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646B1 - 실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실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646B1
KR0179646B1 KR1019920702151A KR920702151A KR0179646B1 KR 0179646 B1 KR0179646 B1 KR 0179646B1 KR 1019920702151 A KR1019920702151 A KR 1019920702151A KR 920702151 A KR920702151 A KR 920702151A KR 0179646 B1 KR0179646 B1 KR 0179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protective surface
yarn
support
bra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0714A (ko
Inventor
아르네 구나르 자콥손 쿠르트
Original Assignee
스티그-아르네 블롬
아이 알 오 에이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그-아르네 블롬, 아이 알 오 에이비이 filed Critical 스티그-아르네 블롬
Publication of KR93070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0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20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 B65H59/22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and arranged to apply pressure to material
    • B65H59/225Tension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Loom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특히, 실 공급기구(F)의 공급측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된 실 통과축(f)을 가지는 실 제동기구(3), 및 실 구멍(22)을 갖추고서 실(Y)이 공급되는 방향(R)을 가로지를 방향으로 배열된 보호면(A)으로 구성된 실 제동장치(B)의 경우에, 그 보호면(A)의 방향 조정 장치(M)를 구비하여 실 통과 축(f)으로부터 편위된 실 공급방향(R1, R2)에 대한 보호면(A)의 교차위치를 그 방향 조정 장치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식 지지장치 상에 실의 공급방향(R)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실을 안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보호면(A)에서도, 그러한 위치 조정장치(M)를 설치하여 실(Y)의 각 공급방향(R1, R2)에 대한 보호면(A)의 직각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실 제동장치
실(thread)이 공급코일로부터 직조기(weaving or knitting machine)와 같은 실 처리장치로 공급될 때, 실 공급기구(thread feeder)는 실의 장력의 변화를 방지하여 실이 가능한 최선의 조건하에서 그 실 처리장치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실 공급장치에 의해서, 실의 장력을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실의 처리속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실 공급기구 예컨대, 실 저장 및 공급장치의 축은 실이 그 실 처리장치 속으로 삽입되는, 예컨대, 직조기로 삽입되는 지점과 정렬되어 그 실 처리장치로 향한 실의 통로에서 가능한 최대한으로 작은 편위가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실 공급기구가 실을 인발해 내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실 공급 코일들은 보통, 그렇게 고정된 실 공급기구의 축과 정렬되지 못한다. 그 이유는 공간조건과 아울러, 조업자가 공급코일들을 교환하는 방식에서 알 수 있다. 여러개의 공급코일들로부터 오는 실들을 함께 매듭지음으로써 실 공급기구로의 공급방향이 여러 가지로 생기게 된다. 실 공급기구가 정확하게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급코일로부터 나오는 실에 특정한 기본장력이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 공급기구의 공급측에 실 제동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실 제동장치로 들어오는 실이 엉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평판 또는 구형 컵의 형태로 된 보호면을 실 제동장치 상에 고정적으로 설치한다. 이 보호면은 실의 공급방향에 직각으로 배치하여 그 보호효과를 가져오는 표면이 가능한 커지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실 제동장치를 실 공급기구의 축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그 실 제동장치와 실 공급기구의 사이에서, 즉 실의 통로에서 실 제동장치가 실에 장력을 가한 후의 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실의 편위가 일어나게 된다. 그 결과 편위각도와 마찰력에 따라서 장력증가, 특히 실이 공급코일로부터 풀릴 때 발생되는 최대장력이 증가되어 실을 파괴시킬 위험이 초래된다.
