에 근거한 제2디지털 RGB신호 및 모니터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피씨그래픽 시스템부; TV/PC모드를 결정하는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1디지털 RGB신호 및 텔레비젼 동기 신호 혹은 제2디지털 RGB신호 및 모니터 동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RGB신호 및 동기 신호를 유입하고 해당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는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텔레비젼 영상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피씨그래픽 시스템부를 구비함으로써 컴퓨터의 모니터 기능을 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모니터 겸용의 텔레비젼 수상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피씨그래픽 시스템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럭 발생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퍼스널 컴퓨터에서 출력된 모니터용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강력하게 전개되고 있는 멀티미디어화의 추세에 부응하여 텔레비젼과 컴퓨터의 통합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 따라 텔레비젼의 기능과 모니터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실제로, 알에프 변조된 텔레비젼 신호나 비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가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컴퓨터는 본체 내에 특별히 제작된 영상 보드를 장착시켜야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영상 보드는 하드웨어적 혹은 소프트웨어적으로 복잡한 설정을 필요로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비디오 어댑터 보드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은 사용자에게 설치 및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한 영상 보드가 없더라도 텔레비젼 기능 및 모니터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장치는 통상의 모니터와 같이 케이블을 통하여 컴퓨터 본체의 비디오 어댑터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니터 겸용의 텔레비젼 수상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는 텔레비젼 영상 신호 또는 모니터용 영상 신호를 복조하여 해당 영상을 출력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알에프 변조된 텔레비젼 신호에 근거한 복합 영상 신호를 출력 하는 튜너; 상기 튜너에서 출력된 복합 영상 신호에 근거한 휘도/색차 신호를 발생하는 휘도/색차 신호 분리부; 상기 휘도/색차 신호 분리부에서 출력된 휘도/색차 신호에 근거한 RGB신호 및 텔레비젼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크로마동기 재생부; 상기 크로마동기 재생부에서 출력된 RGB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제1디지털 RGB신호로서 출력하는 디지털 변환부; 컴퓨터에서 출력된 RGB신호 및 모니터 동기 신호를 유입하고, RGB신호에 근거한 제2디지털 RGB신호 및 모니터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피씨그래픽 시스템부; TV/PC모드를 결정하는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1디지털 RGB신호 및 텔레비젼 동기 신호 혹은 제2디지털 RGB신호 및 모니터 동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RGB신호 및 동기 신호를 유입하고 해당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는 알에프 신호 선택부(10), 튜너(12), 앰티에스(MTS) 디코더(14), A/V선택부(16), 휘도/색차 분리부(18), 크로마동기 재생부(20), 디지털 변환부(22), 클럭 발생부(24), 피씨그래픽 시스템부(26), 멀티플렉서(28), 그리고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포함한다.
알에프 신호 선택부(10)는 안테나(8)를 통하여 제공되는 제1알에프 신호 혹은 동축 케이블(미도시)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제2알에프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알에프 신호 선택부(10)는 안테나(8)를 통하여 제공되는 제1알에프 신호의 S/N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 LNA)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튜너(12)는 알에프 신호 선택부(10)에서 제공된 알에프 신호로부터 복합 영상신호와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튜너(12)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는 MTS디코더(14)에 제공된다.
MTS디코더(14)는 스테레오 및 음성 다중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A/V선택부(16)는 튜너(14) 및 MTS디코더(14)를 통하여 제공되는 알에프 신호에 근거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외부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휘도/색차 신호 분리부(18) 및 오디오 제어부(19)에 제공한다. 또한, 휘도/색차 신호 분리부(18)에서 제공되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휘도/색차 신호와 슈퍼 VHS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크로마동기 재생부(20)에 제공한다.
휘도/색차 신호 분리부(18)는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분리하여 A/V선택부(16)에 제공한다.
크로마동기 재생부(20)는 A/V선택부(16)에서 제공되는 휘도/색차 신호를유입하여 RGB신호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재생하고, 디지털 변환부(22)와 클럭 발생부(24)에 각각 제공한다.
디지털 변환부(22)는 그에 제공되는 RGB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고, 더블 스캔 변환시켜 출력한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변환부(22)는 각 신호별로 저역 통과 필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그리고 라인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인 메모리는 더블 스캔 변환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이에 관한 것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클럭 발생부(24)는 크로마동기 재생부(20)에서 제공되는 수평/수직 동기 신호에 근거하여 디지털 변환부(22)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제공되는 클럭 신호(ADC-TCLK), 라인 메모리의 리드 클럭(L/M-RCLK), 라인 메모리의 라이트 클럭(L/M-WCLK), 2체배된 수평 동기 신호(2Hs), 수직 동기 신호(Vs), 라인 메모리의 리세트 신호(RESET(R), RESET(W)), 그리고 픽셀 클럭 신호(MAIN CLK)를 발생한다.
디지털 변환부(22)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RGB신호와 클럭 발생부(24)에서 제공되는 2Hs, Vs, MAIN CLK는 제1디지털 영상 신호로서 멀티플렉서(28)에 제공된다.
