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788B1 - 차량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788B1
KR0181788B1 KR1019960066750A KR19960066750A KR0181788B1 KR 0181788 B1 KR0181788 B1 KR 0181788B1 KR 1019960066750 A KR1019960066750 A KR 1019960066750A KR 19960066750 A KR19960066750 A KR 19960066750A KR 0181788 B1 KR0181788 B1 KR 0181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master cylinder
swash plate
pressure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8198A (ko
Inventor
고창복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60066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788B1/ko
Publication of KR19980048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pumps directly, i.e. without interposition of accumulators or reservoirs
    • B60T13/161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0Different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제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부스터 대신 가변토출형 유압펌프를 장착하여 차량 제동시 에너지를 흡수 및 제동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된 차량 제동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바퀴를 구속하는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P)의 족답력을 증대시키도록을 마스터실린더(1)와 연결되는 종래의 부스터와 디스크 브레이크 및 드럼 브레이크를 가변 토출형 펌프 유니트(2)로 대체하여 상기 마스터 실린더(1)와 연결되는 가변 토출형 펌프 유니트(2)에 의해 토출 유량 및 토출압을 조절하고, 그에 상응하는 제동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임.

Description

차량 제동장치
본 발명은 차량 제동시스템에 있어 마스터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토출형 펌프 유니트가 펌핑작용을 하게 하여 제동시 제동력에 대한 펌프의 토출 유량 및 토출 압을 조절하고, 그에 상응하는 제동력을 펌프로부터 얻어 제동 작용을 일으키도록 된 차량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제동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P)를 발로 밟음에 따라 부스터(100)에서 증폭된 힘은 마스터실린더(200)에서 유압에너지로 변환되어져 캘리퍼(300)의 스풀이 패드를 디스크(400)쪽으로 밀어냄에 따라 가압되는 디스크(400)에 의해 바퀴(wheel(W)가 정지하는 제동 작용을 일으키도록 되고, 이때 바퀴(W)의 미끄러짐이 발생하면 이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S)와 연결되는 콘트롤러(EDU)(C)가만 모듈레이터(500)에 전원을 인가시킴에 따라 상기 모듈레이터(500)에서 생성되는 압력에 의해 캘리퍼(300)의 압력을 변화시켜 바퀴(W)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미설명부호 600은 차동장치(differential gear bax)를 의미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차량 제동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P)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바퀴(W)를 제동시키는 것만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어, 차량 제동시 발생되는 많은 열 에너지 즉, 디스크와 패드 및 노면과 바퀴의 접촉에 의한 열에너지에 대한 아무런 대책을 강구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므로서 에너지는 자연 소멸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차량 제동시스템에 있어 제동을 하면서도 제동시 야기되는 제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차량 제동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차량 제동시스템의 차동장치와 연결되는 구동축에 고압의 플런저 타입의 가변 토출형 펌프 유니트가 마스터실린터에 의해 펌핑작용을 하게 하여 제동시 제동력에 대한 펌프의 토출 유량 및 토출 압을 조절하게 하고, 그에 상응하는 제동력을 펌프로부터 얻어 제동 작용을 일으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구성을 및 작용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 차량 제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참고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제동장치의 가변 토출형을 펌프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참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스터실린더 2 : 가변 토출형 펌프 유니트
