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036B1 - 가압 작동식 펄프 세척 기구 - Google Patents

가압 작동식 펄프 세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036B1
KR0179036B1 KR1019920703382A KR920703382A KR0179036B1 KR 0179036 B1 KR0179036 B1 KR 0179036B1 KR 1019920703382 A KR1019920703382 A KR 1019920703382A KR 920703382 A KR920703382 A KR 920703382A KR 0179036 B1 KR0179036 B1 KR 0179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slurry
wire
liquid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블랑 피트
란가마너 고다
Original Assignee
레이몬드 떠블유. 캠벨
벨로이트 테크놀로지스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41789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7903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레이몬드 떠블유. 캠벨, 벨로이트 테크놀로지스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레이몬드 떠블유. 캠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9/00After-treatment of cellulose pulp, e.g. of wood pulp, or cotton linters ; Treatment of dilute or dewatered pulp or process improvement taking place after obtaining the raw cellulosic material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D21C9/02Washing ; Displacing cooking or pulp-treating liquors contained in the pulp by fluids, e.g. wash water or other pulp-treating agents
    • D21C9/04Washing ; Displacing cooking or pulp-treating liquors contained in the pulp by fluids, e.g. wash water or other pulp-treating agents in diffusers ; Washing of pulp of fluid consistency without substantially thicken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per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고정 세척 와이어(160)을 따라 원료가 유동되고, 세척 와이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액체를 통과시키도록 원료내에 펄스파를 발생시키는 가압 작동식 펄프 세척 기구(100)에 관한 것이다. 세척액은 원료가 유동하는 방향의 반대로 유입되고, 국부적인 혼합과 재슬러링이 가해진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가압 작동식 펄프 세척 기구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개선된 펄프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룰로오스 펄프 섬유를 세척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지용 셀룰로오스 펄프 섬유를 얻기 위한 나무의 화학 처리 공정은 여러 가지의 펄핑액으로 나무칩을 증해 혹은 침지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며, 셀룰로오스 섬유를 서로 결속시키는 수지 및 물질을 펄핑액으로 분해시킴에 따라 섬유는 분리된다. 그 결과 섬유 슬러리(slurry)가 용액 및 사용제 화학물 혹은 화학용액내에 뜨게된다. 제지용 펄프로 더 가공하기 위해 그 섬유는 용액에서 분리되어야 하며, 섬유와 함께 잔존하는 화학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섬유는 세척되어야한다.
[종래 기술]
펄프세척의 목적은 펄프 섬유에서 가용성의 이물질을 분리시켜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된 펄프를 얻기 위한 것이다. 최적의 펄프 세척 장치로는 최소의 세척액을 사용하여 폐수 용액과 다른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화학적 회복 및/또는 다른 일련의 폐수처리에 있어서, 세척단계중에 첨가되는 세척액은 증발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세척 공정중에 추가되는 세척액의 사용량을 최소화시키고, 펄핑액의 희석 및 연속 처리 단계에서의 화학물 제처리를 위한 비용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 장치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제지업계에서는 사용된 세척액의 양을 정의하는 희석율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왔다. 이 희석율은 펄프가 장치에서 제거될 때 장치로 들어가서 세척된 펄프와 함께 장치를 빠져나오지 않은 물 또는 다른 세척액의 양을 의미한다. 만약 첨가된 세척액의 양이 펄프와 함께 장치를 통과한 세척액의 양이 동일하다면 희석율은 0 이 된다. 따라서 희석율이 낮을수록 바람직하다.
전술한 셀룰로오스 슬러리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희석-교반-추출(추출세척)]
세척 공정에서는 과다한 양의 용액이 펄프에서 배수되며, 펄프는 물 및/또는 다음 단계에서 생성된 더 묽은 용액으로 희석된다. 이 혼합물은 평형 상태로 증진시키도록 철저히 교반된다. 그 다음 상기 혼합물은 재차 선정된 양만큼 탈수된다. 이 처리의 효율은 교반 사이클에 도달한 평형의 정도와 잇따른 희석 단계사이의 탈수 정도와 연관된다. 추출 단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치밀화 작용이 적용될 수 있다. 추출 세척에서의 고체 및 약간 검은 용액이 집중되는 것을 제거하는 방법은 주어진 희석율에 대한 펄프의 유입 및 배출 경점성에 의해 좌우된다.
