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728B1 - 디지탈영상재생시스템의 디테일개선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영상재생시스템의 디테일개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728B1
KR0178728B1 KR1019950005657A KR19950005657A KR0178728B1 KR 0178728 B1 KR0178728 B1 KR 0178728B1 KR 1019950005657 A KR1019950005657 A KR 1019950005657A KR 19950005657 A KR19950005657 A KR 19950005657A KR 0178728 B1 KR0178728 B1 KR 0178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eak
detail
gain
f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570A (ko
Inventor
박지훈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05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728B1/ko
Publication of KR96003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2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dist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톨출한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신호의 피크를 보정하는 디지탈 영상재생 시스템의 디테일 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부터 재생증폭부를 통해 인가받는 재생신호에서 상·하향 피크를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는 피크 분리부와, 상·하향 피크의 디테일을 개선하는 제 1 및 제 2디테일 개선부, 및 디테일이 개선된 상·하향신호를 더하는 가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후단에서의 데이터 검출을 용이하게 하여 결국 전체 시스템의 비트에러율(Bit Error RATE; BER)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디지탈 영상재생 시스템의 디테일 개선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재생등화기를 나타낸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테일 개선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디테일 개선장치를 나타낸 상세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각 부 입·출력신호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크분리부 20,30 : 제1 및 제2디테일 개선부
40 : 가산부
본 발명은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독출한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단에서 테이타의 복원 및 검출이 용이하도록 재생신호의 피크를 보정하는 디지탈영상재생시스템의 디테일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기기록매체를 통해 재생한 신호는 그 기록매체의 특성상 아날로그에 가까운 파형이 된다. 즉, 디지탈신호의 각 반전부분에서 진폭이 상·하로 치켜 올라가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를 다시 기록시의 디지탈신호로 복원하는데 있어 최대 난점은 재생신호의 상·하 각 피크에서 정확히 데이터가 반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기록매체에 신호를 고밀도로 기록할수록 재생신호간의 부호간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ISI)이 심해지고 저역주파수성분이 급격히 감소한다. 따라서, 복원해 주어야 할 신호의 주파수대역이 고역으로 이동된다. 재생시스템은 이와 같이 위상이 틀어진 신호를 적절히 보정하기 위해 등화기와 같은 보정회로들을 구비하고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재생등화기의 하나인 3탭 여현등화기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제1도의 여현등화기는 재생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키기 위한 제1지연기(2)와 제1지연기(2)의 출력신호를 다시 소정시간 지연시키기 위한 제2지연기(4)를 구비한다. 그리고, 재생신호를 비지연, 1차 지연, 및 2차 지연하는 각 탭들의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가변저항기들(k1~k3)과 이득조정된 신호들을 합산하기 위한 OP앰프(6)를 구비한다.
제1도의 여현등화기는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독출된 디지탈 재생신호를 미도시된 재생증폭부를 통해 입력받는다. 제1 및 제2지연기(2,4)는 입력받은 재생신호를 소정시간 간격으로 지연시킨다. 후단의 가변저항기들(k1~k3)은 재생신호의 2차 지연신호를 k1,1차 지연신호를 k2, 그리고 비지연신호를 k3의 이득계수로 각각 이들을 조절한다. 이때 이득계수의 관계를 k1=k3=(1/2)k2로 조정하여 1차 지연된 신호의 피크(Peak)를 중심으로 1차 지연된 신호의 절반으로 진폭이 조절된 비지연 및 2차 지연신호를감산한다. 이로써 제1도의 여현등화기는 재생신호의 파형을 날렵하게 보정한다.
그러나, 상술한 일반적인 등화기에서 사용하는 지연소자들은 그 지연시간을 정확히 맞춰주지 않으면 오히려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탭의 이득계수를 각각 독립적으로 맞춰주어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계수값을 정확히 도출해 내기가 쉽지않다. 따라서, 디지탈신호가 반전되는 재생신호의 피크에서 파형을 정확히 보정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목적은 지연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재생신호의 피크에서 정확히 파형보정을 할 수 있는 디지탈영상재생시스템의 디테일개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자기기록매체에 디지탈형태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시 원래의 디지탈데이타로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도록 재생신호를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증폭부를 통해 인가받는 재생신호에서 상향피크신호와 하향피크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피크분리부와, 상기 상향피크의 디테일을 개선하는 제1디테일개선부와, 상기 하향피크의 디테일을 개선하는 제2디테일개선부, 및 상기 디테일이 개선된 상·하향피크신호를 더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는 디지탈영상재생시스템의 디테일개선장치에 있다.
