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794B1 -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 - Google Patents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794B1
KR0178794B1 KR1019910024588A KR910024588A KR0178794B1 KR 0178794 B1 KR0178794 B1 KR 0178794B1 KR 1019910024588 A KR1019910024588 A KR 1019910024588A KR 910024588 A KR910024588 A KR 910024588A KR 0178794 B1 KR0178794 B1 KR 0178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ized
glutathione
formula
ester
alkyl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2110A (ko
Inventor
가즈미 오가다
다까히로 사까가미
유우이찌 이소와끼
히데끼 쓰루오까
Original Assignee
요시다 쇼오지
센쥬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쇼오지, 센쥬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쇼오지
Publication of KR92001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2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C07K5/0215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containing natural amino acids, forming a peptide bond via their side chain functional group, e.g. epsilon-Lys, gamma-G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식 (I) :
(식중, R은 저급 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
식 (II) :
(식중, R은 상기와 같다)로 표시되는 환원형 글루타티온 모노알킬 에스테르를 수용액중에서 공기, 과산화수소 또는 요오드로 산화시켜 이루어지는, 상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에스테르 또는 그것의 약학적 허용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억제 약학적 조성물 또는 그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산화형 글루타티온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의 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신규의 산화형 글루타티온 유도체, 더욱 상세히는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 및 그것의 약학적 허용염,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의 하나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간질환억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 (환원형) 은 글루타티온에 비하여 생체내, 예를들면 간장이나 신장 등으로의 이행성이 우수하고, 이행후에 가수분해를 받아 글루타티온이 생긴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글루타티온 모노에스테르 (환원형)에 대하여는 특개소 No. 15870/1986에 기재되어 있지만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 그 제조방법 및 그 이용에 대하여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 등은 조직 흡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는 글루타티온 유도체를 구하는 많은 연구를 행하였다. 그 결과, 글루타티온 모노알킬 에스테르를 간편한 방법 즉 공기, 과산화수소 또는 요오드로 산화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한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가 얻어지며, 이들 화합물이 우수한 약학적 작용을 가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욱 연구를 거듭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식 (I) :
(식중, R은 저급 알킬기를 표시한다.)로 표시되는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에스테르 또는 그것의 약학적 허용염,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간질환 억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급 알킬은 1 내지 10 탄소원자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그 알킬기로서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환상 알킬기의 어느 것도 바람직하게 선택되고,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알킬기도 역시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한 저급 알킬기의 예로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시클로프로필, n-부틸, t-부틸, sec-부틸, n-펜틸, 1-에틸프로필, 이소펜틸, 벤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이하와 같다.
우선, 알코올중에서 산의 존재하에 글루타티온을 식 (II):
로 표시되는 글루타티온 모노에스테르의 산성염으로 전환시킨다. 그 다음 이것을 알칼리로 중화하고, 얻어진 중성의 수용액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또는 과산화수소 또는 요오드 알코올 용액을 교반하에 적하하여 글루타티온 모노에스테르를 산화시킨다. 여기서 글루타티온 모노에스테르의 산성염은 예를들면 염산염, 황산염 또는 p-톨루엔 술폰산염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반응은 간단한 공정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얻어진 반응 혼합물 용액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정제하든가 또는 재결정시켜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GOT, GPT 수준의 상승을 억제하고, 급성 및 만성의 간질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저지하는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급성 또는 만성간염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예를들면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기타 간질환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더욱 백내장의 진행방지 및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적으로 또는 비경구적 경로를 통하여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종류 및 부위에 따라 예를들면, 정제, 과립제, 분말 또는 캡슐제, 또는 주사제 또는 점안제 등의 액체 제제로, 또는 다른 어떤 형태로도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이들 제제에는 통상 함유되는 성분들이 적당하게 사용되며 이들로서는 결합제, 붕괴제, 중점제, 분산제, 재흡수촉진제, 향미제, 완충제, 계면활성제, 용해보조제, 보존제, 유화제, 등장화제, 안정화제 또는 pH 조정제 등이 있다.
