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262B1 - 색신호 인핸서 - Google Patents

색신호 인핸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262B1
KR0182262B1 KR1019900015426A KR900015426A KR0182262B1 KR 0182262 B1 KR0182262 B1 KR 0182262B1 KR 1019900015426 A KR1019900015426 A KR 1019900015426A KR 900015426 A KR900015426 A KR 900015426A KR 0182262 B1 KR0182262 B1 KR 0182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lay
color
circu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107A (ko
Inventor
마사시 미즈다
Original Assignee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1000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예를들면 비디오테이프재생장치에 적용하기 적합한 색신호 인핸서(enhancer)에 관한 것이며, 본원 발명 색신호 인핸서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와의 위상이 맞는 제1의 지연수단과, 이 제1의 지연수단과 직렬로 접속되어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와의 위상이 맞는 제2의 지연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의 지연수단의 입출력신호의 가감산에 의해 강조신호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강조신호를 원신호에 가산하는 연산수단을 배설한 것이다.

Description

색신호 인핸서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색신호 인핸서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 예의 설명을 위한 특성도.
제3도는 본원 발명의 색신호 인핸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일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회로도.
제7도 및 제9도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8도는 일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특성도.
제10도는 종래의 색신호 인핸서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
제11도는 제10도 예의 설명을 위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크로마신호 입력단자 32 및 33 : 제1 및 제2의 지연회로
44 : 크로마신호 출력단자
본원 발명은 예를들면 비디오테이프재생장치에 적용하기 적합한 색신호 인핸서(enhancer)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VTR등에 적합한 색신호 인핸서에 있어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와의 위상이 맞는 2개의 직렬접속의 지연수단의 입출력신호로부터 강조신호를 형성시키고, 이 강조신호를 원신호에 가산해서 색신호의 윤곽강조를 행하도록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한 색신호의 강조를 행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종래, VTR등의 대역제한을 받은 색신호를 취급하는 영상기기에 사용되는 색신호 인핸서로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로가 제안되어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4504853호 참조), 이 제10도에 있어서, (1)은 영상신호로부터 분리한 휘도신호 Y의 입력단자를 표시하며, 이 입력단자(1)에 얻어지는 휘도신호 Y를 수평상관 검출회로(2)에 공급한다. 또, (3)은 영상신호로부터 분리한 크로마신호 C의 입력단자를 표시하며, 이 입력단자(3)에 얻어지는 크로마신호 C를 수평상관검출회로(4)에 공급한다. 이경우, 크로마신호 C로서는 색부반송파(色副搬送波) 3.58㎒에 의해 변조된 그대로의 신호이다. 그리고, 각각의 수평상관 검출회로(2) 및 (4)의 수평상관검출신호를 논리회로(5)에 공급한다. 이 논리회로(5)는 휘도성분의 변화점과 크로마성분의 변화점이 일치했을때,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며, 제어신호를 후술하는 변조시(9)에 공급한다. 그리고, 입력단자(31)에 얻어지는 크로마신호 ㅊ 를 제1의 지연회로(6)와 제2의 지연회로(7)와의 직렬회로에 공급하고, 제1의 지연회로(6)의 입력신호와 제2의 지연회로(7)의 출력신호를 감산기(8)에 공급하며, 양 신호의 차신호를 감산출력으로서 얻는다. 그리고, 이 차신호를 변조기(9)에 공급하고, 상술한 논리회로(5)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차신호를 속도변조시킨다. 그리고, 이 변조신호와 제1의 지연회로(6)의 출력신호를 가산기(10)에 공급하고, 가산신호를 크로마신호출력단자(11)에 공급한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서, 예를들면 제11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색 A와 색 B의 변화점의 크로마신호를 입력했을 때에는 제1의 지연회로(6)에서의 지연신호(제11도 B)와 제2의 지연회로(7)에서의 지연신호(제11도 C)가 얻어진다. 여기서, 감산기(8)에서는 입력신호와 제2의 지연회로(7)에서의 지연신호에 의해 차분신호(제11도 D)가 작성된다. 이 차분신호는 제11도 E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신호에 의해 변화점에서 크로스하는 신호(제11도 F)로 변조되고, 이 변조신호가 제1의 지연회로(6)의 출력신호와 가산됨으로써, 색 A에서 색 B에의 변화가 급격해진 크로마신호(제11도 G)가 출력단자(11)에 얻어진다.
