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569B1 -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 방법 - Google Patents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569B1
KR0175569B1 KR1019960046205A KR19960046205A KR0175569B1 KR 0175569 B1 KR0175569 B1 KR 0175569B1 KR 1019960046205 A KR1019960046205 A KR 1019960046205A KR 19960046205 A KR19960046205 A KR 19960046205A KR 0175569 B1 KR0175569 B1 KR 0175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processor
demultiplexing
channel
lap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422A (ko
Inventor
한인탁
최기석
박권철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60046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569B1/ko
Priority to JP22531397A priority patent/JP3165081B2/ja
Publication of KR1998002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 H04Q11/0457Connec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6Time-space-tim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527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protocols - X.25, TCAP e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208Inverse multiplexing; Time slot sequence integrity [TSSI]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교환기에서 단일모드로 동작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SDN 교환기에서 패킷 처리기는 ISDN LAPD 프로토콜 처리기와 시간 스위치 - 공간 스위치 - 시간 스위치 고정경로 상에 확립된 LAPB링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패킷 처리기가 단일 모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패킷 처리기가 고장을 일으키면 이 패킷 처리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제공되고 있던 D채널 패킷 교환 서비스는 패킷 처리기가 복구될 때까지 중단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패킷 처리기에 집중된 T-S-T 고정경로를 두 개의 패킷 처리기에 분산시켜 정상 동작시에는 D채널 패킷 교환의 트래픽을 절반씩 처리하다가 둘 중 하나의 패킷 처리기가 고장을 일으키면 다른 하나의 패킷 처리기를 통하여 D채널 패킷 교환을 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춘다.
본 발명에서는 ISDN LAPD 프로토콜 처리기와 이중으로 연결된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가 LAPB링크의 사용권을 통제하며 이 LAPB의 사용정보를 패킷 처리기에 통보함으로써 통제 정보를 관리한다.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에서 LAPB링크의 연결, 절단이 일어나서 LAPB링크의 사용권 정보에 변동이 생기면 변동된 정보는 반드시 패킷 처리기로 통보된다.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는 LAPB링크의 사용정보를,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LAPB링크를 통하여 패킷 처리기로 통보하며 또한 ISDN 교환기의 IPC경로를 통하여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의 상위 프로세서 및 패킷 처리기의 상위 프로세서를 거쳐서도 패킷 처리기로 통보하여 LAPB링크의 사용정보가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와 패킷 처리기간에서 일치하도록 한다. 어느 한쪽의 패킷 처리기가 고장나면 다른 한쪽의 패킷 처리기는 상위 프로세서의 도움을 얻어서 고장난 패킷 처리기를 통하여 처리되고 있던 D채널 패킷호를 반드시 해제하는 절차를 밟아서, 차후에 일어나는 D채널 패킷호에 대해서만 서비스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패킷 처리기가 고장난 경우에 있어서, 비록 그 고장된 패킷 처리기에 의하여 수행중이던 D채널 패킷호는 절단되더라도, 차후의 D채널 패킷 교환 서비스만은 중단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 방법
본 발명은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갖는 ISDN 교환기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 방법에 관한다.
종래의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에서 종래의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방법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ISDN 교환기중 패킷 처리 서브시스템(590)을 중앙에 가지고 있는 ISDN 교환기는 패킷 가입자 서브시스템(500, 540)을 시간 분할 스위치(530, 570) - 공간 분할 스위치(580) - 시간 분할 스위치(591)(Time-Space-Time : 이하 T-S-T라 함)의 경로를 통한 데이터 링크를 확립하여 패킷 처리기(5920-592m)에 연결하여 B채널 패킷 교환과 D채널 패킷 교환 서비스를 가입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패킷 처리기(5920-592m)는 B채널 패킷 교환을 위한 B채널 패킷 처리기(5920, 592i)와 D채널 패킷 교환을 위한 D채널 패킷 처리기(5911, 592m)으로 구분된다.
ISDN가입자는 가입자 수용 장치(5110)를 통해 교환기에 수용되며, 가입자 수용장치(5110)에서 B채널과 D채널이 분리된다.
분리된 B채널(5140)은 곧바로 시간 분할 스위치(530)의 64Kbps의 타임슬롯(Time-Slot)에 연결되며, D채널(5150)은 LAPD(Link Access Procedure for D-channel) 프로토콜 처리기(5120)에 연결된다.
