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472B1 - 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472B1
KR0178472B1 KR1019960074049A KR19960074049A KR0178472B1 KR 0178472 B1 KR0178472 B1 KR 0178472B1 KR 1019960074049 A KR1019960074049 A KR 1019960074049A KR 19960074049 A KR19960074049 A KR 19960074049A KR 0178472 B1 KR0178472 B1 KR 0178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drainage
drai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864A (ko
Inventor
안태원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7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472B1/ko
Publication of KR19980054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설치되어 세척시나 오버플로우, 또는 트레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저장탱크와 펌프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배수저장탱크의 물을 강제로 배출시키므로써, 정수기의 설치장소가 구애받지 않고, 배수시간을 단축시키며,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 지도록 한 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구(24)에 펌프(P)를 구비한 배수저장탱크(40)를 설치하고, 온수 및 냉수저장탱크의 배수라인(26)은 상기 배수저장탱크(40)를 관통하여 상기 배수구(24)에 직결시키며, 오버플로우나 트레이의 배수라인(27)(28)은 상기 배수저장탱크(40)에 연결되게 하며, 상기 배수저장탱크(40)의 유출라인(43)을 배수저장탱크에 관통설치된 온수 및 냉수저장탱크의 배수라인(26)에 연결시키며, 상기 배수저장탱크(40)내에 수위감지스위치(44)를 설치하고, 상단부에 에어벤트(45)를 형성한 강제 배수장치에 의해, 온수 및 냉수저장탱크의 배수는 기존의 배수라인에 직결시켜 펌프에 의해 강제 배수되게 하고, 오버플로우, 또는 트레이의 물은 별도로 설치한 배수저장탱크에 저장시켜 배수저장탱크내에 설치된 수위스위치 또는 배수밸브의 동작으로 상기 온수 및 냉수저장탱크의 배수라인에 합류시켜 펌프에 의해 강제 배수되도록 이루어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
본 발명은 정수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시나 오버플로우, 또는 트레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저장탱크와 펌프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배수저장탱크의 물을 강제로 배출시키므로써, 정수기의 설치장소가 구애받지 않고, 배수시간을 단축시키며,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 지도록 한 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도물이나 또는 약수와 같은 자연수(이하 원수라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원수를 다양한 종류의 필터링 수단을 통과시킴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되는 음용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다양한 종류가 판매되고 있으며, 정수만을 공급하는 단순정수기, 정수를 저온상태로 공급하는 냉정수기, 또는 정수를 저온과 고온의 두 가지 상태로 공급하는 냉온정수기등이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냉온정수기의 구성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측에는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저장탱크((10)와,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저장탱크(2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다수의 필터(30)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수저장탱크(20)에는 외부에서의 취수를 가능하게 하는 냉수코크(21)와, 필터(30)를 통과시켜 정수한 후 그 정수를 유입시키는 정수유입구((22)와, 냉수를 온수저장탱크(10)에 저장되게 하고 세척시 그 세척물이 배수밸브(25)를 통해 배수구(24)로 배출되게 하는 냉수유출구(2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온수저장탱크(10)에는 냉수저장탱크(20)내의 냉수를 유입시켜 저장되게 하고 세척시 그 세척수를 배수구(24)로 배출되게 하는 냉수유입구(11)와, 온수를 외부로 취수되게 하는 온수코크(12)가 설치된다.
또한 정수기의 최하부에는 정수를 냉정수로 만드는 냉각장치로서, 콘덴서, 콤퓨레샤, 및 드라이어들이 설치되고, 상기 온수저장탱크(10)에는 히터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30)는 비교적 큰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고탁도 필터와, 상기 고탁도 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지 않은 비교적 작은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침전 필터와, 원수중의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전카본 필터와, 상기 전카본 필터를 통과한 원수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맴브레인 필터와, 상기 맴브레인 필터를 통과한 식수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후카본 필터와, 상기 후카본 필터를 통과한 원수중의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 필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고탁도 필터는 얇은 철망과 같은 것이 사용되며, 커다란 찌꺼기를 여과하는데 이용되고, 침전 필터는 부직포로 구성되어 모래나 진흙과 같은 비교적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며, 전카본 필터와 후카본 필터는 탄소를 주원료로 하는 활성탄과 같은 것으로서, 원수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 입자나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의 정수행정에서와 같이 원수중에 포함된 염소성분입자나 냄새를 제거하게 되므로 음용시에 적합하지만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소독제 성분이 제거되므로 정수탱크에서 장시간 저장시에 세균의 번식확율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것은 특히 자외선살균등과 같은 살균필터에서 살균작용이 수행되어 진다.또한 상기 냉수저장탱크(20)나 온수저장탱크(10)에 저장된 정수를 일정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온수 및 냉수저장탱크를 소독이나 세척시키게 되고, 세척후의 세척수는 상기 배수밸브(25)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와 같은 배수 구조는, 저장탱크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밸브를 별도로 설치하고, 이에 배수호스를 제품의 외벽까지 연결시키고, 제품의 설치시에는 제품의 외측에서 부터 별도의 배수호스를 배관하여 수동이나 상기 배수밸브의 자동동작에 의해 자연배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즉 단지 중력을 이용한 자연배수방식으로 배수하는 까닭에 배수시간이 길게 되고,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특히 정수기가 사무실의 중앙에 설치되어질 경우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끔 배수호스를 설치하기가 난이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배수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청소시 소독제 등의 헹굼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설치장소가 제약받아 사무실 등의 중앙에 설치하는 것이 어렵게 되며, 특히 배수시간이 길게 됨에 따라 다시 정수하여 물을 이용하는 시간이 지체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저장탱크와 펌프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배수저장탱크의 물을 강제로 배출시키므로써, 정수기의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배수시간을 단축시키며,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 지도록 한 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강제 배수장치는, 배수용 펌프를 마련하고, 온수 및 냉수저장탱크의 배수라인은 상기 배수저장탱크를 관통하여 기존의 배수라인에 직결시키며, 오버플로우나 트레이의 배수라인은 상기 배수저장탱크에 연결되게 하며, 상기 배수저장탱크의 배수구를 배수저장탱크에 관통설치된 온수 및 냉수저장탱크의 배수라인에 연결시키며, 상기 배수저장탱크내에 수위감지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단부에 에어벤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냉온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배수장치를 적용한 냉온정수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저장탱크의 단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온수저장탱크 20 : 냉수저장탱크
24 : 배수구 25 : 배수밸브
26,27,28 : 배수라인 30 : 필터
40 : 배수저장탱크 41,42 : 유입구
43 : 유출라인 44 : 수위감지스위치
45 : 에어벤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배수장치를 적용한 냉온정수기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저장탱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제 배수장치는, 배수라인(46)상에 펌프(P) 및 배수저장탱크(40)를 설치한다.