피씨그래픽 시스템부(26)는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에서 제공되는 RGB 및 수평/수직 동기 신호로 구성된 VGA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 변환된 제2디지털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멀티플렉서(28)는 동작 모드(TV/PC)에 따라 제1디지털 영상 신호 혹은 제2디지털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액정 디스플레이부(30)는 멀티플렉서(2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유입하고, 이에 해당하는 영상을 출력한다.
마이콤(32)은 알에프 신호 선택부(10)의 선택 동작, A/V선택부(16)의 선택 동작, 그리고 멀티플렉서(28)의 선택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맨머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피씨그래픽 시스템부(26)의 각종 조정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는 일반 텔레비젼 모드와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모니터용 영상 신호를 재생하는 피씨 모드로 동작한다.
텔레비젼 모드(이하 TV모드라 함)에서는 공중선을 통하여 전송된 알에프 신호, 동축 케이블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알에프 신호, 라인 신호, 슈퍼 VHS 신호 등을 재생한다. 이에 관한 것은 주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디지털 변환부(22)에서 제공된 제1디지털 영상 신호는 멀티플렉서(28)를 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부(30)에 제공된다. 이때, 수평 동기 주파수는 32.5㎑, 수직 동기 주파수는 60㎐, 그리고 MAIN CLK는 25.175㎒이다.
피씨 모드(이하 PC 모드라 함)에서는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VGA신호를 재생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VGA신호는 0∼7V의 레벨을 갖는 아날로그의 RGB신호와 TTL레벨의 수평/수직 동기 신호로 구성된다.
TV모드에서의 RGB신호는 0∼1V의 레벨을 가지므로 VGA의 RGB신호는 이에 맞춰 일단 정규화된다. 이후 BRIGHT, CONTRAST, 수직 위치(V-POS), 수평 위상(H-PHA), 수평 크기(H-SIZE), 수평 위치(H-POS) 등이 조정된다.
피씨그래픽 시스템부(26)에서 제공되는 제2디지털 영상 신호는 멀티플렉서(28)를 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부(30)에 제공된다. 이때, 수평 동기 주파수는 32.47㎑, 수직 동기 주파수는 60㎐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피씨그래픽 시스템부(26)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장치는 버퍼부(300), 그래픽 제어부(302), 플래쉬 메모리(304), 비디오 램(306), 발진부(308)를 구비한다.
버퍼부(300)는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RGB신호의 레벨을 디지털 변환부(22)에서 제공되는 RGB신호의 레벨과 동등하게 하기 위하여 정규화한다. 정규화된 RGB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0)를 통하여 디지털 변환된다. 이때 변환 클럭(ADC-PCLK)은 디지털 변환부(20)의 변환 클럭(ACD-TCLK)과 동등한 주파수를 갖는다.
그래픽 제어부(302)는 마이콤(30)에서 제공되는 각종의 조절 데이터에 따라 디지털 변환된 RGB신호를 처리하고, 비디오 램(306)을 제어하여 처리된 RGB신호의 저장/독출을 행한다.
마이콤(30)에서 제공되는 조절 데이터들에는 BRIGHT, CONTRAST, 수직 위치(V-POS), 수평 위상(H-PHA), 수평 크기(H-SIZE), 수평 위치(H-POS) 컨트롤 데이터 등이 있다. 이러한 조절 데이터들은 플래쉬 메모리(304)에 저장되며 필요시 그래픽 제어부(302)에 의해 참조 또는 갱신된다.
비디오 램(306)은 프레임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기록 용량을 가진 두 개의 메모리 뱅크로 구성된다. 각 메모리 뱅크의 기록 및 독출 동작은 프레임 주기로 전환된다. 메모리 뱅크의 기록/독출 동작에 필요한 각종의 제어 신호들은 그래픽 제어부(302)에서 제공된다.
또한, 그래픽 제어부(302)는 50㎒의 내부 발진기(312)에서 발생된 발진 신호를 기초로 하여 그에 소요되는 클럭 신호를 발생한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럭 발생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장치는 위상 동기 루프를 근간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위상 동기 루프는 위상 비교기, 저역 통과 필터, 전압 제어 발진기, 분주기 등으로 구성된다.
클럭 발생부(24)는 크로마동기 재생부(20)에서 재생된 15.75㎒의 수평 동기 신호(Hs)에 의해 디지털 변환부(22)에서 소요되는 각종의 클럭 신호를 발생한다.
크로마동기 재생부(20)에서 제공된 수평 동기 신호는 파형 정형기(400)를 통하여 파형 정형되고, 위상 비교기(402)에 제공된다.
위상 비교기(402)는 크로마동기 재생부(20)에서 제공된 수평 동기 신호와 분주기(410)에 의해 발생된 수평 동기 신호를 비교하여 양 신호의 위상차에 상응하는 위상 에러 신호를 발생한다.
이 위상 에러 신호는 저역 통과 필터(404)를 거쳐 적분되어 전압 제어 발진기(406)에 제공된다. 전압 제어 발진기(406)는 그에 인가되는 제어 전압의 크기에 따라 주파수가 제어되는 발진 신호를 발생한다.