때로는 공급코일로부터 실 처리장치로 이르는 통로를 따라서 최소한 하나의 실 구멍을 고정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동중에 긴장되고(팽창되고) 때로는 속도변하에 응하여 늘어지는 실이 살기한 실 구멍에 의해서 형성된 장애물에서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실 구멍을 큰 면적의 보호면에 설치하는데, 이 보호면은 그 실의 공급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실이 엉키지 않게끔 함으로써, 실의 파괴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 제동장치와 보호면을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단점들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실 공급기구의 공급측에 실 제동장치를 배치한 경우에 실의 파괴횟수를 감소시켜야 한다. 보호면을 일반적인 실의 안내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이 지점에서 실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가능한 최선의 보호효과가 보장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목적은 특허청구 범위 제1항 및 제16항의 특징부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실 공급기구의 공급측에 사용되도록 되어있는 본 발명의 실 제동장치는 그 하류측에서 실의 파괴위험을 증가시키는 편위가 발생되지 못하도록 그 실 공급기구의 축과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실 제동장치에서는 실이 엉킬 위험이 감소하는데, 왜냐하면 보호면의 작용면적이 가능한 커지도록 보호면을 그 실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 구멍을 갖추고서 일반적인 실 안내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호면의 경우에, 본 발명의 보호면은 공급방향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보호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양자의 경우에서, 기본적인 중요성은 방향 조정장치에 의해서 보호면을 그 공급방향에 대하여 초소한 대략 직각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양자의 경우에서, 지금까지 필요했던 과도한 크기의 보호면을 갖출 필요가 없어지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면을 실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의 처리작업시에 통상 좁은 공간조건하에서, 이것은 기본적인 중요성을 가지는데, 왜냐하면 종종 여러개의 실 가닥들이 실 처리장치로 공급되고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수의 실 공급기구들, 보호면들 및 실 제동장치들과 아울러 다수의 공급코일들을 가능한 최소한의 공간을 점유하도록 서로 조화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청구범위 제2항의 실시예가 지닌 장점은 능동-결합(POSITIVE ENGAGEMENT) 장치로서 만들어진 위치 조정장치가 보호면의 정확한 위치조정과 아울러 그 조정위치를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는 한편, 그 보호면을 위치고정 시키는데 사용하는 고정장치가 동작시에 진동으로부터 기인하는 불가피한 반응력을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보호면을 위한 지지장치를 갖추고서 정지상태로 지지되도록 된 기초부재를 갖춘 경우를 청구범위 제3항에 기술하였다. 그 지지장치는 보호면의 조정에 부수적으로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구조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청구범위 제4항에 기술하였는 바, 이 경우에는 방향 조정 장치의 일부가 보호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청구범위 제5항에 기술 하였는 바, 이 경우에는 기초부재의 지지장치가 각 보호면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는데 부수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신뢰할 수 있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청구범위 제6항에 기술 하였다. 보호면은 회전식 연결장치에 지지되어 있다.
각 공급방향에 대한 보호면의 적절한 위치는 기초부재에 대한 보호면의 회전이동 및 보호면에 대한 기초부재의 회전이동에 의해서 간단히 성취되며, 이 회전이동은 위치조정을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7항에 의한 실시예는 특히 유용한 것으로서, 0。와 45。사이에서 실 제동기구내의 실 통과 축과 실의 공급방향간의 모든 편위를 감당한다. 그 공급방향이 그 통로 축으로부터 45。이상 편위될 경우에도 그 보호면의 45。경사진 위치가 충분한 보호효과를 가져온다. 더 큰 각변위들의 경우에, 그 경사진 위치의 각도들은 더 크고, 또는 서로 다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청구범위 제8항에 기술하였다. 볼-앤드-소켓(ball-abd socket)또는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해서 실의 임의의 공급방향들에 대한 보호면의 직교위치를 간단하게 맞출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청구범위 제9항에 의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보호면의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과 기초부재의 그 실 통과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동에 의해서 보호면의 각각의 조정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청구범위 제10항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기초 부재가 상기한 지지장치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청구범위 제11항에 의하면 그 기초부재를 그 지지장치와 함께 그 실 통과 축을 중심으로 재배치하여 실의 공급방향에 대한 보호면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청구범위 제12항의 실시예에서는 구형 컵에 의해서 특히 양호한 엉킴방지 효과를 얻는다.
또 다른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구범위 제13항에 기술하였다. 실 통로 축에 대한 지지장치의 경사위치 및 보호면 그 자체에 대한 단부면의 경사위치가 회전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는 보호면의 가능한 최대 경사위치를 결정한다. 보호면은 그 각 조정된 위치에 지지너트에 의해서 고정된다. 그 개별적인 성분들은 쉽게 제작할 수 있다. 각각의 재배치작업들은 간단한 공구를 이용해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미 선택된 보호면의 조정위치는 진동에 의해서 변하지 않는다.