LAPD 프로토콜 처리기는 수신한 프레임을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SAPI)에 의하여 D채널의 신호(SAPI=0)와 패킷(SAPI=16)으로 분리한다. 분리된 D채널 신호(5160)은 상위 프로세서(520)로 전달되어 처리되며, D채널 패킷(5170)으로 분리된 프레임은 D채널 프레임 다중화 장치(5130)로 전송되어 프레임 다중화된다.
D채널 프레임 다중화 장치는 패킷처리 서브시스템(590)에 있는 D채널 패킷 처리기(5921)와 T-S-T 고정경로(5180)상에 LAPB(Link Access Procedure for Balanced Mode) 데이터 링크를 반영구적으로 확립하여 서로 통신한다.
가입자 수용 장치(5110), LAPD 프로토콜 처리기(5120) 및 D채널 프레임 다중화 장치(5130)로 구성된 ISDN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5100)는 하나의 T-S-T 고정경로를 통한 데이터 링크(5180)을 가지며, 다수의 ISDN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5100-510n)는 각각 하나씩의 D채널 데이터 링크(5180-518n)를 통하여 패킷 처리 서브 시스템(590)의 D채널 패킷 처리기(5921)에 연결되어 D채널을 통한 패킷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의 패킷 처리기가 단일 모드로 동작할 때 D채널 패킷 교환을 통해 X.25 프로코콜을 처리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도 단일 모드로 동작한다.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에서 패킷 처리기는 ISDN LAPD 프로토콜 처리기와 시간 스위치 - 공간 스위치 - 시간 스위치 즉 T-S-T 고정경로상에 확립된 LAPB링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패킷 처리기가 단일 모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패킷 처리기가 고정을 일으키면 이 패킷 처리기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제공되고 있던 D채널 패킷 교환 서비스는 패킷 처리기가 복구될 때까지 중단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패킷 처리기를 부하 분담 방식에 의한 느슨하게 결합된 이중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패킷 처리기가 고장난 경우에 있어서, 비록 수행중이던 D채널 패킷호는 절단되더라도, 최소한 가입자에게 차후의 D채널 패킷 교환 서비스는 중단되지 않게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ISDN 교환기의 시스템 구성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의 DP 버스 이중화 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한 프레임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절체의 순서도.
제5도는 종래의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갖는 ISDN 교환기의 블록도.
본 발명은 하나의 패킷 처리기에 집중된 T-S-T 고정경로를 두 개의 패킷 처리기에 분산시켜 정상 동작시에는 D채널 패킷 교환의 트래픽을 절반씩 처리하다가 둘 중 하나의 패킷 처리기가 고장을 일으키면 다른 하나의 패킷 처리기를 통하여 D채널 패킷 교환을 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춘다.
그런데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로 인한 T-S-T 고정경로 수의 증가없이 패킷 처리기를 이중화하기 위하여 두 개의 패킷 처리기는 부하 분담 방식으로 이중화 되어야 하는데, 분하 분담 방식에 의해 A, B-side로 이중화되어 있는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의 A-side를 하나의 패킷 처리기와 일단의 고정경로를 통하여 연결하고, B-side를 다른 패킷 처리기와 일단의 고정경로를 통하여 연결하여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의 이중화 동작과 함께 패킷 처리기를 이중화시키면 느슨하게 결합된 구조의 패킷처리기 이중화를 이룰 수 있다.
이중화 구조를 갖는 패킷 처리기를 통하여 D채널 패킷호의 X.25 프로토콜를 처리하려면 ISDN LAPD 프로토콜 처리기가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를 거쳐 패킷 처리기와 프레임을 송수신할 때는 반드시 지정된 LAPB링크를 통하도록 통제하여야 하며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와 패킷 처리기는 이 통제를 위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ISDN LAPD 프로토콜 처리기와 이중으로 연결된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가 LAPB링크의 사용권을 통제하며 이 LAPB링크의 사용정보를 패킷 처리기에 통보함으로써 통제 정보를 관리한다.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에서 LAPB링크의 연결, 절단이 일어나서 LAPB링크의 사용권 정보에 변동이 생기면 변동된 정보는 반드시 패킷 처리기로 통보된다.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는 LAPB링크의 사용정보를,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LAPB링크를 통하여 패킷 처리기로 통보하며 또한 LSDN 교환기의 IPC경로를 통하여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의 상위 프로세서 및 패킷 처리기의 상위 프로세서를 거쳐서도 패킷 처리기로 통보하여 LAPB링크의 사용정보가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와 패킷 처리기간에서 일치하도록 한다. 어느 한쪽의 패킷 처리기가 고장나면 다른 한쪽의 패킷 처리기는 상위 프로세서의 도움을 얻어서 고장난 패킷 처리기를 통하여 처리되고 있던 D채널 패킷호를 반드시 해제하는 절차를 밟아서, 차후에 일어나는 D채널 패킷호에 대해서만 서비스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패킷 처리기가 고정난 경우에 있어서, 비록 그 고장된 패킷 처리기에 의하여 수행중이던 D채널 패킷호는 절단되더라도, 차후의 D채널 패킷 교환 서비스만은 중단되지 않게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패킷 처리기를 부하 분담 방식에 의한 느슨하게 결합된 이중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하나의 패킷 처리기가 고장난 경우에 있어서, 비록 그 고장된 패킷 처리기에 의하여 수행중이던 D채널 패킷호는 절단되더라도, 차후의 D채널 패킷 교환 서비스는 제공할 수 있게 작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명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ISDN 교환기의 시스템 구성 블록도이다.
