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802B1 -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802B1
KR0180802B1 KR1019950029152A KR19950029152A KR0180802B1 KR 0180802 B1 KR0180802 B1 KR 0180802B1 KR 1019950029152 A KR1019950029152 A KR 1019950029152A KR 19950029152 A KR19950029152 A KR 19950029152A KR 0180802 B1 KR0180802 B1 KR 0180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computer
power supply
pow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891A (ko
Inventor
임정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9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802B1/ko
Publication of KR97001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로서, 절전형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와;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 또는 주변 장치에 장착되어 주변 환경의 휘도를 측정하는 휘도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휘도와 설정 휘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해당하는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휘도 판별부와; 상기 판별 신호에 따라 측정된 휘도가 설정 휘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재 작업중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동작 제어부로부터 전원 차단 신호가 입력되면, 주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컴퓨터의 전력 소모가 감소되며, 전원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의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원 수신부 20 : 광원 판독부
30 : 자동 저장 복구 조절부 40 : 전원 조절부
이 발명은 컴퓨터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컴퓨터를 사용하는 주변 환경의 휘도에 따라 컴퓨터의 전원 공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컴퓨터 시스템의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단순히 기능면에서의 발전뿐만이 아니라, 비상시 데이터 보호나 에너지 절약에 관한 관심도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비상시 데이터 보호나 에너지 절약 등에 대한 방법으로서, 컴퓨터 시스템의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경향이다.
하이버네이션이란 컴퓨터 사용도중에 갑작스런 정전이나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 현재 사용중인 컴퓨터의 내용을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한 다음 전원이 다시 들어오면 보조 기억 장치에 보관되었던 내용을 리드하여 컴퓨터 작업 환경을 전원 차단 전 상태로 복구시키는 기능과,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상기와 같이 현재 사용중인 작업내용들을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시키고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한 다음, 사용자가 다시 컴퓨터를 사용하면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된 작업 내용을 리드하여 컴퓨터 작업 환경을 전원차단전 상태로 복구시키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한 비상시 자동 저장, 복구 및 절전 기능의 전원 장치에 관한, 이 발명과 가까운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94-27299호(출원일자:서기 1994년 10월 25일)의 네트워크 하이버네이션과,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95-6759호(출원일자:서기 1995년 3월 28일)의 하이버네이션 시스템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은,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끄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전원을 차단하거나, 사용자가 전원 차단 시간을 별도로 세팅하여 세팅된 시간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며,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전원 스위치 작동이나 키보드 입력이나 팩스 또는 모뎀의 링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wake-up)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하이버네이션 기능은, 컴퓨터 시스템 사용 중에 전원 이상으로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거나, 현재의 작업내용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의 특정 의도로 이루어지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주변 환경의 휘도에 따라 컴퓨터의 전원 차단 및 재공급을 실시하고, 컴퓨터의 작업 상태를 자동 저장 및 복구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 발명의 구성은, 절전형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와;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 또는 주변 장치에 장착되어 주변 환경의 휘도를 측정하는 휘도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휘도와 설정 휘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해당하는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휘도 판별부와; 상기 판별 신호에 따라 측정된 휘도가 설정 휘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재 작업중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동작 제어부로부터 전원 차단 신호가 입력되면, 주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컴퓨터 주변의 휘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측정되는 주변 휘도와 설정 휘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측정된 주변 휘도가 설정 휘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재 작업중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주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보조 전원을 컴퓨터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주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주변 휘도가 설정 휘도보다 큰 경우에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여 작업 상태를 보조 전원 공급 이전 상태로 복귀시킨 다음, 보조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주전원을 컴퓨터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제2도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의 동작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 또는 주변장치에 장착되어서 주변광을 수신하여 해당하는 전기적인 휘도 신호를 출력하는 광원 수신부(10)와, 광원 수신부(10)에서 출력되는 휘도 신호와 설정 기준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해당하는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광원 판독부(20)와, 광원 판독부(20)에서 출력되는 판별 신호에 따라 컴퓨터의 전원 공급 상태 및 현재 컴퓨터의 작업 상태의 저장 및 복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 저장 복구 조절부(30)와, 자동 저장 복구 조절부(3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으로의 주전원 또는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조절부(40)로 이루어진다.
광원 수신부(10)는 광을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광의 세기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의 레벨이 가변되는 수신 모듈로 이루어지며, 광원 판독부(20)의 입력단에 연결한다.
광원 판독부(20)는 연산 증폭기(OPERATION AMPLIFIER,OP)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준값에 따라 광의 세기를 판독한다. 상기한 기준값은 저항(R1,R2)에 의하여 Vref=(R2/R1+R2)×VCC로 계산되며, 광원 판독부(20)는 이와 같이 설정되는 기준값과 공원 수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휘도 신호를 비교한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은, 주변광을 수신하여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광원 수신부를 초기화하는 단계(S2)와, 컴퓨터의 시스템의 주전원 공급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S3)와, 컴퓨터 시스템의 주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광원 수신부로부터 전기적인 휘도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4)와, 광원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휘도 신호와 설정된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S5)와, 휘도 신호가 기준 신호보다 작은 경우에 컴퓨터의 현재 작업 데이터를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S6)와, 상기에서 주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7)와, 주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광원 수신부로부터 전기적인 휘도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8)와, 광원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휘도 신호와 설정된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S9)와, 휘도 신호가 기준 신호보다 큰 경우에 주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S10)와,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작업 데이터를 리드하여 작업 환경을 주전원 공급 차단 이전 상태로 복구하는 단계(S1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컴퓨터의 파워 스위치가 작동되어 컴퓨터 시스템으로 외부로부터의 교류 전원 즉, 주전원이 인가되면, 자동 저장 복구 조절부(30)는 주전원 공급 상태를 체크한다(S3).
