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434Y1 - 피씨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전원절전회로 - Google Patents

피씨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전원절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434Y1
KR200148434Y1 KR2019960040142U KR19960040142U KR200148434Y1 KR 200148434 Y1 KR200148434 Y1 KR 200148434Y1 KR 2019960040142 U KR2019960040142 U KR 2019960040142U KR 19960040142 U KR19960040142 U KR 19960040142U KR 200148434 Y1 KR200148434 Y1 KR 200148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video signal
level
saving mod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219U (ko
Inventor
전일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40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43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72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2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4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C의 비디오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모니터에 있어서, 특히 통신중인 PC에 새로운 메일의 레벨변화에 따라 전원절전 모드 및 정상모드 상태로 구동시킬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인지시겨 줄수 있도록 한 PC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전원 절전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신호시 자동 전원차단회로에서는 PC를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PC는 전원절전 모드상태로 동작을 하게된다.
그러나, PC통신전용의 PC나 일반 PC로 통신 및 인터넷 통신을 할 경우 새로운 메일(MAIL)이 들어와도 사용자에게 즉시 인식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PC로 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전원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통신중인 PC가 전원 절전모드일 경우에 새로운 메일이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정상모드로 복귀 및 사용자에게 경보를 줌과 동시에 PC에 시리얼 클럭(SCL;Serial Clock) 및 시리얼 데이터(SDA;Serial Data Address)를 이용하여 알려주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피씨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전원절전회로 THE POWER-SAVINGS CIRCUIT BY VIDEO SIGNIAL OF PC
본 고안은 PC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보다더 효과적인 전원절전 모드상태 여부를 구현하도록 주기적으로 신호의 변경유무를 검사하도록 PC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전원절전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니터의 무신호시 자동 전원차단회로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 제 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C(1)로 부터 비디오 신호(R/G/B/I) 및 수평/수직 동기신호(H-sync/V-sync)를 인가받은 모니터 회로부(2)와, 상기 PC(1)로부터의 모니터 회로부(2)에 인가되는 비디오 신호 및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입력으로 릴레이(5)의 구동코일을 제어하는 노어케이트 칩(3)과, 상기 교류전압(AC)을 일정전압으로 강하하여 상기 모니터 회로부(2)의 전원으로 인가시키는 전원 트랜스(4)와, 상기 전원 트랜스(4)의 2차측으로 부터 모니터 회로부(2)에 인가되는 각 전원 출력을 스위칭 단자로 온- 오프시키는 구동코일을 구비한 릴레이(5)로 구성되고, 상기 노어 케이트 칩(3)의 전원 입력(Vcc)은 전원 트랜스(4)의 2차측(5V)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모니터의 무신호시 자동전원 차단회로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도면 제 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C(1)의 전원스위치가 온 된 상태에 PC(1)의 영상출력 신호(R/G/B/I)나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가 모니터 회로부(2)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 회로부(2)에 인가된 신호중 어느 하나라도 동작하는 상태 즉, 노어 케이트 칩(3)의 입력단(I1-I6)신호가 어느 하나라도 하이(HIGH) 상태가 되면 노어 게이트 칩(3)의 출력단은 로우(LOW)레벨이 된다.
상기 노어 게이트 칩(3)의 로우 출력신호에 의해 릴레이(5)는 동작하지 않게 되어 전원트랜스(4)의 2차측 출력(5V,12V,52V)은 릴레이(5)의 스위칭 단자(SW1-SW3)를 통해 모니터 회로부(2)에 인가된다.
그러나, PC(1)의 전원스위치가 오프 된 상태가 되면 모니터 회로부(2)에 인가되는 영상신호(R/G/B/I)와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가 모두 로우(LOW) 상태가 되어 노어 게이트 칩(3)에 인가되지 않으므로, 상기 노어게이트 칩(3)의 출력은 하이(HIGH) 상태가 되므로 릴레이(5)의 구동코일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릴레이(5)의 스위칭 단자(SW1~SW3)가 모두 오프되어 모니터 회로부(2)에 인가되던 전원 트랜스(4)의 전원이 차단된다.
