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186B1 -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 조절용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 조절용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186B1
KR0183186B1 KR1019950006978A KR19950006978A KR0183186B1 KR 0183186 B1 KR0183186 B1 KR 0183186B1 KR 1019950006978 A KR1019950006978 A KR 1019950006978A KR 19950006978 A KR19950006978 A KR 19950006978A KR 0183186 B1 KR0183186 B1 KR 0183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engine speed
excavator
working mod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598A (ko
Inventor
이동재
이진한
이정철
Original Assignee
유상부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부,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상부
Priority to KR101995000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186B1/ko
Publication of KR96003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66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에서 작업모드의 선택 및 엔진회전수의 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장치는,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되며 회전각에 따라 엔진회전수를 가감조절함과 동시에 조절된 엔진회전수에 적합한 작업모드를 선택하는 다이얼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 조절용 스위치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작업모드선택버튼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2a, b도는 각각 종래의 다이얼식 및 업다운버튼식 엔진회전수 조절스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위치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4도는 제3도에서 특수기능모드가 더 구비된 스위치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이얼 2 : 엔진회전수표시부
3 : 작업모드표시부 L : 경굴삭모드
S : 표준굴삭모드 H : 중굴삭모드
I : 아이들링모드 F : 미세작업기능모드
E : 연료절감기능모드
본 발명은 굴삭기에서 작업모드의 선택 및 엔진회전수의 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의 작업모드는 굴삭작업의 경중에 따라, H모드(High Mode : 중굴삭모드),S모드(Standard Mode : 표준굴삭모드) 및 L모드(Low Mode : 경굴삭모드)로 구분되어 있으며, 통상, 운전자가 굴삭기 내부의 조작패널을 통하여 원하는 작업모드에 해당하는 버튼(제1도 참조)을 누르면, 먼저 엔진의 회전수가 선택된 작업모드에 맞게 변경되고 그 다음 작업상태에 따라 유압펌프의 흡수마력정도가 결정된다. 그러나, 이 경우 운전자가 운전자의 임의대로 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엔진회전수 조절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엔진회전수 조절스위치로는, 제2도(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이얼식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최근 들어서는 제2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업다운버튼식도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굴삭기의 작업모드와 엔진회전수 간에는 서로 최적으로 매칭되는 값의 범위가 존재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H모드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엔진 회전수가 적합하고 L모드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엔진회전수가 적합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경우, 작업모드의 선택과 엔진회전수의 조절을 별도의 조작 스위치를 사용하여 완전히 별개로 수행함에 따라 작업능률이 현저히 저하될 뿐아니라 운전자의 부주의 또는 운전 미숙 등으로 인해 불필요한 연료의 낭비 및 굴삭기의 과부하, 과열등이 초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삭기의 작업모드의 선택과 엔진회전수의 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단일화하여 운전자의 편의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연료의 낭비 및 굴삭기의 과부하, 과열등을 방지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조절용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소정각도범위내에서 회전되며 회전각에 따라 엔진회전수를 가감조절함과 동시에 조절된 엔진회전수에 적합한 작업모드를 선택하는 다이얼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조절용 스위치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엔진회전수는 상기 다이얼수단의 회전각에 따라 단계적으로 가감조절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작업모드는 경굴삭 모드, 표준굴삭모드 및 중굴삭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엔진회전수가 1400, 1500 및 1600 RPM인 경우 경굴삭 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엔진회전수가 1700, 1800 및 1900 RPM인 경우 표준굴삭 모드가 선택되며, 상기 엔진회전수가 최대회전수인 경우 중굴삭 모드가 선택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작업모드는 아이들링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진회전수가 900, 1100 RPM인 경우 아이들링모드가 선택되도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작업모드는 운전 조작레버를 최대로 조작하더라도 작업장치의 동작속도가 타 모드시에 비해 저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세작업기능 모드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작업모드는 엔진의 효율곡선에서 연비가 가장 높은 회전수가 지정되도록 하는 연료절감기능 모드가 포함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다이얼수단에 의해 엔진 회전수의 조절과 조절된 엔진회전수에 가장 적합한 작업모드의 선택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편의성 및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될 수 있으며, 연료의 낭비 및 굴삭기의 과부하, 과열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되는 다이얼(1)이 설치되며, 이 다이얼(1)의 회전각에 따라 엔진회전수가 가감조절된다. 즉, 다이얼(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엔진의 회전수가 증가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엔진의 회전수가 감소된다.
다이얼(1)의 회전각에 따른 엔진회전수는 비례적으로 가감조절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다이얼(1)의 회전각이 9단계로 구분되며, 다이얼(1)이 각 단계에 위치할 때마다 그 단계에 해당되는 특정 엔진회전수가 지정된다. 다이얼(1)의 회전시 그에 해당하는 엔진회전수가 표시될 수 있도록 엔진회전수 표시부(2)가 구비된다.
한편, 다이얼(1)의 회전시 전술한 엔진회전수의 가감조절외에도, 이와 동시에 가감조절된 엔진회전수에 적합한 작업모드가 선택되도록 되는데, 예를 들어, 엔진회전수가 1400, 1500 및 1600 RPM인 경우 경굴삭모드(L)가 선택되고, 상기 엔진회전수가 1700, 1800 및 1900 RPM인 경우 표준굴삭모드(S)가 선택되며, 상기 엔진회전수가 최대회전수인 경우 중굴삭 모드(H)가 선택된다. 다이얼(1)의 회전시 그에 해당하는 작업모드가 표시될 수 있도록 작업모드표시부(3)가 전술한 엔진회전수 표시부(2)의 상부에 구비된다.
엔진회전수에 대한 작업모드의 설정은 해당 굴삭기의 사양등에 따라 얼마든지 재조정 및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3가지 작업모드외에도, 엔진회전수가 극히 낮은 경우, 즉 900, 11 00 RPM인 경우 선택될 수 있는 아이들링 모드(I)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모드를 엔진회전수 영역별로 구분하여 지정하는 것 외에도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특정기능 모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정기능 모드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조작레버를 최대로 조작하더라도 작업장치의 동작속도가 타 모드시에 비해 저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세작업기능모드(Fine Mode : F)와 엔진의 효율곡선에서 연비가 가장 높은 회전수가 지정되도록 하는 연료절감기능모드(Economic Mode : E)가 포함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장비의 최초 시동을 건 후 전술한 다이얼(1)을 돌려서 원하는 엔진회전수 상태로 지정하게 되면, 지정된 엔진회전수에 가장 적합한 작업모드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고, 운전자가 다이얼(1)을 돌려서 원하는 작업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작업모드에 가장 적합한 엔진회전수가 자동으로 지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엔진회전수 조절 및 작업모드 선택이 단일의 스위치인 다이얼(1)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짐은 물론, 미세작업기능 및 연료절감기능까지도 다이얼(1)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작업 편의 성과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굴삭기의 작업모드의 선택과 엔진회전수의 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단일화되어 운전자의 편의성 및 작업능률이 현저히 향상되고, 오조작 또는 부주위등으로 인한 연료의 낭비 및 굴삭기의 과부하, 과열 등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Claims (5)