위상 비교기(402)와 저역 통과 필터(404)의 작동에 의해 전압 제어 발진기(404)에서 발진된 발진 신호는 일정한 위상과 주파수를 가지게 된다.
전압 제어 발진기(404)에서 발생된 27.175㎒의 발진 신호는 분주기(408)에 의해 2분주되어 ADC-TCLK, LM/WCLK로서 제공된다.
한편, 전압 제어 발진기(404)에서 발생된 27.175㎒의 발진 신호는 다른 분주기(410)에도 제공된다. 분주기(410)는 2체배된 수평 동기 신호(2Hs), 리드 리세트 신호(RESET(READ)), 라이트 리세트 신호(RESET(WRITE))를 발생한다. 또한 분주기(410)는 27.175㎒의 L/M-RCLK, ADC-PCLK, MAIN CLK도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는 컴퓨터에서 제공도는 영상 신호를 텔레비젼 영상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피씨그래픽 시스템부를 구비함으로서 컴퓨터의 모니터 기능을 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는 통상의 모니터가 연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케이블을 통하여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는 것만으로 모니터 기능을 겸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므로 부피가 적고, 소비 전력이 작게 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치의 본체와 분리하여 거치형, 벽걸이형 등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텔레비젼에 적용된 것이지만 이들 모니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수신된 텔레비젼 신호를 복조하고, 모니터용 영상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것이 될 것이다. 그러나, 통상의 모니터는 오디오 출력 장치, 제어 장치 등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텔레비젼 수상기에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Claims (1)

  1. 텔레비젼 영상 신호 또는 모니터용 영상 신호를 복조하여 해당 영상을 출력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알에프 변조된 텔레비젼 신호에 근거한 복합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 상기 튜너에서 출력된 복합 영상 신호에 근거한 휘도/색차 신호를 발생하는 휘도/색차 신호 분리부; 상기 휘도/색차 신호 분리부에서 출력된 휘도/색차 신호에 근거한 RGB신호 및 텔레비젼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크로마동기 재생부; 상기 크로마동기 재생부에서 출력된 RGB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제1디지털 RGB신호로서 출력하는 디지털 변환부; 컴퓨터에서 출력된 RGB신호 및 모니터 동기 신호를 유입하고, RGB신호에 근거한 제2디지털 RGB신호 및 모니터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피씨그래픽 시스템부; TV/PC모드를 결정하는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1디지털 RGB신호 및 텔레비젼 동기 신호 혹은 제2디지털 RGB신호 및 모니터 동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RGB신호 및 동기 신호를 유입하고 해당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KR1019960002786A 1996-02-06 1996-02-06 모니터 겸용의 텔레비젼 수상기 KR0183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786A KR0183819B1 (ko) 1996-02-06 1996-02-06 모니터 겸용의 텔레비젼 수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786A KR0183819B1 (ko) 1996-02-06 1996-02-06 모니터 겸용의 텔레비젼 수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174A KR970064174A (ko) 1997-09-12
KR0183819B1 true KR0183819B1 (ko) 1999-05-01

Family

ID=1945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786A KR0183819B1 (ko) 1996-02-06 1996-02-06 모니터 겸용의 텔레비젼 수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636B1 (ko) * 1998-12-23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씨모니터링기능을갖는티브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691B1 (ko) * 1997-12-05 2001-05-02 윤종용 그래픽정보변환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101050996B1 (ko) * 2004-06-25 2011-07-26 대우디스플레이주식회사 모니터 겸용 텔레비전에서 컴퓨터 입력 포맷에 따른 화면표시 방법 및 그 텔레비전 수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636B1 (ko) * 1998-12-23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씨모니터링기능을갖는티브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174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1340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converting video signals to conform to a display device
JP2898807B2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
JPH08256291A (ja) 映像重畳装置
GB2331438A (e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having on-screen-display function
KR0183819B1 (ko) 모니터 겸용의 텔레비젼 수상기
US6489933B1 (en) Display controller with motion picture display function, computer system, and motion picture display control method
US5974221A (en) Playback device
KR100311477B1 (ko) 디지털 티브이(Digital TV)의 동기신호 발생장치
EP0584824B1 (en) Oscillator circuit suitable for picture-in-picture system
US5953068A (en) Reproducing decompressed audio-video data using an external video signal to produce clock signals
EP12050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lock signal with high frequency accuracy
US5729247A (en) Screen display device
KR100282369B1 (ko) 영상신호 변환장치
KR100213872B1 (ko) 정보 pip 화면의 표시위치 가변 장치
KR0123724B1 (ko) 동기신호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장치
KR100186410B1 (ko) 텔레비젼의 입력신호 절환방법
JP3946795B2 (ja) 液晶パネル表示装置付きvtr
KR950004132B1 (ko) 디지탈 rgb엔코더
KR970022140A (ko) 다중-표준형 2화면 영상 신호 처리회로
KR100209887B1 (ko) 플레이백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JP2523010B2 (ja) クランプパルス制御回路
JPH0825497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642601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11341388A (ja) 2画面表示装置
JPS63200680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