추출 세척 장치는 항상 양호한 세척 결과를 얻기위해 몇번의 추출 단계를 거쳐야하며, 실질적으로 높은 희석율을 지니고 있다. 현재 진행중인 환경 보호차원에서 상기 세척 기술의 사용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치환 세척]
이 방법에 있어서, 슬러리의 빈공간에 채워진 용액은 세척액 및/또는 다음 단계로 부터의 여과액으로 치환된다. 펄프를 통한 세척액의 확산은 혼합을 피하기 위해 조절된다. 처리 효율은 치환 과정에서 결정되며 효율을 저해하는 혼합 및 난류 정도와, 그리고 펄프 섬유 및 용액 포켓과 세척액 사이에 도달하는 평형 정도에 연관 된다.
치환 세척을 이용한 방법은 회전하는 다공 드럼이나 이동 벨트의 상부면상에 원제료의 매트를 형성시키는 방법과 매트의 상부위로 치환액을 뿌리는 방법을 포함한다. 벨트를 통과하는 액체는 벨트 아래로 제거된다. 이러한 구조의 근본적인 단점은 와이어 상부에서 생성되는 거품을 제거하고 처리해야만 되는 점이다. 더욱이, 분무 처리를 위해 보호용 후드와 케노피가 사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희석-추출-치환]
이 방법은 전술한 두 방법을 조합시켜 사용하며, 그 효율은 각각의 조작에 영향을 받는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 약 85%의 크래프트(kraft)식 펄프용 밀(mill)이 펄프세척을 위해 이 방법을 사용한다. 펄프는 다음 단계에서 생성된 용액으로 희석되고, 평형 상태로 증진시키기 위해 교반된다. 기공내에 잔존하는 용액을 치환시킨 다음 추출이 일어난다. 이러한 세척 방법대로 수행하기 위해 가압되거나 또는 진공 상태의 드럼 세척기가 사용된다. 전술한 방법들과 같이 세척 표면에 대해 펄프 섬유는 추출 및 치환이 일어날 때 다소 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의 단점은 펄프내에 동반한 공기의 역효과와, 진공 세척기의 경우 세척 온도에 한계성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펄프 매트를 통과하는 용액의 배수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향상되며, 따라서 온도의 상승은 세척 효율을 증대시킨다. 그러나 드럼내에서 -5psi까지 작동하는 진공세척기는 저 평형 온도 상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펄프의 배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진공 세척기의 작동온도를 크게 상승시키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진공 세척기와 유사하며 펄프 매트 위의 후드내에 양성 압력으로 작동하는 압축 세척기는 어느정도 진공 세척기의 온도 한계성을 극복하였다. 그러나 진공 세척기와 마찬가지로 원재료가 공기에 노출되며, 원재료의 압축에 의해 세척 방법을 조절하는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더욱이, 원재료내에 동반된 공기는 매우 중요하며, 이때 이 공기에 의해 발생한 거품을 제어하기 어렵다. 펄프내의 공기는 잇따른 세척 단계의 효율을 감소시키며, 또한 희망하는 세척정도까지 도달시키는데 요구되는 세척 용량을 증가시킨다. 소포제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비용이 추가되고 취급 및 배수에 문제가 따른다.