그 구성은, ISDN 교환기의 ISDN 가입자를 수용하는 ISDN 가입자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ISDN Subscriber : 이하 ASS-I라 함)(100)과, ISDN D-채널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ISDN가입자 정합장치(Digital Subscriber Interface : 이하 DSI라 함)(101)과, D채널 패킷교환을 위한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프레임 다중/역다중화 인터페이스(Frame Multiplexing/Demultiplexing Interface : 이하 FMDI라 함)(102)와, 시간 분할 스위치(Time Switch : 이하 TSW라 함)(103)와, 그리고 DSI(101), FMDI(102) 그리고 TSW(103)의 상위 프로세서인 ISDN가입자 정합 프로세서(Access Switching Processor for ISDN Subscriber : 이하 ASP-I라 함)(104)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110은 ISDN교환기의 ISDN가입자 서브시스템(100)과 패킷처리 서브시스템(120)의 시간 스위치(103, 121)를 통하여 서브시스템을 연결하는 공간 스위치(Space Swtich : 이하 SSW라 함)이다.
상기 패킷 처리 서브시스템(120)은 ISDN교환기의 패킷 처리기가 상주하는 패킷 처리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Packet : 이하 ASS-P라 함) 이며, 시간 스위치(TSW)(121)와, X.25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다수의 패킷 처리기(Packet Handling Module : 이하 PHM이라 함)(1220∼122k∼122m)과, 패킷호를 제어하는 최대 4개의 패킷 레벨 제어 프로세서(Packet Level Control Processor : 이하 PLCP라 함)(1230∼1233)와, TSW(121), PHM(1220∼122k∼122m) 및 PLCP(1230∼1233)을 제어하는 패킷 정합 프로세서(Access Switching Processor for Packet : 이하 ASP-P라 함)(124)로 구성된다.
따라서 공간 스위치(110)은 ASS-I(100)의 시간 스위치 TSW(103)와 ASS-P(120)의 시간 스위치 TSW(121)와 함께 시간 분할 스위치 - 공간 분할 스위치 - 시간 분할 스위치(Time - Space - Time : 이하 T-S-T라 함) 교환(Switching)을 이룬다.
FMDI(102)는 D채널 패킷 교환을 위하여 두 개의 PHM(122k, 122m)과 각각 두 그룹의 T-S-T 고정경로(130, 140)를 통하여 연결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블록 구성도로서, ISDN 교환기의 D채널 프로토콜 처리 장치,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 그리고 패킷 처리기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ISDN 가입자와의 D채널을 통하여 D채널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D채널 프로토콜 처리장치(ISDN D-channel Protocol Handler : 이하 IDPH라 함)(2000)는 일측의 4개의 데이터 패킷 버스(Data Packet Bus : 이하 DP버스라 함)(2100)를 통하여 제1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제어 장치(Frame Multiplexing/ Demultiplexing Controller : 이하 FMDC라함)(2200)와 연결되며, 타측의 4개의 DP버스(2110)을 통하여 제2 FMDC(2500)과 연결된다.
같은 방법으로, IDPH(2001, 2002, 2003)은 각각 FMDC 쌍 (2201, 2501), (2202, 2502), (2203, 2503)에 연결된다). 4개의 DP버스를 통하여 각각 IDPH에 연결되는 4개의 제1 FMDC(2200, 2201, 2202, 2203)는 제1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Frame Multiplexing/ Demultiplexing Processor : 이하 FMDP라 함)(230)의 제어를 받으며, 각각 시간 분할 스위치(261) - 공간 분할 스위치(262) - 시간 분할 스위치(263)(Time-Space-Time : 이하 T-S-T라 함)의 연결로 이루어진 T-S-T 고정경로(221, 222, 223, 2234)를 통하여 제1 패킷 처리기(Packet Hadling Module : 이하 PHM1 이라 함)(270)과 연결된다.
