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495B1 -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495B1
KR0178495B1 KR1019930018136A KR930018136A KR0178495B1 KR 0178495 B1 KR0178495 B1 KR 0178495B1 KR 1019930018136 A KR1019930018136 A KR 1019930018136A KR 930018136 A KR930018136 A KR 930018136A KR 0178495 B1 KR0178495 B1 KR 0178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fixing
lever
releas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900A (ko
Inventor
민병덕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1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495B1/ko
Publication of KR950008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수석 프론트 판넬(10)에 설치된 글로브 박스(14)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론트 판넬(10)의 일측벽에 구비된 걸림핀(12)과, 상기 글로브 박스(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핀(12)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며 걸림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속하여 부여받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의 걸림상태가 유지되도록 일측을 고정하고 선택적으로 고정해제하여 회동수단이 걸림핀(12)으로 부터 걸림해제 되도록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으로 부터 고정해제되도록 고정 수단을 이동시키는 고정해제 수단으로 구성하여 글로브 박스의 개폐 조작감이 좋고, 닫힘상태가 견고하게 함으로써 개폐시나 운행시 소음이 없어 제품을 고급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 장치
제1도는 종래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2도 (a),(b)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개폐장치에서 회동아암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제4도 (a),(b)는 본 발명의 개폐 장치에서 잠금수단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론트 판넬 12 : 걸림핀
14 : 글로브 박스 16 : 포스트
18 : 레버 20,22 : 제1 및 제2 아암
24 : 토션스프링 30 : 이동판
32 : 판스프링 36 : 푸쉬버튼
38 : 슬라이드판 40 : 스프링
42 : 자물통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Glove Box)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수석 전방에 구비된 글로브 박스의 개폐가 용이하고 개폐조작감이 우수하며 소음이 없는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로브 박스는 자동차의 조수석 앞 프론트 판넬에 구비된 것으로, 글로브 박스내에 운전에 필요한 물품이나 그 외의 소품들을 넣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글로브 박스를 개폐시킴에 있어서, 종래에는 박스에 탄성변형하는 후크를 구비하고, 프론트 판넬측에는 상기 후크와 걸림 유지되는 단턱을 구비하여 후크의 탄성변형으로 단턱에 걸림 또는 해제되는 것에 의해 박스가 개폐 가능하도록 된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는 후크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기 때문에 후크가 단턱에 걸림 및 해제될때 소음을 유발하고, 조작감이 좋지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오래 사용할 경우 후크의 걸림상태가 느슨해져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걸림해제되어 열리게 되는 불편함이 있고, 글로브 박스의 개폐시마다 후크가 탄성변형하고 충격을 받게 되므로 피로한도에 의해 파손될 염려가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브 박스(2)의 내측 상부에 레버(4)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레버(4)를 글로브 박스(2)의 외부에서 조작가능하도록 노브(6)가 글로브 박스(2) 외측벽에 설치된 개폐 방식이 있다.
상기 방식은 글로브 박스(2)의 외부에 구비된 노브(6)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글로브 박스(2) 내측의 레버(4)가 프론트 판넬(8)에 걸림 및 해제되는 것에 의해 글로브 박스(2)가 개폐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개폐시마다 노브(6)를 좌, 우 회전시켜야 하므로 조작감이 나쁘고, 레버(4)와 프론트 판넬(8) 사이에 유격이 생겨 자동차 주행시 소음을 유발하게되므로 품질 및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글로브 박스의 개폐조작감이 좋고, 글로브 박스의 닫힘 상태가 견고하여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열리지 않으며, 개폐조작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제품의 품질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자동차의 프론트 판넬에 구비된 글로브 박스를 개폐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판넬의 일측벽에 구비된 걸림핀과, 상기 글로브 박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핀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며 걸림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속하여 부여받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의 걸림상태가 유지되도록 일측을 고정하고 선택적으로 고정해제하여 회동수단이 걸림핀으로 부터 걸림해제되도록 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으로 부터 고정해제되도록 고정수단을 이동시키는 고정해제 수단을 포함하여 되는 글로브 박스 개폐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a),(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는 자동차의 조수석의 프론트 판넬(10)에 구비된 걸림핀(12)과, 상기 걸림핀(12)에 걸림 유지되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이 걸림핀(12)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해제되게 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고정해제수단으로 구성된다.