가능한 최선의 실 처리작업은 청구범위 제14항에 의한 실시예로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들어오는 실은 기본적으로 그 공급측에 위치한 실 구멍테에서 편위된다. 그 실 구멍테 뒤에 위치한 또 하나의 실 구멍테는 극한적인 횡방향 이동의 경우에만 실에 의해서 접촉된다.
보호면의 실 구멍을 항상 실 제동기구의 실 통과 축과 정렬시켜 놓기 위해서는 청구범위 제15항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서두부분에 소개된 형태의 실 제동장치에 관한 것임과 아울러, 제16항에 의한 보호면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실 제동장치의 일부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와 다른 위치로 조정된 실 제동장치의 측면도로서, 제1 및 2도는 각각 극한 조정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선 III-III에 따라서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예컨대, 실 제동장치에 속하는 것으로서 정지상태로 지지된 보호면의 단면도.
제5도는 실 제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6도는 실의 처리작업중에 실 제동장치의 기하학적인 동작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본 발명에 관해서 첨부한 도면을 예로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및 2도에는 실의 처리작업시에(제6도) 실 공급기구 F의 공급측에 설치하는 형태의 실 제동장치 B 가 도시되어 있다 제4도에 의한 보호면 A은 제 1, 2, 3, 4, 및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 제동장치 B와 일체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제4도에 의한 보호면 A 은 제6도의 실 Y의 통로상에서 어떤 제동장치와도 상관없이 다른 지점, 예컨대 실 공급기구 F 및 실 처리장치 C의 사이에 설치하여 일반적인 실 안내작용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6도에서, 실 처리장치 C는 씨날(weft thread)로서의 실 Y을 처리하는 직조기이다. 실 Y은 지지장치 H에 설치된 실 공급코일 S 에 저장되어 있다. 실 공급코일 S의 실들은 서로 함께 매듭지어져서 실이 다 풀린 공급코일 S로부터 실이 꽉 찬 공급코일로의 교환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실 공급기구 F는 실 저장 및 공급장치로의 이것에 의해서 실 Y 이 공급코일 S로부터 인발되어 저장된 다음에 실 처리장치 C로 균일하게 낮은 장력으로 공급되는데, 이 실 처리장치는 필요에 따라서 실 Y을 인발해 간다. 실 공급기구 F의 축은 실 처리장치 C의, 예컨대 단일의 실 공급기구로 수행되는 단색 직조의 경우에, 삽입지점과 대체로 정렬되어 있다.
공간 때문에 (여러개의 교호로 작용하는 실 공급기구 F, F'의 경우에), 각각의 실 공급기구 F를 그 축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실 구멍을 갖는 보호면 A도 실 공급기구 및 실 처리장치이 사이에 또는 실 통로(제6도)의 다른 지점, 예컨대 자동으로 실을 끼우는데 사용하는 중간 노즐 또는 실 노즐의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한 실 노즐에서는 실의 팽창에도 불구하고 실이 엉키지 않도록 해야한다.