활성성분의 적당한 용량은 통상 질환의 종류, 중증도,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제제의 특정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만, 예를들면, 주사제의 경우는, 성인 1일 1 내지 1000mg 정도의 범위, 경구투여의 경우는 성인 1일 수회 투여로 1회당 10 내지 2000mg 정도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질환 억제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시켜 함유할 수도 있고, 또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 동종 또는 이종의 약학적 작용을 갖는 타성분을 적당히 함유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γ-L-글루타밀-L-시스테인일글리신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산화형 글루타티온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A 법)
γ-L-글루타밀-L-시스테인일글리신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황산염 (GSH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황산염)10g을 물 200ml에 현탁하였다. 그 다음 탄산칼슘 3.0g을 서서히 가하여 이 현탁액을 중화하였다. 이에 의해 GSH 이소프로필 에스테르가 유리·용해되고, 한편 황산칼슘이 침전되었다. 그 다음 이 혼합물을 여과하고, 냉각하면서 여과물에 5% 과산화수소수 14ml를 적가하였다. 3시간 교반후, 반응혼합물을 40℃ 이하의 온도의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에 아세토니트릴을 가하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로 모아 6g의 조 결정을 얻었다. 조 결정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YMC ODS 120A S-50, 용리액 ; 아세토니트릴: 물 = 1:4)에 의하여 정제하고, 얻어진 분획으로부터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에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결정화시키고 물-아세토니트릴로부터 재결정하여 무색무정형의 결정 2.5g을 얻었다.
TLC (실리카겔) : Rf = 0.26 (n-부탄올 : 아세트산 : 물 = 4:1:1)
원소분석치 : C26H44O12N6S2·2H2O로서
이론치(%) : C;42.61, H;6.60, N;11.47
실측치(%) : C;42.84, H;6.50, N;11.52
IR 스펙트럼을 제1도에 제시했다.
(B법)
GSH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황산염 10g을 사용하여 A법과 유사하게 GSH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용액을 얻었다. 여기에 반응 혼합물 용액이 엷은 황색을 띨 때까지 실온에서 2w/v%의 요오드-메탄올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2시간 더 교반후, 탄산칼슘으로 중화하였다. 석출된 무기결정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물을 진공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물에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고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아 조 결정 5g을 얻었다. A법과 유사하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여, 정제 생성물 1.9g을 얻었다.
(C법)
GSH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황산염 10g을 사용하여 A 법과 마찬가지0로 하여 얻은 GSH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용액을 실온에서 공기를 주입하면서 24시간 심하게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A 법과 유사하게 처리하여 정제 생성물 2.3g을 얻었다.
[실시예 2]
γ-L-글루타밀-L-시스테인일글리신 에틸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산화형 글루타티온 이소프로필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1의 A법과 마찬가지로 γ-L-글루타밀-L-시스테인일글리신 에틸에스테르 염산염 10g 및 탄산칼슘 3.0g을 사용하고 5% 과산화수소수로 산화시켰다. 마찬가지의 컬럼(YMC, ODS 120A S-50) 및 용리액 (아세토니트릴 : 물=7:43)을 사용하여 분리정제하였다. 얻어진 결정을 물-아세토니트릴로부터 재결정시켜 무색 무정형의 결정 1.5g을 얻었다.
TLC (실리카겔) : Rf = 0.16 (n-부탄올 : 아세트산 : 물 = 4:1:1)
원소분석치 : C24H40O12N6S2·2H2O로서
이론치(%) : C;40.90, H;6.29, N;11.92
실측치(%) : C;40,62, H;6.41, N;11.62
[약리학적 실험]
(방법) 체중 약 180g의 수컷 Wistar 쥐를 24시간 절식시킨후, 경구용 케뉼레를 통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하나인 산화형 글루타티온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이하, 「GSSG 이소프로필」로 언급함.) 87∼349mg, 환원형 글루타티온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1/2 H2SO4·1/2 H2O 102mg (환원형 글루타티온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이하 「GSH 이소프로필」로 언급함.)로서 87mg) 및 대조로서 5% 아라비아검 용액을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 1시간후에 간에 질환을 야기시키는 물질인 아세트아미노펜 400mg/kg을 복강내 투여하였다. 24시간후 쥐를 펜토바르비탈로 마취시키고 복부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s-GOT, s-GPT를 측정하여, GSSG 이소프로필의 간질환 억제효과를 GSH 이소프로필의 효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그 결과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GSSG 이소프로필 87∼349mg/kg의 투여에 의하여 s-GOT, s-GPT의 상승이 투여량 의존적으로 상당하게 억제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 GSH 이소프로필 황산염 102mg/kg의 투여도 s-GOT, s-GPT의 상승을 상당히 억제하고, GSSG 이소프로필 87mg/kg의 투여는 GSH 이소프로필 황산염 102mg/kg의 투여와 거의 동등의 간질환 억제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표중 각 수치는 평균 ±S.E.(n=4∼8), [ ]내의 수치는 시험물질의 투여량의 몰수 환산치 (mmol/kg), ( )내의 수치는 억제율을 나타낸다.