3 : 구동축 4 : 사판
5 : 펌프 7 : 압력조절밸브
20 : 몸체 21 : 베어링
30 : 축핀 50 : 스풀
51 : 하우징 10, 11, 55, 70 : 유로
60 : 리턴스프링 61 : 레버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제동시스템의 일 예시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 바퀴를 구속하는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P)의 족답력을 증대시키도록 마스터실린더(1)와 연결되는 종래의 부스터를 가변 토출형 펌프유니트(2)로 대체하여 상기 마스터실린더(1)와 연결되는 가변 토출형 펌프유니트(2)에 의해 토출 유량 및 압을 조절하고, 그에 상응하는 제동 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변 토출형을 펌프 유니트(2)는 몸체(20)의 내측 중앙에 베어링(21)으로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된 구동측(3)에 도시하지 않는 차동장치가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3)에는 축핀(30)으로 고정되어 양단부가 상기 축핀(30)를 기점으로 시이소오 운동하는 사판(4)이 구비되고, 상기 사판(4)에는 스풀(50, 50)의 한 끝단이 고정되어 하우징(51, 51)의 내측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에 펌프(5)가 유량을 토출하는 펌핑동작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사판(4)의 양쪽 면에는 리턴스프링(60)과 함께 레버(61)가 당접되어 리턴스프링(6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려는 사판(4)의 배면을 레버(61)가 가압하도록 되고 상기 레버(61)는 마스터실린더(1)의 한쪽 유로(10)와 연결되는 실린더(65)에 의해 회동되며 사판(4)의 경사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마스터실린더(1)로부터 분기되는 다른쪽 유로(11)에는 압력조절밸브(7)가 부설되고, 상기 압력조절밸브(7)에는 펌프(5)의 하우징(51)측 유로(55)로부터 유입되는 토출 유량을 조절한 후 토출하는 토출 유로(7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작전의 상태; 평상 주행의 상태에서 엔진 구동력은 차동장치와 연계된 구동축(3)으로 전달되어 바퀴를 구동한다. 이 경우 사판(4)과 구동축(3)은 서로 직교되는 주식 상태를 이루게 되어 사판(4)에 고정된 스풀(50)은 정지 상태 즉 하우징(51)내의 체적 변화는 거의 없으므로 구동축(3)과 함께 펌프(5)가 회전하더라도 펌핑작용은 없게 된다.
따라서 구동력을 감소시키는 양은 기계적인 마찰로서 거의 무시할 수 있다.
2) 동작시; 주행중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P)를 밟음에 따라 마스터실린더(1)에서 생성되는 유압은 유로(10, 11)를 통해 이동되고, 유로(10)측과 연결되는 실린더(65)로 유입된 유압에 의해 회동되는 레버(61)응을 사판(4)을 경사지게 밀게 된다.
이때 구동축(3)과 함께 펌프(5)가 회전 운동하게 될 때 스풀(50)(50)은 하우징(51)(51)의 내측으로 왕복 운동하며 토출압력을 발생하게 되고, 상기 토출압력은 유로(55)를 통해 압력조절밸브(7)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마스터실린더(1)의 유로(11)를 통해 유입되는 압력과 함께 하우징(51, 51)로부터 토출되는 압력에 의해 압력조절밸브(7)는 토출 유압은 조절되어지며 토출 유로(70)을 통해 흐르게 된다.
이 경우 펌프(5) 구동에 필요한 토오크가 제동력으로 작용하게 되면, 토출된 유압에너지는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3) 동작 후;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P)에서 발을 떼면, 마스터실린더(1)의 압이 해제됨에 따라 레버(61)의 실린더(65)측 압 또한 상실하게 되어 사판(4)은 리턴스프링(60)의 반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구동축(3)와 수직의 상태를 이루게 되고 압력조절밸브(7) 또한 더 이상 압력 조절을 하지 않게 되어 바뀌는 제동 상태로부터 일반 주행 상태로 회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 제동시스템이 부스터, 마스터실린더, 캘리퍼, 디스크로 구성되는 것을 마스터실린더와 가변 토출형을 펌프 유니트로 대체하여 기존 시스템 제동시 심각한 열에너지를 방출하고 제동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사용하지 못하였던 것을 제동시 야기되는 에너지를 유압에너지로 흡수하면서 제동 작용을 하게 된다.