실 통로 축 f을 가진 실 제동장치 B는 실공급기구 F의 공급측에 설치된다. 공급코일 S로부터 실의 공급방향은 실 통로 축 f 으로부터 편위되어 있으며(제6도 참조), 이 공급방향은 참조부호 R 로 표시하였다. 실 제동장치 B에 부착된 보호면 A은 그 공급방향 R애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느슨해 지거나 긴장될 때 엉키지 않도록 해야한다. 보호면 A을 위한 방향 조정장치 M를 실 제동장치 B상에 설치하여 이것에 의해서 각 공급방향 R에 대한 보호면 A의 직교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보호면 A은 기본적으로 평균 공급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제1 및 2도에 의한 실 제동장치 B는 지지부재 2를 갖춘 활 모양의 기초부재 1를 포함하는데, 그 지지부재 2에는 제동기구 3가 고정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동장치는 디스크들 3a, 3b로 된 디스크형 제동장치로서, 그 디스크들은 스프링 3c에 의해서 서로 눌려져 있으며 너트 3e에 의해서 위치고정된 지지체 3d 상에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 3c의 탄지력은 조정나사 3d에 의해서 변화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 2의 하단부에는 사각형 판의 형태로 된 지지장치 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실 제동장치 B를 실공급기구 F의 공급측에 고정시키는 연결장치 5, 예컨대 길다란 구멍들을 갖추고 있다. 이 길다란 구멍들 5은 중심의 실 구멍테 6의 둘레에 동심으로 배열되어 기초부재 1가 화살표 21의 방향으로 90。씩 재배치될 수 있도록, 또는 하나의 관통구멍 만큼씩 전진할 수 있도록, 그리고 제한된 양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재 2의 상단에는 상부면 8과 하부면 9을 갖춘 지지대 7가 구비되어 있다. 실 제동장치 B는 고정적인 실 통로 축 f을 가지고 있으며, 이 축은 제 6도에서 실 공급기구 F의 축과정렬되어 실 Y이 실 제동기구 3와 실 공급기구 사이에서 어떤 방향으로도 편위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방향 조정장치 M에 관해서 설명한다.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 판재로 구성된 구형 컵 11의 형태로서 만들어진 보호면 A은 그 후방에 돌출부 12를 갖추고 있는데, 이 돌출부의 단부면 15 은 그 보호면 A의 평면 16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어 지지대 7의 상부면 8에 지지된다. 지지대 7는 실 통로 축 f 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연장된다. 돌출부 12는 지지대 7의 구멍(도시 안했음)을 통해서 돌출하는 속이 빈 나사돌기 17를 갖추고 있다. 이 나사돌기 17 상에 지지너트 18 가 끼워져서 그 지지대 7의 하부면 9상에 지지된다. 나사돌기 17 속에는 세라믹으로 구성되어 중심이 실 통로 축 f 에 위치하는 실 구멍테 19 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세라믹으로 구성된 실 구멍테 13 가 보호면 A의 공급측에 설치되어 있다. 실 구멍 22은 그 두 개의 구멍테 13 및 19 사이로 연장된다.
돌출부 12는 회전식 연결장치 D에 의해서 지지대 7에 위치 고정되어 있다. 이 회전식 연결장치 D의 회전축 10은 지지대 7에 직각으로 그리고 실 통로 축 f 과는 경사지게 교차한다. 회전축 10은 실 통로 축 f 에 대하여 경사각 α 으로 연장된다. 보호면 A의 평면 16과 회전축 10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평면 14간에는 경사각 β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경사각들 α, β은 약 22.5。이다. 경사각들 α, β은서로 틀릴 수 있으며, 그들의 합은 45。를 초과할 수 있다.
제2도에 의한 보호면 A 의 조정위치에서, 실 Y 의 공급방향 R1은 실통로 축 f 으로부터 45。만큼 편위되어 있다. 보호면 A의 돌출부 12는 지지대 7 에 대하여 최대 한계위치로 회전되어 있다. 말하자면, 경사각들 α 및 β의 합만큼 보호면이 기울어져 있다. 보호면 A의 회전에 의해서 (지지너트 18를 풀어놓은 다음에) 보호면 A을 0。와 45。 사이의 어떠한 실의 공급방향에 대해서도 조정할 수 있다.
제1도를 보면, 보호면 A 의 다른 극한 위치에서 그 두 개의 경사각들 α 및 β 은 서로 상쇄되며, 실 통로 축 f 의 방향으로 곧장 실 공급방향 R 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각 α은 회전축 10과 실 통로 축 f 사이에 형성되는 한편, 경사각 β은 보호면 A 의 평면과 회전축 10에 직각으로 연장된 평면 14 사이에 형성된다.
공급방향 R1이 본 도면의 평면상에 존재하고 실이 좌측에서부터 실 제동장치 B로 공급되도록 한다면, 기초부재 1는 실 통로 축 f을 중심으로 180。만큼 회전시켜 재배치 해야한다. 공급방향 R1을 본 도면의 정면에서 또는 후면에서 본 도면의 평면 속으로 연장되도록 한다면, 기초부재 1를 길다란 구멍들 5 속에서 회전시키고 보호면의 평면 16은 그 공급방향에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재배치한다.
