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166B1 -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166B1
KR0181166B1 KR1019960019229A KR19960019229A KR0181166B1 KR 0181166 B1 KR0181166 B1 KR 0181166B1 KR 1019960019229 A KR1019960019229 A KR 1019960019229A KR 19960019229 A KR19960019229 A KR 19960019229A KR 0181166 B1 KR0181166 B1 KR 0181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ate
interface unit
unit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180A (ko
Inventor
신재경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19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166B1/ko
Publication of KR97007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천이시 포함되는 노이즈성분들을 제거함으로써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유닛이 비정상적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성분을 제거시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검출하는 회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는 다수의 인터페이스유닛중 어느 한 유닛으로부터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될 시 이 신호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천이된 이후부터 상기 유닛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상기 주제어유닛으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광전송장치의 인터페이스유닛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
제1도는 통신시스템의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회로에서 처리되는 신호들에 대한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통신시스템의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검출하는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회로에서 처리되는 신호들에 대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퍼 60 : 비교기
R1~R5 : 저항 C : 캐패시터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태천이시 포함되는 노이즈성분들을 제거함으로써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검출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시스템은 하나의 주제어유닛과 상기 주제어유닛에 의해 인터페이스되어 미리 정해진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의 유닛들(이하 인터페이스유닛이라 칭함)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닛들은 통상 하나의 카드(또는 보드)로서 구현되는데, 이러한 카드들은 다수개의 셀프(shelf)로 나누어지는 하나의 캐비넷(cabinet)내의 해당 셀프에 실장되어 통신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런데 어느 한 인터페이스유닛이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탈장되었거나 자신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통신시스템 전체의 동작이 마비되는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곤란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에 이상이 있을 시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인터럽트로서 주제어유닛이 인식하고 이를 즉각적으로 운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운용자에 의해 조치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있다.
제1도는 인터페이스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의 상태를 검출하여 주제어유닛으로 이 검출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알려주는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금, 다수의 인터페이스유닛중 어느 한 인터페이스유닛이 해당 위치로부터 탈장되었거나 그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한다면, 제1도의 버퍼(10)는 해당 인터페이스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일시적으로 버퍼링한 후 이 신호를 직렬접속된 일련의 플립플롭(20, 30, 40)으로 인가한다. 최초 접속된 플립플롭(20)은 소정의 클럭(Clock)에 따라 이 인가된 신호를 다음의 플립플롭(30)으로 출력하고, 플립플롭(30) 또한 상기 클럭에 따라 플립플롭(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다음의 플립플롭(40)으로 출력한다. 이때 각 플립플롭 출력단자(Q)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들은 논리합게이트(50)에 의해 논리합연산된 후 주제어유닛으로 제공되게 된다.
상기 제1도에 도시된 회로는 인터페이스유닛이 정상적인 상태인 경우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비정상적인 상태인 경우에는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로는 통상 신호의 변화폭이 클럭(Clock)의 주기보다 크고 변화의 시작에서부터 안정된 신호를 얻을 때까지의 시간 폭이 3클럭 이내의 신호에 대해서는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사실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검출하기는 곤란하다. 특히 동기식 디지털 계위(Synchronous Digital Hierarchy)방식을 사용하는 광전송장치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기는 매우 곤란하다. 왜냐하면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의 상태천이시에는 많은 노이즈(noise)성분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제1도에 도시된 회로는 이 노이즈성분들을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잘못된 신호로서 검출하게 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회로가 노이즈성분을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잘못 검출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도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이 비정상적인 상태임은 T1구간이 지난 후에 검출되어야만 하지만 T1구간, 즉 상태천이시에 포함되는 노이즈성분들에 의해 NT지점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검출되게 된다. 이와같이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가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검출되지 않으면 시스템의 주제어유닛은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잘못 판단하여 처리하게 되는 오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주제어유닛의 오동작은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소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일련의 플립플롭의 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스템을 하드웨어적으로 부담주게 된다. 게다가 하드웨어의 수를 증가시키더라도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고 보장할 수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검출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시스템에서 주제어유닛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통신시스템의 하드웨어적인 부담을 줄이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유닛이 비정상적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성분을 제거시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검출하는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견지(Aspect)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는 다수의 인터페이스유닛중 어느 한 유닛으로부터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될 시 이 신호의 레벨을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천이된 이후부터 상기 유닛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상기 주제어유닛으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는 다수의 인터페이스유닛중 어느 한 유닛으로부터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될 시 이 신호의 레벨을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천이될 때까지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성분을 제거한 후 상기 유닛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르면,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는 다수의 인터페이스유닛중 어느 한 유닛으로부터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될 시 이 발생된 신호내에 포함된 노이즈성분을 필터링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과 미리 설정된 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설정레벨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신호를 상기 주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비교기로 구성한다.
상기 필터는 저항과 캐패시터로 이루어지는 저역통과필터(적분회로)이며, 상기 필터의 전단에는 상기 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일시적으로 버퍼링한 후 버퍼가 더 접속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통신시스템의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검출하는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검출회로는 버퍼(10)와 비교기(60)를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퍼(10)와 비교기(60)의 반전입력단자(-)의 사이에는 저항(R1)이 연결되며, 상기 반전입력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는 캐패시터(C)가 연결된다. 즉 상기 저항(R1)과 캐패시터(C)는 버퍼(10)와 비교기(60)의 사이에 접속되어 정해지는 차단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로서 기능한다. 이 저역통과필터를 이루는 저항(R1)의 저항값과 캐패시터(C)의 용량값을 적절하게 설정하면 노이즈성분과 같은 임펄스신호를 제거할 수 있고, 주파수의 변동이 없는 신호성분을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비교기(60)의 비반전입력단자(+)에는 전원전압단과 접지단의 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R2)과 저항(R3)의 접속점이 연결된다. 비교기(60)의 비반전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사이에는 저항(R5)이 연결된다.
