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168B1 - 모터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터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168B1
KR0182168B1 KR1019960025311A KR19960025311A KR0182168B1 KR 0182168 B1 KR0182168 B1 KR 0182168B1 KR 1019960025311 A KR1019960025311 A KR 1019960025311A KR 19960025311 A KR19960025311 A KR 19960025311A KR 0182168 B1 KR0182168 B1 KR 0182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tor
comparison
generating
ris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784A (ko
Inventor
최형묵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168B1/ko
Publication of KR98000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02P6/18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 H02P6/182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using back-emf i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tor
    • H02P2203/03Determination of the rotor position, e.g. initial rotor position, during standstill or low speed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23Specific feedback condition or device
    • Y10S388/9281Counter or back emf, CEM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터 구동 시스템을 공개한다. 그 시스템은 브러쉬리스 모터, 상기 브러쉬리스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수단, 상기 모터로부터의 3상 역기전력과 중심점 전압을 각각 입력하여 비교하여 제1, 2 및 3비교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비교수단, 상기 제1, 2 및 3비교전압을 입력하여 배타논리합하여 영점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배타논리합수단, 상기 영점신호의 상승엣지를 검출하기 위한 상승엣지 검출수단, 상기 상승엣지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클리어되고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상기 계수수단에 의해서 계수된 값과 미리 지정된 값을 비교하여 비교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비교수단, 상기 영점신호의 반전된 신호와 상기 비교신호를 논리곱하여 방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영점신호와 상기 비교신호를 논리곱하여 충전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논리곱수단, 상기 방전신호 및 충전신호에 의해서 충전 또는 방전되는 충/방전수단 및 상기 충/방전수단의 충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로구성이 간단하다.