이하, 첨부한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테일개선장치를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제2도는 미도시된 재생증폭부로부터 인가받는 재생신호에서 상·하피크를 각각 분리해 내기 위한 피크분리부(10)를 구비한다. 피크분리부(10)의 출력단에는 분리된 상향피크의 디테일을 개선하기 위한 제1디테일개선부(20)와 하향피크의 디테일을 개선하기 위한 제2디테일개선부(30)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디테일개선부(20,30)의 출력단에는 이들 출력신호를 합산하기 위한 가산부(40)가 연결된다.
제3도는 제2도의 디테일개선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피크분리부(10)는 정·부출력정류기(12)로 구성된다. 제1디테일개선부(20)는 정·부출력정류기(12)의 출력신호에서 상향피크를 인가받아 미분하기 위한 제1미분형 이득조정기(22)를 구비한다. 제1미분형 이득조정기(22)에는 출력신호를 전파정류하고 반전시키기 위한 전파정류 및 반전이득조정기(24)가 연결된다. 그리고, 정·부출력정류기(12)에서 인가받는 상향치크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제1비반전 이득조정기(26)가 제1미분형 이득조정기(22)와 병렬로 연결된다. 전파정류 및 반전이득조정기(24)와 제1비반전 이득조정기(26)의 출력단에는 이들 출력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제1가산기(28)가 연결된다.
제2디테일개선부(30)는 정·부출력정류기(12)의 출력신호중 하향피크를 인가받아 미분하기 위한 제2미분형 이득조정기(32)를 구비한다. 제2미준형 이득조정기(32)에는 출력신호를 전파정류하기 위한 전파정류 및 비반전 이득조정기(34)가 연결된다. 그리고 ,정·부출력정류기(12)에서 인가받는 하향피크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제2비반전 이득조정기(36)가 제2미분형 이득조정기(32)와 병렬로 연결된다. 전파정류 및 비반전이득조정기(34)와 제2비반전 이득조정기(36)의 출력단에는 이들 출력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제2가산기(38)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제4도의 신호파형도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에서 가장 먼저 도시한 파형은 자기 기록매체이 기록되는 디지탈데이타를 나타낸다. 미도시된 재생증폭부에서 이러한 디지탈데이타를 재생한 신호가 파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는 디지탈데이타의 반전부에서 상·하피크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파형ⓐ가 입력되면, 피크분리부(10)의 정·부출력정류기(12)는 이 파형에서 각각 상향피크와 하향피크를 분리해 낸다. 즉, 정·부출력정류기(12)의 미도시한 이상다이오드의 특성에 따라 순방향특성을 갖는 정출력정류기는 기준전압이상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역방향특성을 갖는 부출력중류기는 기준전압 이하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1디테일개선부(20)의 제1미분형 이득조정기(22)는 정출력정류신호(파형ⓑ)를 적정레벨로 미분한다(파형ⓒ). 미분신호(파형ⓒ)는 재생신호의 피크점에서 0레벨을 지나는 제로크로싱(Zero Crossing) 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전파정류 및 반전이득조정기(24)는 미분신호(파형ⓒ)를 전파정류한 후 적정레벨로 반전시켜 출력한다(파형ⓓ). 한편, 제1비반전 이득조정기(26)는 정출력정류신호를 적정레벨로 이득조절한다(파형ⓔ). 제1가산기(28)는 상기 정출력정류신호를 미분후 반전한 신호(파형ⓓ)와 이득조절한 신호(파형ⓔ)를 더하여 상향으로 날렵하게 보정된 파형을 출력한다(파형ⓕ).
제2디테일개선부(30)의 제2미분형 이득조정기(32)는 부출력정류신호(ⓖ)를 적정레벨로 미분한다(파형ⓗ). 전파정류 및 비반전이득조정기(32)는 미분한신호(ⓖ)를 전파정류하여 출력한다(파형ⓘ). 파형ⓘ는 상기 파형ⓓ와 동일한 특성을 갖으며 그 위상은 반전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비반전 이득조정기(36)는 부출력정류신호(파형ⓖ)를 적정레벨로 이득조절한다(파형ⓙ). 제2가산기(38)는 전파정류 및 비반전이득조정기(34)와 제2비반전 이득조정기(36)의 출력파형(ⓘ,ⓙ)을 더하여 하향으로 날렵하게 보정된 파형(ⓚ)을 출력한다.