또 다른 4개의 DP버스를 통하여 IDPH(2000, 2001, 2002, 2003)에 각각 연결되는 4개의 제2 FMDC(2500, 2501, 2522, 2503)는 제2 FMDP(240)의 제어를 받으며, 각각 T-S-T 스위치(260)의 연결로 이루어진 T-S-T 고정경로(251, 252, 253, 254)을 통하여 제2 패킷처리기(이하, PHM2라 칭함)(280)과 연결된다.
상기 PHM1, 2(270, 280)은 각각 8개의 LAPB(Link Access Procedure for Balanced Mode) 링크(271∼278, 281∼288)를 가지고 있어 X.25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제1 패킷 처리기와 제2 패킷 처리기이며, 제1 FMDC(2200, 2201, 2202, 2203)와 제2 FMDC(2500, 2501, 2502, 2503)와 각각 연결된다.
제1 PHM(270)과 제1 FMDC(2200, 2201, 2202, 2203) 사이는 ASS-I(100)의 시간 스위치(261)와 ASS_P(120)의 시간 스위치(263)와 이들을 연결하는 중앙의 공간 스위치(262)로 구성된 최대 4개의 T-S-T 고정경로를 통하여 연결된다.
제2 PHM(280)과 제2 FMDC(2500, 2501, 2502, 2503) 사이는 ASS-I(100)의 시간 스위치(261)와 ASS_P(120)의 시간 스위치(263)와 이들을 연결하는 중앙의 공간 스위치(262)로 구성된 최대 4개의 T-S-T 고정경로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 고정경로 위에서 계층2의 프로토콜인 LAPB 프로토콜을 통하여 제1 FMDC(2200, 2201, 2202, 2203)와 제1 PHM(270), 그리고 제2 FMDC(2500, 2501, 2502, 2503)와 제2 PHM(280)은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도면부호 221, 222, 223 및 224는 제1 FMDP 230에서 바라다 본 T-S-T 고정경로 이자 LAPB링크 번호이며, 도면부호 251, 252, 253, 및 254는 제2 FMDP(240)에서 바라다 본 고정경로이면서 LAPB링크 번호이다.
도면부호 271, 272, 273, 및 274는 제1 PHM(270)에서 바라다 본 T-S-T 고정경로 이면서 LAPB링크 번호이며, 도면부호 281, 182, 183, 및 184는 제2 PHM(280)에서 바라다 본 고정 경로이면서 LAPB링크 번호이다.
사용되지 않은 제1 PHM(270)의 4개의 LAPB링크(275∼278)와 제2 PHM(280)의 4개의 LAPB링크(285∼288)는 다른 ASS-I의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제어기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FMDC(2200, 2201, 2202, 2203)와 제1 FMDP(230) 그리고 제1 PHM(270)는 한 조를 이루며, 제2 FMDC(2500, 2501, 2502, 2503)와 제1 FMDP(240) 그리고 제2 PHM(280)도 다른 한 조를 이룬다.
제1 FMDC(2200, 2201, 2202, 2203)와 제1 FMDP(230), 그리고 제2 FMDC(2500, 2501, 2502, 2503)와 제2 FMDP(240) 사이의 통신은 제1 및 제2 FMDC에 공통 메모리를 두어서 공통 메모리에 우편함을 구축하여, 이 우편함을 통한 프레임 송수신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각각 D채널 패킷교환을 위한 트래픽의 절반을 처리한다.
만약, 하나의 LAPB링크가 절단되면 나머지 LAPB링크를 통하여 패킷호의 절단없이 계속 해당 D채널 프레임을 송수신하며, 어느 한 쪽의 LAPB링크가 모두 절단되면 상대편으로 이중화 절체되어 전체의 트래픽이 절체된 쪽의 LAPB링크를 통하여 처리되도록 이중화 기능을 수행한다.
