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666B1 -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666B1
KR0178666B1 KR1019960064410A KR19960064410A KR0178666B1 KR 0178666 B1 KR0178666 B1 KR 0178666B1 KR 1019960064410 A KR1019960064410 A KR 1019960064410A KR 19960064410 A KR19960064410 A KR 19960064410A KR 0178666 B1 KR0178666 B1 KR 0178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eparator
fuel tank
caniste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121A (ko
Inventor
신효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666B1/ko
Publication of KR19980046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탱크(3)의 상부에서 액상의 연료 유입을 차단하고, 증발가스만 유도되도록 하는 밴트 밸브(4)와; 상부로 ΔP센서(6)가 장착되고, 상기 밴트 밸브(4)를 통해서 증발가스를 유입하여 액화된 가스는 연료 탱크(3)로 회수되도록 하면서 순수한 기상가스만 배출되도록 하는 제 1 세퍼레이터(5)와; 상기 제 1 세퍼레이터(5)로부터 유도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하여 그 중 유해한 성분은 흡착하고, 무해한 성분은 배출되도록 하는 캐니스터(7)와; 상기 케니스터(7)로 역류되는 대기중의 입자가 큰 이물질들을 일차 걸러지도록 하여 드레인시키도록 하는 제 2 세퍼레이터(8)와; 상기 제 2 세퍼레이터(8)에 의해 걸러진 대기를 보다 정밀하게 여과되도록 하는 에어 필터(9)와; 상기의 캐니스터(7)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므로서 ΔP센서(6)에 의해 연료 탱크(3)내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클로우즈 센서(10)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연료의 주유 중 밴트 밸브(4)를 통해 유입되는 증발가스를 제 1 세퍼레이터(5)에서 액상가스와 기상가스를 분리시켜 액상가스는 연료 탱크(3)로 회수되도록 하고 기상가스만이 캐니스터(7)에 공급되면서 상기의 캐니스터(7)에서 포집된 증발가스 중 유해한 성분들은 흡착되도록 하고, 무해한 성분들만이 클로우즈 밸브(10)와 에어 필터(9)와 제 2 세퍼레이터(8)를 통해 대기로 방출이 되도록 하는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차량에 연료를 주입시 증발되는 가스를 여과시켜 대기 오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증발가스 제어 장치란 기화성이 높은 차량 연료로부터 증발되는 가스를 직접 대기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같은 증발가스를 대기에 그대로 방출시키게 되면 대단히 심각한 대기 오염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현재는 주행 중 차량의 연료 탱크로부터 증발되는 가스를 포집하여 흡기계통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증발가스 제어장치가 이미 소개되어 사용중에 있는바 이로서 증발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증발가스 제어장치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에만 작동되는 것이므로 연료를 주입시 발생되는 증발가스에 대해서는 연료 주입구를 통해 그대로 대기로 방출시키고 있으므로 심각한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같은 증발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배기가스 규제 법규를 대단히 강화시키고 있는 추세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특히 신설된 연료 주유시의 증발가스 규제 법규에 저촉이 되고 있는바 그에 대한 대비가 대단히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인은 연료 주유시에만 증발가스를 정화하여 순수한 기체상태의 무해한 가스만이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기제안한 바 있으나 이는 대단히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레이 아웃(LAY OUT)이 대단히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연료 주유시에 발생되는 유해한 증발가스를 순수한 기체상태의 무해한 가스로서 대기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증발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을 방지시키는 동시에 국제적인 배기 규제 법규를 만족시키고 특히 레이 아웃이 간편한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상부에서 액상의 연료 유입을 차단하고, 증발가스만 유도되도록 하는 밴트 밸브와,
상부로 ΔP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밴트 밸브를 통해서 증발가스를 유입하여 액화된 가스는 연료 탱크로 회수되도록 하면서 순수한 기상가스만 배출되도록 하는 제 1 세퍼레이터와,
상기 제 1 세퍼레이터로부터 유도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하여 그 중 유해한 성분은 흡착하고, 무해한 성분은 배출되도록 하는 캐니스터와,
상기 케니스터로 역류되는 대기중의 입자가 큰 이물질들을 일차 걸러지도록 하여 드레인시키도록 하는 제 2 세퍼레이터와,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에 의해 걸러진 대기를 보다 정밀하게 여과되도록 하는 에어 필터와,
상기의 캐니스터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므로서 ΔP센서에 의해 연료 탱크내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클로우즈 센서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며,
증발가스 제어는 연료의 주유 중 밴트 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증발가스를 제 1 세퍼레이터에서 액상가스와 기상가스를 분리시켜 액상가스는 연료 탱크로 회수되도록 하고 기상가스만이 캐니스터에 공급되면서 상기의 캐니스터에서 포집된 증발가스 중 유해한 성분들은 흡착되도록 하고, 무해한 성분들만이 클로우즈 밸브와 에어 필터와 제 2 세퍼레이터를 통해 대기로 방출이 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의 연료 탱크부 평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 주입구
2 : 필러 넥(FILLER NECK)
3 : 연료 탱크
4 : 밴트 밸브(VENT VALVE)
5 : 제 1 세퍼레이터(FIRST SEPERATOR)
6 : ΔP센서
7 : 캐니스터(CANISTER)
8 : 제 2 세퍼레이터(SECOND SEPERAROR)
9 : 에어 필터(AIR FILTER)
10 : 클로우즈 밸브(CLOSE VALVE)
12 : 퍼지 라인(PURGE LINE)
이를 첨부한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2 는 연료 탱크의 상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 부호 1은 연료 주입구이고, 2는 필러 넥(FILLER NECK)이며, 3은 연료 탱크이다.