이와같이해서 크로마신호의 변화가 급격하게 됨으로써, 윤곽부등이 강조되어 인핸서로서 기능한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색신호 인핸서는 회로규모가 크고, 구성이 복잡하고, 고가라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통상의 VTR에 있어서는 크로마신호의 기록시 및 재생시에 복수회의 밴드패스필터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재생크로마신호는 특성이 교란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즉, 밴드패스필터로서 특성이 급격한 것을 사용하면 군지연특성이 일정하지 않고, 색신호의 변화점의 후방에 오버슈트가 발생하기 쉬웠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색신호의 총합적인 특성의 개선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색신호 인핸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은 예를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와의 위상이 맞는 제1의 지연수단(22)과, 제1의 지연수단(22)과 직렬로 접속되어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와의 위상이 맞는 제2의 지연수단(23)과, 제1 및 제2의 지연수단(22) 및 (23)의 입출력신호의 가감산에 의해 강조신호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강조신호를 원신호에 가산하는 연산수단(27)을 배설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강조신호가 형성되고, 간단히 색신호의 강조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상이 맞는 신호끼리 강조신호를 형성하므로, 가감산하기 전에 계수를 승산함으로서 색신호의 총합적인 특성의 개선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1도에 본원 발명의 색신호 인핸서의 기본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중 (21)은 영상신호로부터 분리한 크로마신호 C의 입력단자를 표시하며, 이 입력단자(21)에 얻어지는 크로마신호 C를 제1의 지연회로(22)와 제2의 지연회로(23)와의 직렬회로에 공급한다. 이 경우, 크로마신호 C로서는 색부반송파 3.58㎒에 의해 변조된 그대로의 신호이고, 지연회로(22) 및 (23)으로서는 입력과 출력의 위상이 3.58㎒로 맞도록 한다. 즉, 1파장의 정수배의 지연량(예를들면 500n초)의 지연회로 또는 이퀄라이저에 의한 지연회로로 한다. 그리고, 제1의 지연회로(22)의 출력신호를 계수 a0의 승산기(24)를 통해서 연산회로(27)에 공급하고, 입력단자(21)에 얻어지는 크로마신호 및 제2의 지연회로(23)의 출력신호를 계수 a1의 승산기(25) 및 (26)를 통해서 연산회로(27)에 공급한다. 그리고, 연산회로(27)에서는 승산기(24)의 출력으로부터 승산기(25) 및 (26)의 출력을 감산하는 연산처리를 행하며, 연산회로(27)의 출력신호를 출력단자(28)에 공급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것으로, 소위 FIR형 필터가 구성되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OS특성을 얻는다. 즉, 특성곡선은 a0+2a1cos(2π f.T)로 표시된다. 이 경우, 위상특성은 리니어이다. 이 필터를 통과한 크로마신호는 색의 변화점의 신호변화가 급격하게 되고, 색신호 인핸서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이 필터를 장착한 실제의 회로구성으로서 일실시예의 구성을 제3도에 도시하면, 도면중, (31)은 영상신호로부터 분리한 크로마신호 C의 입력단자를 표시하며, 이 입력단자(31)에 얻어지는 크로마신호 C를 제1의 지연회로(32)와 제2의 지연회로(33)와의 지연회로에 공급한다. 이 경우, 크로마신호 C로서는 색부반송파 3.58㎒에 의해 변조된 그대로의 신호이고, 지연회로(32) 및 (33)로서는 예를들면 지연량 500n초로 한다. 그리고, 제1의 지연회로(32)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감산기(34)에 공급하고, 제2의 지연회로(33)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감산기(35)에 공급한다. 그리고, 각 감산기(34) 및 (35)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차신호를 얻고, 이 각각의 차신호를 리미터(36) 및 (37)와 노이즈 슬라이스회로(38) 및 (39)와 게인콘트롤앰프(40) 및 (41)와의 직렬회로에 공급한다. 그리고, 게인콘트롤앰프(40) 및 (41)의 출력신호를 가산기(42)에 공급해서 가산하고, 가산기(42)의 출력신호를 가산기(43)에 공급한다. 또, 제1의 지연회로(32)의 출력신호를 가산기(43)에 공급하고, 이 제1의 지연회로(32)의 출력신호와 가산기(42)의 출력신호를 가산하고, 가산출력을 크로마신호출력단자(44)에 공급한다.