제4도에 의한 보호면 A은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 판재로 구성된 구형 컵으로 되어 있다. 이 구형 컵 11의 후방에는 대략 볼(ball)의 형상을 하며 관통하는 실 구멍 22을 갖춘 돌출부 12'가 형성되어 있다. 실 구멍테 13 및 가능한, 그러나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은 또 하나의 실 구멍테 19가 그 실구멍 22에 배치된다. 돌출부 12'의 볼-형상 표면은 구형의 지지링23에 의해서 감싸여 있는데, 이 지지링은 필요하다면 홈을 갖출 수 있으며 고정나사 25를 위한 장력돌기 24를 갖추고 있다. 이렇게 해서, 제1도의 지지부재 2로 볼 수 있는 고정 지지장치 26 및 보호면 A 사이에 볼-앤드-소켓 조인트(ball-and-socket joint) K가 형성되어 각 공급방향 R (실 통로 축 f과 정렬된) 또는 R1 또는 R2(양쪽 모두 실 통로 축 f에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는)에 대하여 보호면 A의 직교위치를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제4도에 의한 보호면 A은 실 통로상에서 들어오는 실이 엉켜서는 안되는 실 구멍테 또는 실 구멍 13, 22, 19이 필요한 지점에서 독립적으로 실 안내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볼-앤드-소켓 조인트 K에 의해서, 각 경우에서 보호면 A 은 그 공급방향에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볼-앤드-소켓 조인트 대신에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 또는 카단 조인트(cardan joint)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도에 의한 실 제동장치 B 의 경우에 볼-앤드-소켓 조인트 K를 방향 조정장치 M 로서 사용하면, 실 통로 축 f을 중심으로 기초부재 1를 재배치할 필요가 없는데, 왜냐하면 보호면 A 이 모든 측면에 대해서 조정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제5도의 실시예에 의한 실 제동장치 B 의 경우에, 방향 조정장치 M의 일부는 보호면 A 및 기초부재 1의 지지부재 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다른 부분은 기초부재 1의 지지장치 4'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보호면 A은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 판재로 구성된 원형 또는 계란형의 평판 11'으로 형성되며, 그 중심부에는 공급측에 실 구멍테 13가 갖추어져 있다. 보호면 A의 후방에 설치된 돌출부 12는 실 통로 축 f과 직교하는 축대 27a를 형성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스터드(stud) 27를 갖추고 있다. 이 스터드 27는 추축베어링 28, 바람직하게는 포크형 추축베어링에 마찰 고정되어 있다. 추축베어링 28은 지지부재 2에 일체로 연결된 포크형 지지부재 29에 부착되어 있다.
기판 30의 구멍속에는 실 구멍테 6가 그 출구측에 설치되어 있다. 기판 30에 설치된 원형 칼라(collar) 31는 기판 32의 구멍 34과 마찰 결합하고 있다.