회동수단은 제2도 (a)(b) 및 제3도에서와 같이 글로브 박스(14)로 부터 일체로 돌출형성된 원통형상의 포스트(16)를 구비하고 이 포스트(16)의 외주면에 2개의 구멍(16a)(16b)을 나란하게 형성한다.
상기 포스트(16)에는 레버(18)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레버(18)에는 포스트(16)의 외주면으로 끼워지는 관통구멍(18a)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18a)을 포스트(16)에 끼워 2개의 구멍(16a)(16b) 사이에 레버(18)가 위치되게 한다.
상기 레버(18)에는 상호 소정 각도 유지되어 돌출형성된 제1 및 제2 아암(20)(22)이 구비되어 있고, 제1 아암(20) 및 제2 아암(22) 사이에는 반원형의 안내홈(18b)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안내홈(18b)에 걸림핀(12)이 위치되고 제1 아암(20)과 밀착하여 걸림유지되게 한다. 또한, 레버(18)에는 레버(18)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게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 스프링(24)이 설치된다. 토션 스프링(24)은 포스트(16)의 외주면에 끼워져 2개의 구멍(16a)(16b)에 그 끝단이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24a)와, 양측 고정부(24a)로 부터 연장되어 절곡형성 되고 끝단이 레버(18)의 제2아암(22) 끝단부에 걸림유지되는 토션부(24b)로 이루어진다.
고정수단은, 글로브 박스(14)에 일체로 구비된 전,후방측 브라켓(26)(28)사이에서 안내되어 상,하 이동하는 이송판(30)과, 일측이 후방측 브라켓(28)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판(30)을 항상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판스프링(32)을 구비한다. 이송판(30)의 끝단은 레버(18)의 하부에 구비된 단턱(18c)에 걸림 유지되고, 판스프링(28)의 하단은 이송판(30)의 하단부에 밀접되어 있다.
고정해제수단은 상기 고정 수단의 이송판(30)을 하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글로브 박스(14)에 구비된 케이스(34)내에서 좌,우 이송가능하게 설치된 푸쉬버튼(36)과, 상기 푸쉬버튼(36)에 고정되어 그 끝단이 이송판(30)에 형성된 ㄴ자형 구멍(30a)에 끼워져 안내되는 슬라이드 판(38)을 구비한다. 푸쉬버튼(36)이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푸쉬버튼(36)의 일측에는 안내돌기(36a)가 형성되고, 이와 대향하는 케이스(34) 내측에는 상기 안내돌기(36a)가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홈(34a)이 형성된다. 또한, 푸쉬버튼(36)이 탄력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전방측 프레임(26)과 푸쉬버튼(36) 사이에 스프링(40)이 탄력설치되고, 슬라이드 판(38)은 ㄴ자형 구멍(30a)에 안내되는 끝단으로부터 연이어 경사면(38a)이 형성된 구성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에 잠금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잠금장치는 제4도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판(30)의 ㄴ자형 구멍(30a)과 나란한 위치에 세로방향의 장방형 구멍(30b)을 형성하고, 상기 장방형 구멍(30b)에는 통상적인 회전식 자물통(42)에 형성한 핀(44)이 안내되게 한 것으로, 자물통(42)의 키이삽입홈(42a)에 키이(도시안됨)를 삽입하여 90°좌,우 회전시키면, 핀(44)이 장방형 구멍(30b)에 안내되어 회전됨으로써 이송판(30)이 좌,우로 이송되게 한 구성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은, 제2도 (a)와 같이 프론트 판넬(10)에 글로브 박스(14)가 닫힌 상태에서 글로브 박스(14)를 열고자 할 경우, 고정해제 수단의 푸쉬버튼(36)을 누르게 되면, 제2도 (b)에서와 같이 푸쉬버튼(36)은 안내홈(34a) 및 안내돌기(36b)에 의해 직선운동하게 되고, 스프링(40)은 압축된다. 따라서 푸쉬버튼(36)에 일측이 고정된 슬라이드 판(38)이 이동하여 이송판(30)의 ㄴ자형 구멍(30b)에 슬라이드 판(38)의 경사면(38a)이 안내되면, 전,후방측 브라켓(26)(28)사이에 안내되도록 설치된 이송판(30)이 슬라이드 판(38)의 경사면(38a)에 의해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동하게 되어 이송판(30)의 끝단이 레버(18)의 단턱(18c)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고, 이로인해 레버(18)가 고정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이송판(30)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던 판스프링(32)은 이송판(30)에 눌려 탄성변형하게 된다.