온수 및 냉수저장탱크의 배수라인(26)을 배수라인(46)과 직결시키며, 상단의 유입구(41)로 오버플로우 배수라인(27)이 연결되게 하며, 유입구(42)로 트레이의 배수라인(28)이 연결되게 한다.
또한 상기 배수저장탱크(40)의 하단에 형성한 유출라인(43)은 배수라인(26)에 연결되게 하고, 배수저장탱크(40)내에 수위감지 스위치(44)를 설치하며, 상단부에 에어벤트(45)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온수 및 냉수저장탱크(10)(20)의 세척수는 펌프(P)의 작동으로 기존 배수라인을 통해 강제 배출되고, 오버플로우나 트레이의 물은 상기 배수저장탱크(40)에 저장된 후, 수위스위치(44)의 감지동작에 의해 배수라인(26)에 합류되어 강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라인에 펌프를 배수저장탱크를 설치하고, 온수 및 냉수저장탱크의 배수라인은 상기 배수저장탱크를 관통하여 배수라인에 직결시키며, 오버플로우나 트레이의 배수라인은 상기 배수저장탱크에 연결되게 하며, 상기 배수저장탱크의 배수구를 배수저장탱크에 관통설치된 온수 및 냉수저장탱크의 배수라인에 연결시키며, 상기 배수저장탱크내에 수위감지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단부에 에어벤트를 형성한 장치에 의해, 세척시의 세척수나, 오버플로우, 또는 트레이의 물이 배수저장탱크에 저장되고, 상기 배수저장탱크내에 설치된 수위스위치 또는 배수밸브의 동작으로 펌프를 작동시키게 되면 강제 배수되어지는 까닭에, 정수기의 설치장소가 구애받지 않고, 배수시간이 단축되며,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 지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의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배수구(24)에 펌프(P)를 구비한 배수저장탱크(40)를 설치하고, 온수 및 냉수저장탱크의 배수라인(26)은 상기 배수저장탱크(40)를 관통하여 상기 배수구(24)직결시키며, 오버플로우나 트레이의 배수라인(27)(28)은 상기 배수저장탱크(40)에 연결되게 하며, 상기 배수저장탱크(40)의 유출라인(43)을 배수저장탱크에 관통설치된 온수 및 냉수저장탱크의 배수라인(26)에 연결시키며, 상기 배수저장탱크(40)내에 수위감지스위치(44)를 설치하고, 상단부에 에어벤트(4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
KR1019960074049A 1996-12-27 1996-12-27 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 KR0178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049A KR0178472B1 (ko) 1996-12-27 1996-12-27 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049A KR0178472B1 (ko) 1996-12-27 1996-12-27 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864A KR19980054864A (ko) 1998-09-25
KR0178472B1 true KR0178472B1 (ko) 1999-03-20

Family

ID=1949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4049A KR0178472B1 (ko) 1996-12-27 1996-12-27 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09Y1 (ko) * 2009-11-20 2014-08-0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배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09Y1 (ko) * 2009-11-20 2014-08-0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배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864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8425B2 (ja) 水処理機器
KR101135951B1 (ko) 정수기의 자가세정방법
KR101027722B1 (ko)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0178472B1 (ko) 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
KR101397137B1 (ko) 야외화장실의 세면수 및 빗물 재활용장치
CN101811787B (zh) 家用废水循环使用装置
CN108483767A (zh) 一种生活污水处理设备
CN208003525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SU1101414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брабо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2934385Y (zh) 家用中水装置
KR101057018B1 (ko) 변기 세정 및 분뇨정화시스템
KR19990006742U (ko) 냉온정수기의 강제 배수장치
KR200257125Y1 (ko) 물탱크의 정수장치
JP2004049424A (ja) 食器洗浄機の残菜回収装置
CN216339876U (zh) 一种膝控医用洗手池
JP3377635B2 (ja) 排水処理設備
CN211169885U (zh) 一种污水管道排放系统
CN209974453U (zh) 一种清洗液循环设备
KR19980034323U (ko) 정수기의 저장탱크구조
CN211198845U (zh) 一种一体化生活污水处理机
KR0168318B1 (ko) 정수기의 폐수처리시 소음감소장치
JPH0978638A (ja) 雨水利用装置
KR200304528Y1 (ko) 물받이가 설치된 정수 여과기
CN117088500A (zh) 一种水净化装置
JP3163030B2 (ja) 雨水分流装置、及び同装置を具備した排水再利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