기판 32에는 연결장치 5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나사 33에 의해서 실통로 축 f을 중심으로 한 기초부재 1의 회전위치를 고정시킨다. 마찬가지로, 유사한 연결나사를 스터드 27 화 추축베어링 28의 사이에, 또는 제4도의 볼-앤드-소켓 조인트 K에 설치할 수 있다. 각 공급방향 R에 따라서, 보호면 A은 횡 축대 27a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기초부재 1는 실 통로 축 f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보호면 A이 그 실의 공급방향에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크 제동기구 3 대신에 라멜라 제동기구(lamella brake), 크로코다일 제동기구(crocodile brake), 실이 최소한 부분적으로 감기는 부재로 동작하는 제동기구, 제동효과를 가져오는 슬랙 테이크-업 장치(slack take-up device), 편위 제동기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특히, 실 저장 및 공급장치와 같은 실 공급기구(F)의 공급측에 사용하기 위한 실 제동장치(B)로서, 고정된 실 통과 축(f)을 가지는 실 제동기구(3), 및 실 구멍(22)을 갖추고서 상기 실 제동장치(B)로 실(Y)이 공급되는 방향(R)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된 보호면 (A)으로 구성된 상기 실 제동장치(B)에 있어서,
    상기 보호면(A)의 방향 조정 장치(M)를 구비하여 상기 실 통과 축(f)으로부터 편위된 실 공급방향 (R1, R2)에 대한 상기 보호면(A)의 교차위치를 상기 방향 조정 장치(M)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실 제동장치(B).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정 장치(M)는 능동-결합(positive-engagement)장치로서 만들어져서 상기 보호면(A)을 이미 조정된 각각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5, 18, 33)를 갖추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면(A)을 위한 지지장치를 갖추고서 정지상태로 지지되도록 된 기초부재를 갖춘 경우에 상기 지지장치(2, 26)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방향조정장치 (M)로서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정 장치(M)의 일부는 상기 보호면 (A)상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1)의 지지장치(4)는 상기 보호면(A)의 방향 조정 장치(M)의 부수적인 성분으로서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면(A)은 회전식 연결장치(D)에 의해서 상기 지지장치(2, 7)에 부착되며, 상기 회전식 연결장치(D)는 상기 실 제동기구(3)의 실 통과 축(f)과 경사진 각도로 교차하는 상기 보호면(A)의 회전축(10)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면(A)은 상기 회전축(10)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평면(14)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 통과 축(f)과 회전축(10)간의 경사각(α) 및 상기 회전축(10)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상기 평면(14)과 상기 보호면(A)간의 경사각 (β)은 대략 서로 동일하게 약22.5。의 값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호면(A)이 한 회전위치에서는 상기 실 통과 축(f)에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한편, 다른 회전위치에서는 상기 실 통과 축(f)에 대하여 상기 경사각들(α, β)의 합에 해당하는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면 (A)은 볼-앤드-소켓(ball-and-socket)또는 유니버설 조인트(K)에 의해서 상기 지지장치(26, 2)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면 (A)은 상기 실 통과 축(f)을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회전축대(27a)에 의해서 상기 지지장치(2, 29)에 부착되며, 상기 기초부재(1)는 상기 지지장치(2, 29)에 의해서 상기 실 통과 축(f)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1)는 상기 지지장치(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1)는 상기 지지장치(4)에서 상기 실 통과 축(f)을 중심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연결장치(5)를 갖추고서 상기 실 공급방향(R1, R2)에 대하여 회전변위식으로 재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면 (A)은 구형 컵(11)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면(A)의 후방에는 실 구멍(22)을 감싸고 있음과 아울러 경사진 단부면(15)을 가지는 중심돌출부(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장치(2)에는 상기 실 통과 축(f)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어 한쪽 면(8)에서 상기 단부면(15)을 지지하는 지지대(7)가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단부면(15)에는 상기 지지대(7)를 관통하여 돌출하는 속이 빈 나사돌기(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돌기(17)에는 지지너트가 끼워져서 상기 지지대(7)의 다른쪽 면(9)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 구멍(22)과 속이 빈 나사돌기(17)는 각각 세라믹 구멍테(thread eye)(13, 19)를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5. 제6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0)은 상기 실 제동기구(3)를 향한 상기 구멍테(19)가 연장되는 지점에서 상기 실 통과 축(f)과 교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6. 실 구멍(22)을 갖추고서 고정식 지지장치 상에 실의 공급방향 (R, R1, R2)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실을 안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보호면 (A)에 있어서, 상기 보호면(A)의 위치 조정장치(M)를 설치하여 상기 실 (Y)의 각 공급방향(R1, R2, R)에 대한 상기 보호면 (A)의 직각방향 위치를 상기 위치 조정장치(M)에 의해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면.