Description

모터 구동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모터 구동 시스템의 속도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제2a 내지 d도는 제1도에 나타난 회로의 각 부 출력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모터 구동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제4a 내지 f도는 모터의 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느릴 때의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난 회로의 각 부 출력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5a 내지 f도는 모터의 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빠를 때의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난 회로의 각 부 출력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산업에서 사용되는 소형 정밀 모터는 대부분이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brushless DC motor; BLDC moter)이다.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는 모터의 특성이 직류 모터와 비슷하여, 제어가 용이하고, 직류 모터에 비해 브러쉬가 없어서, 구조가 간단하고 모터의 유지보수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에서는 직류 모터에서 브러쉬를 사용하여 전류(commutation)작용을 수행하던 것을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모터에 연결된 스위치를 온, 오프시켜서 전류를 수행한다. 특히 하드 디스크처럼, 고속, 정속운전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대부분이 브러쉬리스 모터를 이용하고 있다. 하드 디스크에 데이타를 저장하고 읽어내는 경우에는 모터의 속도가 속도리플이 없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 속도제어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채용되어 모터의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속도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속도를 읽고,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직접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으니, 저가의 모터 구동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모터 구동 직접회로(IC)에서 아날로그적 속도제어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속도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센서리스방식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모터로부터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검출하여 속도 제어회로의 입력신호로 사용하게 된다. 모터의 역기전력이 영점(zero cross point)을 지날 때를 검출하여, 디지탈 카운터에서 출력되는 속도기준시호와 비교하여, 위상 에러를 검출하여 디지탈 위상 동기 루프(phase locked loop)를 이용하여 속도를 제어하거나, 두개의 디지탈 카운터를 이용하여 위상차를 영으로 만들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의 속도 제어회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구성이 간단한 모터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터 구동 시스템은 브러쉬리스 모터, 상기 브러쉬리스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수단, 상기 모터로부터의 3상 역기전력과 중심점 전압을 각각 입력하여 비교하여 제1, 2 및 3비교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비교수단, 상기 제1, 2 및 3비교전압을 입력하여 배타논리합하여 영점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배타논리합수단, 상기 영점신호의 상승엣지를 검출하기 위한 상승엣지 검출수단, 상기 상승엣지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클리어되고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상기 계수수단에 의해서 계수된 값과 미리 지정된 값을 비교하여 비교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비교수단, 상기 영점신호의 반전된 신호와 상기 비교신호를 논리곱하여 방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영점신호와 상기 비교신호를 논리곱하여 충전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논리곱수단, 상기 방전신호 및 충전신호에 의해서 충전 또는 방전되는 충/방전수단 및 상기 충/방전수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모터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모터 구동 시스템의 속도 제어회로의 회로도로서, 브러쉬리스 모터(10), 비교기들(12,14,16) XOR게이트(18), 카운터(20), 비트 비교기(22), OR게이트들(24,26), AND게이트들(28,30) 및 상승 엣지 검출기(32)로 구성되어 있다.
비교기들(12,14,16)은 브러쉬리스 모터(10)로부터 출력되는 3상 역기전력 신호(Va,Vb,Vc)와 중심전 전압(Vn)을 각각 입력하여 비교하여 신호(COMP_A,COMP_B,COMP_C)를 출력한다. XOR게이트(18)는 비교기들(12,14,16)의 출력신호를 배타논리합하여 신호(ZC)를 발생한다. 상승 엣지 검출기(32)는 신호(ZC)의 상승엣지를 검출한다. 카운터(20)는 상승 엣지 검출기(32)에 의해서 신호(ZC)의 상승엣지를 검출한 신호에 의해서 클리어되고 클럭신호(SPC CK)에 응답하여 계수를 시작한다. 비트 비교기(22)는 카운터(20)의 출력 비트 신호(B0-Bn)를 미리 지정된 속도에 해당하는 값과 비교한다. 만일, 비교된 값이 미리 지정된 값보다 크면 신호(Q)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바뀌게 된다. 인버터(24)는 신호(ZC)를 반전하여 반전된 신호()를 발생한다. 인버터(26)는 신호(Q)를 반전하여 반전된 신호()를 발생한다. AND게이트(28)는 인버터(24)와 비트 비교기(22)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여 신호(DISCHG)를 발생한다. AND게이트(30)는 XOR게이트(18)와 인버터(26)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여 신호(CHARGE)를 발생한다. 카운터(20)에 미리 저장되는 값인 신호(SPC CK)의 수는 아래의 식으로 주어진다.
(SPC CK의 수)×(SPC CK의 주기)=(COMP_A의 주기)/6
제2a 내지 d도는 제1도에 나타낸 회로의 각 부 출력파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2a도는 신호(COMP_A)의 출력파형을, 제2b도는 (COMP_B)의 출력파형을, 제2c도는 신호(COMP_C)의 출력파형을, 제2d도는 신호(ZC)의 출력파형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모터 구동 시스템의 블럭도로서, 모터 구동회로(50), 브러쉬리스 모터(52), 속도 제어회로(54), 스위치들(56,58), 전류원들, 캐패시트(Vcap) 및 전류 제어회로(60)로 구성되어 있다.
제4a 내지 f도는 모터의 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느릴 때의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회로의 각 부 출력파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4a도는 신호(ZC)의 파형, 제4b도는 클리어 신호(CLR)의 파형, 제4c도는 신호(Q)의 파형, 제4d도는 신호()의 파형, 제4e도는 신호()의 파형, 제4f도는 신호(CHARGE)의 파형을 각각 내타내는 것이다. 모터의 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느리게 되면, 제4a도에 나타낸 신호(ZC)의 하이레벨인 구간이 제4c도에 나타난 비트 비교기의 출력신호(Q)의 하이레벨인 구간보다 길게 되고, 제4f도에 나타낸 신호(CHARGE)가 하이레벨인 동안은 스위치(56)에 신호가 인가되어 스위치가 온되어 캐패시터(Vcap)를 충전하게 된다. 캐패시터(Vcap)에 충전된 전압은 전류 지령치가 되어 전류 제어회로(60)로 입력되어, 전류 제어회로(60)는 모터가 가속이 되도록 스위치들(Sa,Sb,Sc,,,)을 온/오프시키게 된다.
제5a 내지 f도는 모터의 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빠를 때의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회로의 각 부 출력파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5a도는 신호(ZC)의 파형, 제5b도는 클리어 신호(CLR)의 파형, 제5c도는 신호(Q)의 파형, 제5d도는 신호()의 파형, 제5e도는 신호()의 파형, 제5f도는 신호(DISCHG)의 파형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모터의 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빠르게 되면, 제5a도에 나타낸 신호(ZC)의 하이레벨인 구간이 제5c도에 나타낸 비트 비교기의 출력신호(Q)의 하이레벨인 구간이 제5c도에 나타낸 비트 비교기의 출력신호(Q)의 하이레벨인 구간보다 짧게 되고, 제5f도에 나타낸 신호(DISCHG)가 하이레벨인 동안은 스위치(58)에 신호가 인가되어 온되어 캐패시터(Vcap)를 방전하게 된다. 전압(Vcap)은 전류 지형치가 되어 전류 제어회로(60)로 입력되고, 전류 제어회로(60)는 모터가 감속이 되도록 스위치들(Sa,Sb,Sc,,,)을 온/오프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터 구동 시스템의 속도 제어회로는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집적화시에 칩 사이즈가 줄어들게 된다.