여기서, 지연회로를 통해서 얻은 차신호를 리미터회로에서 리미트하는 구체적 회로구성의 일예를 제4도에 도시하면, 예를들면 지연회로(32)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각각 NPN형의 트랜지스터(83) 및 (87)의 베이스에 공급한다. 그리고, 전원단자(81)를 저항기(82)를 통해서 트랜지스터(83)의 콜렉터에 접속하는 동시에, 저항기(86)를 통해서 트랜지스터(87)의 콜렉터에 접속한다. 또, 정전류원(84)을 저항기(85)를 통해서 트랜지스터(83)의 에미터에 접속하는 동시에 저항기(88)를 통해서 트랜지스터(87)의 에미터에 접속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83)의 콜렉터를 다이오드(89)의 애노드 및 다이오드(90)의 캐소드에 접속하고, 다이오드(89)의 캐소드 및 다이오드(90)의 애노드를 저항기(91)를 통해서 트랜지스터(87)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이 트랜지스터(87)의 콜렉터로부터 출력단자(92)를 인출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것으로, 지연회로(32)의 입력과 출력의 차분이 얻어지는 동시에, 다이오드에 의해 대진폭이 리미트된 차신호가 출력단자(92)에 얻어지고, 지연회로(32)에서 리미터(36)까지 (또는 지연회로(33)에서 리미터(37)까지)가 구성된다.
또, 노이즈슬라이스회로(38) 및 (39)의 일예를 제5도에 도시하면, 입력단자(51)에 얻어지는 입력신호를 콘덴서를 통해서 NPN형의 트랜지스터(52) 및 (53)의 베이스에 공급하고, 이 트랜지스터(52), (53)의 에미터 및 콜렉터를 NPN형의 트랜지스터(55), (56)의 에미터 및 콜렉터와 접속한다. 또, 전원단자(54)를 트랜지스터(52) 및 (55)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53) 및 (56)의 에미터를 접지한다. 그리고, 전원단자(54)를 4개의 저항기(57), (58), (59) 및 (60)의 직렬회로를 통해서 접지하고, 트랜지스터(55)의 베이스를 저항기(57), (58)의 접속중점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56)의베이스를 저항기(59), (60)의 접속중점에 접속한다. 또한, 트랜지스터(52) 및 (53)의 베이스를 저항기(61)를 통해서 저항기(58),(59)의 접속중점에 접속한다. 그리고 전원단자(54)를 저항기(62)를 통해서 트랜지스터(53) 및 (56)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52) 및 (55)의 에미터를 저항기(63)를 통해서 접지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53) 및 (56)의 콜렉터를 저항기(64)를 통해서 출력단자(66)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52) 및 (55)의 에미터를 저항기(65)를 통해서 출력단자(66)에 접속한다.
이와같이 해서 노이즈슬라이스회로를 구성함으로서 입력단자(51)에 얻어지는 크로마신호에 포합되는 노이즈성분이 제거된 신호가 출력단자(66)에 얻어진다.
또, 다른 구성의 노이즈슬라이스회로로서 예를들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입력단자(71)에 얻어지는 크로마신호를 콘덴서를 통해서 다이오드(72)의 캐소드 및 다이오드(73)의 애노드에 접속하고, 전원단자(74)를 저항기(75)를 통해서 다이오드(72)의 애노드에 접속하며, 다이오드(73)의 캐소드를 저항기(76)를 통해서 접지한다. 그리고, 다이오드(72)의 에노드를 콘덴서(77) 및 (78)의 직렬회로를 통해서 다이오드(73)의 캐소드에 접속하고, 콘덴서(77) 및 (78)의 접속중점을 출력단자(79)에 접속한다. 이 구성에 의해도 노이즈성분이 제거된 신호가 출력단자(79)에 얻어진다.