차량을 제동시스템의 차동장치와 연결되는 구동축에 고압의 플런저 타입의 가변 토출형 펌프 유니트가 마스터실린더에 의해 사판의 경사 각도를 변화시키는에 의해 하우징의 내측으로 왕복 운동되는 펌핑작용을 하게 되고, 이때 토출되는 토출압은 마스터실린더의 압에 따라 조절되어지므로 제동시 제동력에 의한 펌프의 토출 유량 및 토출 압을 조절하게 하고, 그에 상응하는 제동력을 펌프로부터 얻어 제동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을 바퀴를 구속하는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P)의 족답력을 증대시키도록 마스터실린더(1)에 가변 토출형 펌프 유니트(2)를 연결하여 상기 펌프 유니트(2)가 마스터 스풀 실린더(1)에 의해 펌핑작용은 물론 제동시 제동력에 대한 펌프의 토출 유량 및 토출압을 조절을 위한 에너지 흡수로 인한 차량을 효율성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디스크, 캘리퍼, 부스터 등의 삭제에 따른 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고, 시스템의 간소화로 인한 중량 감소 및 유압 제어를 이용함으로서 정밀제어가 가능하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 바퀴를 구속하는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P)의 족답력을 증대시키도록 마스터실린더(1)와 연결되는 종래의 부스터와 디스트 브레이크 및 드럼 브레이크를 가변 토출형 펌프 유니트(2)로 대체하여 상기 마스터실린더(1)와 연결되는 가변 토출형 펌프 유니트(2)에 의해 토출 유량 및 토출압을 조절하고, 그에 상응하는 제동 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동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토출형 펌프 유니트(2)는 차동장치와 연결되는 구동축(3)에 축핀(30)을 기점으로 시이소오 운동하는 사판(4)이 부설되고, 상기 사판(4)에는 하우징(51, 51)의 내측으로 왕복 운동하는 스폴(50. 50)이 고정되어를 펌프(5)의 유량을 토출하는 펌핑 동작을 이루도록 되고, 상기 사판(4)의 양쪽 면에는 리턴스프링(60)과 함께 레버(61)가 당접되어 리턴스프링(6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려는 사판(4)의 배면을 레버가 가압하도록 되고 상기 레버(61)는 마스터실린더(1)의 한쪽 유로(10)와 연결되는 실린더(65)에 의해 회동되며 사판(4)의 경사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되며, 상기 마스터실린더(1)로부터 분기되는 다른 쪽유로(11)에는 압력조절밸브(7)가 부설되고, 상기 압력조절밸브(7)에는 펌프(5)의 하우징(51)측 유로(55)로부터 유입되는 토출 유량을 토출시키는 토출유로(70)가 구비되는 차량 제동장치.
KR1019960066750A 1996-12-17 1996-12-17 차량 제동장치 KR0181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750A KR0181788B1 (ko) 1996-12-17 1996-12-17 차량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750A KR0181788B1 (ko) 1996-12-17 1996-12-17 차량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198A KR19980048198A (ko) 1998-09-15
KR0181788B1 true KR0181788B1 (ko) 1999-04-01

Family

ID=1948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750A KR0181788B1 (ko) 1996-12-17 1996-12-17 차량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069B1 (ko) * 2008-02-28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198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337B1 (ko) 전동식 브레이크
US20060091726A1 (en) Brake system
KR101985512B1 (ko) 건설장비 및 산업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
US6102490A (en) Braking system of an automobile having a variably exhausting pump unit
JPH11230212A (ja) エア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1020847A (ja) 流体モータの制動装置
KR0181788B1 (ko) 차량 제동장치
JP4176669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4464915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06240497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5053196B2 (ja) 流体圧ブレーキ装置
KR102643012B1 (ko) 자율주행차용 제동 디바이스
KR100617397B1 (ko) 브레이크 시스템에 동력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36900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JP2000227133A (ja) 制動装置
KR102643011B1 (ko) 축회전 구동장치용 제동 디바이스
KR20200071598A (ko)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유닛
JP4210638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H08244580A (ja) キャリパ内組込み型電動ブレーキ装置
KR20050024727A (ko) 브레이크 캘리퍼
KR19980049130A (ko) 엔진구동식 브레이크 장치
KR100534971B1 (ko) 브레이크의 소음 저감장치
KR19990019603A (ko) 차량에서 스티어링 휠의 브레이크 시스템
KR100507159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의 충격파 흡수장치
JP2998522B2 (ja) 液圧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