Claims (1)

  1. 브러쉬리스 모터; 상기 브러쉬리스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수단; 상기 모터로부터의 3상 역기전력과 중심점 전압을 각각 입력하여 비교하여 제1, 2 및 3비교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비교수단; 상기 제1, 2 및 3비교전압을 입력하여 배타논리합하여 영점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배타논리합수단; 상기 영점신호의 상승엣지를 검출하기 위한 상승엣지 검출수단; 상기 상승엣지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클리어되고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상기 계수수단에 의해서 계수된 값과 미리 지정된 값을 비교하여 비교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비교수단; 상기 영점신호의 반전된 신호와 상기 비교신호를 논리곱하여 방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영점신호와 상기 비교신호를 논리곱하여 충전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논리곱수단; 상기 방전신호 및 충전신호에 의해서 충전 또는 방전되는 충/방전수단; 및 상기 충/방전수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
KR1019960025311A 1996-06-28 1996-06-28 모터구동 시스템 KR018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5311A KR0182168B1 (ko) 1996-06-28 1996-06-28 모터구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5311A KR0182168B1 (ko) 1996-06-28 1996-06-28 모터구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784A KR980006784A (ko) 1998-03-30
KR0182168B1 true KR0182168B1 (ko) 1999-05-15

Family

ID=1946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5311A KR0182168B1 (ko) 1996-06-28 1996-06-28 모터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1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784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4877A (en) Circuit and method for detecting deceleration rates of a polyphase DC motor
US53172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velocity profiles of a spinning rotor of a polyphase DC motor
KR100238026B1 (ko) 센서리스 브러쉬리스 직류모터
EP0429412B1 (en) Controlling a multiphase brushless motor without position sensors for the rotor, using a system of digital filtering
KR940009208B1 (ko) 무정류자 직류전동기
US8089232B2 (en) Motor drive device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100258434B1 (ko) 1-홀 신호를 이용한 3상 비엘디시 모터의 구동회로
JP2688112B2 (ja) 回転子位置検出器の無い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ー駆動方式及びその駆動回路
EP07356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lyphase dc motors using a PWM chopping signal in zero crossing determination
KR100288770B1 (ko) 센서리스 3상 비엘디시 모터의 정류 회로
EP0788221B1 (en) Commutation delay generator for a multiphase brushless DC motor
KR970013625A (ko) 언밸런스드 클럭을 사용한 센서리스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의 스타트-업 회로
KR101271546B1 (ko) Dc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0182168B1 (ko) 모터구동 시스템
KR100291269B1 (ko) 센서 없는 비엘디시 모터의 정류 시간 결정 장치 및 방법
JP2667216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回路
KR0177995B1 (ko) 브러쉬리스 모터의 기동회로 및 방법
JP3692923B2 (ja) モータドライバ
JPH11122938A (ja) Pwmパルス生成回路とそれを用いた制御システム
JP3578698B2 (ja) 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駆動装置
JP3363833B2 (ja) Fg信号発生回路及びこれを有するbldcモータ及びbldcモータ駆動回路
JPS5841360A (ja) 直流駆動装置の回転数および回転方向に比例する電圧形成装置
JP2751608B2 (ja) 無整流子直流電動機
JP2751607B2 (ja) 無整流子直流電動機
JP3119863B2 (ja) 無整流子直流電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