제3a도는 고정경로를 통하여 운용되는 LAPB링크가 설정되면 FMDP(230, 240)가 제1, 제2 PHM(270, 280)으로 보내는 정보로서, 제1, 제2 PHM(270, 280)은 이 정보를 수신하여 각각 자신에 소속된 LAPB링크 번호(271, 272, 273, 274, 281, 282, 283, 284)와 제1, 제2 FM DP(230, 240)에 각각에 소속된 LAPB링크 번호(221, 222, 223, 224, 252, 253, 254)의 상관 관계를 구하여 차후의 D채널 패킷호의 처리에 사용한다.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300은 IDPH(2000, 2001, 2002, 2003)의 주소 필드이며, 도면부호 031은 제1, 제2 FM DP(230, 240) 및 제1, 제2 PHM(270, 280) 사이의 프레임 폭주를 제어하기 위한 폭주 제어 필드(Congestion Control Field) 이다.
도면부호 302는 프레임 프리미티브(Primitive)라 불리는 프레임 신원(Identity)을 알리는 필드이다. 도면부호 300, 301, 302는 IDPH(2000, 2001, 2002, 2003)와, 제1 FMDC(2200, 2201, 2202, 2203) 또는 제2 FMDC(2500, 2501, 2502, 2503)와, 그리고 제1 PHM(270) 또는 제2 PHM(28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모든 프레임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필드들이다.
도면부호 303은 제1, 제2 FMDP(230, 240)에서 바라다 본 T-S-T 고정경로의 번호 곧 LAPB링크의 번호로서 0-7값을 갖는다. 도면부호 304는 제1, 제2 FM DP(230, 240)가 속해 있는 ASS-I(100)의 일련번호이며 패킷 호 처리(Packet Call Processing)시에 사용된다.
제3b도는 T-S-T 고정경로를 통하여 운용되는 LAPB링크가 설정되거나 절단되면 제1, 제2 FM DP(230, 240)가 제1, 제2 PHM(270, 280)으로 보내는 정보로서, PHM(270, 280)은 이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ISDN 가입자가 D채널 패킷 교환 서비스를 받는 고정경로(271, 272, 273, 274, 또는 281, 282, 283, 284)의 일련 번호를 인식한다.
이 때, ISDN 가입자는 일정 가입자 단위별로 그룹화되는데 0-3의 값을 가지는 DP 버스(2100)의 번호와 0-3의 값을 가지는 제1 FMDC(2200, 2201, 2202, 2203), 또는 제2 FMDC(2500, 2501, 2502, 2503)의 번호를 조합하여 16개의 그룹을 표현한다.
도면부호 310은 IDPH(2000, 2001, 2002, 2003)의 주소 필드이며, 도면부호 311은 제1, 제2 FMDP(230, 240) 및 제1, 제2 PHM(270, 280)사이의 프레임 폭주를 제어하기 위한 폭주 제어 필드(Congestion Control Field)이다.
도면부호 312는 프레임 프리미티브(Primitive)라 불리는 프레임의 신원(Identity)을 알리는 필드이다. 상기 도면부호 310, 311, 312는 IDPH(2000, 2001, 2002, 2003)와, 제1 FMDC(2200, 2201, 2202, 2203) 또는 제2 FMDC(2500, 2501, 2502, 2503) 그리고 제1 PHM(270) 또는 제2 PHM(28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모든 프레임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필드들이다.
도면부호 313은 제1 FMDC(2200, 2201, 2202, 2203) 또는 제2 FMDC(2500, 2501, 2502, 2503)의 일련 번호로서 제1 FMDC 또는 제2 FMDC는 4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0-3값을 가진다.
도면부호 314, 315, 316, 317은 각각 4개로 이루어진 DP 버스(2100또는 2110)에 의해 집단화된 ISDN 가입자가 후술할 도면부호 318의 필드에 기록된 LAPB링크의 번호를 사용할 것인가 아닌가의 여부를 표시하는 필드이다.
도면부호 318은 고정경로 상에 확립된 LAPB링크 221, 222, 223, 224, 251, 252, 253, 254의 번호를 나타내며 0-7값을 가진다. 도면부호 319는 제1, 제2 FMDP(230, 240)가 속해 있는 ASS-I(100)의 일련 번호이다.