여기서 다시 PC(1)의 전원스위치를 온 상태로 전환하면 전원 트랜스(4)의 5V출력으로 구동되는 노어 게이트 칩(3)의 출력은 다시 로우 상태가 되어 릴레이(5)의 구동코일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릴레이(4)의 각 스위칭 단자(SW1-SW3)가 온 상태로 되어 모니터 회로부(2)에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나, 종래 모니터의 무신호시 자동 전원차단회로에서는 PC의 전원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의 유무에 따라 전원회로를 차단하여 전원 절전 모드 상태로 동작하게 되고, PC통신이나 인터넷 통신을 할 경우 새로운 메일이 들어와도 입력되는 즉시 사용자에게 인식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PC로 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전원절전 회로를 구현함과 동시에 통신중인 PC가 전원 절전모드일 경우에 새로운 메일이 입력되면 사용자에게 경보로서 인식시켜 주도록 하고, PC에 시리얼 데이터및 시리얼 클럭을 통하여 인식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정상 모드상태로 동작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PC의 무신호시 자동 전원 차단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PC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전원절전 회로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 챠트
본 고안 PC의 비디오 신호에 의한 전원절전회로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 제 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C(11)에 의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고 레벨을 검출하는 비디오 레벨 검출부(12)와, 상기 비디오 레벨 검출부(12)에 검출된 비디오 레벨의 변경여부를 판단하여 각 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모드상태에 대하여 시리얼 클럭(SCL) 및 시리얼 데이터(SDA)를 이용하여 PC(1)에 알려주는 마이컴(13)과, 상기 마이컴(13)의 비디오 레벨의 변경여부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 절전모드상태로 동작시키는 전원절전 모드 구동부(14)와, 상기 상기 전원절전 모드상태에서 새로운 메일이 들어오면 마이컴(13)의 제어신호에 의해 부저를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주는 부저 구동부(15)로 구성된다.
미 설명부호R1,R2는 저항,Q1은 트랜지스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PC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전원절전회로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도면 제 2도 및 제 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C(11)의 비디오 신호(R/G/B)가 비디오 레벨 검출부(12)에 인가되면, 상기 비디오 신호 레벨 검출부(12)에서는 인가된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의 합성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모니터의 마이컴(13)의 입력단자(ADC)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마이컴(13)에서는 입력단자(ADC)를 통하여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비디오 검출부(12)의 비디오 신호레벨을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변경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디오 신호의 레벨이 변경되었으면 마이컴(13)의 전원절전 모드(DPM;Display Power Management)단자가 정상모드 상태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12)은 비디오 신호의 레벨이 일정시간 동안 변경되지 않았으면 전원절전 모드(DPM)의 출력제어용 타이머를 설정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계속 비디오 신호으 래벨이 변경되지 않았으면 전원절전모드(DPM) 출력단자에 인가하여 전원절전 모드 구동부(14)를 전원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통신중인 PC(11)가 전원절전 모드상태일 경우에, 즉 통신중에 새로운 메일(MAIL)이 들어오면 마이컴(13)에서 레벨의 변경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마이컴(13)은 감지된 신호에 의해 부저단자를 통하여 부저구동부(15)에 구동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 부저구동부(15)에서는 구동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1)는 온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으로 부저(BUZZER)를 동작시켜 통신중인 사용자에게 새로운 메일의 입력을 경보로서 알려주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13)은 비디오 신호의 레벨의 변경에 따른 모드에 대한 정보를 마이컴(13)과 서로 접속된 시리얼 데이터(SDA) 및 시리얼 클럭(SCL)단자를 이용하여 PC(11)에 인식신호를 보내게 된다.
도면 제 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어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디오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이후 검출된 비디오 신호의 레벨을 주기적으로 변경여부를 검사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비디오 신호의 레벨이 변경되었으면 설정된 타이머를 클리어시켜 정상모드로 설정하고, 비디오 신호의 레벨이 변경되지 않았으면 전원절전 모드용 타이머 설정여부를 검사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3과정이후 타이머가 설정되었으면 타이머를 증가/감소시키고, 타이머가 클리어 되어 설정되지 않았으면 타이머를 설정하여 정상모드로 동작시키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3과정이후 타이머의 증가/감소시켜 타이머가 완료되었으면 절전모드로 설정하고, 타이머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 2과정의 레벨 변경여부를 검사하는 제 6과정과, 상기 정상모드 및 절전모드설정 과정이후 를 리턴시켜 제 2과정의 레벨 변경여부를 검사하는 제 7과정으로 진행된다.