5% 아라비아검 용액에 대한 유의차: 1; p 0.05, 2; p 0.01
[제제실시예 1]
[경구용 정제]
상기 성분을 종래의 방법에 따라 정제로 제형하였다.
당코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제실시예 2]
[주사제]
상기 성분을 혼합하여 여과멸균하였다.
여과물을 무균적으로 2㎖씩 유리 바이엘에 충전하고 열로 밀폐하여 주사제를 형성하였다.
[제제실시예 3]
[점안제]
상기 성분을 종래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였다.
그 다음 용액을 여과멸균하여 무균의 점안용기에 충전하였다.

Claims (4)

  1. 식 (I) :
    (식중, R은 저급 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 또는 그것의 약학적 허용염.
  2. 식 (II) :
    (식중, R은 저급 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환원형 글루타티온 모노알킬 에스테르를 물 또는 수용액에서 공기, 과산화수소 또는 요오드로 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3. 식 (I) :
    (식중, R은 저급 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것의 약학적 허용 염을 약학적 허용 담체와 함께 혼합한 혼합물로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정제, 과립, 파우더, 캡슐 또는 주사액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9910024588A 1990-12-28 1991-12-27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 KR0178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416855 1990-12-28
JP2416855A JP2921124B2 (ja) 1990-12-28 1990-12-28 酸化型グルタチオンアルキルエステ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110A KR920012110A (ko) 1992-07-25
KR0178794B1 true KR0178794B1 (ko) 1999-04-01

Family

ID=1852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4588A KR0178794B1 (ko) 1990-12-28 1991-12-27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223488A (ko)
EP (1) EP0497001B1 (ko)
JP (1) JP2921124B2 (ko)
KR (1) KR0178794B1 (ko)
AT (1) ATE150764T1 (ko)
CA (1) CA2057734C (ko)
DE (1) DE69125360T2 (ko)
ES (1) ES2099125T3 (ko)
RU (1) RU2043994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4509A (ja) * 1995-10-27 1997-05-13 Sumitomo Electric Ind Ltd 肝炎治療剤
US6251857B1 (en) * 1995-12-14 2001-06-26 Novelos Therapeutics, Inc. Cytokine and hemopoietic factor endogenous production enhancer and methods of use thereof
DE69620233T2 (de) * 1995-12-14 2002-11-14 Novelos Therapeutics Inc Oxidiertes glutathion als mittel zur verbesserung der endogenen produktion von cytokinen und haematopoietischen faktoren
AU2689699A (en) 1998-02-24 1999-09-06 Dovetail Technologies, Inc. Small molecules that increase the conversion of food to body weight gain
US20070142267A1 (en) 1998-11-23 2007-06-21 Novelos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production of the oxidized glutathione composite with CIS-diamminedichloroplatinum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based thereof regulating metabolism,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apoptotic mechanisms for normal and transformed cells
RU2144374C1 (ru) * 1998-11-23 2000-01-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АМ"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та окисленного глутатиона с cis-диаминодихлорплатиной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композиций на его основе, регулирующих метаболизм, пролиферацию, дифференцировку и механизмы апоптоза нормальных и трансформированных клеток
US7172905B2 (en) * 2001-08-07 2007-02-06 The University Of Chicago Polypeptide immobilization
EP1521961A2 (en) * 2002-07-05 2005-04-13 The University of Chicago Characterization of biochips containing self-assembled monolayers with maldi-tof-ms
US7080671B2 (en) * 2002-12-17 2006-07-25 Paraphase, Inc. Replacement vehicle fuel intake device
US6941707B2 (en) * 2003-05-02 2005-09-13 Certainteed Corporation Vented soffit panel