제3c도는 T-S-T 고정경로를 통하여 운용되는 LAPB링크가 설정되거나 절단되면 제1, 제2 FM DP(230, 240)가 T-S-T LAPB링크를 통하여 제1, 제2 PHM(270, 280)으로 제3b도의 정보를 보냄과 동시에 프로세서간 통신(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이하 IPC라 함)을 통하여 제1,제2 FM DP(230, 240)의 상위의 프로세서인 제1도의 ASP-I(104)로 보내는 정보로서, 한 쌍의 제1, 제2 FM DP(230, 240)가 각각 제어하는 제1 FMDC(2200, 2201, 2202, 2203) 또는 제2 FMDC(2500, 2501, 2502, 2503)를 통해 집단화되는 ISDN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는 T-S-T 고정경로상에 확립된 LAPB링크의 사용정보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320, 321, 322, 323은 각각 FMDC 0번 쌍(2200, 2500)에 연결된 4개의 DP버스(2100, 2110)에 의해 집단화되는 가입자들이 사용하는 LAPB링크 221, 222, 223, 224, 251, 252, 253, 254의 일련 번호이며, 도면부호 324, 325, 326, 327은 각각 FMDC 1번 쌍(2201, 2501)에 연결된 4개의 버스에 의해 집단화되는 가입자들이 사용하는 LAPB링크 221, 222, 223, 224, 251, 252, 253, 254의 일련 번호이며, 도면부호 328, 329, 330, 331은 각각 FMDC 2번 쌍(2200, 2502)에 연결된 4개의 DP 버스에 의해 집단화되는 가입자들이 사용하는 LAPB링크 221, 222, 223, 224, 251, 252, 253, 254의 일련 번호이다.
또한, 도면부호 332, 333, 334, 335은 각각 FMDC 3번 쌍(2203, 2503)에 연결된 4개의 DP 버스에 의해 집단화되는 가입자들이 사용하는 LAPB링크 221, 222, 223, 224, 251, 252, 253, 254의 일련 번호이다.
이 정보는 후술한 제4도의 도면부호 415, 416, 417, 418의 절차를 거치면서 제1, 제2 PHM(270, 280)에 소속한 LAPB링크의 일련 번호로 바뀌어 제1, 제2 PHM(270, 280)에 전달된다.
제4도는 한 조의 LAPB링크가 모두 절단되어서 상대 조로 절체될 때 상기 제3b도 및 제3c도의 정보를 제1, 제2 PHM(270, 280)으로 전달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부호 400은 IDPH, 401은 FMDC A-side 즉, 제1 FMDC, 402는 FM DP A side 즉, 제1 FM DP, 403은 FM DP B side 즉, 제2 FM DP, 404는 FMDC B-side 즉, 제2 FMDC, 405는 AS-I, 406은 ASP-P, 407은 PLCP, 408은 PHM A-side 즉, 제1 PHM 그리고 409는 PHM B-side 즉 제2 PHM을 의미한다.
먼저 제2 FMDC(2500, 2501, 2502, 2503)가 LAPB링크의 절단을 탐지하여 제2 FMDP(240)로 LAPB링크 절단 통보를 하면(410) 제2 FMDP(240)는 절단을 통보받은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LAPB링크 중 최후의 LAPB링크의 절단인지를 판단하여(411) 최후의 링크 절단이 아니고 다른 링크가 아직도 설정되어 있으면 제2 FMDC(2500, 2501, 2502, 2503)중 하나를 통하여 제2 PHM(280)으로 상기 제3b도를 보내고(412, 413) 이어서 상기 제3c도의 정보를 IPC를 통하여 자신의 상위 프로세서인 ASP-I(104)로 보낸다(414).
ASP-I는 제2 FMDP(240)로부터 상기 제3C의 정보를 받아서 T-S-T 고정경로의 일련 번호를 키이(Key)로 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읽어서 이들 T-S-T 고정경로가 연결된 시간 스위치(261)의 타입 슬롯 번호로 변환하여(415) ASP-P(124)로 보낸다(416).
ASP-P(124)는 ASP-I(104)로부터 수신한 T-S-T 고정경로의 타입 슬롯 정보를 키이(Key)로 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읽어서 제2 PHM(280)에 소속된 LAPB링크의 일련 번호로 변환한다(417).
변환한 다음 변환된 정보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제2 PHM을 관리하는 PLCP 예를 들어 1230으로 보낸다(418).
PLCP 1230은 이 정보를 즉시, 제2 PHM(280)으로 보내고(419) 나서, 수신한 정보를과거의 정보와 비교하여 해제해야 할 D채널 패킷호가 있는 지를 조사한다(420).
이 경우는 동일 그룹내에서 일어나는 LAPB링크 절체이므로 해제해야 할 D채널 패킷호는 없다.
한편, 제2 FMDP 240는 통보받은 LAPB링크 절단이 최후의 LAPB링크 절단이라고 판단되면(411) 상대방 FMDP인 제1 FMDP(230)로 이중화 절체 요구를 보낸다(421).