  1.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조절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 소정각도범위내에서 회전되며, 회전각도에 따라단계적으로 엔진회전수를 가감조절하며 조절된 엔진회전수에 적합한 중굴삭 모드, 표준굴삭모드, 경굴삭모드, 아이들링모드, 미세작업모드, 연료절감모드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업모드를 동시에 선택하는 다이얼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조절용 스위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모드는; 상기 엔진회전수가 1400, 1500 및 1600 rpm인 경우 경굴삭 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엔진회전수가 1700, 1800 및 1900 rpm인 경우 표준굴삭모드가 선택되며, 상기 엔진회전수가 최대회전수인 경우 중굴삭 모드가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조절용 스위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작업모드는; 상기 엔진회전수가 900, 1100 rpm인 경우 아이들링모드가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작업모드 선택 및 엔진회전수 조절용 스위치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모드는; 운전조작레버를 최대로 조작시 작업장치의 동작속도가 타 모드시에 비해 저속으로 이루어지도록 미세작업기능모드가 선택되며, 엔진의 효율곡선에서 연비가 가장 높은 회전수가 지정되도록 하는 연료절감기능모드가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 조절용 스위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모드는; 운전조작레버를 최대로 조작시 작업장치의 동작속도가 타 모드시에 비해 저속으로 이루어지도록 미세작업기능모드가 선택되며, 엔진의 효율곡선에서 연비가 가장높은 회전수가 지정되도록 하는 연료절감기능모드가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 회전수조절용 스위치장치.
KR1019950006978A 1995-03-30 1995-03-30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 조절용 스위치장치 KR0183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978A KR0183186B1 (ko) 1995-03-30 1995-03-30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 조절용 스위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978A KR0183186B1 (ko) 1995-03-30 1995-03-30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 조절용 스위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598A KR960034598A (ko) 1996-10-24
KR0183186B1 true KR0183186B1 (ko) 1999-04-01

Family

ID=1941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978A KR0183186B1 (ko) 1995-03-30 1995-03-30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 조절용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2146A1 (ko) * 2011-10-24 2013-05-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연비절감용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2146A1 (ko) * 2011-10-24 2013-05-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연비절감용 제어 장치
CN103890281A (zh) * 2011-10-24 2014-06-25 沃尔沃建造设备有限公司 用于节省施工机械燃料的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598A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70815B2 (ja) 建設機械の制御装置
EP0605724A4 (en) DEVICE FOR PASSING INTO THE END OPERATING MODE FOR A HYDRAULIC EXCAVATOR.
US20080018271A1 (en) Rotation Control Device, Rotation Control Method and Construction Machine
KR100655353B1 (ko) 짐싣기 작업차량
WO1988002441A1 (en) Driving control apparatus for hydraulic construction machines
JPH1089111A (ja) 作業車搭載エンジンの制御機構
KR0183186B1 (ko) 굴삭기의 작업모드선택 및 엔진회전수 조절용 스위치장치
JP2864241B2 (ja) 建設機械の制御装置
JP4109405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974336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回転数制御方法
JPH0968169A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2004340152A (ja) 作業車搭載エンジンの制御機構
JP2001090577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100515947B1 (ko) 굴삭기의 운전자 설정 제어장치
JP2711832B2 (ja) 建設機械の操作盤
JP4355610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4339949A (ja) エンジン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H085315Y2 (ja) 作業車のアクセル制御装置
JP2711833B2 (ja) 建設機械の操作盤
JP2866178B2 (ja) 作業車両の油圧駆動装置
JPH07166912A (ja) 油圧ポンプの吐出流量制御装置
JP2005232835A (ja) 油圧機器の制御装置
JP2711831B2 (ja) 建設機械の制御装置
KR0157273B1 (ko) 유압건설 기계의 제어장치
JP2711830B2 (ja) 建設機械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