세척될 섬유와 잔류면 사이의 비교적 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추출 또는 치환을 이용한 종래의 세척 기술은 이들을 통해 분리가 발생된다. 이와같은 전형적인 현상으로는 와이어, 드럼등과 같은 부분위에 매트의 형성을 포함한다. 용액이 제거되면 상기 매트는 드럼 혹은 와이어에 대해 고정된다. 추출 또는 치환은 비교적 천천히 일어나므로 적당한 용량을 위해 그 장치는 매우 커지게된다. 따라서 높은 설비 자본과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사용한 방법 및 구조의 단점을 개선하고 거품을 발생시키지 않고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연속적인 조작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할 원료의 재질을 향상시키며, 깨끗한 세척액의 추가를 최소화시키며 교반으로 섬유를 연속적인 재슬러싱 및 재세척시켜 그 결과 용액의 희석을 최소화시키며 원료내에 케리어 용액을 이용한 개선된 원료 세척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액 및 액체를 취급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와 원료 섬유를 제거시키기 위한 개선된 구조를 지닌 원료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온의 원료를 처리하고 또한 세척 작동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가압된 대기상태에서 작동하는 원료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세척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료를 높은 경점성으로 교반된 상태에서 지속시키는 원료 세척 장치는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세척 장치의 설치공간을 줄이고 배관비 및 펌핑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동일한 세척 용량을 지닌 현재의 세척 기술과 비교시 세척 장치의 설비 자본을 절감시킬 수 있는 원료 세척 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밀폐된 대기내에서 가압된 상태로 펄프 원료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원료는 세척기의 원료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압력 구배에 의해 고정 장벽 혹은 세척기 와이어를 따라 공급된다. 깨끗한 세척액은 고정장벽을 따라 이동하면서 반복, 교반, 희석 및 세척되는 원료의 흐름에 반대방향으로 원료 배출구의 단부로부터 공급된다. 여과액은 섬유의 통과를 억제시키는 장벽을 가로지르는 압력 구배에 의해 공급된다. 회전체는 원료가 와이어를 통과할 때 원료내에 고주파, 저증폭펄스파를 발생시키고 섬유를 국부 혼합, 재슬러싱 및 세척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 뿐만아니라 그 구조 및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아래의 명세서, 청구의 범위, 그리고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 및 발명의 원리를 통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따라 작동되고 설계된 일반적인 원료 세척 장치를 도시한 수직 단면의 대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따라 작동되는 동적 펄프 세척기의 양호한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압된 동적 세척기는 몸체부(1)이 몸체부의 축상에 배치된 회전체(2)를 포함한다. 이 동체 혹은 몸체부(1)은 세 개의 주요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제1영역은 일반적으로 회전체의 단부인 세척기의 전방에 위치한 유입영역(3)이다. 유입관(4)는 동체의 상부에서 접선으로 유입영역으로 들어가며, 세척기의 축에 접선 속도로 세척기에 원료를 공급한다.
몸체부(1)내의 제2영역은 세척 영역(5)이며, 세척액의 추출을 위해 외측동체에 몇 개의 소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원통형 세척 와이어(wire)혹은 장벽(6)은 세척기 및 세척 와이어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체(2)로부터 세척영역을 따라 설치되며, 동체의 상부에 위치한 여과관(7)을 격리시킨다. 따라서, 세척 와이어를 통과한 세척액만이 여과관에 도달할 수 있다. 이 세척와이어는 장벽을 형성하며 그 장벽을 따라 용액으로부터 섬유가 분리된다.
몸체부의 제3영역은 유입영역 반대쪽의 회전체 및 와이어의 단부와 동일한 위치의 세척기 후미에 위치한 배출영역(8)이며, 세척된 원료가 세척기 바깥으로 배출되는 영역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세척기의 세척영역은 세척 와이어의 뒷쪽에 형성된 두 개의격실(9)(10)을 구비한다. 이들 격실은 배플(11)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세척액은 관(12)로부터 세척기의 후방 측면에서 유입된다. 첨가되는 정수의 양은 밸브(18)에 의해 조절된다. 원료내의 액체는 물로 치환되며 격실(10)으로 세척 와이어를 통해 추출된다. 세척이 완료된 원료는 원료 라인(19)를 통해 세척기 바깥으로 배출된다. 격실(10)에서 나온 여과액은 펌프의 도움없이 순수한 압력차에 의해 관(13)을 통해 유입측면에서 유입된다. 세척기 중앙부분의 압력은 격실(10)에서 나온 여과액의 배출점의 압력보다 더 낮다. 그러나 펌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관(13)을 통해 세척기의 유입 측면에서 유입된 여과액은 내부 희석을 위해 사용된다. 이 여과액의 용질 농도는 원료내에 이미 존재하는 용액의 농도보다 낮기 때문에 여과액은 그 영역내의 그 용질 농도의 용액을 치환시켜 세척 와이어를 통해 격실(9)로 이송되며, 따라서 원료의 섬유는 가용성의 불순물에서 제거된다. 격실(9)내의 고 농도 용액은 여과관(17)을 통해 세척기 바깥으로 배출된다. 유입관(4), 고농도 여과액 라인(7), 여과액 재순환관(13), 세척된 원료 배출 라인(19), 그리고 정수관(12)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은 와이어의 내부와 외부 영역사이를 가로질르고 또한 원료유입부와 세척된 원료 배출부 사이의 세척기를 가로질러 발생하는 압력 구배에 의해 세척기의 정적 상태를 유지하도록 각각 밸브(14)(15)(16)(17)(18)에 의해 조절된다.
