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663B1 -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663B1
KR0183663B1 KR1019910003363A KR910003363A KR0183663B1 KR 0183663 B1 KR0183663 B1 KR 0183663B1 KR 1019910003363 A KR1019910003363 A KR 1019910003363A KR 910003363 A KR910003363 A KR 910003363A KR 0183663 B1 KR0183663 B1 KR 0183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oscillator
diod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386A (ko
Inventor
나보규
Original Assignee
정용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용문
Priority to KR101991000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663B1/ko
Publication of KR92001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 Transmitt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송신오프셋트 주파수 혼합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송신오프셋트 주파수신호는 수신신호에 비해 매우 강한 신호이기 때문에 수신시에도 송신오프셋트 주파수신호가 남아 있으면 수신장애를 일으키게 되며, 이 때문에 전원절환스위치(202)등을 이용하여 주파수체배기(205)에 공급되는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기술은 이미 선행기술로서 나와 있으나, 수신시에 발진기(204)로부터 주파수체배기(205)에 공급되는 발진주파수를 완전히 제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요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발진하는 발진기(304)와, 그 발진주파수를 체배하여 출력하는 주파수체배기(305)와, 이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되는 전원(301)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발진기(304)로부터 상기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되는 발진주파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수단(300)을 포함함으로써 수신시 발진기(304)로부터 출력되는 기본발진주파수가 제어수단내의 부하저항(R6)에서 전량 열로 소모되도록 하여 주파수체배기(305)에 어떠한 신호도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무선전화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BPF 20 : 절환스위치
30 : 저잡음증폭기 40, 60 : 주파수혼합기
50 : 전력증폭기 70 : 국부발진기
80 : 복조기 90 : 변조기
100 : 오프셋트국부발진기 201, 301 : 전원
202 : 전원절환스위치 203, 303 : 전원절환제어신호
204, 304 : 발진기 205, 305 : 주파수체배기
206, 306 : 출력신호 307 : 체배기직류전원입력
본 발명은 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파수분할 다원접속-시분할 이중방식(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Time Division Duplexing; FDMA-TDD)의 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 TDD방식으로 통신할 때 수신시 발생하기 쉬운 송신오프셋트 주파수신호와 수신기의 제일 중간주파수와의 간섭에 따르는 수신장애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DMA-TDD방식의 디지털무선전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대역통과필터(10)를 거쳐서 대역필터링한 후 송수신절환스위치(20)에서 절환하여 저잡음증폭기(LNA; 30)에 공급하고 있다. 그 다음 수신측 주파수혼합기(40)는 저잡음증폭기(30)를 통해 공급되는 수신신호를 국부발진기(70)에서 공급되는 국부발진주파수와 합성하여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복조기(80)에서 복조한 후 스피커(110)를 통해 출력하고 있다. 한편, 국부발진기(70)는 송신시에 기저대역신호가 인가되어 변조기(90)에 의해 변조된 대변조국부발진주파수신호를 송신측 주파수혼합기(60)에 공급하고 상기 혼합기는 피변조국부발진주파수신호와 오프셋트국부발진기(100)에서 출력된 오프셋트국부발진신호를 혼합하여 송신측 전력증폭기(50)에서 전력증폭한 후 수신시의 역순으로 출력하고 있다. 통상의 FDMA-TDD방식의 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는 송신주파수와 수신주파수가 같고 헤테로다인 수신방식의 수신기를 채용하는 경우 수신기의 제일 중간주파수와 송신오프셋트주파수가 같아진다. 따라서, 송신시에는 수신기 제일 중간주파수만큼 국부발진기(70)의 주파수에 차가 생기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송신시에는 오프셋트국부발진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주파수와 국부발진기(70)로부터 공급되는 국부발진주파수를 송신측 주파수혼합기(60)에서 혼합하는 송신오프셋트주파수 혼합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송신오프셋트주파수 혼합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송신오프셋트주파수 신호가 수신시에도 남아 있으면 그 신호는 수신신호에 비해 매우 강하므로 수신에 장애를 주게 된다. 