이와같이 푸쉬버튼(36)의 누름조작으로 레버(18)의 고정이 해제되면, 토션 스프링(24)으로 부터 항상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려는 탄성력을 부여받는 레버(18)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후방측 브라켓(28)에 의해 멈추게되고 걸림핀(12)으로 부터 제1 아암(20)은 걸림해제됨과 동시에 토션스프링(24)의 토션부(24b)는 걸림핀(12)을 밀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글로브 박스(14)는 프론트 판넬(10)로 부터 약간 열린 상태(제2도 (b)상태)가 된다. 이어서 푸쉬버튼(36)을 누르고 있던 손을 놓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40)에 의해 푸쉬버튼(36)이 원위치 됨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 글로브 박스(14)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열린 글로브 박스(14)를 닫고자 할 경우에는, 제2도 (b)와 같은 상태(푸쉬버튼(36)만 원위치된 상태)에서 글로브 박스(14)를 프론트 판넬(10)측으로 밀어 닫게 되면, 프론트 판넬(10)의 걸림핀(12)에 토션 스프링(24)의 토션부(24b)가 접촉되어 가상선 상태로 탄성변형함으로써 충격을 완충시킴과 제2아암(22)과 걸림핀(12)이 접촉되는 것이고, 글로브 박스(14)가 닫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레버(18)는 포스트(16)를 중심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도 (a)에서와 같이 글로브 박스(14)가 프론트 판넬(10)에 닫히게 되는 것으로, 레버(18)의 제1 아암(20)은 걸림핀(12)에 걸림 유지된다. 이때 레버(18)가 원위치되는 것에 의해 토션스프링(24)은 다시 탄성력을 갖게 되는 것이고, 레버(18)의 단턱(18c)은 이송판(30)의 끝단 위치에 오게 된다. 따라서, 탄성 변형된 판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이송판(30)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단턱(18c)에 끝단이 걸림유지 됨으로써 레버(18)의 제1 아암(20)은 걸림핀(12)과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글로브 박스(14)로 부티 손을 떼도 글로브 박스(14)는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고, 이때 탄성변형한 토션 스프링(24)의 토션부(24b)와 레버(18)의 제1 아암(20) 사이에 걸림핀(12)이 걸림유지되므로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토션부(24b)가 완충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수단에 의해 글로브 박스(14)를 아무나 열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4도 (a)는 슬라이드 판(38)의 끝단이 ㄴ자형 구멍(30a)중 높이가 높은 a부에 위치하여 슬라이드 판(38)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글로브 박스(14)를 열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자물통(42)의 키이 삽입홈(42a)에 키이(도시않음)를 끼워 넣어 반시계방향으로 90℃ 회전시키게 되면, 자물통(42)의 핀(44)이 장방형 구멍(30b)에 안내되어 90°회전되는 것에 의해 이송판(30)은 도면에서 좌측으로 약간 이동하는 것이고, 이로인해 슬라이드판(38)은 제4도 (b)와 같이 ㄴ자형 구멍(30a)중 높이가 낮은 b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판(38)의 경사면(38a)이 통과할 수 없어 푸쉬버튼(36)이 눌려지지 않게 되므로 글로브 박스(14)를 열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글로브 박스(14)를 열림가능한 상태로 두기 위해서는, 키이로 자물통(42)의 핀(44)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키게 되면, 핀(44)이 이송판(30)의 장방형 구멍(30b)에 안내되어 이송판(30)을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제4도 (a)와 같이 ㄴ자형 구멍(30a)의 b부에 위치해 있던 슬라이드 판(38)의 끝단이 ㄴ자형 구멍(30)의 a부로 다시 위치되므로 글로브 박스는 다시 열림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 장치에 의하면, 글로브 박스의 개폐조작감이 부드럽고 개폐조작시 소음이 없으며, 닫힘 상태가 견고하여 운행시 진동에 의한 흔들림이나 글로브 박스가 열리는 등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어 제품의 고급화로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프론트 판넬에 구비된 글로브 박스를 개폐시키는 장지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판넬의 일측벽에 구비된 걸림핀과, 상기 글로브 박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핀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며 