제2도는 제1도의 대략도로 설명된 가압된 동적 세척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작동되도록 설계된 가압 동적 세척기는 도면부호(100)으로 표기된다. 주로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재질로 만든 몸체(110)은 세척기의 유입단에서 커버(116)를 수용하도록 플랜지(114)를 구비한 외측 원통형 동체(112)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110)은 세척기의 배출단에 형성된 원추형 부분(118)을 포함한다.
회전체(120)은 일반적으로 몸체부(110)의 축을 따라 배치되며, 모터(124)에 구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외면의 다수의 노브 혹은 펌프(128)이 형성된 회전부(126)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1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같이 이 회전체는 종종 분할식 회전체라고 불리며, 원료내에 고주파, 저증폭 펄스파를 발생시킨다. 범프(128)은 반구형이나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유입영역(130)은 일반적으로 커버(116), 동체(120)의 일부, 내부 동체 플랜지(132), 그리고 회전부(126)의 단부(136)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입관(140)은 세척될 원료 슬러리를 유입영역(13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체, 회전체의 축 및 유입 영역에 대한 유입관(140)의 배치방향은 원료에 접선 방향의 속도가 가해지도록 배치된다.
동체(112)의 내벽(142)는 회전체의 샤프트(122)를 수용하는 베어링(144)상에서 회전체를 지지한다. 벽면(142)는 플랜지(146)을 포함한다. 세척기에의 일단에 위치한 플랜지(132)와 세척기의 타단에 위치한 플랜지(146)은 일반적으로 유입영역(130)에서 유입된 원료를 수용하는 세척영역(150)의 최외곽 유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한다.
세척 와이어(160)은 세척 와이어 장착 플랜지(162)(164)각각에 의해 플랜지(132)와 (144)에 연결된다. 세척 와이어(160)은 주로 매끄러운 원통형 다공의 바스켓이며, 펄스파에 의해 회전체(120)으로부터 셀룰로오스 섬유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충분히 적은 구멍 또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매끄러운 바스켓은 0.006인치 치수의 슬롯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지만, 약 0.002 내지 0.012인치의 슬롯과 약 0.004인치 내지 0.012인치의 구멍도 양호한 치수로 사용된다.
세척 와이어(160)은 고정 장벽을 형성하며, 이 장벽을 따라 원료는 세척기의 유입단에서 배출단으로 흐른다. 세척 와이어는 그 외면에 범퍼(128)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126)와 인접하게 간격을 유지하며, 세척 영역(150)을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구분한다. 유입영역(130)으로 유입된 원료는 회전체와 세척 와이어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166)을 통해 세척영역의 반경방향 내측부분으로 들어간다. 원료로부터 치환된 액체는 와이어내의 슬롯을 통과하여 세척 영역(150)의 반경방향 외측부분으로 흐른다. 치환된 액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여과액 배출구(170)을 통해 세척기를 빠져나갈수 있는 반면, 세척된 원료는 원료 배출구(180)을 통해 배출된다.
세척영역(150)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은 배플(210)에 의해 소영역(190)(200)으로 양분되어 있다. 소영역(190)(200)과 유사하게 세개 이상의 소영역들을 제공하기 위해 배플(230)과 같은 2개이상의 배플을 사용할 수 있다.
