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931B1 - 금형의 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의 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931B1
KR0177931B1 KR1019950062476A KR19950062476A KR0177931B1 KR 0177931 B1 KR0177931 B1 KR 0177931B1 KR 1019950062476 A KR1019950062476 A KR 1019950062476A KR 19950062476 A KR19950062476 A KR 19950062476A KR 0177931 B1 KR0177931 B1 KR 0177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iece
mold
movable
piece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193A (ko
Inventor
김종권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101995006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931B1/ko
Publication of KR970033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9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2Controll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발명은 고정금형편고 가동금형편의 접촉면에 위치조정 센서를 부착하여 금형을 보호하면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금형의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의 고정금형편의 결합면과 가동금형편의 결합면의 동일선상에 센타위치를 감지할수있는 감지센서를 부착설치하여 고정금형편의 위치 선정 센타봉과 위치 선정용 고정구멍의 불일치시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가동 금형편의 작동을 중단시키므로써, 다이캐스팅금형의 파손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금형의 낙하됨을 방지하여 작업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알루미늄 다이캐슨팅금형을 제공하려는 것이 그 특징이다.

Description

금형의 위치 조절 장치
제1도는 본발명이 적용된 금형의 분리상태 개략 측면도.
제2도는 본발명의 결합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려는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알루미늄 다아 캐스팅 금형 2 : 고정금형편 2-1, 3-1, 결합면
3 : 가동 금형편 4 : 위치선정 센타봉
5 : 위치 선정용 고정구멍 6 : 고정클램프
7 : 가동플레이트 8 : 실린더
9 . 9^10.10^: 감지센서
본 발명은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DIE, CASTING)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금형편과, 가동금형편의 접속면의 접속면에 위치 조정센서를 부착하여 금형을 보호하면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금형(51)은 제3도에서와 같이 고정금형편(52)과 가동금형편(53)을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되 상기 고정금형편(52)의 결합면(52-1)에는 위치선정 센타봉(54)을 돌출형성하고 가동금형편(53)의 결합편(53-1)에는 상기 위치선정 센타봉(54)이 삽입되어 가이드될수 있도록 위치선정용 고정구멍(55)을 형성하며, 고정클램프(56)로 가동플레이트(57)에 고정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플레이트(57)의 후단부에는 전후이송 수단을 갖는 실린더(58)를 부착하여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이캐스팅금형(51)은 고정금형편(52)에 실린더(58)를 작동시켜 가동플레이트(57)를 작동시키면 가동금형편(53)이 전진하여 가동금형편(53)의 결합면(53-1)과 고정금형편(52)의 결합면(52-1)이 긴밀히 접촉된다.
이때 상기 고정금형편(52)의 결합면(52-1)에 돌출형성된 위치 선정센타봉(54)은 가동금형편(53)의 결합면(53-1)에 요인형성된 위치선정용 고정구멍(55)에 삽입되어 고정금형편(52)과 가동금형편(53)의 센타를 정확하게 맞추어 알루미늄을 주입하여 다이캐스팅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이캐스팅금형(51)은 가동플레이트(57)에 고정금램프(56)로 고정된 가동금형편(53)이 실린더(58)동작에 의해 상기간 수회 연속동작하기 때문에 다이캐스팅시 가동금형편(53)을 고정한 고정클램프(56)의 고정볼트가 풀려 정위치 센타가 맞지 않아도 실린더(58)가 강제적으로 가동플레이트(57)를 밀어 작동시키므로서 고정금형편(52)에 돌출형성된 위치 선정센타봉(54)과 가동금형편(53)에 형성된 위치선정용 고정구멍(55)이 일치하지 못했을 경우, 고정금형편(52)과 가동금형편(53)의 결합면(52-1)(53-1)이 용이하게 결합하지 못할뿐만아니라, 불일치한 상태로 계속작업했을때에는 위치선정 센타봉(54)이 휘거나 파손되어 새로운 금형으로 대치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손실이 비일비재하였고, 심지어는 가동플레이트(57)에 부착된 가동금형편(53)의 고정클램프(56)가 균열됨에 다라 가동금형편(53)이 가동플레이트(57)로부터 떨어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게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의 고정금형편의 결합면과, 가동금형편의 결합면의 동일선상에 센타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부착설치하여, 고정금형편의 위치금형편의 위치선정센타봉과 위치선정고정공의 불일치시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가동금형편의 작동을 중단하여 다이캐스팅 금형의 파손됨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도록 하고, 금형의 낙하됨을 방지하여 작업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금형을 제공하려는 것이 그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발명을 첨부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발명이 적용된 금형의 분리상태 개략측면도를 나타낸것이고
제2도는 본발명의 금형이 정위치된 결합된 결합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알루미늄다이캐스팅금형(1)은 고정금형편(2)과, 가동금형편(3)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되 상기 고정금형편(2)의 결합면(2-1)에는 위치선정 센타봉(4)을 돌출형성하고, 기동금형편(3)의 결합면(3-1)에는 상기 위치선정센타봉(4)이 삽입되어 가이드될수 있도록 위치선정용 고정구멍(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금형편(3)은 가동플레이트(7)에 고정클램프(6)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로 고정하고 가동플레이트(7)의 후단부에는 전후 이송수단을 갖는 실린더(8)를 부착하였다.
한편 상기 고정금형편(2)의 결합면(2-1)의 결합면(2-1)에는 적당한 장소에 센타를 감지할수 있는 감지센서(9)(9^)를 넣어 고정하고, 가동금형편(3)의 결합면(3-1)에는 상기 고정금형편(2)에 고정된 감지센서(9)(9^)와 동일 측선상에 감지센서(10)(10^)를 부착하여 실린더(8)를 작동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발명의 알루미늄 다이캐스팅금형(1)을 작동시키면, 고정금형편(2)타측의 가동금형편(3)이 실린더(8)의 작동으로 가동플레이트(7)를 밀면, 고정금형편(2)의 결합면(2-1)과, 가동금형편(3)의 결합면(3-1)이 밀착하되, 상기 고정금형편(2)의 결합면(2-1)에 동출형성된 위치선정 센타봉(4)과 가동금형편(3)의 결합면(3-1)에 형성된 위치선정용 고정구멍(5)이 일치되는 상태로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금형편(2)의 결합면(2-1)에 부착설치된 감지센서(9)(9^)와 가동금형편(3)의 결합면(3-1)에 부착설치 또한 감지센서(10)(10^)는 동일측선상에 일치되게 되어 실린더(8)의 작동을 계속하여 금형작업이 원활롭게 된다.
그리고 고정금형편(2)과 가동금형편(3)이 불일치 하였을 경우 즉, 가동금형편(3)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클램프(6)의 풀림으로 인하여 일치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고정금형편(2)의 결합면(2-1)에 부착된 감지센서(9)(9^)와, 가동금형편(3)의 결합면(3-1)에 부착된 감지센서(10)(10^)의 중심센타가 불일치하면 상기 감지센서(9)(9^)(10)(10^)가 불일치를 감지하여 실린더(8)의 작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불일치 감지는 발광 또는 알람으로 신호를 경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발명의 다이캐스팅 금형은 고정금형편 및 가동금형편의 결합면에 동일측선상으로 감지센서를 부착형성하여 금형이 일치하지 않았을 때, 즉시 작동을 중단하면서 신호를 경보하여 금형의 파손을 예방하고, 또 그 수정작업을 초기에 실시하여 수명이 오래갈 수 있도록함은 물론, 금형의 사용중 낙하됨이 전혀 없게되어 작업시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고정금형편(2)과 가동금형편(3)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되 상기 고정금형편(2)의 결합면(2-1)에는 위치선정 센타봉(4)을 돌출형성한것과, 기동금형편(3)의 결합면(3-1)에는 상기 위치선정센타봉(4)이 삽입되어 가이드될수 있도록 위치선정용 고정구멍(5)을 용입형성 된것과, 상기 가동금형편(3)은 가동플레이트(87)에 고정클램프(6)로 고정하고 후단부에는 실린더(8)를 부착설치하여서된 알루미늄 다이캐스팅금형(1)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편(2)의 결합면(2-1)과, 가동금형편(3)의 결합면(3-1)에는 동일 측선상에 감지센서(9)(9^)(10)(10^)를 부착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위치 조절장치.
KR1019950062476A 1995-12-28 1995-12-28 금형의 위치 조절장치 KR0177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476A KR0177931B1 (ko) 1995-12-28 1995-12-28 금형의 위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476A KR0177931B1 (ko) 1995-12-28 1995-12-28 금형의 위치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193A KR970033193A (ko) 1997-07-22
KR0177931B1 true KR0177931B1 (ko) 1999-02-18