연료 탱크(3)의 직상부에는 상기 연료 탱크(3)의 내부와 연통이 되면서 플로터(FLOATER)에 의해 액상의 연료 유입은 방지되면서 기상의 증발가스만 통과되도록 하는 밴트 밸브(4, VENT VALVE)를 장착한다.
상기 밴트 밸브(4)는 소경의 밴트 튜브(11, VENT TUBE)를 통해 제 1 세퍼레이터(5, FIRST SEPERATOR)와 연결이 되며, 특히 상기 제 1 세퍼레이터(5)에는 상부로 연료 탱크(3)내 압력을 감지하도록 하는 ΔP센서(6)를 장착한다.
제 1 세퍼레이터(5)로부터는 다시 밴트 튜브(11)를 통해 캐니스터(7, CANISTER)와 연결되며, 상기 캐니스터(7)로부터 인출되는 밴트 튜브(11)에는 대기측으로부터 대기중의 입자가 큰 이물질들을 일차 걸러지도록 하는 제 2 세퍼레이터(8)와 재차 대기중 이물질을 걸러지도록 하는 에어 필터(9)와 ΔP센서(6)에 의해 연료 탱크(3)내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캐니스터(7)를 진공상태로 되도록 하는 클로우즈 밸브(10)가 장착된다.
특히 상기한 구조에서 제 1,2 세퍼레이터(5)(8)는 소경인 밴트 튜브(11)에 대해 직경을 확장시킨 확관구조이며, 연료 주입구(1)로부터는 제 1 세퍼레이터(5)와 캐니스터(7)간 밴트 튜브(11)에 연결되는 진공 라인(12)을 형성시켜 필러 넥(2)에까지 연료가 충진되었을 때 원 웨이 밸브(13)를 개방시켜 필러 넥(2)내의 진공압을 ΔP센서(6)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캐니스터(7)로부터는 종전과 같이 퍼지 라인(14, PURGE LINE)을 통해 흡기계와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주행 중에는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15, PURGE CONTROL SOLENOID VALVE)를 작동시켜 흡입 부압에 의해서 기흡착한 증발가스 중 유해한 성분들이 흡기계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6은 방열판(HEAT PROTECTOR)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증발가스 제어작용을 살펴보면 연료가 주입시 연료 주입구(1)와 필러 넥(2)을 통해 연료 탱크(3)에는 일정량의 연료가 채워지게 되는바 이렇게 연료가 채워지면서 상기 연료 탱크(3)내에서는 다량의 증발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증발가스는 밴트 밸브(4)를 통해서 제 1 세퍼레이터(5)로 공급이 되어 일차로 유입되는 증발가스로부터 액상가스를 분리시켜 연료 탱크(3)로 회수되도록 하고, 순수한 기상가스만이 밴트 튜브(11)를 통해 캐니스터(7)로 공급이 되도록 한다.
상기한 캐니스터(7)에서는 제 1 세퍼레이터(5)로부터 유도되는 순수한 기상가스인 증발가스를 포집하여 가스 중 포함된 유해한 성분은 활성탄에 흡착되도록 하고, 무해한 성분만이 대기로 배출되도록 한다.