회전체(120)의 외면과 세척 와이어(16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162)으로 유입된 원료는 유입구와 배출구에서 유지된 압력차이에 의해 세척 와이어를 따라 흐른다. 세척액 라인(220)이 벽면(142)에 형성되어 원료내의 용액과 치환될 세척액을 공급하며, 이 치환된 용액은 세척 와이어를 통해 소영역(190) 및 (200)으로 추출된다. 여과액 재순환 라인(230)은 소영역(200)에서 커버(116)에 형성된 여과액 재순환 유입구(232)로 여과액을 안내한다.
세척될 섬유는 공급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원료 슬러리 상태로 유입관(140)에 유입되며, 이 원료는 유입영역(130)에서 세척기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공급된다. 약0.2 내지 0.4%의 경점성을 지닌 용액 및 섬유의 원료 슬러리는 대개 3.0 내지 3.5% 의 경점성으로 200˚F 이내의 온도에서 세척기로 유입된다.
섬유 슬러리는 공간(166)을 통해 세척영역(150)으로 들어간다. 이 섬유는 세척 와이어(160)과 실직적으로 평행한 통로인 세척 영역(150)을 따라 이동되도록 힘이 가해진다. 섬유가 슬롯으로 접근하는 각도 때문에 섬유는 와이어를 통과하기 어렵다. 이 섬유는 유입영역(130)에서 세척기의 세척된 원료 배출구(180)으로 축방향을 따라 운반된다.
세척의 메카니즘을 돕기위해 세척기내에는 3개의 주요 속도가 작용한다. 이 속도등은 축, 반경, 그리고 접선방향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축방향의 속도는 세척기의 회전축과 일치하며 일반적으로 세척 와이어의 세척 표면과 평행하다. 이 속도는 원료 유입구와 세척된 원료 배출구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조절된다. 이 축방향의 속도는 세척 와이어와 회전체의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환형부의 크기와 원료 배출구로 향하는 유량의 체적에 영향을 받는다.
반경방향의 속도는 세척기의 와이어를 향하여 통과하는 속도이다. 이 속도는 원료 유입구와 세척 여과액 배출구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해 조절된다. 이 반경방향의 속도는 세척 와이어의 전면적과 와이어에 형성된 개구 면적과 여과액 유량의 체적에 따라 결정된다.
접선방향의 속도는 세척기의 축을 중심으로 한 원료의 회전방향의 속도이다. 접선방향의 속도는 회전체의 설계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세척기내의 이러한 속도들은 세척영역내의 바라는 세척효율을 얻기위해 원료를 혼합, 재슬러링, 그리고 탈수시키는 반경방향의 견인력, 전단력, 및 난류 작용력을 발생시킨다.
세척기내에서 발생한 속도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횡단 속도 때문에 섬유가 세척기를 통과하도록 제공된 와이어 구멍의 유효 크기는 줄어든다. 와이어 구멍의 감소는 원료에서 용액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된다. 세척기의 내부와 여과액 체임버 사이에서 발생된 압력 차이는 용액을 세척 와이어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와이어 구멍은 섬유가 반경방향의 속도에 영향을 받을때만 통과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횡단 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은 섬유는 와이어 구멍을 통과하지 못할 것이다. 세척기내의 원료는 용액의 추출로 인해 유입구에서 보다 더 높은 경점성을 가지게 된다. 세척 영역내의 원료는 희석, 혼합, 추출 및 치환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의 세척 메카니즘에 적용된다. 처리 효율은 혼합에 따른 평형 정도와 세척기의 특별한 조작 조건하에서 이루어진 추출 및 치환 정도에 따라 좌우된다. 혼합 정도는 세척 와이어와 근접한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고석의 회전은 원료내의 높은 용질 농도의 용액이 낮은 용질 농도의 용액 혹은 정수와 혼합되었을 때 세척기의 어느 지점에서나 일정한 농도의 용질을 생성하게 된다. 이 용액의 농도가 평형을 이룬 후 와이어를 통해 추출된다.