가산부(40)는 제1 및 제2가산기(28,38)로부터 인가받은 파형(ⓕ,ⓚ)을 더하여 상·하로 디테일이 개선된 등화파형(①)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테일개선장치는 종래 제약이 많았던 지연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미분기의 적정미분량을 이용해 재생신호의 피크를 날렵하게 보전한다. 보정된 파형은 후단에서의 데이터검출을 용이하게 하여 결국 전체시스템의 비트에러율(Bit Error Rate; BER)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자기 기록 매체에 디지탈형태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시 원래의 디지탈 데이터로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도록 재생신호를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증폭부를 통해 인가받는 재생신호에서 상향 피크신호와 하향 피크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피크분리부; 상기 피크분리부로부터의 상향피크 신호를 적정레벨로 미분하는 제1미분형 이득 조정기; 상기 제1미분형이득 조정기로 부터의 미분한 신호를 전파정류하고 적정레벨로 반전하는 전파정류 및 반전이득 조정기; 상기 피크분리부로 부터의 상향피크 신호를 적정레벨로 이득조절하는 제1비반전 이득조정기; 및 상기 전파정류 및 반전이득 조정기와 제1비반전 이득 조정기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더하는 제1가산기를 구비하여 상기 상향피크 신호의 디테일을 개선하는 제1디테일 개선부; 상기 피크분리부로부터의 하향 피크신호를 적정레벨로 미분하는 제2미분형이득조정기; 상기 제2미분형 이득 조절기로부터의 미분한 신호를 전파정류하여 출력하는 전파정류 및 비반전 이득 조정기; 상기 피크분리부로부터의 하향피크 신호를 적정레벨로 이득 조절하는 제2비반전 이득 조정기; 및 상기 전파정류 및 비반전 이득 조정기와 제2비반전 이득 조정기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더하는 제2가산기를 구비하는 상기 하향피크 신호의 디테일을 개선하는 제2디테일 개선부; 및 상기 제1 및 제2디테일 개선부로터의 디테일이 개선된 상·하향피크 신호를 더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는 디지탈 영상재생 시스템의 디테일 개선장치.
KR1019950005657A 1995-03-17 1995-03-17 디지탈영상재생시스템의 디테일개선장치 KR0178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5657A KR0178728B1 (ko) 1995-03-17 1995-03-17 디지탈영상재생시스템의 디테일개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5657A KR0178728B1 (ko) 1995-03-17 1995-03-17 디지탈영상재생시스템의 디테일개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570A KR960035570A (ko) 1996-10-24
KR0178728B1 true KR0178728B1 (ko) 1999-04-15

Family

ID=1941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657A KR0178728B1 (ko) 1995-03-17 1995-03-17 디지탈영상재생시스템의 디테일개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7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570A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4505A (en) Intersymbol interference cancellation with reduced complexity
JP3366389B2 (ja) 伝送媒体からデジタル信号を入力する可変イコライザ手段を含む入力装置
KR100480317B1 (ko) 파형등화회로
JPH06103696A (ja) データ信号再生装置
KR0178728B1 (ko) 디지탈영상재생시스템의 디테일개선장치
US55983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igital playback signals using phase equalization and waveform shaping of playback signals
US5313472A (en) Bit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JP3087314B2 (ja) 適応型フィルタ
US5467232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using phase discrimination and apparatus therefor
JP3382639B2 (ja) 適応フィルタ制御回路
JP2629255B2 (ja) 自動等化回路
KR0144817B1 (ko) 디지탈 재생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
JPH05102793A (ja) 磁気再生装置
JP2806331B2 (ja) 波形等化回路
KR0144870B1 (ko) 노이즈 제거장치
JP3917317B2 (ja) 等化・位相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るディスク記憶装置
JP4043395B2 (ja) 自動等化器、等化方法、等化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デジタル再生装置
JP3060884B2 (ja) 自動等化回路
JPS6243246B2 (ko)
JP3638801B2 (ja) デ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H06231409A (ja) 適応波形等化方式
JPH07296524A (ja) デイ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KR0142765B1 (ko) 디지탈 자기기록재생시스템의 자동등화장치
JPH08190765A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S6367829A (ja) デイジタル情報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