그러므로 수신시에는 송신오프셋트 주파수신호를 제거하여야 하는데, 이 오프셋트국부발진기를 직접 절환하는 것은 절환속도 때문에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발진하는 발진기(204)를 사용하고 그 발진주파수를 주파수체배기(205)를 통하여 필요한 주파수로 체배하여 출력하고 있으며, 이 주파수체배기(205)를 전원절환기(202)를 통하여 절환함으로써 송신오프셋트 주파수신호를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주파수체배기(205)의 전원이 상기와 같은 전원절환기(202)를 사용하여 차단되어도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의 주파수체배기를 구성하고 있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 접합다이오드에 신호가 인가되어 수신기 제일 중간주파수와 같은 조화왜곡 고조파주파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파수체배기(205)가 오프상태로 되었을 때 체배기(205)의 입력이 고임피던스상태가 되어 회로내의 다른 부분으로 반사되는 양이 커지고, 이 반사신호가 수신측 주파수혼합기(40)에 입력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송신주파수와 수신주파수가 동일한 FDMA-TDD방식의 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기내의 주파수체배기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기본발진주파수를 부하저항에서 열로 소모시킴으로써 주파수체배기에 입력되는 신호를 제거하는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신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파수분할다원접속-시분할이중방식(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Time Division Duplexing System; FDMA-TDD System)의 디지털무선전화기에 적용되는 송신오프셋트주파수 혼합방식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 제어회로는 전원(301)으로부터 소정신호를 공급받아 원하는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신호로 발진하여 출력하는 발진기(304)와; 상기 전원(301)으로부터의 소정의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발진기(304)로부터 공급되는 발진주파수신호를 주파수체배하여 출력하는 주파수체배기(305)와; 상기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되는 전원(301)으로부터의 소정신호와 상기 발진기(304)로부터의 발진주파수신호를 전원절환제어신호(303)에 따라서 제어하여 상기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하는 제어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무선전화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블록도로서, 송신주파수와 수신주파수가 같고 헤테로다인 수신방식의 수신기를 채용한 FDMA-TDD방식의 디지털무선전화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 의하면, 송신시 발생하는 수신기 제일 중간주파수 만큼의 국부발진주파수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송신측주파수혼합기(60)에서는 국부발진기(70)로부터 공급되는 국부발진 주파수와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는 송신오프셋트 주파수혼합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송신오프셋트주파수 혼합방식을 채용한 디지털무선전화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주파수신호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제3도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무선전화기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주파수신호 제어회로는 소망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신호로 발진하는 발진기(304)와, 상기 발진기(304)로부터의 그 발진주파수신호를 소망의 주파수신호로 체배하여 출력하는 주파수체배기(305)와, 상기 발진기(304)와 상기 주파수체배기(305)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되는 전원(301)을 절환제어신호(303)에 따라서 절환함과 동시에 상기 발진기(304)로부터 상기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되는 주파수신호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00)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제어수단(300)은 상기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하여 PNP형 트랜지스터들(Q1,Q2)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 트랜지스터들(Q1,Q2)의 각 에미터단자를 공통으로 접속하여 전원(301)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는 저항(R3)을 통하여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에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R2)을 통해 접지되어 있고, 저항(R4)이 상기 저항들(R2,R3)과 병렬 접속관계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트랜지스터들(Q1,Q2)은 전원절환제어신호(303)에 따라서 동작되는 바, 수신시에 이 전원절환제어신호(303)는 로우상태가 되어 제1트랜지스터(Q1)는 온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로부터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제2트랜지스터(Q2)는 오프상태로 됨으로써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자로부터 로우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되는 전원(301)은 차단된다. 한편, 송신시에 상기 전원절환 제어신호(303)는 저항(R1)을 통해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하이상태로 공급되어 제1트랜지스터(Q1)는 오프로 되고, 이에 따라 제2트랜지스터(Q2)는 온상태로 됨으로써 전원(301)이 공급된다.