여기서 언급한 장치는 비록 두 단계의 세척으로 이루어졌지만, 단일 장치내에서 그 이상의 단계를 거쳐 처리시킬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들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동적 세척기는 종래의 정적 치환 방법과 대조적으로 난류 유체의 치환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치환은 더욱 효과적이며 본 발명에 의한 세척기는 드럼형 세척기에 비해 물리적 크기를 약 3분의 1 정도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을 충족시키는 개선된 세척기와 그 방법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16)

  1. 슬러리 유입구 및 슬러리 배출구(19 혹은 180)을 구비하며, 액체를 수반한 펄프 섬유의 슬러리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격실로 형성된 중공 몸체부(1 혹은 110)와 ; 상기 격실에 배치되고, 수반된 액체는 통과시키고 펄프 섬유를 일측면(162)에서 대향측면(190,200)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장벽이 형성된 세척 와이어(6 혹은 160)과 ; 상기 세척 와이어를 통과하는 액체를 치환 및 대체시키기 위해 세척액을 유입시키는 공급 수단(12 혹은 220)을 포함하는 우드 펄프 섬유 세척 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세척 와이어(6 혹은 160)를 따라 지나는 슬러리에 고주파, 저증폭 펄스파를 발생하고, 상기 세척 와이어를 따라 슬러리를 국부적으로 혼합시키기 위해 상기 세척 와이어(6 혹은 160)와 인접하게 이격되어 펄스파를 발생시키는 펄스 수단(2 혹은 120)과 ; 상기 펄스 수단과 상기 세척 와이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슬러리를 전달시키기 위한 전달 수단(166)과 ; 상기 세척기내에서 유입구에서 배출구 방향으로 축방향의 속도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 그리고 상기 세척 와이어를 따라 운반되는 펄프 원료를 탈수시키기 위해 반경 방향의 속도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펄프 섬유 세척 기구(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와이어(6 혹은 160)이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펄프 섬유 세척 기구(100).
  3. 제2항에 있어서, 펄스파를 발생시키는 상기 펄스 수단은 상기 원통형의 세척 와이어(6 혹은 160)에 측방향으로 배치된 회전부(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펄프 섬유 세척 기구(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26)은 다수의 외측으로 돌출한 돌기부(128)가 형성된 원통형의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펄프 섬유 세척 기구(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28)은 반구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펄프 섬유 세척 기구(100).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160)은 상기 슬러리를 상기 세척 와이어의 제1단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세척 와이어(6 혹은 160)의 제1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 수단(12 혹은 220)은 상기 제1단부의 반대쪽 제2단부에서 세척액을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세척 와이어(6 혹은 160)의 제2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펄프 섬유 세척 기구(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와이어(6 혹은 160)을 통과하는 최소한의 상기 액체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1 혹은 110)내의 상기 세척 와이어의 제2단부 근처에 액체 수집 체임버(200)이 형성되며, 수집된 최소한의 액체를 상기 세척 장치의 상기 세척 와이어의 제1단부 근처로 유입시키기 위해 재순환 라인(2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펄프 섬유 세척 기구(1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166)은 상기 슬러리를 상기 세척 와이어의 제1단부에 주입시키기 위해 상기 세척 와이어(6 혹은 160)의 제1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 수단(12 혹은 220)은 세척액을 상기 세척 와이어의 제2단부에 주입시키기 위해 상기 제1단부의 반대쪽 제2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펄프 섬유 세척 기구(1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와이어(6 혹은 160)을 통과하는 최소한의 상기 액체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1 혹은 110)내의 상기 세척 와이어의 제2단부 근처에 액체 수집 체임버(200)이 형성되며, 수집된 최소한의 액체를 상기 세척 장치의 상기 세척 와이어의 제1단부 근처로 유입시키기 위해 재순환 라인(2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펄프 섬유 세척 기구(100).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집 체임버는 최소한 제1격실(190) 및 제2격실(1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격실(190)은 상기 슬러리가 유입되는 상기 세척 와이어(160)의 상기 단부에 인접하며, 상기 제2격실(200)은 상기 세척액이 유입되는 상기 세척 와이어(160)의 상기 단부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펄프 섬유 세척 기구(100).