특히 증발가스의 배출이 잠시 중지되거나 배출되는 양이 대단히 미약한 경우에는 반대로 대기로부터 캐니스터(7)측으로 공기가 역류되어 유입될 수가 있는바 이렇게 역류되는 공기는 제 2 세퍼레이터(8)와 에어 필터(9)에 의해 이물질들이 걸러지도록 하므로서 캐니스터(7)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클로우즈 밸브(10)는 ΔP센서(6)에서 연료 탱크(3) 압력을 감지하고자 할 때에만 닫혀지도록 하여 ΔP센서(6)의 감지작용에 필요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더 이상 유해한 증발가스의 방출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키므로서 대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하며, 특히 연료의 소모량을 줄일 수가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 본 발명에 따라 레이 아웃이 대단히 간편해지면서 점차 강화되고 있는 배기규제에 대한 국제적인 법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가 있어 차량 판매력을 증대시키게 되고, 동시에 환경 정화에 기여하면서 특히 연료 소모를 최대한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연료 탱크(3)의 상부에서 액상의 연료 유입을 차단하고, 증발가스만 유도되도록 하는 밴트 밸브(4)와;
    상부로 ΔP센서(6)가 장착되고, 상기 밴트 밸브(4)를 통해서 증발가스를 유입하여 액화된 가스는 연료 탱크(3)로 회수되도록 하면서 순수한 기상가스만 배출되도록 하는 제 1 세퍼레이터(5)와;
    상기 제 1 세퍼레이터(5)로부터 유도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하여 그 중 유해한 성분은 흡착하고, 무해한 성분은 배출되도록 하는 캐니스터(7)와;
    상기 케니스터(7)로 역류되는 대기중의 입자가 큰 이물질들을 일차 걸러지도록 하여 드레인시키도록 하는 제 2 세퍼레이터(8)와;
    상기 제 2 세퍼레이터(8)에 의해 걸러진 대기를 보다 정밀하게 여과되도록 하는 에어 필터(9)와;
    상기의 캐니스터(7)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므로서 ΔP센서(6)에 의해 연료 탱크(3)내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클로우즈 센서(10)와;
    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주입구(1)로부터는 제 1 세퍼레이터(5)와 캐니스터(7)간 밴트 튜브(11)와 연결되는 진공 라인(12)을 형성시켜 필러 넥(2)에까지 연료가 충진되었을 때 원 웨이 밸브(13)를 개방시켜 필러 넥(2)내의 진공압을 ΔP센서(6)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3. 연료의 주유 중 밴트 밸브(4)를 통해 유입되는 증발가스를 제 1 세퍼레이터(5)에서 액상가스와 기상가스를 분리시켜 액상가스는 연료 탱크(3)로 회수되도록 하고 기상가스만이 캐니스터(7)에 공급되면서 상기의 캐니스터(7)에서 포집된 증발가스 중 유해한 성분들은 흡착되도록 하고, 무해한 성분들만이 클로우즈 밸브(10)와 에어 필터(9)와 제 2 세퍼레이터(8)를 통해 대기로 방출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방법.
KR1019960064410A 1996-12-11 1996-12-11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0178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410A KR0178666B1 (ko) 1996-12-11 1996-12-11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410A KR0178666B1 (ko) 1996-12-11 1996-12-11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121A KR19980046121A (ko) 1998-09-15
KR0178666B1 true KR0178666B1 (ko) 1999-04-01

Family

ID=1948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410A KR0178666B1 (ko) 1996-12-11 1996-12-11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492B1 (ko) * 2004-12-17 2010-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캐니스터용 에어필터 장치
KR20220011787A (ko) 2019-07-24 2022-01-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각 동기 장치, 시각 동기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시각 동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32B1 (ko) * 2002-07-18 2005-12-02 삼영기계주식회사 디젤 연료속에 포함된 에어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492B1 (ko) * 2004-12-17 2010-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캐니스터용 에어필터 장치
KR20220011787A (ko) 2019-07-24 2022-01-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각 동기 장치, 시각 동기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시각 동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121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2444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US5906189A (en) Evaporative fuel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345007B2 (ja) 内燃機関の燃料タンクの排気装置
JP3320722B2 (ja) 内燃機関の燃料タンクの排気装置
WO2012131885A1 (ja) 燃料タンクシステム
JP3235236B2 (ja) 蒸発燃料制御装置
KR100214698B1 (ko)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콘트롤장치
KR100265313B1 (ko) 내연기관 연료탱크용 브리더
KR0178666B1 (ko)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0178665B1 (ko)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9180173A (ja) 汎用エンジン
CN108331683A (zh) 一种汽车燃油蒸汽收集系统及控制方法
JPH0510215A (ja) エバポシステム
JP2692420B2 (ja) 蒸発燃料捕集装置
JP2599824Y2 (ja) ベーパリカバーシステム
JP3106608B2 (ja) 蒸発燃料制御装置
JP3771726B2 (ja) 揮発性炭化水素蒸気の処理装置
JP2543350Y2 (ja) ベーパリカバーシステム
JP3391209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H08232777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H11287160A (ja) 蒸発燃料回収装置
KR200150101Y1 (ko) 캐니스터의 먼지 유입방지장치
KR100205849B1 (ko) 자동차의 오알브이알 시스템
JPS63192948A (ja) 車両用燃料蒸発ガスの抑止装置
JP2012087644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