본 발명의 제어회로는 또한 상기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되는 전원(301)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발진기(304)로부터 출력되는 발진주파수신호가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회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Q2)의 각 콜렉터단자에는 제1 및 제2커패시터(C1,C2)와 , 제1 및 제2인덕터(L1,L2)가 접속되어 있고, 이들 제1 및 제2인덕터(L1,L2)의 각각은 제3 및 제4커패시터(C3,C4)와, 제3 및 제4인덕터(L3,L4)와, 제1 내지 제3다이오드(D1∼D3)가 접속되어 있다. 이때, 제1인덕터(L1)에는 제1다이오드(D1)의 음극단자 및 제2다이오드(D2)의 양극단자가 접속되어 있고, 제2인덕터(L2)에는 제1다이오드(D1)의 양극단자 및 제3다이오드(D3)의 음극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2다이오드(D2)의 음극단자와 제4인덕터(L4)의 일단은 공통접속되어 저항(R6)을 통하여 접지되어 있으며, 제3다이오드(D3)의 양극단자와 제3인덕터(L3)의 일단은 공통접속되어, 서로 병렬접속된 저항(R5) 및 제5커패시터(C5)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원(301)은 발진기(304)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발진기(304)의 타단은 상기 제3커패시터(C3), 제1다이오드(D1) 및 제4커패시터(C4)를 거쳐서 상기 주파수체배기(305)에 발진주파수신호를 공급하고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 제어회로의 동작설명을 하기로 한다.
제3도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 제어회로의 제1 내지 제5커패시터들(C1∼C5)은 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에 대하여 폐로(short circuit)를 구성하며, 제1 내지 제4인덕터들(L1∼L4)은 개로(open circuit)를 구성한다. 한편, 전원절환제어신호(303)는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저항(R1)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전원절환제어신호(303)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 Q2)는 온·오프되어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되는 전원(301)을 제어하게 된다.
즉, 수신시에 이 전원절환제어신호(303)는 로우상태로 공급되어 제1트랜지스터(Q1)가 온상태로 되어, 그 콜렉터단자를 통해 하이신호가 출력되며 이에 따라서 제2트랜지스터(Q2)는 오프되어 그 콜렉터단자를 통해 로우신호가 출력됨으로써 상기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되는 전원(301)은 오프상태로 된다. 이때 제1다이오드(D1)의 양극단자는 로우, 음극단자는 하이상태로 역바이어스되어 개방되어 있고, 제3다이오드(D3)의 음극단자는 로우, 양극단자는 하이상태로 순바이어스되어 폐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2다이오드(D2)의 양극단자는 하이, 음극단자는 로우상태로 순바이어스되어 폐로를 형성하고 저항(R6)을 통하여 발진기(304)로부터 공급되는 기본 발진주파수신호는 전량 열로 소모된다. 따라서, 상기 발진기(304)로부터 공급되는 어떠한 신호도 상기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송신시에 상기 전원절환제어신호(303)는 하이상태로 공급되어 제1트랜지스터(Q1)는 오프로 되고, 제2트랜지스터(Q2)는 온으로 됨으로써, 제1다이오드(D1)의 양극단자는 하이, 음극단자는 로우로 순바이어스된다. 이에 따라서 발진기(304)의 출력신호는 주파수체배기(305)로 공급된다. 이때 제2 및 제3다이오드(D2,D3)는 오프되어 수신시와는 반대로 발진기(304)로부터의 어떠한 출력도 부하저항(R6)에서 열로 소모되지 않는다.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송신오프셋트발진신호제어회로는 주파수체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과 동시에, 수신시발진기로부터 상기 주파수체배기에 어떠한 발진주파수신호도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신신호에 대한 송신오프셋트 주파수신호의 간섭효과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Claims (2)

  1. 주파수분할다원접속-시분할이중방식의 디지털무선전화기에 적용되는 송신오프셋트주파수 혼합방식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 제어회로에 있어서, 전원(301)으로부터 소정신호를 공급받아 원하는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신호로 발진하여 출력하는 발진기(304)와; 상기 전원(301)으로부터의 소정의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발진기(304)로부터 공급되는 발진주파수신호를 주파수체배하여 출력하는 주파수체배기(305)와; 상기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되는 전원(301)으로부터의 소정신호와 상기 발진기(304)로부터의 발진주파수신호를 전원전환제어신호(303)에 따라 제어하여 상기 주파수체배기(305)에 공급하는 제어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300)은 각각의 에미터단자가 공통접속되어 상기 전원(301)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및 