지금, 다수의 인터페이스유닛중 어느 한 인터페이스유닛이 해당 위치로부터 탈장되었거나 그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비정상적인 상태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그 인터페이스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가 제3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검출회로의 버퍼(10)로 제공된다. 버퍼(10)는 상기 제공된 신호를 일시적으로 버퍼링한 후 출력한다. 버퍼(10)에 의해 버퍼링된 후 출력되는 신호는 저항(R1)과 캐패시터(C)에 의해 소정 시간 지연 및 필터링된 후 출력된다. 상기 저항(R1)과 캐패시터(C)는 지연기능을 가지는 필터이다. 이때 상기 필터에 의해 지연되는 시간은이고, 이 필터에 의한 차단주파수는이다. 그러므로 상기 필터는 주파수이상의 임펄스신호인 노이즈성분은 필터링시키고 그 주파수 이하의 신호인 순수한 신호성분만을 통과시켜 출력하게 된다. 상기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비교기(60)의 반전입력단자(-)로 인가된다. 비교기(60)는 상기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과 비반전입력단자(+)에 나타나는 기준전압 Vref의 레벨을 비교하여 출력한다. 상기 기준전압 Vref의 레벨값은 (R3×Vcc)/(R2+R3)로서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비교기(60)는 상기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기준전압 Vref의 레벨보다 큰 경우에 해당하는 필터로부터의 신호만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비교기(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소정 인터페이스유닛이 비정상적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로 노이즈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신호이다. 왜냐하면 버퍼(10)로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천이시 포함되는 노이즈성분은 저항(R1)과 캐패시터(C)에 의해 필터링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인터페이스유닛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안정적으로 나타내는 신호이다. 왜냐하면 인터페이스유닛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안정적으로 천이되기 전까지 비교기(60)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말하면 비교기(60)는 인터페이스유닛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안정적으로 천이되기 전까지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동작은 저항(R2)과 저항(R3)의 값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기준전압 Vref의 레벨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회로에 의해 처리되는 신호들의 파형이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4도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유닛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의 천이시에는 제4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이즈성분은 제4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1)과 캐패시터(C)에 의해 필터링되어 제거되게 된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비교기(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제4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유닛의 비정상상태의 시점을 정확하게 나타내주는 신호이다. 이러한 신호는 주제어유닛으로 통보되고, 주제어유닛은 이에 응답하여 비정상상태의 인터페이스유닛을 적절하게 유지보수되도록 처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유닛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의 천이시에 포함되는 노이즈성분을 제거하고, 상태신호가 안정적으로 천이된 이후에 이를 주제어유닛으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각 인터페이스유닛들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제어유닛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신시스템의 하드웨어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하나의 주제어유닛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인터페이스유닛들로 이루어지는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인터페이스유닛중 어느 한 유닛으로부터 유닛으로부터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될 시 이 신호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천이된 이후부터 상기 유닛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상기 주제어유닛으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회로.
  2. 하나의 주제어유닛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인터페이스유닛들로 이루어지는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인터페이스유닛중 어느 한 유닛으로부터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될 시 이 신호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천이될 때까지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성분을 제거한 후 상기 유닛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회로.
  3. 하나의 주제어유닛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인터페이스유닛들로 이루어지는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인터페이스유닛중 어느 한 유닛으로부터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될 시 이 발생된 신호내에 포함된 노이즈성분을 필터링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과 미리 설정된 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설정레벨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신호를 상기 주제어유닛으로 출력하는 비교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저항과 캐패시터로 이루어지는 저역통과 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일시적으로 버퍼링한 후 상기 필터로 출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회로.
KR1019960019229A 1996-05-31 1996-05-31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 KR0181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229A KR0181166B1 (ko) 1996-05-31 1996-05-31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229A KR0181166B1 (ko) 1996-05-31 1996-05-31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180A KR970078180A (ko) 1997-12-12
KR0181166B1 true KR0181166B1 (ko) 1999-05-15

Family

ID=1946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9229A KR0181166B1 (ko) 1996-05-31 1996-05-31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1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180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3029B1 (en) System for managing signals in different clock domains and a programmable digital filter
US5539337A (en) Clock noise filter for integrated circuits
US20130038359A1 (en) Digital glitch filter
CN103544129B (zh) Spi接口以及经由spi接口的串行通信方法
JPH0365662A (ja) 非安定データ認識回路
US7685216B2 (en) Automatic input error recovery circuit and method for recursive digital filters
US6469544B2 (en) Device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clock signal
KR0181166B1 (ko) 통신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유닛의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
US67286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digital glitches
KR100192775B1 (ko) 클럭의 유무 판별 장치
US56317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omposite synchronizing signal
US7659757B2 (en) Glitch-free clock regeneration circuit
KR100548800B1 (ko) 디지털 필터
JPH0823326A (ja) クロック障害検出回路
US69149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gital logic input signal noise filter
US11177799B2 (en) Debounce circuit with noise immunity and glitch event tracking
KR100367739B1 (ko) 노이즈 제거기
KR940002463Y1 (ko) 기준 펄스폭 이상의 펄스 검출회로
JP2697626B2 (ja) 位相同期回路のロック検出器
KR0167202B1 (ko) 피엘씨 인터럽트 모듈의 노이즈 제거장치
KR0177756B1 (ko) 노이즈제거회로
JP2598902B2 (ja) 同期信号雑音除去装置
JP2001195155A (ja) リセット信号制御回路
JP2907055B2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テスト回路およびテスト方法
CN112688670A (zh) 具有抗噪性和毛刺事件跟踪的去抖动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