KR1019920702151A 1990-03-06 1991-03-06 실 제동장치 KR0179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000808A SE9000808A0 (sv) 1990-03-06 1990-03-06 Ingångsgarnbroms till en fournissör, företrädesvis av lagringstyp
SE9000808-7 1990-03-06
PCT/EP1991/000414 WO1991014031A1 (de) 1990-03-06 1991-03-06 Fadenbrem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0714A KR930700714A (ko) 1993-03-15
KR0179646B1 true KR0179646B1 (ko) 1999-02-18

Family

ID=2037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2151A KR0179646B1 (ko) 1990-03-06 1991-03-06 실 제동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35878A (ko)
EP (1) EP0518934B1 (ko)
JP (1) JP2955955B2 (ko)
KR (1) KR0179646B1 (ko)
DE (1) DE59101884D1 (ko)
SE (1) SE9000808A0 (ko)
WO (1) WO1991014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7629A (en) * 1998-02-23 1999-07-27 Dixon; Tony Anti-static tension device
US6439488B1 (en) 2000-11-27 2002-08-27 Bobby Hunter Tension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DE10151780C1 (de) * 2001-10-19 2003-05-22 Dornier Gmbh Lindau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der Fadenbremskraft einer zwischen einem Garnvorratssystem und einem Fadenspeicher einer Webmaschine angeordneten Schussfadenbremse
US7229044B2 (en) * 2002-06-19 2007-06-12 Texkimp Limited Compensating disk tension controller
FR2957206B1 (fr) * 2010-03-03 2012-12-28 Abb France Dispositif de bobinage
CN102677383A (zh) * 2012-06-08 2012-09-19 慈溪太阳洲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针织输纱机
CN105923464B (zh) * 2016-06-26 2018-12-28 桐乡市正辉针织有限公司 一种双环导纱装置
CN110240010A (zh) * 2019-06-26 2019-09-17 西安工程大学 一种高性能纤维的张力控制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06937A1 (de) * 1969-02-12 1970-09-17 Meyer Fa Geb Fadenbremse mit Spannungsausgleich
DE2359550A1 (de) * 1972-11-30 1974-06-06 Du Pont Garnzufuehrungsgatter
GB2027456B (en) * 1978-07-26 1982-09-02 Memminger Gmbh Thread supply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4471917A (en) * 1982-07-20 1984-09-18 Celanese Corporation Balloon-control guide and yarn rewindin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9000808D0 (sv) 1990-03-06
SE9000808A0 (sv) 1991-09-07
KR930700714A (ko) 1993-03-15
WO1991014031A1 (de) 1991-09-19
US5335878A (en) 1994-08-09
DE59101884D1 (de) 1994-07-14
EP0518934B1 (de) 1994-06-08
JP2955955B2 (ja) 1999-10-04
EP0518934A1 (de) 1992-12-23
JPH05504999A (ja)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9646B1 (ko) 실 제동장치
SU1074399A3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торможени нити к нитеподающему устройству с неподвижным нитенакопительным барабаном дл ткацких станков
US4747549A (en) Accumulating device for weft yarn feeders to textile machines
JP2007107134A (ja) 横編機の糸案内装置
JPS60188272A (ja) 編機における積極型の糸送り装置
US4619180A (en) Braider carrier
JPH0733621B2 (ja) 丸編機における積極型の糸送り装置
JP4953376B2 (ja) テンプル装置
EP0918726B1 (en) Yarn brake for looms
JPS5922140Y2 (ja) ニ−ドル織機等の緯糸送り装置
CN1295124C (zh) 喂纱器
KR102621331B1 (ko) 재봉틀용 실 장력조절 장치
KR102146632B1 (ko) 정경기용 원사의 장력감지장치
US4365652A (en) Crossing thread supply system for a weaving machine
KR100439275B1 (ko) 직기내의얀공급시스템용얀고정장치
RU2041853C1 (ru) Устройство торможения нити
EP0045643B1 (en) Thread brake
JP2008132006A (ja) ミシン
US4279388A (en) Combination mounting bracket, ball tension and balloon control device
US4574847A (en) Rotary drum type weft storage apparatus
KR20040111050A (ko) 실 보호장치 및 실 보호 스트립
JP3910800B2 (ja) バルーンブレーカ
US3291417A (en) Wire tension device
KR200298424Y1 (ko) 편기에 사용하는 텐숀장치
JPH014174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