걸림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속하여 부여받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의 걸림상태가 유지되도록 일측을 고정하고 선택적으로 고정해제하여 회동수단이 걸림핀으로 부터 걸림해제되도록 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고정수단을 이동시키는 고정해제 수단을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글로브 박스 일측벽에 형성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핀에 걸림 및 해제되는 제1 아암 및 이와 소정각도 유지된 제2 아암을 일체로 구비한 레버와, 양끝단이 상기 포스트에 끼워져 고정되고 절곡부가 레버의 제2 아암끝단부에 걸림유지되어 제1 아암의 걸림해제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글로브 박스에 형성된 전,후방측 브라켓과, 상기 전,후방측 브라켓 상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안내되어 일끝단이 회동수단의 일측을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이송판과, 상기 후방측 브라켓에 고정되어 회동수단을 고정하는 방향으로 이송판에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 수단은, 글로브 박스에 형성되고 일측에 안내홈을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안내홈에 안내되는 안내돌기가 일측에 구비되어 케이스내에서 전,후방측으로 이동가능하게된 푸쉬버튼과, 상기 푸쉬버튼에 고정되어 이송판을 레버의 고정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푸쉬버튼이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원위치되도록 전방측 브라켓과 푸쉬버튼 사이에 탄력설치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1019930018136A 1993-09-09 1993-09-09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0178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136A KR0178495B1 (ko) 1993-09-09 1993-09-09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136A KR0178495B1 (ko) 1993-09-09 1993-09-09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900A KR950008900A (ko) 1995-04-19
KR0178495B1 true KR0178495B1 (ko) 1999-04-01

Family

ID=1936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136A KR0178495B1 (ko) 1993-09-09 1993-09-09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4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900A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541B1 (en) Rotary latch and lock mechanism
JPS5854171A (ja) スライドドア用ドアロックの操作装置
US4635454A (en) Latch gear lock assembly
KR101034801B1 (ko) 로크다운 패들을 구비한 회전 폴 래치
KR910006592A (ko) 미닫이문의 이중래치 및 자물쇠
US5984384A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self-cancelling mechanism
GB2176834A (en) A fastening mechanism for a door of a home electric equipment, particularly a microwave oven
KR0178495B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JP3896028B2 (ja) 開閉ロック装置
US3507132A (en) Door handle construction
KR0153218B1 (ko) 차량 도어 로크 장치의 어린이용 로크 기구
KR101958223B1 (ko)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JP3880846B2 (ja) 車両テールゲートのラッチ装置
JP2700444B2 (ja) 電気機器設置用箱体の扉用ロック装置
JP2565196Y2 (ja) グローブボックス用ロック装置
JP2594866B2 (ja) 車両扉のワンモーション開閉装置
JP2700219B2 (ja) スライド扉用ラッチ装置
JPH11141207A (ja) ラッチ錠
JPH08232528A (ja) スライド扉用ラッチ装置
KR018369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도어장치
JP2002089095A (ja) 建 具
KR200160656Y1 (ko) 리어시트백 장착용 록 어셈블리
JP2559400Y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JPS6147266B2 (ko)
JP3794466B2 (ja) 開閉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