제2트랜지스터들(Q1,Q2)과;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R4), 제1인덕터(L1), 제2다이오드(D2) 및 저항(R6)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자에 직렬로 접속된 제2인덕터(L2), 제3다이오드(D3) 및 저항(R5)과; 상기 발진기(304)와 상기 주파수체배기(305)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3커패시터(C3), 제1다이오드(D1) 및 제4커패시터(C4)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직렬로 접속되고, 그 접합점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와 저항(R4)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저항들(R2,R3)과; 상기 저항(R4)과 상기 제1인덕터(L1)의 접합점에 그 일단이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접지되어 있는 제1커패시터(C1)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자와 상기 제2인덕터(L2)의 접합점에 그 일단이 접속되고, 그 타단이 접지되어 있는 제2커패시터(C2)와; 상기 제1인덕터(L1)와 상기 제2다이오드(D2)의 양극단자와의 접합점과 상기 제3커패시터(C3)와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음극단자의 접합점은 공통접속되어 있고, 그 공통접합점에 접속된 제3인덕터(L3) 및 제5커패시터(C5)와; 상기 제2인덕터(L2)와 상기 제3다이오드(D3)의 음극단자의 접합점과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양극단자와 상기 제4커패시터(C4)의 접합점은 공통접속되어 있고, 그 공통접합점에 접속되어 상기 제2다이오드(D2)의 음극단자와 상기 저항(R6)의 접합점에 접속된 제4인덕터(L4)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접속되어 전원절환제어신호(303)를 통과시키는 저항(R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저항(R2,R5,R6)의 일단과 상기 제5커패시터(C5)의 일단이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 제어회로.
KR1019910003363A 1991-02-28 1991-02-28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 KR0183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3363A KR0183663B1 (ko) 1991-02-28 1991-02-28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3363A KR0183663B1 (ko) 1991-02-28 1991-02-28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386A KR920017386A (ko) 1992-09-26
KR0183663B1 true KR0183663B1 (ko) 1999-05-15

Family

ID=19311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363A KR0183663B1 (ko) 1991-02-28 1991-02-28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6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207A (ko) * 1997-12-03 1999-07-05 이형도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 혼용통신방식의 무선송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386A (ko) 199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004B1 (ko) 저 잡음 길버트 승산기 셀 및 직각 위상 변조기와 그의 방법
US5590412A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common amplifier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5822684A (en) Antenna switching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479974B1 (ko) 고주파가변이득증폭기장치와무선통신단말기
US6798294B2 (en) Amplifier with multiple inputs
US6799027B1 (en) Amplifier circuit
KR0183663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의 송신오프셋트 국부발진신호의 제어회로
JP3238931B2 (ja) デジタル携帯電話器
JP3037850B2 (ja) 高周波増幅器
JP3753050B2 (ja) 通信装置
JP3369396B2 (ja) 無線送受信共用周波数変換器
JP3222011B2 (ja) Tdd方式通信機
EP0765044B1 (en) A radiotelephone operating in a time-divided radiotelephone system
JP3102731B2 (ja) 無線送受信機
JPH0974321A (ja) 送受信機
JP2000286744A (ja) 送受切替回路
JP3129351B2 (ja) 移動電話機
JPH09247034A (ja) 携帯用高周波装置
KR920009145B1 (ko) 송신기의 임피던스 안정화 회로
KR810000180B1 (ko) 트 랜 시 버
JP2001016130A (ja) 高周波スイッチ
JPH1169451A (ja) 携帯電話装置
JPH0423621A (ja) 送受信機の自己干渉防止方法
JP2000091948A (ja) 送受信機
JPH10190513A (ja) 無線機用シンセサ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