여기서 주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면, 공원 수신부(10)는 주변광을 수신하여 해당하는 전기적인 휘도 신호를 출력한다. 공원 수신부(10)로부터 출력된 휘도 신호는 광원 판독부(20)로 입력되며, 광원 판독부(20)는 반전 단자로 입력되는 기준 신호와 비반전 단자로 입력되는 휘도 신호를 비교하여 해당하는 판별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광원 판독부(20)로부터 출력된 판별 신호는 자동 저장 복구 조절부(30)로 입력된다(S4).
자동 저장 복구 조절부(30)는 인가되는 판별 신호에 따라 휘도 신호가 기준 신호보다 큰 경우에는, 주변 환경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휘도를 가진 상태로 사용자가 컴퓨터를 계속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상태로 판단한다. 이 경우에는 다시 이전 단계(S4)로 복귀하여 계속하여 주변 휘도에 따른 휘도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측정되는 휘도 신호가 기준 신호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기 위하여 컴퓨터가 위치한 작업실의 전등을 오프시킨 상태로 판단한다. 이런 경우에 자동 저장 복구 조절부(30)는 현 사용자가 마지막 입력을 하기까지 수행되었던 작업 데이터를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S6),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 조절부(40)는 주전원을 차단하고 배터리 등의 보조 전원부로부터의 보조 전원을 컴퓨터 시스템으로 공급한다(S7).
이와 같이, 주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자동 저장 복구 조절부(30)는 계속하여 광원 판독부(20)로부터의 판별 신호를 입력받아 주변 휘도 상태를 판별한다.
공원 수신부(10)는 주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인가되는 보조 전원에 따라 계속하여 주변광을 수신하여 해당 휘도 신호를 출력하고, 광원 판독부(20)는 휘도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해당 판별 신호를 출력한다.
자동 저장 복구 조절부(30)는 측정되는 휘도 신호가 기준 신호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상태로 판단하여 전원 차단 신호 출력을 중지하고, 이에 따라 전원 조절부(40)가 보조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다시 주전원 공급을 재개한다(S8∼S10). 다음에, 자동 저장 복구 조절부(30)는 보조 기억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저장된 작업 데이터를 리드하여 컴퓨터 작업 환경을 주전원 차단 이전 상태로 복구시킨다(S11).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을 켜놓은 상태로 야간에 사무실 혹은 그외 사용장소에서 나가면서 작업실의 전등을 껐을 경우 자동으로 컴퓨터의 현재 작업 상태를 저장하고, 주전원을 차단하는 절전 모드로 들어갔다가, 다시 작업실의 전등이 켜지면 자동으로 컴퓨터 작업 상태를 주전원 차단 이전 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컴퓨터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전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절전형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와;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 또는 주변 장치에 장착되어 주변 환경의 휘도를 측정하는 휘도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휘도와 설정 휘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해당하는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휘도 판별부와; 상기 판별 신호에 따라 측정된 휘도가 설정 휘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재 작업중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동작 제어부로부터 전원 차단 신호가 입력되면, 주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원 판독부는, OP AMP와 기준값을 만드는 저항 R1, R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3. 컴퓨터 주변의 휘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측정되는 주변 휘도와 설정 휘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측정된 주변 휘도가 설정 휘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재 작업중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주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보조 전원을 컴퓨터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주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주변 휘도가 설정 휘도보다 큰 경우에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여 작업 상태를 보조 전원 공급 이전 상태로 복귀시킨 다음, 보조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주전원을 컴퓨터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
KR1019950029152A 1995-09-06 1995-09-06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0180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152A KR0180802B1 (ko) 1995-09-06 1995-09-06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152A KR0180802B1 (ko) 1995-09-06 1995-09-06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891A KR970016891A (ko) 1997-04-28
KR0180802B1 true KR0180802B1 (ko) 1999-05-15

Family

ID=1942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152A KR0180802B1 (ko) 1995-09-06 1995-09-06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8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891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4483B1 (ko) 키신호 입력에 의한 작업 복구가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5913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computer system using wake up LAN (local area network) signal
EP1988443A3 (en) Suspend induced by AC power disturbance
KR970049303A (ko)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탈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0180802B1 (ko) 컴퓨터의 주변 휘도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US7193624B2 (en) Display apparatus with power saving capability
US6288628B1 (en) Display unit for selective calling receiver
US5773960A (en) Electronic equipment detecting battery voltage to control power supply
KR940008247A (ko) 노이즈에 의한 세트의 오프시 자동파워 온 방법
KR0167643B1 (ko) 퍼스널 컴퓨터의 인체 감지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787007A (ja) 携帯電話装置
JPH1118430A (ja) 温度異常検出保護回路
CN221037514U (zh) 一种低功耗的无线温度湿度监测装置及其电路
JP2001341595A (ja) 電源制御装置
JPS63288309A (ja) 電子機器の電源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
KR100214572B1 (ko) 레이저빔 프린터의 정착기 전원 자동차단방법
KR0144383B1 (ko) 여유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컴퓨터의 충전 제어장치
KR0159634B1 (ko) 키폰 시스템의 전력소비 절감방법
JP2000267768A (ja) 携帯用端末装置
KR0159721B1 (ko) 프린터의 전원 제어회로
KR20020054596A (ko) 전력 소모 절감 장치와 그 방법
KR0175592B1 (ko) 팩시밀리의 전원공급 자동제어방법
JPH10136575A (ja) 電気機器および電源供給制御回路
JPH02176920A (ja) 電子機器
JPH0410015A (ja) 電源供給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