  11. 세척 표면과 액체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구멍을 구비한 장벽을 제공하는 단계와 ; 상기 세척 표면을 따라 세척될 펄프 섬유의 슬러리를 유입시키는 단계와 ; 상기 장벽을 통과하여 흐르는 액체를 치환하고 대체시키기 위해 세척액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펄프 섬유를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 표면을 따라 상기 슬러리를 혼합하고 교란시키는 단계와 ; 상기 세척 표면에 대해 평행방향, 수직방향, 그리고 접선방향의 속도를 상기 슬러리내에 발생시키는 단계와 ; 액체가 상기 세척 와이어를 통과하도록 상기 슬러리내에 가압된 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펄프 섬유의 세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원통형의 다공 장벽(160)내에서 회전부(126)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세척될 펄프 섬유의 슬러리를 회전부와 장벽사이에 형성된 환상의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펄프 섬유의 세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원통형 장벽의 일단에 슬러리를 유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장벽의 타단에 세척액을 공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펄프 섬유의 세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장벽의 타단에 인접한 장벽을 통과하는 액체부터 장벽의 일단에 인접한 장벽을 통과하는 액체를 분리하여 수집하는 단계와, 장벽의 타단에 인접한 장벽으로 수집된 최소한의 액체를 장벽의 일단에서 유입된 슬러리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펄프 섬유의 세척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표면의 일단에 슬러리를 유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세척 표면의 타단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펄프 섬유의 세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세척 표면의 타단에 인접한 고정 장벽을 통과하는 액체로부터 세척 표면의 일단에 인접한 고정 장벽을 통과하는 액체를 분리하여 수집하는 단계와, 세척 표면의 타단에서 수집된 최소한의 액체를 세척 표면의 일단에서 유입된 슬러리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펄프 섬유의 세척 방법.
KR1019920703382A 1990-06-29 1991-05-29 가압 작동식 펄프 세척 기구 KR0179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46,119 1990-06-29
US07/546,119 US5255540A (en) 1990-06-29 1990-06-29 Pressurized dynamic washer
PCT/US1991/003753 WO1992000413A1 (en) 1990-06-29 1991-05-29 Pressurized dynamic wa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9036B1 true KR0179036B1 (ko) 1999-05-15

Family

ID=2417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3382A KR0179036B1 (ko) 1990-06-29 1991-05-29 가압 작동식 펄프 세척 기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5255540A (ko)
EP (1) EP0547057B2 (ko)
JP (1) JPH0718112B2 (ko)
KR (1) KR0179036B1 (ko)
CN (1) CN1037464C (ko)
AR (1) AR244826A1 (ko)
AT (1) ATE121147T1 (ko)
AU (1) AU659373B2 (ko)
BR (1) BR9106597A (ko)
CA (1) CA2086324C (ko)
DE (1) DE69108917T3 (ko)
ES (1) ES2041231T5 (ko)
FI (1) FI925904A (ko)
MX (1) MX9100021A (ko)
NO (1) NO300783B1 (ko)
RU (1) RU2095502C1 (ko)
WO (1) WO1992000413A1 (ko)
ZA (1) ZA9149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8632A (en) * 1993-10-28 1996-07-23 Beloit Technologies, Inc. Multiple filter dynamic washer
US6053439A (en) * 1996-12-16 2000-04-25 Inland Paperboard And Packaging, Inc. Reducing wax content and enhancing quality of recycled pulp from OCC and waste paper
KR101316767B1 (ko) * 2003-12-22 2013-10-10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석고보드용 원지의 회수방법 및 석고보드용 원지의회수장치
SE531847E (sv) * 2007-12-13 2012-06-01 Metso Paper Inc Apparat för tvättning och avvattning av massa
WO2015080190A1 (ja) * 2013-11-29 2015-06-04 三菱化学株式会社 スラリーの洗浄装置及び洗浄システム
WO2016000948A1 (en) * 2014-07-01 2016-01-07 Sulzer Management Ag A method of and an arrangement for introducing process liquid from a treatment step to a washing and/or filtering apparatus
KR101771371B1 (ko) * 2016-12-26 2017-08-24 나성주 제지 원료 정선을 위한 스크린 머신, 스크린 머신용 케이싱 바디 및 스크린 바스켓
DE102018133114A1 (de) * 2018-12-20 2020-06-25 Voith Patent Gmbh Mahlanordnung
FI130499B (en) * 2021-03-25 2023-10-10 Metsae Fibre Oy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mixtures of liquids and solids