본 고안은 비디오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주기적으로 변경여부를 검사하여 보다 효과적인 전원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함과 아울러 PC통신시 PC의 비디오 신호에 새로운 메일신호의 입력유무를 감지하여 PC에 인식신호를 보내고 경보 및 정상모드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1)

  1. PC의 비디오 신호(R/G/B)와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V-sync)를 영상 입력신호로 하는 모니터에 있어서,
    PC(11)에 의해 인가된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레벨을 검출하는 비디오 신호 레벨 검출부(12)와, 상기 비디오 신호의 레벨의 변경여부에 따라 마이컴(13)의 제어에 의해 전원절전 모드상태로 동작시키는 전원 절전모드 구동부(14)와, 상기 전원절전 모드상태에서 레벨 변경에 따른 사용자에게 경보를 알려 인식시켜 주도록 하는 부저 구동부(15)와, 상기 레벨 검출부(11)에 의해 검출된 비디오 레벨을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변경에 따른 모드변환 정보를 시리얼 데이터(SDA) 및 시리얼 클럭(SCL)을 통하여 PC(11)에 인가하여 사용자가 인지할수 있도록 하는 마이컴(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전원절전회로
KR2019960040142U 1996-11-14 1996-11-14 피씨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전원절전회로 KR200148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142U KR200148434Y1 (ko) 1996-11-14 1996-11-14 피씨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전원절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142U KR200148434Y1 (ko) 1996-11-14 1996-11-14 피씨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전원절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219U KR19980027219U (ko) 1998-08-05
KR200148434Y1 true KR200148434Y1 (ko) 1999-06-15

Family

ID=1947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142U KR200148434Y1 (ko) 1996-11-14 1996-11-14 피씨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전원절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4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991A (ko) * 2001-11-01 2003-05-12 강주성 인터넷 및 컴퓨터 활용에 따른 소비 전력 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991A (ko) * 2001-11-01 2003-05-12 강주성 인터넷 및 컴퓨터 활용에 따른 소비 전력 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219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5979E1 (en) Power-saving circuit and method for a digital video display device
US7812836B2 (en) Display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US60696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PMS mode status using an OSD circuit
CN110728938B (zh) 显示控制系统及显示屏
US5935254A (en) Computer system for cutting off power by key input signals or programming and having a reset switch for resetting and supplying power
US7071933B2 (en) Power controlling system
KR200148434Y1 (ko) 피씨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전원절전회로
US834503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AU699305B2 (en) Power supply system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during interruption of an external input signal given to an operating circuit
KR0120191B1 (ko) 노이즈에 의한 세트의 오프시 자동파워 온 방법
KR100351826B1 (ko) 모니터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03484B1 (ko) 전원 절전회로
KR100359817B1 (ko) 다중입력 모니터의 전력소모 제어장치 및 방법
KR970001899Y1 (ko) 소비전력 절감회로
KR100296351B1 (ko) 모니터전원유무에따른pc하이버네이션장치및방법
JPS63288309A (ja) 電子機器の電源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
KR100204232B1 (ko) 멀티미디어 영상 표시기기의 자동 절전회로
KR940000258B1 (ko) 방문객 자동녹화 및 vtr 자동 스톱장치
JPH066731A (ja) ビデオ信号出力装置
US7461280B2 (en) Recall circuit for quitting a power saving mode
KR20010010972A (ko) 모니터의 전원 컨트롤 회로
KR19980018867U (ko) 절전형 모니터의 제어 장치
KR970057013A (ko) 오디오/비디오 신호 무입력시 티브이 수상기의 파워 온 상태 인지 방법
JPH0324875A (ja) バックライト自動制御装置
JPH0830248A (ja) 省電力型映像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