US20110064828A1 (en) * 2009-09-11 2011-03-17 Novelos Therapeutics, Incorporated Treatment of metastatic tumors and other conditions
US20130245198A1 (en) 2012-03-14 2013-09-19 Ralf Mruk Pneumatic tire
US20130245199A1 (en) 2012-03-14 2013-09-19 Ralf Mruk Functionalized elastomer
RU2692065C1 (ru) * 2018-04-05 2019-06-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Приволж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АОУ ВО КФУ) Глутатионаммониевые соли o,o-диорганилдитиофосфорных кислот, обладающие антиоксидантной и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ой активностью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9370A (en) * 1983-12-02 1989-11-07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Glutathione delivery system
FR2579461B1 (fr) * 1985-03-28 1988-08-26 Strasbourg Universite L Pasteu Amides de l'acide para-methoxycinnamique et de l'acide urocanique utilises comme filtres solaires; procedes d'obtention, compositions dermo-pharmaceutiques et cosmetiques les contenant et applications
JPH075631B2 (ja) * 1986-03-19 1995-01-25 参天製薬株式会社 グルタチオン誘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25360D1 (de) 1997-04-30
RU2043994C1 (ru) 1995-09-20
ATE150764T1 (de) 1997-04-15
EP0497001A2 (en) 1992-08-05
CA2057734A1 (en) 1992-06-29
JPH04230698A (ja) 1992-08-19
CA2057734C (en) 1997-12-02
EP0497001A3 (en) 1993-06-23
ES2099125T3 (es) 1997-05-16
US5223488A (en) 1993-06-29
KR920012110A (ko) 1992-07-25
JP2921124B2 (ja) 1999-07-19
EP0497001B1 (en) 1997-03-26
DE69125360T2 (de) 199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8794B1 (ko) 산화형 글루타티온 알킬 에스테르
EP0705244A1 (de) Nitrato-aminosäure-disulfide zur therapie von erkrankungen des herz-kreislauf-systems
KR870001238B1 (ko) 크산틴산염의 제조방법
KR970002905B1 (ko) S-저급지방산 글루타티온 유도체
KR0145412B1 (ko) 항염증성 조성물,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또는 이들 혼합 성질의 조성물
US4906665A (en) Hydroxyalkylcysteine derivative and expectorant containing the same
RU2027442C1 (ru) Веще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ой активностью
EP0257992B1 (en)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agents for cerebral ischemia
EP0420224B1 (en) Antihepatopathic composition
US4585589A (en) Water-soluble alkanoyloxy and alkoxycarbonyloxy rifampicin derivatives, process for its preparation, intermediates, and its pharmaceutical composition as antibacterials
EP0180158A1 (en) Thiadiazine compou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t
EP1797031A1 (en) Medicinal disulfide salts
CA1174978A (en) Xanthates
EP0737476A2 (en)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ntaining a 3-(2H)-furanone derivative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cataracts
KR0168459B1 (ko) 백내장 억제 조성물
EP0249401A1 (en) Antianemic agent
US5326782A (en) Salts derived from 26-(dialkylaminoalkylsulphonyl)pristinamycin IIB
EP0254167B1 (en) 1-hydroxy-5-oxo-5h-pyrido(3,2-a)-phenoxazine-3-carboxylic acid esters
BE897156A (fr) Derives du dithioiane,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A1334408C (en) Dithiolane derivatives
US3255208A (en) Dimethyl-beta-propiothetin and related compounds
KR950013764B1 (ko) 피로글루타미드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치매증 치료제
KR830002567B1 (ko) 퀴나졸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615523B2 (ja) S−アルキルチオ−l−システインスルフオキサイド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抗高脂血症及び強肝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