Family

ID=1944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2476A KR0177931B1 (ko) 1995-12-28 1995-12-28 금형의 위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638B1 (ko) * 2002-08-27 2009-06-02 주식회사 포스코 롤그라인더의 롤 연결위치 확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638B1 (ko) * 2002-08-27 2009-06-02 주식회사 포스코 롤그라인더의 롤 연결위치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193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826B2 (en) Vehicle restraint with bi-directional sensor
KR0177931B1 (ko) 금형의 위치 조절장치
JPH0811518B2 (ja) 安全ベルト締付装置のための駆動機構
FR2787187A1 (fr) Module de mesure de pression de pneumatique
EP1338497A1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a side stand of a motorcycle
EP0926465A3 (en) Stylus surface property measuring device with detector lifting
JP2013154972A (ja) ナット供給装置及びその方法
EP0225584A3 (fr) Dispositif de détection de l'usure de briques d'insufflation de fluides dans des métaux liquides
JP3052394U (ja) 金型開き変位量の検出装置
CN212443824U (zh) 一种钢管端保护套
CN216957156U (zh) 一种智慧型可燃气体探测报警器
US4597686A (en) Quick release connecting assembly
CN219392897U (zh) Led显示装置
JP2007237610A (ja) 金型落下防止装置
FR2669997A1 (fr) Dispositif de verrouillage pour crochet de ruban de mesure.
KR970004475Y1 (ko) 자동차용실내경의베이스
ATE513685T1 (de) Vorrichtung zum wechseln einer druckplatte
TWM528937U (zh) 煞車警示燈控制裝置
BR0000058A (pt) Suporte de aperto para a fixação de espelhos refletores em um veìculo
JPS607890Y2 (ja) 成形機のトツグル装置
FI96108C (fi) Köysihätäpysäyttimen kiristyslaite
FI90505B (fi) Helmakiinnike käytettäväksi esimerkiksi auton oikaisulaitteen yhteydessä
KR930006410Y1 (ko)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미싱 감지에 의한 승객 안전장치
JPH0646863U (ja) スパナ
JPS55126127A (en) Clutch wear alar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