이중화 절체 요구를 받은 제1 FMDP(230)는 즉시 제1 FMDC(2200, 2201, 2202, 2203)에게 스탠바이(Standby)로 동작하는 DP 버스를 액티브(Active)로 활성화하도록 요구한다(422).
그리고 나서 제1 FMDC(2200, 2201, 2202, 2203)중 하나를 통하여 제1 PHM(270)으로 상기 제3b도의 정보를 보낸다(423,424). 이어서 자신의 상위 프로세서인 ASP-I(104)로 IPC를 통하여 상기 제3c도의 정보를 송신한다(425).
ASP-I는 제1 FMDP(230)로부터 상기 제3c도의 정보를 받아서 T-S-T 고정경로의 일련번호를 키이로 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읽어서 이들 T-S-T 고정경로가 연결된 시간 스위치(261)의 타임 슬롯 번호로 변환하여(426) ASP-I(124)로 보낸다(427).
ASP-P(124)는 ASP-I(104)로부터 수신한 T-S-T 고정경로의 타임 슬롯 정보를 키이로 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읽어서 제1 PHM(270)에 소속된 LAPB링크의 일련번호로 변환한다(428). 변환한 다음 변환된 정보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제1 PHM(270)을 제어하는 PLCP 예를 들어 1230으로 보낸다(429).
PLCP(1230)은 이 정보를 즉시 제1 PHM(270)으로 보내고(430) 나서, 수신한 정보를 과거의 정보와 비교하여 해제해야 할 D채널 패킷호가 있는지를 조사한다(431). 해제해야 할 D채널 패킷호가 있으면 D채널 패킷호의 해제를 제1 PHM(270)으로 요구하여(432) 해당 패킷호를 해제시킨다. 패킷호의 해제 요구를 받은 제1 PHM(270)은 제1 FMDC(2200, 2201, 2202, 2203)를 통하여 패킷호의 해제 요구 프레임을 IDPH(2000, 2001, 2002, 2003)으로 보내(433, 434) 이후 패킷호의 해제 처리를 한다.
상기와 같이 LAPB링크가 절단되어 동일한 그룹내의 다른 LAPB링크로 절체되는 경우는 수행 중이던 D채널 패킷호를 절단없이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한 그룹의 LAPB링크 모두가 절단되어 타 그룹의 LAPB링크로 절체되면 수행 중이던 D채널 패킷호를 중단시키고 차후에 일어나는 D채널 패킷호는 새로운 PHM을 통하여 서비스한다.
본 발명은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8개의 LAPB링크를 갖는 패킷 처리기를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기와 짝을 지어서 2개의 패킷 처리기 각각이 4개의 LAPB링크만을 사용하여 하나의 ISDN 가입자 서브시스템의 D채널 패킷호 트래픽의 절반씩을 처리하는 부하 분담 방식에 의한 느슨한 이중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하나의 LAPB링크가 절단되는 경우는 동일한 그룹내의 다른 LAPB링크로 절체하여 수행 중이던 D채널 패킷호를 절단없이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의 패킷 처리기가 고장난 경우 즉 한 그룹의 LAPB링크가 모두 절단된 경우에는 비록 수행 중인 D채널 패킷호는 절단되더라도 해당 가입자에게 차후의 D채널 패킷 교환 서비스가 중단되는 일이 없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ISDN 가입자와의 D채널 프로토콜 처리를 담당하는 D채널 프로토콜 처리 장치와; X.25 프로토콜 처리하는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와; 상기 D채널 신호처리 장치 및 패킷 처리기와 다중화 또는 역다중화된 프레임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1쌍의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제어 장치와; 상기 1쌍의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제어 장치를 각각 제어하여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기능을 실행하는 프레임 1쌍의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와; 상기 D채널 프로토콜 처리 장치와 1쌍의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제어 장치를 연결하는 DP 버스와; 상기 패킷 처리기와 1쌍의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제어 장치를 연결하는 시간 분할 스위치 - 공간 분할 스위치 - 시간 분할 스위치(T-S-T)의 고정경로 상에 확립된 LAPB링크와; 상기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의 상위 프로세서와; 상기 패킷 처리기의 상위 프로세서와; 상기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 상기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의 상위 프로세서, 상기 패킷 처리기 그리고 상기 패킷 처리기의 상위 프로세서 간의 통신로를 구비한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갖는 ISDN 교환기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패킷 처리기 2개를 각각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제어 장치 및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 1쌍과 조를 이루게 하여 두 개의 패킷 처리기가 독자적으로 D채널 패킷호의 트래픽을 절반씩 처리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는 자신이 관리하는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제어 장치로부터 T-S-T 고정 경로 상에 확립된 LAPB링크의 절단을 통보받아서 사용중인 LAPB링크가 모두 절단되었다고 판단되면, 이중화 절체가 일어나야 한다고 결정하여 쌍을 이루는 상대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로 이중화 절체를 요구하는 제1단계와; 상대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로부터 이중화 절체를 요구받은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는 LAPB링크의 사용 정보를 자신이 관리하는 