다음에, 본예의 색신호 인핸서의 회로동작을 제7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예를들면 제7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색 A과 색 B의 변화점의 크로마신호가 입력단자(31)에 입력했을 때에는 제1의 지연회로(32)에서의 지연신호(제7도 B)와 제2의 지연회로(33)에서의 지연회로(제7도 C)가 얻어진다. 여기서 감산기(34)에서는 입력신호와 제1의 지연회로(32)에서의 지연신호로 의해 차분신호(제7도 D)가 작성된다.또, 감산기(35)에서는 제1의 지연회로(32)에서의 지연신호와 제2의 지연회로(33)에서의 지연신호에 의해 차분신호(제7도 E)가 작성된다, 여기서 감산기(34) 및 (35)에는 리미터(36) 및 (37)와 노이즈슬라이스회로(38) 및 (39)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차분신호의 진폭이 제한되는 동시에 노이즈가 제거된 억압신호화(제7도 F 및 제7도 G)된다. 이 경우, 양 억압신호의 3.58㎒ 성분은 위상이 반전되어 있다. 또한, 리미터와 노이즈슬라이스회로의 총합특성을 나타내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그리고, 각각의 억압신호는 가산기(42)에 의해 가산되어 강조신호(제7도 H)가 형성되고, 이 강조신호가 가산기(43)에서 제1의 지연회로(32)의 출력신호와 가산됨으로서, 색의 변화점이 급격하게된 크로마신호가 출력단자(44)에 얻어진다.
이와같이 해서, 크로마신호의 인핸서로서 기능하지만, 본예에 있어서는 크로마신호의 특성의 교란을 동시에 보정할 수 있다. 즉 VTR에서 재생한 영상신호중의 크로마신호등은 복수회의 밴드패스필터를 통과하기 때문에 군지연특성이 교란되어, 예를들면 제9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래는 색 A로부터 색 B로의 변화가 균등한 크로마신호가 복수회의 벤드패스필터의 통과로 제9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의 변화점의 후방에 오버슈트가 발생했다고 한다. 이와같은 신호를 본예의 인핸서가 취급할 때에는 게인콘트롤앰프(40)의 게인과 게인콘트롤앰프(41)의 게인을 불균일하게 하고, 강조신호로서 제9도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점의 전후에서 불균일한 신호를 작성함으로서, 출력단자(44)에 얻어지는 출력신호로서 제9도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의 변화점의 전후가 균등한 신호로 보정된다.
이와같이 해서 본예의 인핸서에 의하면, 지연과 연산처리만의 간단한 회로구성이고, 크로마신호의 색변화점의 변화를 급격하게 할 수 있고, 또 동시에 복수회의 벤드패스필터의 통과등에 의한 크로마신호의 교란을 총합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처리에 휘도신호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 지연과 연산처리뿐이므로 디지탈처리화에 적합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크로마신호의 수평방향의 파형변화를 급격하게 하도록 했지만, 지연회로(32) 및 (33)으로서 1수평주사기간신호를 지연시키는 것을 사용한다면, 수직방향의 파형변호화를 급격하게 하는 색신호 인핸서로 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3탭(입력신호와 제1의 지연회로(32)의 출력신호와 제2의 지연회로(33)의 출력신호)의 FIR 필터로서 구성하였으나, 3탭 이상의 FIR 필터로 함으로서 보다 신호변화를 급격하게 할수가 있다. 또한,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리미터 및 노이즈슬라이스회로는 일예를 나타낸것 뿐이며, 다른 주지의 회로구성으로 해도 된다. 더욱이,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여러가지 구성을 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지연과 연산처리에 의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강조신호가 형성되고, 간단하게 색신호의 강조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상이 맞는 신호끼리 강조신호를 형성하므로 가감산하기 전에 계수를 승산함으로써 색신호의 총합적인 특성의 개선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양호한 색신호가 출력되는 이익이 있다.

Claims (1)

  1. 색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a) 크로마 입력 신호를 지연시켜 지연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지연수단; b) 제1지연수단의 상기 지연 출력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해 제1지연수단에 연속하여 연결되는 제2지연수단; c) 제1지연수단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간의 제1차분을 얻기 위해 효과적으로 배치되는 제1감산 수단; d) 제2지연 수단의 입력 신호와 및 출력 신호 간의 차분을 얻기 위해 효과적으로 배치되는 제2감산 수단; e) 제1차분 신호를 처리하여 제1강조 신호를 얻기 위해 효과적으로 배치되는 제1 신호 처리 수단; f) 제2차분 신호를 처리하여 제2 강조 신호를 얻기 위해 효과적으로 배치되는 제2신호 처리 수단; g) 제1및 제2신호 처리 수단의 제1 및 제2 강조 신호를 가산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배치되는 제1 가산 수단; 및 h) 제1 가산 수단의 가산된 강조 신호를 제1지연 수단의 출력 신호에 가산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배치되는 제2 가산 수단을 포함하는 색신호 처리 장치.