CN115624800A (zh) * 2022-10-27 2023-01-20 哈尔滨凯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远程监控的户外型供水泵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3759A (en) * 1964-04-29 1968-01-16 Bird Machine Co Screening apparatus with rotary pulsing member
US3437204A (en) * 1965-12-27 1969-04-08 Bird Machine Co Screening apparatus
SE325771B (ko) * 1967-06-20 1970-07-06 Svenska Cellulosa Ab
SE358429B (ko) * 1969-06-10 1973-07-30 Sunds Ab
AU463093B2 (en) * 1971-04-14 1975-06-30 Improved Machiner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spensions containing fibrous material
DE2526657C3 (de) * 1975-06-14 1978-10-26 Hermann Finckh, Maschinenfabrik, 7417 Pfullingen Drucksichter für Fasersuspensionen
US4076623A (en) * 1976-12-07 1978-02-28 Kamyr, Inc. Continuous oscillation of liquid separator
US4396502A (en) * 1982-03-18 1983-08-02 Beloit Corporation Screening apparatus for a papermaking machine
FI67894C (fi) * 1982-05-21 1985-06-10 Rauma Repola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lekning av fibermassa
US4855038A (en) * 1985-06-20 1989-08-08 Beloit Corporation High consistency pressure screen and method of separating accepts and re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100021A (es) 1992-02-03
AU659373B2 (en) 1995-05-11
DE69108917D1 (de) 1995-05-18
NO300783B1 (no) 1997-07-21
DE69108917T3 (de) 1999-05-12
NO924866L (no) 1992-12-16
AU8078991A (en) 1992-01-23
ATE121147T1 (de) 1995-04-15
JPH0718112B2 (ja) 1995-03-01
FI925904A0 (fi) 1992-12-28
CN1037464C (zh) 1998-02-18
DE69108917T2 (de) 1995-09-14
ES2041231T5 (es) 1999-01-01
FI925904A (fi) 1992-12-28
JPH05503969A (ja) 1993-06-24
ZA914998B (en) 1992-04-29
NO924866D0 (no) 1992-12-16
AR244826A1 (es) 1993-11-30
CA2086324A1 (en) 1991-12-30
CN1058061A (zh) 1992-01-22
CA2086324C (en) 1996-02-13
RU2095502C1 (ru) 1997-11-10
EP0547057B1 (en) 1995-04-12
BR9106597A (pt) 1993-03-30
WO1992000413A1 (en) 1992-01-09
ES2041231T3 (es) 1995-08-16
US5255540A (en) 1993-10-26
EP0547057B2 (en) 1998-08-19
EP0547057A1 (en) 1993-06-23
ES2041231T1 (es) 199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6143A (en) Apparatus for filtering liquids
FI94839C (fi) Laite lietteiden suodattamiseen ja menetelmä laitteiden käyttämiseksi
US3241676A (en) Dewatering method and apparatus
KR0179036B1 (ko) 가압 작동식 펄프 세척 기구
WO1990013344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pulp
CA110440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ashing fibre stock in the de-inking of paper
US5403442A (en) Method of deaerating and pumping a fiber suspension prior to washing
US3538680A (en) Papermaking apparatus and process
US5960500A (en) Stock washer for washing, thickening and classifying solids
FI75005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vaettande av pappersmassa.
JPH11512491A (ja) 細分化式多段階洗浄機における洗浄液の供給方法
FI88939C (fi) Tvaettare
FI90792C (fi) Menetelmä ja laite kuitususpension puhdistamiseksi
KR100710535B1 (ko) 섬유질 현탁액을 세척하기 위한 여과기
US2802572A (en) Screen unit for treating solid matter of a suspension
US5538632A (en) Multiple filter dynamic washer
EP0793750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creening a fibre suspens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paper utilizing the same
US33921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ntaminating pulp and paper machine effluent
JPS591837B2 (ja) 紙パルプ洗浄回収装置
JPS60155795A (ja) 製紙用パルプの洗浄装置
SU596289A1 (ru) Аппарат дл разделени и промывки суспензий
FI122775B (fi) Laite ja menetelmä massan käsittelemiseksi
JPH0649793A (ja) 製紙用スクリーン
SU100655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целлюлозосодержащего материала
EP07418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recycled pul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