LAPB링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자신과 조를 이루는 패킷 처리기로 통보하면서 동시에, 프로세서간 통신로를 통해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의 상위 프로세서와 패킷 처리기의 상위 프로세서를 거쳐서 같은 조의 패킷 처리기로 LAPB링크의 사용 정보를 통보하는 제2단계와, 및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이중화 절체를 통보받은 패킷 처리기는 사진의 상위 프로세서의 지시를 받아서 자신과 쌍을 이루었던 상대 패킷 처리기가 수행하던 D채널 패킷호를 해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패킷 처리기가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로부터 LAPB링크를 통하여 LAPB링크 사용정보를 받아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에 소속한 LAPB링크의 일련번호와 PHM에 소속한 LAPB링크의 일련번호의 대응 관계를 찾아내는 대역내 시그널링(In-Band Signaling)과,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가 관리하는 LAPB링크 사용 정보가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의 상위 프로세서 및 패킷 처리기의 상위 프로세서를 거치면서 패킷 처리기에서 본 LAPB링크의 사용정보로 바뀌어서 패킷 처리기로 통보되는 대역의 시그널링(Out-Band Signaling)을 사용하여 프레임 다중화/역다중화 프로세서와 패킷 처리기간의 정보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 방법.
KR1019960046205A 1996-10-16 1996-10-16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 방법 KR0175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205A KR0175569B1 (ko) 1996-10-16 1996-10-16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 방법
JP22531397A JP3165081B2 (ja) 1996-10-16 1997-08-21 中央集中化されたパケット処理器を有するisdn交換機において単一モ−ドで動作するdチャネルパケット処理器の二重化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205A KR0175569B1 (ko) 1996-10-16 1996-10-16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422A KR19980027422A (ko) 1998-07-15
KR0175569B1 true KR0175569B1 (ko) 1999-04-01

Family

ID=1947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205A KR0175569B1 (ko) 1996-10-16 1996-10-16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65081B2 (ko)
KR (1) KR0175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022B1 (ko) * 2000-04-24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환기의 에이오/디아이 서비스 제공 고정 경로 연결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65081B2 (ja) 2001-05-14
KR19980027422A (ko) 1998-07-15
JPH10145428A (ja) 199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0651B2 (en) Telecommunication switch with programmable communications services
CA2280147C (en) Redundancy arrangement for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115425A (en) Switching system reliability
US4979164A (en) Switching system reliability
AU721259B2 (en) Procedure and system for ensuring emergency communication
KR0175569B1 (ko) 중앙 집중화된 패킷 처리기를 가진 isdn 교환기에서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d채널 패킷 처리기의 이중화 방법
CA2189281C (en) Multiple wireless switching units embedded in a switching system
EP0399723B1 (en) Improvement in switching system reliability
CA2314068A1 (en) Handling of signalling information with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940007980B1 (ko) Isdn 기본속도 가입자 정합장치
JPH0595335A (ja) 時分割多重通信システム
KR950008219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 패킷처리장치
JP2606072B2 (ja) 呼制御方法
JP3465212B2 (ja) 分散形時分割通話路方式
JP3462738B2 (ja) 2mi/fの制御チャネルによる接続制御方式および該接続制御方式用多重化装置
KR100323228B1 (ko) 이동통신교환기의넘버.7신호단말관리장치및그방법
JPH11355869A (ja) 大容量電子交換装置及び方法
KR0121763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 교환기에서 d 채널 패킷교환을 위한 프레임 역다중화 방법
KR20000007441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v5.2 인터페이스 장치
KR19990016793A (ko) 무선 가입자 망에 대한 버전5.2 프로토콜의 적용 방법
JP3607582B2 (ja) 加入者アクセス方式
KR100366540B1 (ko) No.7 신호메시지 처리 기능이 분산된 ASS,ASS-T내 SSHP의 초기화 방법, 및 장애 복구 방법
JPH09224037A (ja) 加入者線伝送路異常状態通知方法とそのシステム
JPH03195156A (ja) 回線再配置方法及び装置
JP2000069512A (ja) 電話回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