KR1019900015426A 1989-10-04 1990-09-28 색신호 인핸서 KR0182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259440 1989-10-04
JP1259440A JPH03121693A (ja) 1989-10-04 1989-10-04 色信号エンハ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107A KR910009107A (ko) 1991-05-31
KR0182262B1 true KR0182262B1 (ko) 1999-05-01

Family

ID=1733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426A KR0182262B1 (ko) 1989-10-04 1990-09-28 색신호 인핸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9442A (ko)
EP (1) EP0421369B1 (ko)
JP (1) JPH03121693A (ko)
KR (1) KR0182262B1 (ko)
DE (1) DE6902430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4196B1 (en) * 1991-05-16 1997-12-2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Picture quality improving apparatus for compensating contour of images
DE4215007A1 (de) * 1992-05-06 1993-11-11 Nokia Deutschland Gmbh Anordnung zur Übertragung von Farbfernsehsignalen mit einem Leuchtdichtesignal und wenigstens einem diesem zugeordneten Farbsignal
DE19722358A1 (de) * 1997-05-28 1998-12-03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Bearbeitung von Übergangsbereichen in einem Bildsignal
GB9807211D0 (en) * 1998-04-03 1998-06-03 Nds Ltd Filtering of digital video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1531A (en) * 1974-07-05 1977-08-09 Rca Corporation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transversal equalizer
GB2069287B (en) * 1980-01-30 1983-09-01 Sony Corp Decoding pal television signals
US4402006A (en) * 1981-02-23 1983-08-30 Karlock James A Image enhancer apparatus
US4504853A (en) * 1981-11-25 1985-03-12 Faroudja Y C Enhancement of quadrature modulated chroma by luminance or chroma transitions without chroma demodulation
JPS58205379A (ja) * 1982-05-25 1983-11-30 Victor Co Of Japan Ltd 垂直輪郭調整回路
JPS5961283A (ja) * 1982-09-30 1984-04-07 Victor Co Of Japan Ltd 信号処理用フイルタ回路
US4706113A (en) * 1985-02-18 1987-11-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our detecting filter device using PAL samples of composite video signals without separation of luminance signals therefrom
JPS62221294A (ja) * 1986-03-24 1987-09-29 Sony Corp クロマエンハンサ
EP0342511B1 (en) * 1988-05-18 1995-05-03 Hitachi, Ltd. Aperture correction circuit
US4935806A (en) * 1988-12-30 1990-06-19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hroma noise reduction and transient improv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21369A3 (en) 1991-11-06
US5159442A (en) 1992-10-27
DE69024306D1 (de) 1996-02-01
JPH03121693A (ja) 1991-05-23
EP0421369A2 (en) 1991-04-10
EP0421369B1 (en) 1995-12-20
DE69024306T2 (de) 1996-05-15
KR910009107A (ko) 199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2585A (en) Chrominance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354734B1 (en) Non-linear amplifier and non-linear emphasis/deemphasis circuit using the same
US4223282A (en) Method of reducing interference components in a frequency modulated signal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4470080A (en) Circuit for detecting frequency modulated signal
KR0182262B1 (ko) 색신호 인핸서
US4052740A (en) Moire interference reducing circuit for fm video recorders
KR920010187B1 (ko) 자기 재생장치
KR950007310B1 (ko) 디지탈 비선형 프리-엠퍼시스/디-엠퍼시스
US4660088A (en) Quasi-parallel television if suitable for stereo sound reception
US4809085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reducing cross-talk in color television signal
EP0161810B1 (en) Chrominan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4931857A (en) Voltage controlled comb filter
US4323915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video tape recording
JPH0556078B2 (ko)
KR0142291B1 (ko) 색신호의 주파수 대역변환을 위한 디지탈 반송파 발생장치
JPS60219888A (ja) 色信号処理装置
JP2789601B2 (ja) 非線形信号処理装置
JPH0125012Y2 (ko)
US4568969A (en) Noise eliminating circuit
US5293245A (en) Video demodulation apparatus with moire component cancellation
EP0456501B1 (en) Pilot signal eliminating circuit
JP2757370B2 (ja) 非線形信号処理装置
JPS6378690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374556B2 (ko)
KR910002937B1 (ko) 반송색신호의 화질 개선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